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334B1 -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334B1
KR101065334B1 KR1020040106019A KR20040106019A KR101065334B1 KR 101065334 B1 KR101065334 B1 KR 101065334B1 KR 1020040106019 A KR1020040106019 A KR 1020040106019A KR 20040106019 A KR20040106019 A KR 20040106019A KR 101065334 B1 KR101065334 B1 KR 10106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eaker
speaker module
modul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081A (ko
Inventor
박철웅
황정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3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걸이끈에 의해 단말기 적소에 체결시켜 상기 단말기와 동반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장치와, 상기 로킹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단말기에 접속시켜 외장형 스피커 장치로 사용하는 스피커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용 악세사리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었을 시, 자동으로 내장형 스피커 모듈에서 외장형 스피커 모듈로 스위칭하는 과정 및 상기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을 다단계로 증폭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큰 레벨의 볼륨이 갑작스럽게 방출됨으로써 발생하던 사용자의 불쾌감이나 고막의 파열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악세사리, 외장형, 내장형, 스피커 모듈, 스위칭 장치, 컨넥터

Description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ING SPEAKER LEVEL IN ATTACHABLE SPEAKER MODULE}
도 1은 악세사리 겸용 외장형 스피커 모듈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로킹 장치에서 분리된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가 적용되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외장형 스피커 모듈 겸용 악세사리(accessor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었을 경우 스피커 레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 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개인별로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단말기 제조업자들을 좀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반면, 좀더 경박 단소화시켜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단말기에 꼭 구성되어야 할 필수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로폰 장치등, 의 제기능을 수행하면서 단말기의 부피를 좀더 적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단말기와 별도로 사용되는 다양한 착탈식 외장형 스피커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외장형 스피커 장치는 핸즈프리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근래들어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중 VOD, MP3기능에 부합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악세사리 겸용 외장형 스피커 모듈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드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부에는 스피커 장치를 갖는 이어 피스(123)가 설치되며, 그 하측으로 다수의 키버튼(122)이 설치될 것이다. 상기 키 버튼(122)은 바람직하게는 네비게이션 키 버튼일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110)의 적소에는 소정의 안테나 장치(124)가 돌출 설치된다. 그러나 돌출된 안테나 장치 없이 내장형 안테나 장치가 적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메인 바디(110)의 슬라이드 바디(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이는 면상에는 역 시 다수의 키버튼 어셈블리(111)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버튼 어셈블리(111)는 3×4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버튼 어셈블리(111)의 하측에는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 장치(112)가 설치된다.
그후, 악세사리(10)가 상기 단말기(100)에 소정의 걸이끈(39)에 의해 체결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악세사리를 취부할 수 있는 걸이부(미도시 됨)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걸이부에는 일정 길이의 걸이끈을 체결하고, 상기 걸이끈의 단부에 소정의 악세사리를 고정시킴으로써 단말기와 악세사리를 함께 휴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도면에서는 피라미드 형태의 악세사리(10)가 걸이끈(39)에 의해 체결되어 단말기(100)와 함께 휴대하도록 하였다. 상기 악세사리(10)는 상부의 버튼(33)을 누르게 되면, 하측이 분리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악세사리(10)의 상부에서 분리된 하부는 스피커 모듈(20)로 구성시켜, 단말기(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이어잭 홀(도 2의 115)에 삽입시켜 외장형 스피커 장치로써 사용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악세사리(10)의 상부는 로킹 장치(30)로써 작용할 것이고, 상부에서 분리된 하부는 스피커 모듈(20)로써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스피커 모듈(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로킹 장치(30)에 로킹시켜 악세사리(10)로써 단말기(100)와 함께 휴대할 것이다. 그러나 경우 따라서, 외장형 스피커 장치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로킹 장치(30)의 외부에 대향되도록 돌출된 버튼(33)을 상호 안쪽을 가압하여 하측의 스피커 모듈(20)을 분리시켜 외장형 스피커 장치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상기 분리된 스피커 모듈(20)의 로킹 장치(30)와 접촉하는 접촉면상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된 컨넥터(25)를 갖는데, 상기 컨넥터(25)를 상기 단말기(100)의 일측에 구성되는 이어잭 홀(115)에 삽입하여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기(100)의 일측에 구성되는 이어잭 홀(115)은 평상시에 소정의 커버(113)에 의해 커버링되고 있으며 필요시 일측을 개방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컨넥터(25)는 10핀 컨넥터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모듈을 단말기에 장착하게 되면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모드 전환이나, 또는 자동으로 외장형 스피커가 동작하도록 구성되는데, 모드전환 시점에서 외장형 스피커로 갑자기 큰 송출음이 방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를 놀라게 하는 등 불쾌감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기존의 단말기에 내장되는 스피커 폰 역시 통화 도중에 잘못된 버튼 조작에 의해 외부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고막이 상하는등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장착되는 스피커 모듈이 동작될 때 단계적으로 스피커 레벨을 증가시켜 사용자를 놀라게 하거나 불쾌감이 유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의 걸이끈에 의해 단말기 적소에 체결시켜 상기 단말기와 동반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장치와, 상기 로킹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단말기에 접속시켜 외장형 스피커 장치로 사용하는 스피커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용 악세사리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었을 시, 자동으로 내장형 스피커 모듈에서 외장형 스피커 모듈로 스위칭하는 과정 및 상기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을 다단계로 증폭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단말기 및 스피커 모듈을 갖는 악세사리의 구성은 상술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가 적용되는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써,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301)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 모듈(20)이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코덱(307)을 통해 제어되는 단말기 내장형 스피커 모듈(123)과 외장형 스피커 모듈(20)간의 전환을 위하여 제공되는 스위칭 장치(308)를 제어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1)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20)이 장착되지 않을 경우, 단말기(10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 모듈(123)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 어할 것이다.
