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943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943B1
KR100442943B1 KR10-2001-0069082A KR20010069082A KR100442943B1 KR 100442943 B1 KR100442943 B1 KR 100442943B1 KR 20010069082 A KR20010069082 A KR 20010069082A KR 100442943 B1 KR100442943 B1 KR 10044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parated
output
right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895A (ko
Inventor
신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9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04M1/215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by non-intrusive coupling means, e.g. acoustic couplers
    • H04M1/2155Acoustic coup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좌우 채널이 분리되는 스테레오 방식으로 출력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음성 출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단말기 내부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 방식으로 출력됨으로써 원하는 양질의 스테레오 출력음을 들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출력될 음성신호가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전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잭에 접속되어 좌우 채널로 분리된 음성 신호를 전달받는 접속 플러그와, 접속 플러그를 통해 전달된 좌우 채널로 분리된 음성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과, 제1 및 제 2 스피커 유닛이 내장 형성된 제1 및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회동시켜 임의의 각도로 개폐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A speaker apparatus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되면서 단말기에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스테레오 방식의 음성 신호로 출력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무선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등의 기존 텍스트(글자) 데이터 송수신에서 VOD(Video On Demand)방식의 영화, 드라마, 비디오 광고 서비스, 비디오 메일 서비스, 멀티미디어 교육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동화상과 음성 신호를 압축-부호화하는 엠팩(MPEG)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다시 동화상과 음성 신호로 재생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 재생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선보이고 있다.
그 외 음성 신호를 압축-부호화하는 엠피3(MPEG layer 3; MP3)방식 또는 미디(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MIDI)방식을 이용하여 변환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재생할 수 있는 MP3 또는 MIDI 재생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선보이고 있다.
따라서, 전송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변환된 동화상은 단말기의 액정 표시화면(LCD)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의해 변환된 음성신호는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들려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의해 변환된 동화상 및 음성신호의 재생이 가능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엠팩 방식 또는 엠피3방식 및 미디방식으로 압축-부호화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좌우 채널이 분리된 스테레오(stereo)방식이지만,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는 단말기가 음성 통화 모드 상태인 경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한 개가 단말기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스테레오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모노(mono)방식으로 출력될 수밖에 없어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양질의 스테레오 출력음을 들을 수 없게 되고, 아울러 앞으로 지속적으로 발전될 멀티 미디어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에 두 개의 스피커를 내장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스테레오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도 있으나, 두 개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경우 그 만큼 단말기의 부피가 커져 경박 단소화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는 단말기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스피커의 음성 출력이 한 방향으로만 제한되어 사용자의 청취에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좌우 채널이 분리되는 스테레오 방식으로 출력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음성 출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출력될 음성신호가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전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잭에 접속되어 좌우 채널로 분리된 음성 신호를 전달받는 접속 플러그와, 접속 플러그를 통해 전달된 좌우 채널로 분리된 음성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과, 제1 및 제 2 스피커 유닛이 내장 형성된 제1 및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회동시켜 임의의 각도로 개폐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를 구성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가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잭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접속 잭 12 : 접속 플러그
14 : 스피커 유닛 16 : 패널
18 : 힌지 20 : 단말기 본체
22 : 음성 처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 는 평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접속 잭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장치는 단말기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 외부에 외장되는 것으로 출력될 음성신호가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전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잭(10)에 접속되어 좌우 채널로 분리된 음성 신호를 전달받는 접속 플러그(12)와, 접속 플러그를 통해 전달된 좌우 채널로 분리된 음성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14a,14b)과, 제1 및 제 2 스피커 유닛이 내장 형성된 제1 및 제2 패널(16a,16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 잭(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 내부에 접지핀, 우 채널 신호핀(R)및 좌 채널 신호핀(L)이 형성되고, 우 채널 신호핀과 좌 채널 신호핀은 각각 엠피3(MP3)방식 또는 미디(MIDI)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좌우 채널 신호를 분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부(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접속 잭(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부(22)에서 처리된 좌우 채널 신호가 분리되어 전달된다.
접속 플러그(12)는 접속 잭(10)에 삽입 및 탈착되면서 접지핀, 좌우 채널 신호핀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절연도체(I.S.)를 통해 접지단자, 좌 채널단자(L1) 및 우 채널단자(R1)가 각각 접지핀, 좌우 채널 신호핀(L,R)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우 채널단자(R1)는 제1 스피커 유닛(14a)과 접속되고, 좌 채널단자(L1)는 제2 스피커 유닛(14b)과 접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접속 플러그(12)가 접속 잭(10)에 삽입되면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14a,14b)으로 각각 우 채널 신호와 좌 채널 신호가 전달된다.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14a,14b)은 접속 플러그(12)의 좌우 채널 단자(L1,R1)에서 전달되는 좌우 채널 신호에 따라 각각 좌우 출력음을 발생시킨다.
제1 및 제2 패널(16a,16b)은 힌지(18)에 의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패널과 패널 사이의 개폐 각도(θ)가 조절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스피커 장치는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잭(10)에 삽입되어 엠피3(MP3)방식 또는 미디(MIDI)방식의 디지털오디오 데이터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접속 잭(10)에 접속 플러그(12)가 삽입되면 접속 잭의 각 핀들과 접속 플러그의 각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고, 음성 신호 처리부에서 좌우 채널 신호가 분리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14a,14b)으로 각각 분리 전달되고,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을 통해 좌우 채널이 분리된 스테레오 방식의 출력음을 입체적으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스피커 장치는 접속 잭(10)에 접속 플러그(12)가 삽입된 구조이므로 제1 및 제2 패널(16a,16b)을 360°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좌우 채널신호가 분리된 스테레오 방식의 출력음을 단말기가 놓여진 위치에 관계없이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제1 및 제2 패널(16a,16b)은 힌지(18)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므로, 단말기 사용자가 제1 및 제2 패널의 개폐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테레오 방식의 출력음의 입체도를 단말기 사용자가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잭에 삽탈되면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전방향으로 출력시킴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양질의 스테레오 방식 출력음을 들을 수 있게 되고, 앞으로 지속적으로 발전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 미디어 환경 하에서 효율적인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해 단말기에 두 개의 스피커를 내장할 필요가 없어 단말기의 부피를 축소시킴과 동시에 스테레오 방식의 출력음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360° 전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출력음을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출력시킬 수 있어 방향의 제약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의 청취에 불편함을 해소하게 된다.

