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635B1 -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자동잠금장치 및 도어 잠금 해제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자동잠금장치 및 도어 잠금 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635B1
KR100443635B1 KR10-2001-0065217A KR20010065217A KR100443635B1 KR 100443635 B1 KR100443635 B1 KR 100443635B1 KR 20010065217 A KR20010065217 A KR 20010065217A KR 100443635 B1 KR100443635 B1 KR 10044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signal
liquid crystal
microprocesso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413A (ko
Inventor
장용석
Original Assignee
김석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도 filed Critical 김석도
Priority to KR10-2001-006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63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Abstract

휴대형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리드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로서, 상기 바코드를 리드하는 바코드 스캐너(50); 상기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리드된 바코드 리드신호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암호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도어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전자식 잠금수단(80);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에 따라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을 구동시키는 스위칭부(70);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와 그 해제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자동잠금장치 및 도어 잠금 해제방법 {Automatically unlo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doors using barcodes}
본 발명은 각종 문, 창문, 금고 및 자동차 등의 도어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페이저(Pager), PDA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사용하여 바코드(barcode)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자동잠금장치의 해제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금고 또는 자동차의 도어는 기계식 자물쇠를 이용하여 잠그고 이것에 상응하는 열쇠로써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물쇠로 도어를 잠근 후에는 그에 맞는 열쇠를 항상 사용자가 휴대하여야만 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열쇠를 분실할 경우에는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여 잠금을 해제하거나 아니면 도어를 파손해야만 하는 불상사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기계식 열쇠는 복제가 용이하여 부정하게 사용될 우려가 높고, 자물쇠 역시 약간의 전문적 기술을 가진 자라면 쉽게 그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기계식 잠금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마그네틱카드나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또는 지문이나 홍채와 같은 생채식별수단을 이용한 잠금장치가 개발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카드 방식은 보안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우수하지만 사용자가 모두 별도의 카드키를 소유해야만 하고 이를 분실할 경우에는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생채식별수단을 이용한 잠금장치는 보안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키가 필요없으므로 분실의 염려도 없지만, 장비와 설비를 구축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가정이나 소규모 건물에 이를 채용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키를 분실할 염려를 완전히 제거하고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바코드를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자동잠금장치와 그 잠금해제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별도의 스마트카드나 열쇠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필요한 때에 휴대형 단말기에 미리 지정된 바코드를 출력하여 이를 잠금장치에 스캐닝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잠금장치의 입력하우징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잠금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잠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잠금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잠금장치는,
휴대형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리드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로서, 상기 바코드를 리드하는 바코드 스캐너; 상기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리드된 바코드 리드신호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암호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도어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전자식 잠금수단;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에 따라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을 구동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 바코드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바코드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광학조립체; 상기 광학조립체를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이를 전기적신호로 전환하는 수광센서; 및 상기 수광센서에 의해 전환된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동잠금장치에는 상기 바코드에 해당하는 암호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입력부가 더 마련된다.
동시에, 자동잠금장치는, 상기 키입력상태, 바코드 리드상태 또는 각종 지시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은, 양단에 각각 전자석이 구비된 실린더; 상기 전자석이 자화됨에 따라 그 전자석으로 끌리는 자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끝단에 설치된 록킹바; 및 상기 록킹바가 삽입 또는 이탈됨으로써 잠금 또는 해제상태가 되도록 하는 록킹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전자석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휴대형 단말기의 표시창에 바코드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바코드를 리딩하여 바코드 리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바코드 리드신호를 미리 설정된 바코드 암호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에서 바코드 리드신호가 바코드 암호데이터와 일치하면 전자식 잠금수단을 동작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잠금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는, 상기 바코드 리드신호가 정상적인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에러를 표시하고 