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773B1 -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773B1
KR100442773B1 KR10-2001-0016618A KR20010016618A KR100442773B1 KR 100442773 B1 KR100442773 B1 KR 100442773B1 KR 20010016618 A KR20010016618 A KR 20010016618A KR 100442773 B1 KR100442773 B1 KR 100442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chemical
water
desalination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629A (ko
Inventor
김동국
김종휘
임장순
김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1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773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 축전 또는 흡착방식의 담수화시스템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비표면적과 전도도, 이온흡착 용량을 갖는 다공성 전극판을 이용하여 해수(sea water) 및 간수(brackish water) 또는 산업폐수(waste water)로부터 이온성 불순물을 전기화학적으로 제거하여 담수(fresh water)화하는 장치와 이를 단순방전 또는 초음파와 같은 전자기파로 재생하는 새로운 수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 방법 및 장치는 전도성고무나 금속 폼(foam)집전체와 값싼 활성탄소 분말(Activated Carbon Powder)이나 전도성 고분자 또는 금속산화물의 복합물질을 전극소재로 사용하고, 방전 또는 역전위 차에 의한 재생방법만을 사용함에 따른 낮은 재생효율을 개선하고자 초음파 또는 라디오파와 같은 전자기파를 부가적으로 사용하여 비이온성불순물을 재거하도록 하여 그 재생효율을 높이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방법 및 장치{Desalination System and Regeneration Method by Electrosorption}
본 발명은 전기화학 축전 또는 흡착방식의 담수화시스템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비표면적과 전도도, 이온흡착 용량을 갖는 다공성 전극판을 이용하여 해수(sea water) 및 간수(brackish water) 또는 산업폐수(waste water)로부터 이온성 불순물을 전기화학적으로 제거하여 담수(fresh water)화하는 장치와 이를 단순방전 또는 초음파와 같은 전자기파로 재생하는 새로운 수처리 기술에 관한 내용이다.
최근 수질환경 오염과 물 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과거 대형 선박에서 사용되었던 해수담수화를 포함한 다양한 수처리 기술들의 응용 및 조합시스템, 이의 고효율화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수처리기술은 크게 증발증류나 역삼투막 분리와 같은 물리적 처리방법, 생물분해 또는 화학적 산화 및 침전과 같은 생·화학적 처리방법, 전기투석 또는 이온교환 등과 같은 전기화학적 처리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수처리기술의 하나이다.
현재 상업적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는 담수화 기술로 증발법과 막분리법, 그리고 이온교환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증발법은 원리 및 장치가 단순하고 고순도의 담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에너지비용이 너무 높고, 막분리법은 에너지소비량은 낮지만 전처리시설등 장치가 복잡하고 주기적인 약품처리 및 세척, 필터 및막의 교환 등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과 동일 분야로 지하수 및 수돗물의 정수처리와 화력 또는 핵발전소의 보일러 용수처리를 위한 연수설비, 그리고 반도체공정의 초순수 제조에 이용되는 이온교환법의 경우 이온교환 수지(resin)막의 재생시 발생하는 과잉NaCl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탈염장치와 막의 제한된 수명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막의 재생시 사용되는 H2SO4나 HNO3와 같은 산 세정 및 NaOH 등의 염 세정에 의해 2차 오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전기화학 방식의 탈이온화 장치 및 전극재생에 관한 미국특허(No. 5,425,858, 1995)로 일명 CDI공정이 있는데, 이는 레졸사이놀(resorcinol)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의 졸-겔(sol-gel)중합에 의해 만들어진 단일체(monolith)형태의 탄소 에어로겔 복합물질(Carbon Aerogel Composite, CAC) 전극소재를 이용한 방식으로 전기전도성은 높아 여러 이점은 있으나 복잡한 전극소재 제조과정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비표면적(400-1000m2/g)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단순히 방전 또는 역전위 차에 의한 