Claims (2)

  1. 삭제
  2. 출력될 음성신호가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전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잭에 접속되어 좌우 채널로 분리된 상기 음성 신호를 전달받는 접속 플러그와;
    상기 접속 플러그를 통해 전달된 좌우 채널로 분리된 상기 음성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 2 스피커 유닛이 내장 형성된 제1 및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회동시켜 임의의 각도로 개폐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KR10-2001-0069082A 2001-11-07 2001-11-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KR10044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082A KR100442943B1 (ko) 2001-11-07 2001-11-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082A KR100442943B1 (ko) 2001-11-07 2001-11-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895A KR20030038895A (ko) 2003-05-17
KR100442943B1 true KR100442943B1 (ko) 2004-08-04

Family

ID=2956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082A KR100442943B1 (ko) 2001-11-07 2001-11-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76B1 (ko) 2006-03-02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출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121A (ko) * 2004-03-12 2005-01-31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휴대전화용 외장형 스피커
WO2006011694A1 (en) * 2004-07-28 2006-02-02 Sambu Communics Co., Ltd. External speaker of a mobile phone for preventing incorrect operation of a mobile phone caused by leakage magnetic field
KR101065334B1 (ko) * 2004-12-15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KR100878110B1 (ko) * 2007-08-08 2009-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지향성 스피커 장치
KR200467319Y1 (ko) * 2013-02-20 2013-06-05 강세원 휴대 단말기용 스피커
KR200468981Y1 (ko) * 2013-02-27 2013-09-10 강세원 휴대 단말기용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608Y1 (ko) * 2000-01-06 2000-06-01 주식회사알모노 휴대전화용 핸드프리 장치
WO2001019060A1 (en) * 1999-09-03 2001-03-15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peaker dependent audio adjustment
KR200247574Y1 (ko) * 2001-06-14 2001-10-29 남융희 휴대폰 단말기에 악서세리로 부착하는 스피커 폰
KR20020078921A (ko) * 2001-04-11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에서의 스테레오 사운드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9060A1 (en) * 1999-09-03 2001-03-15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peaker dependent audio adjustment
KR200184608Y1 (ko) * 2000-01-06 2000-06-01 주식회사알모노 휴대전화용 핸드프리 장치
KR20020078921A (ko) * 2001-04-11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에서의 스테레오 사운드 재생 장치
KR200247574Y1 (ko) * 2001-06-14 2001-10-29 남융희 휴대폰 단말기에 악서세리로 부착하는 스피커 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76B1 (ko) 2006-03-02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895A (ko) 200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4194A1 (en) Cellular phone terminal
US8718295B2 (en) Headset assembly with recording function for communication
US20120114154A1 (en) Using accelerometers for left right detection of headset earpieces
US2002006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ource device and content delivery via wireless connection
US20130101150A1 (en) Speaker Device For Mobile Terminal
Kim et al. A review of assistive listening device and digital wireless technology for hearing instruments
EP2410762B1 (en) Headphone
US20100166237A1 (en) Single earphone for stereo and monaural audio devices
KR100681289B1 (ko) 정보 단말 장치
KR1004429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KR10065152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7033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fm 송신용 안테나 장치
KR100688198B1 (ko)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 및 입체음향 재생방법
KR20010059527A (ko) 휴대폰의 이어 마이크
JP2002101171A (ja) 無線情報端末機
JP3144831U (ja) ステレオ出力可能なワイヤレス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3303409B2 (ja) 携帯無線式tv電話
KR200396238Y1 (ko) 4 채널 스테레오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EP1274274A1 (en) Headphone having several speakers
KR20070012146A (ko) 스피커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9990046770A (ko) 송,수화기능을갖는핸드폰용이어폰
KR100597483B1 (ko) 다수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서라운드 음향 구현 방법
KR2004003520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테레오 음 출력장치
KR20050020453A (ko) 스피커 장,탈착식 이동통신단말기
JPH066285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