바코드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잠금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잠금장치의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잠금장치는 건물이나 금고, 자동차 등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1은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보여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잠금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입력하우징(10)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하우징(10)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에 표시된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입력하기 위한 바코드 입력창(3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0)와 바코드 입력창(3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잠금장치를 셋팅하거나 수동으로 암호를 입력하기 위해 키입력부(40)가 마련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장치의 입력하우징(10)은 예컨대 도어(100)의 바깥 측면에 설치되고 반대편인 도어(100)의 내측면에는 록킹본체(11)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본체(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식 잠금수단이 내장되어 실질적으로 기계적인 잠금과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력하우징(10)과는 도어(100)를 관통하는 관통공(100a)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본체(11)에는 록킹바(83)가 작동상태에 따라 돌출되어 예를 들어, 벽체(101) 내에 설치되는 록킹홈부재(84)와 체결됨으로써 잠금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상기 입력하우징, 표시부, 바코드 입력창, 키입력부를 비롯하여 록킹본체의 록킹바와 록킹홈부재 등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예시되었으나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그러한 장치들을 구현하는 기능적인 구성에 특징이 있는 만큼 상기 구성요소들의 형태와 기계적인 결합방식 등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장치는 별도의 열쇠를 필요로 하지 않고 휴대형 단말기에 바코드를 표시하고 그 바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잠금을 해제시킨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휴대형 단말기'는 페이저(pager) 뿐만 아니라 셀룰러폰, PCS폰, IMT-2000단말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PDA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제품에 표시되는 일반적인 바코드가 아닌 휴대형 단말기의 액정표시창에 표시되는 바코드(이하 '액정 바코드'라 함)를 리딩한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휴대형 단말기(200)의 표시창(201)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액정 바코드(300)를 리딩하기 위한 바코드스캐너(50)를 구비한다. 상기 바코드 스캐너(50)는 LED와 같이 광을 조사하는 광원(51)과, 상기 광원(51)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버(52)와, 상기 광원(51)으로부터 조사되어 액정 바코드(30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집속하여 광경로를 설정하는 렌즈 및 광학필터와 같은 광학조립체(53)와, 상기 광학조립체(53)를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이것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센서와 같은 수광센서(54)와, 상기 수광센서(5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55)를 포함한다.
상기 바코드스캐너(50)로부터 처리되어 출력되는 바코드 리드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ing Unit;MPU)(60)에 입력되며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암호데이터 즉, 바코드 암호데이터와 비교하여 입력된 값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메모리(61)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바코드 설정값이 암호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로 입력된 바코드 리드데이터와 암호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인터페이스(62)를 통해 표시부(20), 키입력부(40) 및 스피커(63)에 각종 문자 또는 음성신호를 전송하여 표시 또는 출력하도록 하고, 그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입력하우징(10) 전면에 마련되는 상기 표시부(2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나 지시 내용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액정표시소자(LCD), TFT-LCD, 형광표시소자 등과 같은 각종 표시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40)는 입력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자동잠금장치를 셋업시키거나 휴대형 단말기(200)의 바코드를 이용하지 않고 키넘버를 직접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스피커(63)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예컨대, 키입력음, 바코드 리드데이터와 설정된 암호데이터가 일치하여 정상적으로 잠금상태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해제음, 그렇지 않고 리드데이터와 암호데이터가 서로 상이할 경우 이를 경고하는 경고음 등과 같은 가청음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필요한 가청음 데이터는 메모리(61)에 저장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에서 입력된 바코드 리드값과 설정된 바코드 설정값이 일치할 경우 스위칭부(70)에서 스위치가 동작하면서 전자식 잠금수단(80)을 구동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킨다.
상기 스위칭부(70)는 전자식 잠금수단(80)에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릴레이 스위치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80)은 본 발명에 따라 직접적으로 기계적인 잠금과 해제를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그러한 잠금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80)은 그 양단에 전자석(85a)(85b)이 각각 마련된 실린더(81)와, 상기 실린더(81)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플런저(82)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82)의 끝단에는 록킹바(83)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록킹바(83)는 상기 플런저(82)의 전진과 후퇴의 왕복운동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1) 내에 고정 설치된 록킹홈부재(83)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잠금과 해제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81) 내의 플런저(82)에는 상기 전자석(85a)(85b) 사이에 개재되어 그 전자석(85a)(85b)의 자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자성부재(86)가 설치된다. 상기 자성부재(86)는 스틸과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석(85a)(85b)에 구비된 코일(미도시)은 상기 스위칭부(70)와 연결되어 그로부터 전원를 인가받음으로써 선택적으로 자화된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70)의 동작으로 전자석(85a)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화되면 상기 자성부재(86)가 상기 자화된 전자석(85a)으로 끌려가 부착될 것이고 따라서 그와 결합된 플런저(82)는 전진하게 될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록킹바(83)가 록킹홈부재(84) 내로 삽입되면서 잠금상태가 된다.