재생방법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생효율이 40-60%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값비싼 CAC전극과 낮은 재생효율 때문에 상업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CAC전극을 집전체인 Ti판에 전도성 에폭시(epoxy)로 붙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시 침식에 의한 전극의 박리 가능성이 높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된 것인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화학적 수단에 의하여 해수의 담수화 및 오폐수를 정화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기술인 전기화학 방식의 탈이온화 장치 및 전극재생법 또는 선행기술인 미국특허번호 제5,425,858, 1995호의 문제점인 CAC 전극의 고비용에 따른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도성고무나 금속 폼(foam)집전체와 값싼 활성탄소 분말(Activated Carbon Powder)이나 전도성 고분자 또는 금속산화물의 복합물질을 전극소재로 사용하고, 방전 또는 역전위 차에 의한 재생방법만을 사용함에 따른 낮은 재생효율을 개선하고자 초음파 또는 라디오파와 같은 전자기파를 부가적으로 사용하여 비이온성불순물을 재거하도록 하여 그 재생효율을 높이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전기흡착 또는 축전방식에 의한 담수화원리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위전극셀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위모듈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양극 2 : 음극
3, 3' : 분리막 4 : 절연가스켓
C : 전극셀
C2,C2' : 금속 또는 전도성 고무폼 형태의 집전체
C1, C1' : ACP시트
40 : 모듈Ⅰ 50 : 모듈Ⅱ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CAC에 비해 상대적으로 값싸고 높은 비표면적(2000-3000m2/g)의 활성탄소 분말(이하 ACP라 칭함)을 이용하기 위하여 미국특허번호 제5,425,858호의 전도성 에폭시(epoxy)접착법 대신에 본 연구소에서 현재 전기화학 캐패시터(capacitor)용 전극으로 국내 특허출원중인 니켈폼(Ni foam) 또는 Al, Ti과 같은 금속폼(metal foam)이나 전도성 고무폼(conducting rubber foam) 집전체에ACP를 고정화시킨 전극시트(국내특허출원번호 10-2000-0034947)과 미세공 섬유 또는 다공성 고분자막을 사용함으로써 전극 내부저항과 미세 분말입자의 흐름 내 비말손실에 의한 전극성능 저하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재생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기적 방전이나 역전위 차에 의한 재생방법에 외에 초음파 또는 전자기파에 의한 주기적인 세척과 단위 셀(cell)의 동시 배출제어시스템이 추가되었다. 특히 처리 대상물질에 따라서는 전극판의 흡착용량 또는 축전용량을 높이기 위해 고비표면적의 ACP와 함께 유사(類似) 캐패시터(Pseudo-capacitor)특성의 전도성 고분자 또는 RuO2, NiO와 같은 금속산화물(MOx)의 복합물질(composite)이 검토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CP를 사용한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국내특허출원번호 10-2000-0034947의 전기화학 캐패시터(capacitor)인데, 질소흡착 BET비표면적이 약 3,000㎡/g이고, 평균 입자크기가 약 1∼30㎛, 평균세공 크기가 10∼50Å인 ACP를 유기바인더가 녹아있는 용액과 장시간 교반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들어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ACP시트(C1, C1')을 만들고, 넓이가 150cm2이상, 두께가 약 1∼3 mm이며, 단위면적당 무게가 200∼ g/m2인 금속 또는 전도성 고무폼 형태의 집전체(C2,C2')에 상기 ACP시트(C1, C1')을 고압 프레스로 압착한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시트(1, 2)를 제조한다. 압착과정을 통해 다공성 ACP알갱이가 금속 또는 전도성 고무폼의 빈 공간으로 들어가 집전체인 폼형태의 금속 또는 전도성 고무와 물리적으로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접촉면적이 커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공성 ACP알갱이가 고정화된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시트(1, 2)들을 적정온도에서 휘발건조 또는 소성시킨 후 도 2와 같이 미세공 섬유 또는 고분자막(3, 3')으로 덮고, 그 사이에 전해질의 이동통로가 확보된 얕은 절연가스켓(4)을 넣어 공간적으로 분리된 양극시트(1)와 음극시트(2)의 구조를 갖도록 단위 전극셀(C)을 제조한다. 이러한 단위 전극셀(C)의 다수를 도 3과 같이 전해질의 이동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적층함으로써 해수 및 폐수처리 용량에 적합한 단위모듈(module)을 만들고, 이러한 단위모듈 2개를 기본유닛(unit)으로 하여 전기흡착식 담수화시스템이 구성된다.
