KR100445975B1 -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 Google Patents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975B1
KR100445975B1 KR10-2002-0003697A KR20020003697A KR100445975B1 KR 100445975 B1 KR100445975 B1 KR 100445975B1 KR 20020003697 A KR20020003697 A KR 20020003697A KR 100445975 B1 KR100445975 B1 KR 10044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meter
meter reading
unit
calc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532A (ko
Inventor
김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티
Priority to KR10-2002-000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97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계량기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는 검침부; 상기 검침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펄스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펄스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계량기의 종류 및 수량과 상기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의 최소시간과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간격 및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감지간격을 초기화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신호를 대기하며, 상기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설정된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과 감지간격 및 감지횟수를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며, 만일 만족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의 수를 증가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계량기의 사용량을 받아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계량기의 펄스신호를 받아서 이를 사용량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연산부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받아서 상기 연산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외부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상기 계량기의 설정값을 조정하며, 외부 단말기에 연결될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계량기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함으로써 계량기의 검침 정확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Apparatus for remotely examining gauge}
본 발명은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서 검침을 수행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한 원격 검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를 이용한 산업발전은 사람들의 생활을 매우 편리하게 해주고 있다. 그중에 하나로, 각 가정마다 전기, 수돗물, 가스 등이 공급되어, 가정 생활이 편리해지고 안락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각 가정에 전기, 수돗물, 가스 등이 공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데, 이 때, 사용량을 기록하는 각종 계량기들, 예컨대, 계전기, 수도 계량기, 가스 계량기 등이 각 가정마다 또는 일정 가구 단위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이러한 계량기들을 검침하기 위해서 검침원이 일일이 각 가정을 돌아다녔지만, 지금은 원격으로 검침을 수행하는 원격 검침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원격 검침 장치가 개발됨에 따라 검침원은 수용가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유선 또는 무선 등의 통신 매체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검침을 수행하고 있다. 원격검침 제어장치가 특허(출원번호;10-1998-0021944, 이하 특허1로 약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1에는 딥스위치(DIP Switch)를 구비하여 계량기의 종류 및 계량기의 수량을 설정하므로써 원격검침 제어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 과정이 복잡해진다. 또한, 특허1에 의하면, 펄스신호가 온(on)일 때만 펄스체크신호를 발생하여 펄스신호를 카운트함으로써 펄스신호가 오프(off)일 때 역류로 인한 펄스신호의 발생은 카운트하지 못하며, 떨림 및 누수로 인한 검침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 있다.
또한, 기존의 원격 검침 장치는 통신방식으로서 RS485를 이용한 칩셋을 사용함으로써 가격은 싸지만 고장 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계량기에서 발생하는 펄스신호에 포함된 기계적 에러를 검출하여 계량기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검침하는 원격 검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계량기의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격 검침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검침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량기에 직접 연결되며, 유선을 통하여 검침용 컴퓨터에 연결된 원격 검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는 검침부; 상기 검침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펄스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펄스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계량기의 종류 및 수량과 상기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의 최소시간과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간격 및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감지간격을 초기화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신호를 대기하며, 상기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설정된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과 감지간격 및 감지횟수를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며, 만일 만족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의 수를 증가하고, 만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가 반전되었으면 이전의 펄스신호에 대한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펄스신호가 반전되지 않았으면 다른 펄스신호를 대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계량기의 사용량을 받아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계량기의 펄스신호를 받아서 이를 사용량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연산부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받아서 상기 연산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외부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상기 계량기의 설정값을 조정하며, 외부 단말기에 연결될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계량기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는 원격 검침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량기의 사용량을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연산부는 내부에서 소정의 클럭을 발생하여 현재 시간을 계산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전압을 받아서 이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검침부, 연산부, 표시부, 제어부 및 보정부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고, 정전시에 상기 전원부는 상기 연산부에 상기 직류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연산부로 하여금 상기 계량기의 사용량을 검침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계량기는 하나 이상으로써 전기, 수도, 가스, 열량, 온수의 사용량을 체크하는 계량기들이다.
상기 본 발명의 원격 검침 장치는 누수나 떨림 및 역류로 인한 기계적 에러를 검출함으로써 검침 정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계량기의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계량기의 원격 검침 시스템(101)은 검침용 컴퓨터(111) 및 원격 검침 장치들(121,122,…)을 구비한다.
