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592B1 -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592B1
KR100443592B1 KR10-2001-0052541A KR20010052541A KR100443592B1 KR 100443592 B1 KR100443592 B1 KR 100443592B1 KR 20010052541 A KR20010052541 A KR 20010052541A KR 100443592 B1 KR100443592 B1 KR 10044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
tube
toothbrush
bristle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672A (ko
Inventor
윤기태
Original Assignee
윤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태 filed Critical 윤기태
Priority to KR10-2001-005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5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 A46B3/1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clamping into r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10), 헤드(20), 칫솔모(30)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동일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와 기초판(45)의 일체 구조를 사용하며,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동일한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를 사용하거나,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차등한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은 칫솔모의 탄성을 조절하여 세척 기능을 강화하면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Tooth brush having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모의 탄성을 조절하여 세척 기능을 강화하면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하루도 빠짐없이 대하는 칫솔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여 너무도 흔한 생활용품이지만 예로부터 오복의 하나로 인식되는 치아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도구임을 부정할 수 없다.
칫솔의 주요 구성인 손잡이, 헤드 및 칫솔모는 구강의 구조와 연계되어 세척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이중에서 칫솔모는 직접 치아 및 잇몸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유연하면서도 변형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와 소재의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 노약자 등 칫솔질이 서투른 사용자의 경우 아무리 고가의 칫솔을 사용하더라도 칫솔모가 외측으로 벌어져 금방 못쓰게 되고, 이를 적절한 때 교체하지 않기 때문에 제대로 세척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여 치아의 손상을 방치하는 폐단이 초래된다.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손잡이(10), 헤드(20), 칫솔모(30)로 구성되고, 상기 칫솔모(30)에서 치아에 접촉되는 선단부의 탄성을 증대하여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칫솔모의 보강 구조가 있으나,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칫솔모를 보강할 수 있는 방법이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칫솔모의 탄성을 조절하여 세척 기능을 강화하면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고안의 칫솔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변형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도 4의 튜브를 접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도 6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도 2 내지 도 7의 튜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변형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손잡이 20: 헤드
30: 칫솔모 40: 튜브
45, 70: 기초판 50: 연결대
60: 다공판 65: 지지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잡이(10), 헤드(20), 칫솔모(30)로 구성되고,상기 칫솔모(30)에서 치아에 접촉되는 선단부의 탄성을 증대하여 변형을 방지하도록 중단부 또는 하단부를 일정 단위로 감싸는 보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칫솔모의 보강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상기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동일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와 기초판(45)의 일체 구조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동일한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를 사용하거나,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차등한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상기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이격시키도록 격자 구조로 설치되는 다공판(60)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뻣뻣한 칫솔모(30)를 사용하여 치아와 잇몸을 상하게 할 우려가 컸으나, 본 발명의 구조를 택하면 양모와 같이 매우 부드러운 칫솔모(3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노약자, 어린이, 풍치 환자에 있어도 세척과 내구성의 기능이 탁월하게 발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10), 헤드(20), 칫솔모(30)로 구성되고, 상기 칫솔모(30)에서 치아에 접촉되는 선단부의 탄성을 증대하여 변형을 방지하도록 중단부 또는 하단부를 일정 단위로 감싸는 보강수단을 포함한다. 칫솔모(30)는 일정 수량씩 묶여진 단위체가 헤드(20)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구성으로서, 헤드(20)에 가까운 부분부터 하단부, 중단부, 선단부로 구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변형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동일한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를 사용한다. 튜브(40)는 칫솔모(30)의 단위체를 각각 동일한 높이(또는 길이)(ℓ)로 감싸면서 헤드(20) 상에 접합되어 칫솔모(30) 선단부의 탄성을 보강한다. 튜브(40)는 칫솔모(30)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칫솔모(30)와 탄성이 유사한 다른 소재를 사용한다. 튜브(40)의 탄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경우 높이(ℓ)를 칫솔모(30)의 중단부까지 연장하고, 반대로 탄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경우 높이(ℓ)를 칫솔모(30)의 하단부에 국한시킨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보강수단인 튜브(40)는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차등한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40)의 높이가 ℓ1, ℓ2, ℓ3의 순으로 일정하게 감소되고,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되도록 배열된다. 이는 칫솔모(30)의 높이가 다를 경우에 그에 대응하도록 적용하는 것이나, 칫솔모(30)의 높이가 같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칫솔모(30)가 다양한 탄성을 지니므로 특수한 용도로 적합하다.