상기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1, 2)의 집전체(C2,C2') 재료는 보통 니켈(Ni), 알루미늄(Al), 티타늄(Ti)등 금속폼이나 전도성 고무폼을 이용하며, 여기에 ACP시트(C1, C1')을 고정화 시킨 양극시트(1) 및 음극시트(2)는 고비표면적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져 전해질 중의 이온성 불순물의 흡착·제거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미세공 섬유나 고분자막으로 구성되는 분리막(3, 3')은 비이온성 불순물의 분리와 이온의 선택적 투과기능을 가지며, 두 전극시트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가스켓(4)은 두 전극시트의 절연기능과 함께 두 전극간에 일전 간극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압력손실이 최소화된 유로를 확보하게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셀(C)에서의 이온성 불순물의 제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전기이중층(EDL) 캐패시터 특성을 갖는 고비표면적의 다공성 ACP시트나 유사 캐패시터의 특성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 및 금속산화물, 또는 이들의 복합물질을 전극소재로 하는 음극과 양극의 두 전극판(1, 2) 사이를 다양한 음이온과 양이온을 갖는 전해질(해수 또는 폐수)이 통과할 때 도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두 전극시트에 인가된 약 0.6∼1.2V의 전위차에 의해 이온성 불순물들 즉 비산화/환원성 유기 또는 무기성 음이온 및 양이온 즉, OH-, Cl-, F-, HCO3 -등과 Li+, Na+, K+등의 제거 뿐 만 아니라 환원성 양이온 즉, Cu2+, Fe2+, Pb2+, Cd2+등이 전해질로부터 분리되어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두 전극(1, 2)의 ACP시트(C1, C1')층을 형성하는 미세공 표면에 전기이중층(EDL)으로 이온흡착되거나 산화환원(Redox) 반응에 의해 축전(charge)됨으로써 전해질 흐름 중의 이온성 불순물의 농도가 점점 낮아지면서 해수나 폐수의 담수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이온성 불순물로 포화된 두 전극(1, 2)의 ACP시트(C1, C1')층은 전기장을 단순히 제거하거나 -0.6∼-1.2V의 역전위 차에 의해 두 전극(1, 2)의 ACP시트(C1, C1')층의 미세공 표면에 포화흡착된 이온들이 탈착되어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 흐름 내로 다시 이동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거동으로 물 이외의 전도성 용매인 해수나 폐수로부터 유기/무기이온 또는 쌍극자물질들도 동시에 분리·제거된다.
이와 같은 단순한 이온흡착(charge)과 탈착재생(discharge)이 장시간 반복될 경우 전해질(해수 또는 폐수) 중의 미생물 또는 용존 미세입자와 같은 비이온성 불순물의 고착에 의해 두 전극(1, 2)의 ACP시트(C1, C1')층의 이온 축전용량 감소하게 되는데, 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초음파나 라디오파와 같은 전자기파에 의해 주기적인 재생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온흡착 분리기술은 기존의 역삼투압(RO: Reverse Osmosis)방법이나 이온교환 방법, 또는 분자흡착 방법에 비해 운전 및 에너지비용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공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앞서 설명한 고비표면적의 다공성 ACP시트 또는 이의 복합물질(composite)을 니켈폼(Ni-foam), 알루미늄폼(Al-foam) 또는 티타늄폼(Ti-foam) 등 금속폼이나 전도성 고무foam집전체에 고정화시키고(한국특허 출원번호 10-2000-0034947), 절연층을 사이에 둔 두 전극판을 기본으로 하는 단위셀(C)을 나타낸다. 도 3은 이러한 단위셀 n개를 유로가 확보된 등간격의 교대식(zigzag) 적층 배치구조를 갖는 단위모듈(module)(40 또는 50)로 요구되는 담수량 또는 폐수처리량에 따라 n은 약 50∼1,000개 정도의 단위셀(C)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이러한 단위모듈 2개 즉 모듈Ⅰ(40)과 모듈Ⅱ(50)을 기본 유니트로 구성되는 담수화시스템으로 불순물의 이온흡착과 재생탈착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속공정화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속적인 담수화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취수된 해수 및 간수 또는 폐수가 여과펌프(10)에 의해 급속여과기(20)에 의해 녹조류 혹은 부유물질(SS) 등이 제거된 후, 사방절환밸브(4-way valve)(30)을 통하여 직류전원공급 및 제어기(DC power supply/controller)(60)에 의해 전위차가 인가된 전극모듈I(40)로 들어간다. 모듈I(40)로 흘러 들어온 해수 또는 폐수는 각 단위 셀(C)을 통과하면서 인가된 전위차에 의해 고비표면적의 다공성 전극시트의 미세공 표면으로 해수 또는 폐수중의 불순물 이온들이 이동·흡착되고 점차 담수화되어 사방절환밸브(70)를 통하여 담수저장조(90)에 수집된다.