반면에, 스위칭부(70)의 동작으로 전자석(85b)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화되면 이번에는 상기 자성부재(86)가 역방향으로 끌려가 전자석(85b)에 부착되므로, 따라서 상기 플런저(82)가 후퇴하면서 록킹바(83)가 록킹홈부재(84)로부터 빠져나와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잠금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잠금수단의 구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액정 바코드에 의해 잠금장치를 해제시킨다는 것에 있는 것이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통상적인 당업자의 수준에서 상기 잠금수단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부(70)가 동작되는 과정과 그로 인해 실제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자동잠금장치를 이용한 잠금 및 해제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한 과정은 도 5의 흐름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한다.
1. 바코드 암호데이터의 설정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장치는 페이저, 셀룰러폰, PCS폰, PDA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200)의 액정 표시창(201)에 출력 표시되는 액정 바코드(300)에 의해 동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장치를 사용하기에 앞서 먼저 자신의 휴대형 단말기(200) 내에 바코드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바코드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숫자를 기호화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국제상품코드체계에 따르면 12자리 또는 13자리의 숫자가 기호화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코드는 2자리 내지 32자리에 걸쳐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바코드 리딩시에 오류를 체크하기 위해 체크 숫자를 포함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바코드를 다운로드하여 휴대형 단말기(200)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200)가 자체적으로 바코드 작성기능을 제공한다면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암호숫자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는 상기 자동잠금장치를 셋팅하여야 하는데, 예를 들어 선택된 바코드에 해당하는 숫자를 키입력부(40)를 통해 입력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60)가 이를 바코드 암호데이터로 설정한 후 메모리(61)에 저장함으로써 셋팅을 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잠금장치의 셋팅시에 표시부(20)를 통해 셋팅안내문자와 지시사항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셋팅작업을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휴대형 단말기에 의한 잠금 해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별도의 키나 열쇠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이 자신의 휴대형 단말기(200)에 저장된 액정 바코드를 이용하여 잠금장치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형 단말기(200)에 저장된 액정 바코드를 표시부(201)에 출력하여 표시한다(단계 S100).
그런 다음, 잠금장치의 입력하우징(10) 전면에 설치된 바코드 입력창(30)에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표시부(201)를 갖다 대어 바코드 스캐너(50)가 이를 리딩하도록 한다(단계 S101). 바람직하게 이때, 별도의 트리거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잠금장치의 바코드 스캐너(50)가 동작하여 드라이버(52)에 의해 LED광원(51)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51)으로부터 광이 조사되어 휴대형 단말기(200)의 표시창(201)에 표시된 액정 바코드(300)에 입사되고 그로부터 반사된 광은 바코드 스캐너(50)의 광합조립체(53)로 입사된다.
상기 광학조립체(53)의 집속렌즈와 필터는 반사된 후 입사된 광을 집속하고 필터링하여 이를 CCD센서와 같은 수광센서(54)로 광경로를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수광센서(54)는 입사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생성된 전기적 이미지 신호는 다시 신호처리부(55)로 전송되어 여기에서 문턱전압제어와 그레이레벨처리 등을 거쳐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최종적으로 처리된 바코드 리드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일단, 바코드 스캐너(50)가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기(200)에 표시된 바코드(300)를 리딩하면, 그것이 데이터 비교와 판단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올바로 스캐닝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60)에서 이루어진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바코드 스캐너(50)로부터 입력된 바코드 리드신호가 정상적인 신호인가를 판단하고 에러가 없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02). 바람직하게, 이 경우 바코드에 포함된 오류체크숫자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상기 단계에서 에러가 있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LCD와 같은 표시부(20)에 에러가 발생했음을 표시하고 또는/그리고 스피커(63)를 통해 에러 경고음을 송출한다(단계 S103). 바람직하게, 이때 표시부(20) 또는 스피커(63)를 통해 바코드를 재입력할 것을 요구하고(단계 S104),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바코드를 재입력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장치에는 별도의 동작중 램프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바코드를 입력시키고 이에 대한 에러여부를 확인하는 동안 이를 점등시켜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102에서 바코드 리드신호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입력된 바코드 리드신호가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61)에 저장된 바코드 암호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105),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표시부(20) 또는/및 스피커(63)를 통해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바코드를 재입력할 것을 요구한다(단계 S106).