검침용 컴퓨터(111)와 원격 검침 장치들(121,122,…)은 유선(151), 예컨대 전력선 또는 전용선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원격 검침 장치들(121,122,…)에는 다수개의 계량기들(131,132,141,142,…)이 연결됨으로써 원격 검침 장치들(121,122,…)은 계량기들(131,132,141,142,…)의 사용량을 검침한다.
컴퓨터(111)는 유선(151)을 통해서 원격 검침 장치들(121,122,…)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검침 장치(201)의 일측에 다수개의 입력포트들(211)이 설치되고, 다른 측면에 출력포트들(221)이 설치된다. 입력포트들(211)에는 다양한 종류의 계량기들(도 1의 131,132,141,142,…), 예컨대, 전기, 수도, 온수, 가스, 열량 등을 체크하는 계량기들이 연결되고, 출력포트들(221)에는 유선들(도 1의 151)이 연결된다. 입력포트들(211)에 다수개의 계량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격 검침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검침 장치(201)는 검침부(311), 연산부(321), 표시부(331), 제어부(341), 보정부(351) 및 전원부(361)를 구비한다.
검침부(311)는 다수개의 계량기들(도 1의 131,132)에 연결되며, 검침부(311)는 계량기들(도 1의 131,132)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들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검침부(311)에는 하나의 계량기(도 1의 131)가 연결된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한다.
연산부(321)는 검침부(311)로부터 수신한 상기 펄스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펄스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연산부(321)는 검침 모드 즉, 계량기(도 1의 131)의 종류 및 수량과 상기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의 최소시간과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간격 및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감지간격 즉, 감지주기를 초기화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신호를 대기하며, 상기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설정된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과 감지간격 및 감지횟수를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며, 만일 만족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의 수를 증가하고, 만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가 반전되었으면 이전의 펄스신호에 대한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펄스신호가 반전되지 않았으면 다른 펄스신호를 대기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제어부(341)에 저장된 누수나 떨림 및 역류로 인한 오 신호 감지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된다.
연산부(321)는 내부에서 소정의 클럭, 예컨대 32.786[KHz]를 발생하여 현재 시간을 계산한다.
연산부(321)는 입력된 총 펄스 신호의 개수를 계량기별로 기억한다.
연산부(321)는 제어부(341)로부터 명령, 예컨대, 각종 설정 명령, 펄스 누적치 전달 명령 등을 받아서 수행한다.
표시부(331)는 연산부(321)로부터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을 받아서 표시한다. 연산부(321)에는 가구당 최대 5대의 계량기들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표시부(331)는 최대 5대의 계량기 사용값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31)는 각 계량기의 사용값을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화면에 표시되는 계량기의 사용값의 표시 시간 간격은 1∼30초까지 컴퓨터에 의해 설정된다. 표시부(331)는 또한, 원격 검침 장치(201)의 외부에 설치된 버튼이 푸시(push)될 때마다 발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의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평상시에는 전기를 표시하고 있다가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 간격대로 상기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1번만 표시한다. 상기 신호의 종류는 컴퓨터((도 1의 111)에 의해 설정된다. 표시부(331)로는 액정디스플래이(Liquid Crystal Display; LCD)가 사용될 수 있으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기구는 무엇이나 다 사용이 가능하다.
제어부(341)는 연산부(321)로부터 계량기(도 1의 131)의 펄스신호를 받아서 이를 사용량으로 변환하여 컴퓨터(도 1의 111)로 전송하며, 컴퓨터(도 1의 111)로부터 연산부(32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받아서 연산부(321)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341)는 컴퓨터(도 1의 111)와의 통신을 통하여 세대 정보, 계량기 정보(각 계량기의 유/무, 단위당 펄스 정보 등), 표시부(331)의 표시 정보(정수 자리수, 소수자리수) 등을 내부 메모리에 기억하며, 연산부(321)에서 필요한 모든 설정 정보를 컴퓨터에서 받아서 연산부(321)에 전달한다.
제어부(341)는 컴퓨터(도 1의 111)로부터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 설정, 시간 설정 등의 명령을 받아서 내부 기억값을 재설정하고, 연산부(321)가 기억하고 있는 계량기(도 1의 131)의 펄스값을 재설정한다.
제어부(341)는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을 연산부(321)를 통하여 표시부(331)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341)는 표시부(331)에 표시되는 모든 내용을 제어한다. 물리적으로 표시부(331)는 연산부(321)에서 제어하지만, 표시부(331)에 표시되는 내용은 제어부(341)의 명령에 의한 것이고, 연산부(321)는 단지 제어부(341)의 명령에 따라 표시부(331)를 제어한다.