모듈I(40)를 구성하는 각 단위 셀(C)의 ACP시트(C1, C1')들의 미세공 표면이 도 1의 원리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 2)에 통전하면 해수등에 이온상으로 존재하는 불순물 이온들이 각 전극(1, 2)의 ACP시트(C1, C1')의 표면에 흡착되어 해수 또는 폐수가 담수와 농축수로 분리된다. 분리된 담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방절환밸브(70)를 거쳐 담수저장조(90)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거동으로 해수 또는 폐수가 담수화가 이루어지다 셀(C)의 각 전극(1, 2) 즉 ACP시트(C1, C1')의 표면에 흡착된 농축수가 일정량이상으로 포화되면 직류전원 공급 및 제어기(DC power supply/controller)(60)는 자동으로 절환(switching)되어 모듈I(40)의 전원이 차단(off)되며, 이와 동시에 모듈II(50)에 전원이 공급(on)된다.
이때 전원(60)이 차단된 모듈I(40)의 각 셀(C)에 전기장이 제거/방전되는데 이에 따라 ACP시트(C1, C1')의 표면에 포화 흡착된 농축수에 농축된 불순물이온들이 전하를 잃게 되어 ACP시트(C1, C1')의 표면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담수저장조(90)로부터 소량의 세척수를 모듈I(40)의 각 셀(C)에 재순환(recycle)시키어 각 전극시트(1, 2)의 미세공 표면에 흡착된 불순물 이온들을 분리하여 이동되는데, 세척수에 의하여 농축수는 점차 농축되어 사방절환밸브(70)의 자동전환에 의해 배수 및 농축수조(80)에 수집된다.
이와 같은 모듈I(40)의 재생이 시작됨과 동시에 직류전원이 공급되고 사방절환밸브(30)의 전환에 의해 해수 또는 폐수가 유입되기 시작한 모듈II(50)는 모듈I(4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단위 셀(C)을 통과하면서 담수화되어 전환된 사방절환밸브(70)을 통해 담수저장조(90)에 저장된다. 특히 이와 같은 흡착과 재생과정이 반복되면서 유입되는 해수 또는 폐수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 또는 용존 미세입자 등과 같은 비이온성 불순물에 의해 미세공의 전극소재 ACP시트(C1, C1')의 성능, 즉 이온의 축전용량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기존 이온교환법의 수지(resin) 재생의 경우처럼 재생탱크(110)에 들어 있는 산(acid) 또는 염기(base) 주입에 의한 재생방법을 이용하거나 소량의 재순환 담수, 즉 세척수를 흘려보내면서 전극시트(1, 2) 자체에 초음파 또는 전자기파 발생기(U/R)(120)에 의한 초음파(US) 또는 라디오파(RF)를 조사함으로써 공동(cavitation)효과 또는 분자의 진동(vibration) 및 회전(rotation) 마찰효과를 이용하여 미세공 표면에 흡착된 비이온성 불순물을 분리·제거한다.