반면에, 상기 단계 S105에서 바코드 리드신호와 바코드 암호데이터가 서로 일치한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스위칭부(70)로 스위칭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스위칭부가 동작하게 된다(단계 S107).
상기 스위칭부(7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식 잠금수단(80)의 전자석(85b)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이를 자화시키면 자성부재(86)가 전자석(85b) 방향으로 끌리게 되고, 그 결과 후퇴하는 플런저(82)의 끝단에 결합된 록킹바(83)가 록킹홈부재(84)로부터 이탈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된다(단계S108).
3. 키입력에 의한 잠금해제
본 발명에 따르면 만약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200)를 소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코드에 해당하는 암호숫자를 키입력부(4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키입력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하는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200)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키입력부(40)를 통해 숫자 또는/및 정해진 문자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9자리 숫자 '158402471'을 입력한다(단계 S200).
상기 키입력된 신호는 인터페이스(62)에서 처리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60)로 전송되는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일단 이러한 키입력이 있으면 현재 본 장치가 잠금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201).
위 단계에서, 만약 장치가 잠금상태에 있지 않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키입력신호를 잠금전환신호로 여겨 스위칭부(70)로 잠금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스위칭부(70)가 작동하여 예컨대, 도 4의 전자식 잠금수단(80)의 전자석(85a)으로 전류를 인가한다(단계 S202). 그러면, 전자석(85a)이 자화되고 자성부재(86)가 상기 전자석(85a)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국 록킹바(83)가 전진하여 록킹홈부재(84) 내에 삽입됨으로써 도어는 잠금상태가 된다(단계 S203).
만약, 상기 단계 S201에서, 도어가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이를 바코드 리드신호의 입력으로 간주하고 상기 단계 S102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식 자동잠금장치와 그 해제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니고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계식 열쇠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고 열쇠 복사나 분실에 따른 보안성 취약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항상 휴대하는 자신의 휴대형 단말기 내에 바코드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수시로 바코드 암호를 재설정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종래의 홍채나 지문인식시스템에 비해 간단한 바코드 스캐너와 잠금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설치나 유지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비해 특히 유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휴대형 단말기의 액정 표시창에 표시되는 액정 바코드를 리드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로서,
    상기 액정 바코드를 리드하는 바코드 스캐너(50);
    상기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리드된 바코드 리드신호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암호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도어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전자식 잠금수단(80);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에 따라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을 구동시키는 스위칭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스캐너(50)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액정 표시창에 표시된 액정 바코드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51);
    상기 액정 바코드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광학조립체(53);
    상기 광학조립체를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이를 전기적신호로 전환하는 수광센서(54); 및
    상기 수광센서에 의해 전환된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변환하는 신호처리부(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바코드에 해당하는 암호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입력부(40)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상태, 바코드 리드상태 또는 각종 지시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80)은,
    양단에 각각 전자석이 구비된 실린더(81);
    상기 전자석이 자화됨에 따라 그 전자석으로 끌리는 자성부재(86)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82);
    상기 플런저의 끝단에 설치된 록킹바(83); 및
    상기 록킹바가 삽입 또는 이탈됨으로써 잠금 또는 해제상태가 되도록 하는 록킹홈부재(84);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전자석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 자동잠금장치.
  6. (a) 휴대형 단말기의 액정 표시창에 액정 바코드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액정 바코드를 리드하여 바코드 리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바코드 리드신호를 미리 설정된 바코드 암호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에서 바코드 리드신호가 바코드 암호데이터와 일치하면 전자식 잠금수단을 동작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 잠금 해제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바코드 리드신호가 정상적인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에러를 표시하고 바코드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 잠금 해제 방법.
