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562B1 -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562B1
KR100445562B1 KR1020030066933A KR20030066933A KR100445562B1 KR 100445562 B1 KR100445562 B1 KR 100445562B1 KR 1020030066933 A KR1020030066933 A KR 1020030066933A KR 20030066933 A KR20030066933 A KR 20030066933A KR 100445562 B1 KR100445562 B1 KR 10044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rrier
parts
cloth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경
Original Assignee
김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경 filed Critical 김삼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이용한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밴드는 이동시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여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이나 사용시 불편하거나 옷이나 몸에 뿌려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 해충 퇴치용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였다. 또한,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사용하여 지속기간을 길게 하고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해충 퇴치 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였다.

Description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A Wearing Band for Repelling Vermin and the Preparing Method Thereof}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이용한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모기나 날파리등 각종 해충들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피부 가려움증 등을 일으키며 전염병을 매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여, 특히 모기는 말라리아나 뇌염등 자칫 치명적인 질병을 야기하기도 하여 그 박멸방법으로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해충에 약을 직접 살포하여 잡는 방법과,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음식물에 약을 섞어 잡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해충에 직접 약을 살포할 경우 일정기간 일시에 박멸되는 효과는 볼수 있으나 약을 자주 살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대기중에 약이 살포되므로 사람이나 다른 동물이 흡입하여 피해가 생길수 있는 문제점이있고,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해충 사체가 붙어 있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고 1회용이므로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해로운 곤충으로는 Lyme병을 옮기는 검은 다리 진드기와 과립성 백혈구 과다증(granulocytic ehrlichiosis)을 매개하는 론스터(lonestar)진드기, 록키산열병(Rocky mountain spotted fever)을 전염시키는 미국 개진드기 등이 있으며, 상기의 해충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가정에서 발생되는 모기와 파리 등의 퇴치에 있어 종래에는 스프레이 타입이나 전기 가열식의 전자모기향, 그리고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향을 피우는 등의 방식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스프레이 타입의 해충퇴치기는 해충의 박멸을 유도하는 유형으로 스프레이에 함유된 휘발성분과 인체에 유해한 여러 성분이 함유되어 해충을 살상시킴과 동시에 인체에도 안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죽은 파리나 모기 등이 바닥에 떨어져 미관상으로 불합리하며, 이를 다시 치워야하는 번거로움 등의 이중 부담을 앉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전기 가열식의 전자 모기향은 모기향이 설치되어진 특정 공간으로부터 일정거리 안에 들어온 모기에게만 효력을 미치게 됨으로써, 상기의 전자 모기향에 의한 효과를 누리기 위해 사람 또한 전자모기향 근처에 모여 있어야 하며,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여 주기적으로 패드를 교환하는 비용 외에 전기사용에 대한 지불문제, 전기사용에 의한 어린이들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기향에서 사용되어지는 향이 전기적 열작용에 의해서 분산됨에 따라 전기사용이 곤란한 장소에서는 상기의 전자 모기향의 사용 또한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후자의 피우는 향의 경우에 있어서는 모기나 파리를 쫓는데에 있어 재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향에 의해 의존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시에는 연소되는 연기에 의한 사용자들의 눈의 피로감을 가중시키며, 실외에서 사용시는 바람의 영향에 따라 바람이 부는 방향만이 효과를 볼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모기향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분이 타면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및 유해가스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 최근에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향이 출시된 바 있다.
또한, 상기 종류의 해충퇴치향 발산장치는 모두 어느 정도 밀폐된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는 효과를 볼 수가 있으나 등산, 낚시, 캠핑등의 레저활동을 위한 야외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모기향 발산기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86-60호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고번호 제86-60호는 내외 이중뚜껑으로 형성된 개폐구를 용기의 상단에 나사결합하고 용기의 내부의 휘발성 살충액을 필터 심지가 흡입 발산하도록 하며, 내뚜껑의 벽면으로 통공 및 스위치가 설치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팬이 설치된 소형모우터를 설치하며, 용기의 일측벽에는 건전지의 삽입요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공고번호 제86-60호는 사용자가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밧데리를 사용하여야 하며, 야외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나 휴식을 취할 경우 등에는 사용하기가 용이하지만 작업이나 운동 등 활동 중에는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천연의 해충 퇴치향을 이용한 종래의 제품은 향의 발산을 통해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지속시간이 짧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단점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사용하여 해충 퇴치향을 보다 오래 지속되도록 하고 활동중의 휴대가 간편한해충퇴치용 착용밴드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사이즈의 담체에 해충퇴치용 성분을 흡착시킨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나노사이즈 담체에 해충퇴치 성분을 흡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는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균등하게 고착하여 만든 흡착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흡착포 내의 나노사이즈 담체의 모양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1c는 나노사이즈의 담체에 해충 기피 성분이 흡착된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제올라이트, CMC,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만드는 단계; (b) 섬유, 펄프 및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의 제조 성형시 상기 담체를 첨가한 다음 제조 성형하여 담체가 고착된 흡착포를 만드는 단계; (c) 상기 흡착포에 고착된 담체에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충 퇴치용 물질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흡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해충 퇴치용 물질이 흡착된 흡착포를 탈수·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제올라이트, CMC,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만드는 단계; (b) 섬유, 펄프 및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성형된 수지제품에 상기 담체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담체가 도포된 수지를 가열하여 담체가 팽윤·고착된 흡착포를 만드는 단계; (d) 상기 흡착포에 고착된 담체에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충 퇴치용 물질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흡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해충 퇴치용 물질이 흡착된 흡착포를 탈수·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의 사용양은 상기 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혼합물은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고, 흡착포(담체+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80 중량부 범위로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 나노사이즈 담체의 제조
제올라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및 벤토나이트와 실리카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통상의 졸-겔 제조법(sol-gel)과 분쇄법에 의하여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제조하였다.