튜브(40)의 높이(ℓ)가 높을수록 칫솔모(30)의 유연성을 감소시키므로 종전보다 더욱 부드러운 재질의 칫솔모(30)를 사용하더라도 단기간 사용 후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도 2 및 도 3의 구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헤드(20) 상에서 외측에 있는 2열(도시에서 최상단 및 최하단의 열)은 튜브(40)의 높이를 같게 하면서 나머지 내측의 열은 튜브(40)의 높이를 다르게 한다. 헤드(20)의 선단부에서 튜브(40)의 높이를 증가시키면 칫솔을 세워 어금니를 닦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튜브(40)는 헤드(20)에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외주면에 원형띠(40a)가 형성된다. 원형띠(40a)는 튜브(40)와 일체의 구성으로 사출 성형되고, 튜브(40)의 탄성력을 보강하면서 외관의 미감도 향상한다. 원형띠(40a) 대신 각형의 띠를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의 구성에서 튜브(40)의 높이를 도 3과 같이 차별화하는 구성도가능하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4의 튜브를 접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튜브(40)는 필요에 따라 내향 또는 외향되는 경사각(α)(β)을 유지한다. 헤드(20) 상에 튜브(40)를 접합함에 있어서, 도 4a는 직립되도록 배열한 상태이고, 도 4b는 일정한 경사각(α)으로 내향되도록 배열한 상태이고, 도 4c는 일정한 경사각(β)으로 외향되도록 배열한 상태이다. 내향 및 외향의 방향은 손잡이(10)와 헤드(20)를 연결하는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도 4a 내지 도 4 c에서 각각 우측에 도시되는 그림은 중심선 방향(칫솔의 길이 방향)에서 관찰한 측면도이다.
칫솔모(30)와 튜브(40)를 내향시키는 것은 칫솔모(3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반면에 칫솔모(30)와 튜브(40)를 외향시키는 것은 특별한 경우, 예컨대 칫솔모(30)의 전체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전동치솔에서 넓은 면적을 세척하거나 치석을 제거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5에서, 칫솔모(30)와 튜브(40)의 경사각(α)(β)을 형성하는 두 가지 방식이 제안된다. 도 5a처럼 튜브(40)의 하단에 경사면(40a)을 형성하여 헤드(20)의 삽입공(20a)에 접합하거나, 도 5b처럼 헤드(20)에 경사면을 지닌 삽입공(20a)을 형성하여 통상의 튜브(40)를 접합한다. 어느 경우에나 원형띠(40a)는 헤드(20)와 밀착되도록 동일한 경사각(α)(β)으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튜브(40)의 높이(ℓ1, ℓ2, ℓ3) 및 경사각(α)(β)은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과장하여 표현된 것일 뿐 실제로는 그 치수의 변동폭이 그다지 클 필요가 없다.
도 6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7은 도 6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이웃하는 튜브(40) 사이에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결합되는 연결대(5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4 및 도 5처럼 튜브(40)에 경사각(α)(β)을 주기 위한 대안으로서,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도 4a 내지 도 4c에 대응된다.
도 6에서, 연결대(50)는 튜브(40)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연결대(50)의 단면적 및 접합 위치는 소재가 허용하는 강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후 연결대(50)의 필요 길이를 산정하여 튜브(40)가 직립 또는 설정된 경사각(α)(β)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물론 연결대(50)는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튜브(40)에 억지끼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튜브(40)보다 경한 소재를 사용하여 가늘게 성형할 수 있지만 튜브(40)에 결합하는데 따른 제조 공수가 증가된다.
도 7a에서, 연결대(50)가 손잡이(10)와 헤드(20)를 연결하는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부호 C의 열은 연결대(50)가 이웃하는 튜브(40)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고, 부호 D의 열은 연결대(50)가 한 쌍의 튜브(40) 마다 불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대(50)가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7b에서, 연결대(50)가 이웃하는 3개의 튜브(40)와 삼각형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예시된다. 이는 일반 칫솔보다는 원형의 헤드를 지니는 전동 칫솔에서 적절한 형태이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7의 튜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튜브(40)는 내부 공간에 개재되는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40a)을 구비한다. 일정 수량씩 엮은 단위체의 칫솔모(30)와 튜브(40) 사이의 공간이 클수록 튜브(40)의 길이가 커서 높아질수록 그 내부 공간에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기 쉽다.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으므로 튜브(40) 상에 전체적으로 적절한 크기 및 갯수의 관통공(40a)을 형성한다. 특히 관통공(40a)의 크기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설계상의 중요한 요소인 바, 너무 작으면 물이 표면장력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너무 크면 튜브(40)의 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튜브(40)의 상단부는 라운드 처리하여 잇몸에 닿는 불쾌감이 완화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튜브(40)가 헤드(20)에 접합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나, 튜브(40)를 접합하지 않고 단순히 끼워두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튜브(40)를 칫솔모(30)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기 편리하므로 관통공(40a)의 크기와 수량을 줄이거나 아예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으로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튜브(40)의 부분단위 재질을 연질과 경질로 혼합형성함으로써 탄성력이 배가 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튜브(40)가 복수의 칫솔모(30), 즉 단위체를 수용하는 대신 하나의 칫솔모(30)를 수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이격시키도록 격자 구조로 설치되는 다공판(60)을 사용한다. 다공판(60)은 칫솔모(30) 단위체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60a) 주변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제거하여 격자형의 벌집 형태로 성형한다. 관통공(40a)은 칫솔모(30) 단위체를 적절하게 조이는 크기로 하여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칫솔의 사용 초기에는 다공판(60)을 헤드(20) 가까이 내려 사용하다가 차츰 위로 올려 칫솔모(30)의 상단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다공판(60)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튜브(40)처럼 경사각(α)(β)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튜브(40)와 달리 물이나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는 것은 유리한 점으로 작용한다.