KR10-2001-0065217A 2001-10-23 2001-10-23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자동잠금장치 및 도어 잠금 해제방법 KR10044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217A KR100443635B1 (ko) 2001-10-23 2001-10-23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자동잠금장치 및 도어 잠금 해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217A KR100443635B1 (ko) 2001-10-23 2001-10-23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자동잠금장치 및 도어 잠금 해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413A KR20010104413A (ko) 2001-11-26
KR100443635B1 true KR100443635B1 (ko) 2004-08-16

Family

ID=4581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217A KR100443635B1 (ko) 2001-10-23 2001-10-23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자동잠금장치 및 도어 잠금 해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26B1 (ko) 2010-09-17 2011-02-23 최승환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해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586A (ko) * 2001-12-19 2003-06-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이용한도어잠금시스템 및 도어개방방법
KR100422377B1 (ko) * 2002-04-04 2004-03-11 주식회사 시큐베이 액정 바코드를 이용한 보안 및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3539B1 (ko) * 2005-06-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바코드 생성 방법
KR100878048B1 (ko) * 2007-04-09 2009-01-16 장경환 변동암호바코드가 저장된 휴대폰을 이용한 도어 개폐방법
KR100902302B1 (ko) * 2007-06-19 2009-06-10 (주)유비몰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잠금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83A (ja) * 1991-01-31 1993-02-19 Alpha:Kk バ−コ−ド式電子錠
US5298725A (en) * 1992-12-15 1994-03-29 Trw Inc. Bar code security system
JPH10102848A (ja) * 1996-10-02 1998-04-21 Sekisui Chem Co Ltd ドア開閉システム及び施錠システム
KR19980011883U (ko) * 1996-08-23 1998-05-25 배순훈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한 차량의 도어열림장치
KR19990009306A (ko) * 1997-07-09 1999-02-05 유경희 도어 록장치
JP2000226956A (ja) * 1999-02-05 2000-08-15 Aiphone Co Ltd 電気錠暗証解錠装置
JP2001262894A (ja) * 2000-03-16 2001-09-26 Nippon Denki Information Technology Kk ロッカーシステム
KR20020015278A (ko) * 2000-08-21 2002-02-27 김정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증서용 바코드 유통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83A (ja) * 1991-01-31 1993-02-19 Alpha:Kk バ−コ−ド式電子錠
US5298725A (en) * 1992-12-15 1994-03-29 Trw Inc. Bar code security system
KR19980011883U (ko) * 1996-08-23 1998-05-25 배순훈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한 차량의 도어열림장치
JPH10102848A (ja) * 1996-10-02 1998-04-21 Sekisui Chem Co Ltd ドア開閉システム及び施錠システム
KR19990009306A (ko) * 1997-07-09 1999-02-05 유경희 도어 록장치
JP2000226956A (ja) * 1999-02-05 2000-08-15 Aiphone Co Ltd 電気錠暗証解錠装置
JP2001262894A (ja) * 2000-03-16 2001-09-26 Nippon Denki Information Technology Kk ロッカーシステム
KR20020015278A (ko) * 2000-08-21 2002-02-27 김정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증서용 바코드 유통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26B1 (ko) 2010-09-17 2011-02-23 최승환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해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413A (ko) 200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56B1 (ko) 진입 제어 시스템 및 진입 제어 방법
US5337043A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mechanical keys which store data
ES2428004T3 (es) Sistema asegurado de gestión de cerraduras de control digital, adaptado a un funcionamiento mediante acreditaciones acústicas cifradas
KR100443635B1 (ko)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자동잠금장치 및 도어 잠금 해제방법
CA234704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door lock system
JP2002101322A (ja) 虹彩カメラモジュール
CN108961492B (zh) 一种指纹智能锁及控制方法
CN104652964A (zh) 一种智能rfid报警锁装置及其智能报警方法
KR101834181B1 (ko) 멀티 인증장치의 인증 스케쥴을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100265416B1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ES2104978T3 (es) Metodo y aparato para comprobar y obtener una autorizacion de acceso.
KR102268117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N105373743B (zh) 输入法进程的调用控制方法、调用控制系统和终端
JP2005208873A (ja) 照合装置
WO2015122221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受付装置及び認証方法
JP4521116B2 (ja) 個人識別装置
WO2009009316A1 (en) Method fo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ctivate a vehicle
CN111462364A (zh) 一种密码锁系统
RU47118U1 (ru) Локальн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в помещения на основе биометрическ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JPH04264659A (ja) Id判別装置
KR20190122460A (ko)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장치를 구비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RU48087U1 (ru) Биометрический домофон
KR200375380Y1 (ko) Lcd 모니터가 부착된 지문인식 도어락
KR200189342Y1 (ko) 지문인식 도어락
KR100707364B1 (ko) 광센서부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