제어부(341)는 컴퓨터(도 1의 111)의 명령에 의하여 계량기(도 1의 131)의 검침값을 소정 기간, 예컨대 1개월에 1회는 규칙적으로 컴퓨터로 전송한다.
제어부(34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다.
보정부(351)는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341)에 설정된 계량기(도 1의 131)의 설정값을 조정한다. 보정부(351)는 최초 시운전시에 사용자가 계량기(도 1의 131)의 설정값을 현장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곳이다. 통신을 이용하여 계량기(도 1의 131)의 설정값을 조정할 때, 현장에 있는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과 원격 검침 장치(201)를 보는 사람 1인과, 컴퓨터에서 상기 설정값을 설정하는 사람이 필요하므로 설치 시운전시에 최소한 2인이 필요하여 인건비가 낭비되는데, 현장에서의 조정은 컴퓨터(도 1의 111)에서 상기 설정값을 설정하는 사람이 필요없기 때문에 1인만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현장에서 조정을 위하여 커넥터(Connector)를 연결할 때도 원격 검침 장치(201)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설정값을 설정할 때 상기 커넥터의 연결이 편리하도록 인터넷 연결에 사용하는 커넥터, 예컨대 RJ45가 사용되고, 설정하는 기기 역시 컴퓨터는 휴대하기에 불편하므로 시중에서 상용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이동 단말기 안에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여 관리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하고 있다. 또한, PDA 또는 이동 단말기와 보정부(351)와는 RS232 통신을 하는데, RS232 드라이버의 가격이 비싸므로,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 레벨로 통신이 가능하게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전원부(361)는 외부로부터 상용 전압을 받아서 이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검침부(311), 연산부(321), 표시부(331), 제어부(341) 및 보정부(351)에 공급한다. 전원부(361)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고, 정전시에 연산부(321)에 상기 직류전압을 공급하여 연산부(321)로 하여금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을 검침하도록 한다. 유선(도 1의 151)으로 전력선이 사용될 경우, 상기 상용 전압은 상기 전력선을 통해서 공급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부(361)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부(361)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411), 레귤레이터(Regulator)(421) 및 전압검출기(431)를 구비한다.
트랜스포머(41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전압(V1) 예컨대, 110볼트 또는 220볼트의 교류 전압을 그보다 낮은 전압 예컨대, 9볼트(V2)로 강압시켜서 레귤레이터(421)로 전달한다.
레귤레이터(421)는 입력되는 전압(V2)을 소정의 직류 전압(V4) 예컨대, 5볼트로 변환하여 연산부(321)에 공급한다. 레귤레이터(421)에 입력되는 전압(V2)은 적어도 5.5볼트 이상만 되면 레귤레이터(421)는 연산부(321)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V4)을 출력한다.
정전이 될 경우를 대비하여 원격 검침 장치(201)는 정전시에도 동작하여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을 검침한다. 정전시에 전기 사용량을 계측할 필요는 없지만 수도, 온수, 가스, 열량 등의 계량기들은 계속 동작하므로 정전시에도 각 계량기의 사용량을 검침해야 한다. 원격 검침 장치(201)가 정전시에도 동작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정전 여부를 감시하지 않고 정전과 관계없이 원격 검침 장치(201)가 동작할 경우 수시간 이상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한다. 두 번째, 정전 여부를 감시하여 정전시에는 최소 전압 소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하여 적은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때는 1개월 내지 6개월동안의 정전시에도 전압 공급이 가능하다.
상기 두 번째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정전이 되어서 레귤레이터(421)에 입력되는 전압(V2)이 7볼트의 교류 전압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전압 검출기(431)는 트랜스포머(411)에서 출력되는 전압(V3)을 감시하고 있다가 연산부(321)에 전압 에러 신호(P1)를 전달한다. 연산부(321)는 레귤레이터(421)에 인가되는 전압(V2)이 5.5볼트 이하로 낮아지기 전까지 프로그램 모드를 대기 모드로 바꾸고 필요한 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레귤레이터(421)로 입력되는전압(V2)이 5.5볼트 이하로 낮아지면 레귤레이터(421)는 동작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연산부(321)에 전압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후로는 전원부(361)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동작하여 연산부(321)와 검침부(311)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며, 이 때 표시부(331), 제어부(341) 및 보정부(351)에는 동작전압을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부(331), 제어부(341) 및 보정부(351)는 정전시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정전시에도 연산부(321)와 검침부(311)는 동작을 하므로 원격 검침 장치(201)는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을 계속해서 검침할 수가 있다. 또한, 정전시에도 연산부(321)에 전압이 공급되므로 연산부(321)는 현재 시간을 계속하여 계산할 수가 있다.