도 10은 도 9의 변형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상태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의 다공판(60)이 기초판(70)과 지지대(65)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기초판(70)은 다공판(60)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공(70a)을 구비한다. 지지대(65)는 2개소 또는 4개소 정도에서 동일한 높이로 다공판(60)과 기초판(70)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기초판(70)을 헤드(20)에 접합한 다음 칫솔모(30)를 접합하면 제품이 완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어린이가 장난삼아 다공판(60)을 빼는 경우에 대비하여 별도의 지지대(65)를 부가함에 따라 다공판(6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칫솔모(30)의 좌우 휨과 상하 구부러짐이 원활하여 쿠션을 지닌 칫솔질이 가능하고, 즉시 탄성 복원되어 변형이 방지되므로 칫솔의 구입시기가 길어져 경제적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은 칫솔모의 탄성을 조절하여 세척 기능을 강화하면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손잡이(10), 헤드(20), 칫솔모(30)로 구성되고 칫솔모(30)에서 치아에 접촉되는 선단부의 탄성을 증대하여 변형을 방지하도록 중단부 또는 하단부를 일정 단위로 감싸는 보강수단을 포함하는 되는 칫솔모의 보강 구조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동일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와 기초판(45)의 일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동일한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차등한 높이로 감싸도록 헤드(20)에 부착되는 튜브(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40)는 내향 또는 외향되는 경사각(α)(β)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튜브(40) 사이에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결합되는 연결대(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6. 제 2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40)는 헤드(20)에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형띠(40a)와, 내부 공간에 개재되는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40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칫솔모(30)를 일정 수량씩 이격시키도록 격자 구조로 설치되는 다공판(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60)은 지지대(65)를 개재하여 헤드(20)에 부착되는 기초판(7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9. 삭제
KR10-2001-0052541A 2001-08-29 2001-08-29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KR10044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41A KR100443592B1 (ko) 2001-08-29 2001-08-29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41A KR100443592B1 (ko) 2001-08-29 2001-08-29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88U Division KR200256451Y1 (ko) 2001-08-29 2001-08-29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672A KR20030019672A (ko) 2003-03-07
KR100443592B1 true KR100443592B1 (ko) 2004-08-11

Family

ID=2772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541A KR100443592B1 (ko) 2001-08-29 2001-08-29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076A (ko) * 2009-06-11 2010-12-21 최석림 봉모형 위생칫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654U (ja) * 1992-11-13 1994-05-2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654U (ja) * 1992-11-13 1994-05-2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672A (ko) 200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2786B2 (en) Toothbrush comprising a resilient flex region
TWI514976B (zh) 口腔保健用具
US6886207B1 (en) Toothbrush
KR100397825B1 (ko) 칫솔
AU714961B2 (en) Toothbrush
US8763194B2 (en) Oral care implement
RU2488330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US5419001A (en) Toothbrush
CA2810609A1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a flexible elastomeric tooth scrubbing element
AU4068202A (en) A toothbrush with individually embedded bristles
WO2008103598A1 (en) Oral care implement
CN204812617U (zh) 牙刷
US20030088932A1 (en) Toothbrush
AU778911B2 (en) A toothbrush with individually embedded bristles
KR100443592B1 (ko)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KR200256451Y1 (ko) 칫솔모 보강 구조의 칫솔
MXPA05001988A (es) Cepillo de dientes.
KR100592089B1 (ko) 칫솔헤드
JP3138318U (ja) 歯ブラシ
JP2003088425A (ja) 歯間ブラシ
KR101741444B1 (ko) 칫솔 헤드
AU726803B3 (en) Toothbrush
JP2003093158A (ja) 口腔内衛生用具
AU743341B2 (en) Toothbrush
WO2010114357A1 (en) Toothbrush with bristles in an isosceles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