이와 같은 재생방법은 통상의 충·방전에 의한 정상운전 상태에서 초기 단위모듈(40 또는 50)의 축전용량이 약 60∼80%이하로 떨어질 때 주기적으로 수행되며, 장치의 자동제어를 위해 필요부분에 제어밸브(도시 생략) 및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이러한 주기적인 재생방법의 이점은 단위모듈(40 또는 50)의 해체나 셀(C)의 교환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수명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은 해수 또는 폐수로부터 이온성 불순물을 이동·제거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전위차가 단지 0.8∼1.2볼트(volt)이므로 전원의 필요전압이 태양전지(solar cell)의 출력전압과 유사하여 이를 전원공급원으로 조합된 담수시스템이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담수화장치의 담수대상 물질은 해수 및 간수(brackish water), 생활 및 산업폐수, 오염지하수를 포함하며, 이는 주로 해수 또는 간수로부터 음용수 또는 농업 및 공업용수 제조시스템, 발전소 및 산업용 보일러 급수의 연수시스템, 가정용 수돗물의 정수시스템, 산업용 초순수제조 시스템으로 응용될 수 있고,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침을 부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질소흡착 비표면적이 약 3,000㎡/g이고, 평균 입자크기가 약 10㎛, 평균세공 크기가 20∼50Å인 활성탄소 분말(ACP)을 유기바인더가 녹아있는 용액과 장시간 교반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든 후 넓이가 150cm2, 두께가 1.3 mm이며, 단위면적 당 무게가 500 g/m2인 Ti foam형태의 집전체에 고압 프레스로 압착한 전극판을 제조하였다. 압착과정을 통해 슬러리 상의 활성탄소 분말이 다공성 Ti의 빈 공간으로 들어가 집전체인 다공성 Ti와 물리적으로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접촉면적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제조된 전극판들을 적정온도에서 휘발건조 또는 소성시킨 후 도 2와 같이 미세공 섬유 또는 고분자막으로 덮거나 공간적으로 분리된 2개의 전극판을 단위 전극셀(C)로 하였으며, 이러한 단위 전극셀(C) 4개를 전해질의 이동통로가 뚫린 얕은 절연판을 넣고 등간격으로 적층한 단위모듈(40, 50)의 조합으로 전기흡착식 담수화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때 단위셀(C)의 정전류 충방전 테스트(전압범위: 0.01-0.9V)의 결과, 약 300F/g의 축전용량을 보였고, 직류(DC) 전극저항은 0.68Ω㎠로 매우 우수한 전극특성을 보였다. 도 5는 약 800ppm의 간수(brackish water) 100cc를 36.6cc/min의 유량으로 하여 제작된 단위모듈(40, 50)에 재순환(recycle)시키면서 시간에 따라 측정된 간수의 농도변화 곡선으로 전위차가 증가할수록 보다 큰 이온성 불순물의 제거 특성을 보이며, 그 제거속도 역시 증가함을 보였다. 도 6은 약 800ppm의 간수를 위와 동일 조건으로 이온흡착과 재생사이클이 반복될 때 전극판의 이온흡착 용량과 제거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나, 순간적인 역전위 차의 적용이나 초음파 세척에 의해 거의 초기수준의 전극성능으로 회복할 수 있었다. 도 7은 1.0volt의 전위차에서 2,500ppm의 간수 100cc를 36.6cc/min의 유량으로 재순환(recycle)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간수의 농도변화 곡선으로 약 700ppm까지 이온성 불순물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닷가 해변의 관정에서 나오는 간수의 농도가 이와 비슷하고, 먹는 물 수질기준이 400ppm 이하임을 고려할 때 상시 물 부족을 겪고 있는 도서지역의 담수화장치로 그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기흡착 방법 및 장치는 다공성 전극표면의 전기이중층(EDL)안에 포화흡착(포집)된 이온들을 단순히 전기장을 제거하거나 역전위 차를 가함으로써 손쉽게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탈염장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재생에 따른 2차 오염이 전혀 없으며, 고가의 이온교환 수지 대신에 값싼 활성탄소를 전극소재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또한 해수 또는 폐수와 같은 전해질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이온이동에 소요되는 전위차, 즉 0.8∼1.2볼트(volts) 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에 태양전지(Photovoltaic cell)와 같은 자연에너지 이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생시 다른 전극모듈의 축전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비용이 매우 낮다. 한편 기존의 가정용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활성탄소 충진층에 의한 분자흡착 방식과는 달리 흡착된 분자의 탈착·재생에 필요한 고온의 에너지가 전혀 필요 없고, 유체가 개방된 유로(전극 공간)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매우 낮다. 