복전이 되면 전압 검출기(431)는 전압 에러 신호(P1)를 해지하고, 연산부(321)는 정상 모드로 전환되어 누적된 펄스값을 제어부(341)에 알리고 제어부(341)로부터 명령을 받아서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값을 표시부(331)에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도 1의 131)의 검침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량기(도 1의 131)의 검침 방법은 제1 내지 제5 단계들(511∼551)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계량기의 검침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단계(511)로써 초기에 컴퓨터(111)가 계량기(131)의 종류 및 수량과 상기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의 최소시간과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간격 및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횟수를 설정하여 연산부(321)에 저장한다.
제2 단계(521)로써 연산부(321)가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 주기가 끝났는 지를 확인한다.
제3 단계(531)로써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 주기가 끝난 시점에서 상기 펄스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 주기가 끝난 시점에서 상기 펄스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연산부(321)는 상기 펄스신호를 대기한다.
제4 단계(541)로써 상기 펄스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설정된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과 감지간격 및 감지횟수를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 때, 검침부(311)에 다수개의 계량기들이 연결되어있을 경우 연산부(321)는 먼저, 상기 펄스신호가 어느 계량기로부터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 다음,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설정된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과 감지간격 및 감지횟수를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과 펄스 신호의 감지횟수를 조정하여 펄스신호의 최소 길이와 최대 길이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펄스신호의 폭을 프로그램 설정에 의하여 가변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펄스신호의 폭이 작은 전자식 계량기와 펄스신호의 폭이 매우 큰 기계식 계량기를 별도의 딥스위치(DIP switch)없이 동시에 하나의 원격 검침 장치(201)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즉, 펄스신호의 주기가 수십[ms]인 전자식 계량기와 펄스신호의 주기가 수초 이상인 기계식 계량기의 신호 간격 및 신호 감지 횟수를 각각 설정함으로써 신호간격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였고, 기계식 계량기에서 발생하기 쉬운 신호 발생 오류가 예방된다. 예컨대, 펄스신호의 오프 시간이 5초로 설정되고 펄스신호의 온시간이 10초로 설정된 상태에서, 계량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오프시간이 6초이고 온시간이 10.5초인 경우는 정상으로 판단되지만, 펄스신호의 오프시간이 6초이고 온시간이 9.5초인 경우는 정상으로 판단되지 않기 때문에 펄스신호로써 카운트되지 않는다. 반대로, 펄스신호의 온 시간이 5초로 설정되고 오프 시간이 10.5초로 설정된 경우에도 위의 경우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5 단계로써 연산부(321)는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설정값을 만족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의 수를 증가하고(551), 만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가 반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543), 반전되었으면 이전의 펄스신호에 대한 정보를 초기화하고(545) 상기 펄스신호가 반전되지 않았으면 상기 펄스신호를 대기한다.