메모리(302)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단축 다이얼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이이피롬(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key pad)(303)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1)로 제공한다.
표시부(304)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203)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301)는 이어잭 홀(115)에 접속되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20)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외장형 스피커 장치로써 동작함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301)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307)과, 상기 코덱 (307)에 접속된 마이크 장치(112) 및 내장형 스피커 모듈(123)은 전화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307)은 상기 제어부(301)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내장형 스피커 모듈(123) 또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20)을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2)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301)로 제공한다.
또한,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305)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모뎀부(306)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부(306)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모뎀부(306)는 상기 RF모듈(305)과 상기 제어부(301)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로써, 단말기 제어부는 우선 외장형 스피커 모듈이 접속되었는지 검사하는 401 단계를 수행한다. 401 단계에서 외장형 스피커 모듈이 접속되었음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단말기 내부의 스위칭 장치를 구동시켜 내장형 스피커 모듈에서 외장형 스피커 모듈로 전환시키는 403 단계를 수행한다. 그후, 외장형 스피커 모듈에서 방출되는 스피커 음의 레벨을 점진적으로 크게 방출시킬 수 있다. 이는 공지의 코덱 내부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401 단계에서 외장형 스피커 모듈이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는 단말기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형 스피 커 모듈을 동작시킬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역시 내장형 스피커 모듈의 볼륨 레벨을 다단계로 증폭시키는 407 단계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외장형 스피커 모듈(20)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은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형 스피커 모듈(123)에 함께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 모듈(123)은 이어 피스 전용 스피커 모듈이거나, 단말기에 내장되는 스피커 폰 전용 스피커 모듈일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사용되는 내장형 스피커 모듈 또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볼륨을 최초 통화시부터 점진적으로 증폭시키도록 구현되어, 큰 레벨의 볼륨이 갑작스럽게 방출됨으로써 발생하던 사용자의 불쾌감이나 고막의 파열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걸이끈에 의해 단말기에 체결시켜 상기 단말기와 동반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장치와, 상기 로킹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단말기에 접속시켜 외장형 스피커 장치로 사용하는 스피커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용 악세사리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장착되었을 시, 자동으로 내장형 스피커 모듈에서 외장형 스피커 모듈로 스위칭하는 과정; 및
    상기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을 다단계로 점진적으로 증폭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스피커 모듈이 단말기에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을 다단계로 증폭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스피커 모듈은 단말기에 내장되는 이어 피스용 스피커 모듈 또는 스피커 폰 기능을 하는 스피커 모듈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KR1020040106019A 2004-12-15 2004-12-15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KR10106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019A KR101065334B1 (ko) 2004-12-15 2004-12-15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019A KR101065334B1 (ko) 2004-12-15 2004-12-15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081A KR20060068081A (ko) 2006-06-21
KR101065334B1 true KR101065334B1 (ko) 2011-09-16

Family

ID=3716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019A KR101065334B1 (ko) 2004-12-15 2004-12-15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3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73U (ko) * 1999-03-13 2000-10-16 이정훈 액세서리 핸드폰용 이어폰
KR20030038895A (ko) * 2001-11-07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73U (ko) * 1999-03-13 2000-10-16 이정훈 액세서리 핸드폰용 이어폰
KR20030038895A (ko) * 2001-11-07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스피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081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1925B1 (en) Video telephone device having automatic sound level setting along with operation mode switching
JP3508776B2 (ja) 送受信機
US6434407B1 (en) Speakerphone feature for a wireless handset
KR100422475B1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735217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 장치
KR101065334B1 (ko)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레벨 제어 방법
JP4269020B2 (ja) 携帯通信端末機
KR200218536Y1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100630047B1 (ko)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KR100669613B1 (ko) 이어폰에 의한 전화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745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594017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잠금기능 구현방법
KR100306487B1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606092B1 (ko)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9734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송수신기를 장착한 헬멧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KR20010011056A (ko) 원격 키패드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화기
KR200191017Y1 (ko) 무선 이어폰을 갖는 이동 통신 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258282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00567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전환방법
KR1004969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조절 방법
KR200258284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운전대 부착장치
KR200258286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