특히 본 발명은 전기이중층(EDL)축전현상이 지배적인 비산화/환원성 유기 또는 무기성 음이온 및 양이온 즉, OH-, Cl-, F-, HCO3 -등과 Li+, Na+, K+등의 제거 뿐 만 아니라 환원성 양이온 즉, Cu2+, Fe2+, Pb2+, Cd2+등의 제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물 이외의 전도성 용매로부터 유기/무기이온 또는 쌍극자물질도 분리·제거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 200g의 단위 전극cell 당 40∼60억 cm2의 높은 비표면적과 이온저장 용량을 갖는 다공성 전극판에 전위차가 인가될 때 수용액중의 이온성 불순물들이 전기이중층(EDL)흡착 또는 산화환원(Redox)반응과 같은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처리용량에 비해 간결한(compact)한 구조의 담수화장치를 만들 수 있고, 포화된 다공성 전극판은 인가된 전기장을 단순히 제거하거나 역전위 차를 가함으로써 손쉽게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온교환 방법과는 달리 재생과정에서 대량의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역삼투압법이나 전기투석 방법과는 달리 값비싼 막을 사용하지 않고 압력손실에 따른 고압의 펌프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장치 및 유지비용이 매우 적다. 특히 수용성 전해질로부터 이온성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이온이동에 소요되는 약 0.8∼1.2volt의 전위차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해수 또는 간수를 담수화할 경우 1톤의 담수생산에 에너지는 약 0.4∼1kWh 정도로 에너지효율이 매우 높고, 태양전지(solar)와 같은 자연에너지 이용시스템 구축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획기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극판 사이의 유체흐름 또는 침식으로 인한 미세 다공성 전극입자의 비말손실과 이에 따른 전극성능 저하 때문에 선행 발명인 미국특허 제5425858호 발명(US No 5425858)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일반화되지 않아 비표면적(400∼1,000m2/g)에 비해 값이 비싼 단일체(monolith)형태의 탄소 에어로겔(aerogel)을 전도성 에폭시(epoxy)로 티타늄판에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높은 비표면적(2,000∼3,000m2/g)에도 불구하고 값이 싼 활성탄소 분말(ACP)을 전도성 고무 또는 금속폼(metal Foam)의 집전체에 고정화함으로써 전극저항과 이온저장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낮은 전극제조 비용으로 실용성을 높였다. 특히 선진국 선점기술인 탄소 에어로겔(aerogel) 전극소재를 국산화 ACP로 대체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담수화시스템의 독자적인 모델개발이 가능하고, 향후 상업화과정에서 전극소재에 대한 수입대체 효과도 매우 크리라 생각된다. 또한 전극cell 재생에 있어 기존의 단순 방전(discharge)이나 순간적인 역전위 차에 의한 재생방법 이외에 주기적인 초음파 또는 전자기파 재생방법과 배출흐름 제어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전극성능이 보다 장기간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고 에너지효율의 간결한(compact) 담수화시스템이 상용화 될 경우 일차적으로 빗물과 육지로부터 수송된 식수에 주로 의존해 왔던 도서지역의 물 부족 해소와 해안 고립지역의 호텔, 휴게소, 골프장, 군부대시설 등의 식수 또는 생활용수 해결을 위한 새로운 담수화시스템으로 보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생활 및 산업폐수나 오염된 지하수처리장치, 발전소 및 산업용 보일러 급수의 연수장치, 가정용 수돗물의 정수처리장치, 산업용 초순수제조장치 등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해수 또는 폐수를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담수화하는 것으로 두 개의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을 사용하는 전기화학적 방법인 탈 이온화 및 전극재생에 의한 담수화 장치로서 두 개의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시트(1. 2)를 미세공 섬유 또는 고분자 분리막(3, 3')으로 덮고 그 사이에 전해질의 이동통로가 확보된 얕은 절연가스켓(4)을 넣어 공간적으로 분리된 양극시트(1)와 음극시트(2)의 구조를 갖는 전극셀(C)이 등간격의 교대식 전극으로 여러 개 적층되어 해수나 폐수의 유로(流路)가 형성되어 구성된 전기흡착 방식 담수화장치에 있어서,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시트(1, 2)는 전도성 금속 또는 고무 폼(foam)형태의 집전체(C2 ,C2')에 유사-캐패시터(Pseudo-capacitor)특성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 및 금속산화물 입자(powder), 그리고 이들의 복합물질(composite)의 ACP시트(C1, C1')를 고정화하여 구성된 전기흡착방식의 담수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 폼(foam)의 집전체(C2 ,C2')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Ni, Al 또는 Ti폼(foam)으로 구성되며, ACP시트(C1, C1')는 이온성 불순물의 흡착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1,000m2/g 이상의 고비표면적을 갖으면서 값싼 다공성 활성탄소 분말(ACP)을 이용하는 전기흡착방식의 담수화장치