기계식 계량기는 전자식 계량기와 달리 사용량에 따라 기어가 맞물리면서 자석의 접점에 의하여 펄스를 발생하는데, 누수나 떨림, 역류 등의 원인으로 상기 접점이 실제로 붙거나 떨어질 때 1개의 펄스 신호 대신에 여러 개의 펄스 신호들이 발생함으로써 오차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원격 검침 장치(201)에 의하여 상기 오차가 해결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기(도 1의 131)에서 발생하는 누수나 떨림 및 역류 등과 같은 기계적 에러를 검출함으로써 검침 정확도가 높다. 원격 검침 장치(201)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정전시에도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다. 원격 검침 장치(201)는 연산부(321)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량을 전자적으로 검침함으로써 원격 검침 장치(201)의 구조가 간단하다. 원격 검침 장치(201)는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 시간을 가변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전자식 계량기 및 기계식 계량기를 연결하여 검침할 수 있다. 원격 검침 장치(201)에 저장된 계량기(도 1의 131)의 사용값은 외부에서 PDA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검침에 필요한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9)

  1. 계량기에 직접 연결되며, 유선을 통하여 검침용 컴퓨터에 연결된 원격 검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는 검침부;
    상기 검침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펄스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펄스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계량기의 종류 및 수량과 상기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의 최소시간과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간격 및 상기 펄스신호의 감지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감지간격을 초기화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신호를 대기하며, 상기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설정된 펄스신호의 온/오프 지속시간과 감지간격 및 감지횟수를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며, 만일 만족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의 수를 증가하고, 만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펄스신호가 반전되었으면 이전의 펄스신호에 대한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펄스신호가 반전되지 않았으면 다른 펄스신호를 대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계량기의 사용량을 받아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계량기의 펄스신호를 받아서 이를 사용량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연산부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받아서 상기 연산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외부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상기 계량기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량기의 사용량을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내부에서 소정의 클럭을 발생하여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용 전압을 받아서 이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검침부, 연산부, 표시부, 제어부 및 보정부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고, 정전시에 상기 전원부는 상기 연산부에 상기 직류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연산부로 하여금 상기 계량기의 사용량을 검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는 하나 이상으로써 전기, 수도, 가스, 열량, 온수의 사용량을 체크하는 계량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2-0003697A 2002-01-22 2002-01-22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KR100445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697A KR100445975B1 (ko) 2002-01-22 2002-01-22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697A KR100445975B1 (ko) 2002-01-22 2002-01-22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532A KR20030063532A (ko) 2003-07-31
KR100445975B1 true KR100445975B1 (ko) 2004-08-25

Family

ID=3221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697A KR100445975B1 (ko) 2002-01-22 2002-01-22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31B1 (ko) * 2006-08-29 2007-09-20 한국전기연구원 원격 검정 및 보상기능을 내장한 계측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241990B1 (ko) * 2011-06-14 2013-03-11 (주)누리텔레콤 기계식 계량기의 펄스 신호 센싱 방법 및 그 장치
CN114492713A (zh) * 2021-12-31 2022-05-13 河南牧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养殖栏的巡检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024A (ko) * 1994-11-07 1996-06-17 이종수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KR980010928A (ko) * 1996-07-27 1998-04-30 이승준 자동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00001603A (ko) * 1998-06-12 2000-01-15 이종수 원격검침 제어장치
KR20000004143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자기 테스트가 가능한 자동 검침 시스템의 계량기
KR20010016548A (ko) * 2000-12-20 2001-03-05 전주범 근거리 무선 검침 계량기의 역회전 감지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024A (ko) * 1994-11-07 1996-06-17 이종수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KR980010928A (ko) * 1996-07-27 1998-04-30 이승준 자동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00001603A (ko) * 1998-06-12 2000-01-15 이종수 원격검침 제어장치
KR20000004143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자기 테스트가 가능한 자동 검침 시스템의 계량기
KR20010016548A (ko) * 2000-12-20 2001-03-05 전주범 근거리 무선 검침 계량기의 역회전 감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532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9976B2 (en) User-installabl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JP2708344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0802248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estimating energy resource consumption
JP4836115B2 (ja) ガス計量システム
GB2469952A (en) Smart metering of commodity consumption via communicating devices
KR20050066392A (ko) 전력선 방식을 이용한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0445975B1 (ko)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US8164480B2 (en) Remote module for utility meters
KR20090120099A (ko) 계량기 자동 검침 시스템
US20030135338A1 (en) Real-time energy monitoring system
CA2372727A1 (en) Gas meter with low power consumption mode
JP2000205923A (ja) 複数電子カウンタ搭載型ガスメ―タ
KR100339121B1 (ko) 배전선로 전압 측정 기록장치 및 방법
KR100443824B1 (ko) 전자식 및 기계식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력량계
KR200430811Y1 (ko) 원격검침 통신 모듈
KR100438986B1 (ko) 원격검침을 사용한 멀티 에어컨 검침 시스템
KR100541357B1 (ko) 원격검침 일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0294764Y1 (ko) 자기진단형 디지탈전력량계 개발
JP2001004665A (ja) 消費電力計測表示機能付き家庭用電化製品
JPS633324A (ja) 太陽電池による電源システム
JP2008269202A (ja) 計量データ伝送装置、検針システム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2001273584A (ja) 計量装置用設定器および計量装置用設定管理システム
KR20040014100A (ko) 모듈형 원격검침기능을 갖는 디지탈전력량계 개발
KR20030062952A (ko) 동시 및 정시 검침이 가능한 원격검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원격검침제어시스템
KR20050036516A (ko) 가스계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