졸-겔법에 의한 나노사이즈 담체의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졸은 1㎛ 이하의 콜로이드 입자의 분산을 의미하며 화학반응에 의해 금속 알콕사이드(metal alkoxide) 용액으로부터 혹은 함수/무수 금속 옥사이드(hydrous/anhydrous metal oxide)의 콜로이드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가 가능하며, 공정을 진행하면서 졸의 점성이 점점 증가하여 겔을 형성하게 되므로 졸-겔 프로세스라 부른다. 여기서, 겔이란 산화물 세라믹에서 볼 수 있는 결합과 유사한 M-O-M(Metal-oxide-Metal) 결합을 형성하는 삼차원 고분자 네트워크(three-dimentional polymeric network)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졸-겔 프로세스는 그 원료 물질에 따라 콜로이드 입자를 이용한 콜로이드 졸-겔과 금속 알콕사이드와 같은 유기금속 전구체(organometallic precursor)를 이용한 고분자 졸-겔로 분류할 수 있는데 후자가 더 일반적이다. 알콕사이드 분자는 사용된 개개의 알콕사이드, 용매 또는 다른 인자들의 영향을 받아 모노머(monomers), 다이머(dimers) 등으로 존재하며 금속 알콕사이드의 가수 분해 반응과 축중합 반응 때문에 중합이 일어난다. 중합되는 동안 외부에서 첨가되는 물은 개시제로서 작용하며 산이나 염기는 이들 반응에 대해서 촉매 역할을 한다. 졸의 초기 점도는 다소 낮고 대부분의 경우 물의 점도와 비슷하다. 그러나, 축중합반응이 상당한 크기로 일어나면 졸은 겔로 변화한다. 이들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할 때 금속 알콕사이드 용액은 졸로 변하기 시작한다. 초기 겔화단계 중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 종(species)은 올리고머로 불리운다.
실시예 2: 수지에 나노사이즈 담체가 고착된 흡착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담체를 섬유, 펄프 또는 다공성 플라스틱의 제조 성형시 첨가한 다음 제조 성형하여 상기 담체가 고착된 흡착포를 제조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 섬유, 펄프 또는 다공성 플라스틱을 단독 또는 둘 이상 혼합·성형하여 만든 수지제품에 상기 담체를 도포한 다음 180℃로 3분간 가열하여 담체를 팽윤·고착시켜 흡착포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수지의 양은 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0 중량부이었다.
상기 담체를 섬유, 펄프 또는 스폰지의 수지 표면에 도포하여 여과포를 만드는데는 바인더를 사용하여 접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담체 자체의 팽윤성을 이용하여 180℃의 열에 3분간 가열하여 평활 고착시키면 접착이 가능하다.
상기 바인더로는 초산 비닐 용액, 우레탄 바인더 또는 섬유, 펄프 등에 사용하는 접착제 중에서 선택하여 담체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흡착포에 해충 퇴치제의 흡착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흡착포에 천연 해충 퇴치제를 사용되고 있는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N,N-디에틸-m-톨루아미드 (N,N-diethyl-m-toluamide),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의 혼합액을 흡착포(담체+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80 중량부 범위로흡착하였다. 상기 흡착되는 상기 흡착되는 천연 해충 퇴치제 각 성분의 구성비율은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및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는 각 5~35 중량%,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은 5~15 중량%,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은 각 1~10 중량%로 하였다.
상기 흡착은 저압탱크에 상기 천연 해충 퇴치제 추출물을 투여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비이온이나 음이온상태로 pH를 조정한 후, 3% 미만의 계면활성제를 소량 투여한 다음, 30~50 ℃에서 흡착포를 투여하고, 3~6 시간 후 내용물을 꺼낸 후 건조하여 완성시켰다.