  3. 해수 또는 폐수를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담수화하는 것으로 전기화학적 방법인 탈 이온화 및 전극재생법으로 전위차가 인가된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시트(1, 2)가 구비된 전기화학 전극셀(C)을 해수 또는 폐수가 통과할 때 해수나 폐수에 포함된 이온성불순물이 전극셀(C)의 각 전극시트(1, 2)로 이동하여 미세공의 표면에 포화될 경우 방전이나 순간적 역전위에 의하여 전기이중층(EDL) 흡착 및 산화환원(Redox) 반응인 전기화학적 이온흡착 또는 축전현상에 의해 담수와 불순물 이온들이 분리 제거하여 담수화하는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 방법에 있어서,
    전극시트(1, 2)의 표면에 주기적으로 초음파나 전자기파를 조사하여 전극시트(1, 2)의 표면에 흡착된 비이온성 불순물을 분리제거하는 전기흡착방식의 담수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1-0016618A 2001-03-29 2001-03-29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방법 및 장치 KR10044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618A KR100442773B1 (ko) 2001-03-29 2001-03-29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618A KR100442773B1 (ko) 2001-03-29 2001-03-29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629A KR20020076629A (ko) 2002-10-11
KR100442773B1 true KR100442773B1 (ko) 2004-08-04

Family

ID=2769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618A KR100442773B1 (ko) 2001-03-29 2001-03-29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7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67B1 (ko) 2007-05-11 2009-06-09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이용한 전기장 반응조용 전극체제조방법, 전극체, 및 전극체가 설치된 전기장 반응조
KR101137042B1 (ko) * 2009-02-03 2012-04-19 한국과학기술원 축전 탈 이온화 장치, 이를 이용한 축전 탈 이온화 방법 및이를 이용한 담수화 장치, 폐수 처리 장치
KR101195561B1 (ko) 2007-05-21 2012-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KR101241984B1 (ko) 2012-06-25 2013-03-11 주식회사 이시엘 호소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352939B1 (ko) * 2011-11-30 2014-01-17 금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048716A1 (en) * 2021-08-12 2023-02-16 Robert Bosch Gmbh Water deionization cel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295B1 (ko) * 2010-08-13 2013-02-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흐름전극장치
KR101228032B1 (ko) * 2011-04-27 2013-01-30 (주)하이레벤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CN109647792A (zh) * 2018-12-27 2019-04-19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超声下虾壳脱盐的方法
KR102590267B1 (ko) * 2021-10-07 2023-10-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자립형 Solar-CDI 시스템
CN114853127A (zh) * 2022-05-04 2022-08-05 同济大学 一种片层双金属氧化物电极ZNO@pCF的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9484A (ko) * 1973-10-30 1975-06-27
JPS5464079A (en) * 1977-10-31 1979-05-23 Takayasu Kyoteru Electrolytic cell electrode
US5192432A (en) * 1990-04-23 1993-03-09 Andelman Marc D Flow-through capacitor
US5425858A (en) * 1994-05-20 1995-06-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electrodes