본 발명에 이용된, 해충퇴치 천연 추출물은 대부분 프랑스, 동남아 등에서 재배되는 특정식물의 추출액을 수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국내에서 자생되는 소량의 식물 추출액은 수증기증류법(Steam Distillation)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수증기 증류법에 의하면, 식물의 뿌리나 잎을 자르거나 으깨어서 추출이 잘되도록 선행 가공한 후, 가열 용기에서 수증기로 가열하면, 식물의 세포벽이 깨지며 추출액이 수증기와 함께 증발하는데 증발되는 추출액을 냉각·회수하여 액체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해충 퇴치용 물질이 흡착된 흡착포를 탈수·건조시켜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나노사이즈 담체에 해충퇴치 성분이 흡착된 흡착포 또는 착용밴드는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a는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균등하게 고착하여 만든 흡착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흡착포 내의 나노사이즈 담체의 모양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1c는 나노사이즈의 담체에 해충 기피 성분이 흡착된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착용밴드는 상기 흡착포를 부착한 수지에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를 부착하여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한 손목 또는 발목 착용 밴드는 이동시 손목이나 발목에에 착용하여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 해충 퇴치 제품이 전기를 이용하는 것, 모기향, 스프레이 형태로 이동이나 사용시 불편하거나 옷이나 몸에 뿌려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았던 단점을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는 이동시 손목이나 발목에에 착용하여 해충을 퇴치할 수 있어, 종래 해충 퇴치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사용하여 지속기간을 길게 하고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해충 퇴치 효과를 극대화를 도모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의 제조방법:
    (a) 제올라이트, CMC,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만드는 단계;
    (b) 섬유, 펄프 및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의 제조 성형시 상기 담체를 첨가한 다음 제조 성형하여 담체가 고착된 흡착포를 만드는 단계;
    (c) 상기 흡착포에 고착된 담체에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충 퇴치용 물질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흡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해충 퇴치용 물질이 흡착된 흡착포를 탈수·건조시키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의 사용양은 상기 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고, 흡착포(담체+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80 중량부 범위로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의 제조방법:
    (a) 제올라이트, CMC,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나노사이즈의 담체를 만드는 단계;
    (b) 섬유, 펄프 및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성형된 수지제품에 상기 담체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담체가 도포된 수지를 가열하여 담체가 팽윤·고착된 흡착포를 만드는 단계;
    (d) 상기 흡착포에 고착된 담체에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충 퇴치용 물질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흡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해충 퇴치용 물질이 흡착된 흡착포를 탈수·건조시키는 단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의 사용양은 상기 담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파이레쓰럼(Pyrethrum) 추출물,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시트로넬라(Citronella)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및 제라늄(Geranium)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고, 흡착포(담체+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80 중량부 범위로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KR1020030066933A 2003-04-28 2003-09-26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445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26 2003-04-28
KR20030013226 2003-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5562B1 true KR100445562B1 (ko) 2004-08-23

Family

ID=3736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933A KR100445562B1 (ko) 2003-04-28 2003-09-26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5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48B1 (ko) 2010-04-14 2010-08-04 이용석 1회용 방충 손목띠 및 그 제조방법
KR101029486B1 (ko) 2008-08-19 2011-04-18 양원동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KR200463194Y1 (ko) 2010-04-30 2012-10-23 이랄라 향발산 밴드
CN110999885A (zh) * 2019-12-25 2020-04-14 湖南本业绿色防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诱蝇球制备方法和诱蝇球
KR102462095B1 (ko) * 2022-04-07 2022-11-01 임창호 혹파리 해충 방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486B1 (ko) 2008-08-19 2011-04-18 양원동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KR100973148B1 (ko) 2010-04-14 2010-08-04 이용석 1회용 방충 손목띠 및 그 제조방법
KR200463194Y1 (ko) 2010-04-30 2012-10-23 이랄라 향발산 밴드
CN110999885A (zh) * 2019-12-25 2020-04-14 湖南本业绿色防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诱蝇球制备方法和诱蝇球
KR102462095B1 (ko) * 2022-04-07 2022-11-01 임창호 혹파리 해충 방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02104A (zh) 一种环保高效质稳广谱植物源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3540416B (zh) 一种用于婴儿驱蚊的菊花蜡烛及其制备方法
CN108294058A (zh) 一种安全环保高效无害缓释杀虫颗粒及其制备方法
KR100445562B1 (ko) 해충 퇴치용 착용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4621192A (zh) 天然植物防螨灭虫散香防除剂
KR101416984B1 (ko) 천연 모기향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878787B (zh) 一种天然驱蚊香粉及其使用方法
CN106922751A (zh) 天然植物灭虫剂
KR102163387B1 (ko) 해충 퇴치기
KR101761471B1 (ko) 해충기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한 식물성 오일 혼합물
KR200221446Y1 (ko)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JPH05237316A (ja) ヤシ繊維利用フィルター材
KR200253903Y1 (ko) 해충 퇴치용 필름
KR101029485B1 (ko) 야래향 모기 퇴치패드
CN1047189A (zh) 灭蚊、蝇、蛆杀菌合剂
KR20080006158A (ko) 모기퇴치 기능을 구비한 비누 제조방법
KR20210106110A (ko) 아로마를 고분자 나노 캡슐로 흡입한 모기, 날벌레 퇴치기구
JP2005281153A (ja) 高機能多孔質物質
CN108850032A (zh) 一种花椒电蚊香液及其制备方法
JPH03285993A (ja) 香料組成物
KR20050013326A (ko) 해충 기피제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지
KR19990064461A (ko) 모기 및 해충 퇴치를 위한 물-티슈
KR20100022257A (ko) 야래 향 모기 퇴치밴드
CN210143925U (zh) 一种驱蚊鞋
KR200256993Y1 (ko) 향기 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