JPH0970585A (ja) * 1995-08-31 1997-03-18 Samsung Electron Co Ltd 浄水装置
US5620597A (en) * 1990-04-23 1997-04-15 Andelman; Marc D. Non-fouling flow-through capaci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9484A (ko) * 1973-10-30 1975-06-27
JPS5464079A (en) * 1977-10-31 1979-05-23 Takayasu Kyoteru Electrolytic cell electrode
US5192432A (en) * 1990-04-23 1993-03-09 Andelman Marc D Flow-through capacitor
US5620597A (en) * 1990-04-23 1997-04-15 Andelman; Marc D. Non-fouling flow-through capacitor
US5425858A (en) * 1994-05-20 1995-06-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electrodes
JPH0970585A (ja) * 1995-08-31 1997-03-18 Samsung Electron Co Ltd 浄水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67B1 (ko) 2007-05-11 2009-06-09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이용한 전기장 반응조용 전극체제조방법, 전극체, 및 전극체가 설치된 전기장 반응조
KR101195561B1 (ko) 2007-05-21 2012-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KR101137042B1 (ko) * 2009-02-03 2012-04-19 한국과학기술원 축전 탈 이온화 장치, 이를 이용한 축전 탈 이온화 방법 및이를 이용한 담수화 장치, 폐수 처리 장치
KR101352939B1 (ko) * 2011-11-30 2014-01-17 금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41984B1 (ko) 2012-06-25 2013-03-11 주식회사 이시엘 호소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US20230048716A1 (en) * 2021-08-12 2023-02-16 Robert Bosch Gmbh Water deionization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629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 et al. Electrokinetic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and associated challenges in the water and energy nexus
KR101022257B1 (ko) 이온선택성 축전식 탈염 복합전극 및 모듈의 제조 방법
TWI381996B (zh) 混合式電極之電容去離子裝置
CN102249380B (zh) 一种高效液流式膜电容脱盐装置
EP30454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water desalination and ion separation by flow electrode capacitive deionization
CA2444390C (en) Charge barrier flow-through capacitor
KR101004707B1 (ko) 이온제거용 축전식 전극 및 그를 이용한 전해셀
US20080029395A1 (en) Multi-functional filtration and ultra-pure water generator
US20120273359A1 (en) Flow-through electrode capacitive desalination
KR100442773B1 (ko) 전기흡착 방식의 담수화방법 및 장치
KR20090032376A (ko) 이온흡착용 전극, 이를 구비한 전기흡착식 정화장치 및이온흡착용 전극의 제조방법
KR20150008348A (ko) 하이브리드 해수 담수화 시스템
US6798639B2 (en) Fluid deionization flow through capacitor systems
JP2004537411A (ja) 可動電極フロースルー・キャパシター
KR20120133229A (ko) Cdi를 이용한 상수처리방법 및 이의 장치
JP2003285067A (ja) 全自動・省エネルギーの脱イオン装置
KR102004687B1 (ko) 해수중의 리튬이온 회수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회수 방법
KR101137042B1 (ko) 축전 탈 이온화 장치, 이를 이용한 축전 탈 이온화 방법 및이를 이용한 담수화 장치, 폐수 처리 장치
KR20100089311A (ko) 하이브리드형 담수화 장치,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및 재생 방법
JP2008161846A (ja) 二極式電極使用による電気容量性脱イオン(cdi)
KR20030012351A (ko) 전기영동용 전극셀의 제조 방법 및 측정 장치
EP1291323B1 (en) Replaceable flow-through capacitors for removing charged species from liquids
Snyder et al.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and Associated Challenges in the Water and Energy Nexus
KR102517536B1 (ko) 탈염 장치
KR102300797B1 (ko) 롤 타입의 축전식 탈염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