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864B1 -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864B1
KR100439864B1 KR10-2001-0026536A KR20010026536A KR100439864B1 KR 100439864 B1 KR100439864 B1 KR 100439864B1 KR 20010026536 A KR20010026536 A KR 20010026536A KR 100439864 B1 KR100439864 B1 KR 10043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ilencer
noise
blow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860A (ko
Inventor
서명준
Original Assignee
서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준 filed Critical 서명준
Priority to KR10-2001-0026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8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4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sound 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mpressor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의 흡입 및 토출측에 설치할 수 있게 한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분야에서 압축 공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기 중의 공기를 필요한 압력이 되도록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송풍기의 형식은 왕복동식, 스크류식, 로타리식, 루츠식, 터어보식, 원심 임펠라식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경우 대기 중의 공기가 흡입관을 통해 공기 압축기 또는 송풍기로 흡입되거나 토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변화(강화) 및 관로 내의 유속에 의해 기계적 소음을 포함한 흡입 및 토출 소음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있는데, 이와 같은 소음은 공통적으로 공기 흡입 및 토출 과정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송풍기용 단관식 소음기는 도 5,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음기에 흡입되는 공기가 가지고 있는 소음 에너지를 소음기 내의 용적의 확산 및 소음기(消音器) 외통과 망체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소음 흡수재에 의해 소음(騷音)을 줄이는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 이는 소음 제거 방식 및 구조의 특성상 충분한 소음(騷音)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이의 발명 요지는 송풍기의 일측에는 전기 제어반과 구동 모터(2)가 설치되고, 그 상하측에는 흡입 소음기(消音器)(5) 및 토출 소음기(5a)를 설치하되, 이 소음기(5)(5a) 내부에 형성된 공실의 상하에는 선단부에 다수의 통기공(5-1a)(5-3a)이 형성된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이 삽입 설치되고, 내통(5-1)의 중간부 상하에는 지지판(5-10)이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다단으로 유도판(5-11)을 지그재그 상으로 설치하여 흡입공기 및 토출공기가 와류되게 하고, 다단 유도판(5-11)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공(5-11a)에는 다공관(多孔管)(5-6)이 끼움되어 있으되, 이 다공관(5-6)의 외주면에는 고리형상의 소음 흡수재(5-7)가 끼움 설치되어지게 한 것으로 구동 모터로 송풍기를 구동시키면 흡입 및 오툴 소음기(5)의 유입관(5-2)을 통해 유입된 공기 속에 함유된 소음 에너지는 전기한 공실 내의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의 통기공과 다단으로 된 와류통로 및 다공관(5-6)의 통기공(5-6a)으로 흡입 확산되어 소음 흡수재(5-7)(5-8)에 의해 흡수 제거된 다음 압축 공기 배출구(7)(7a)로 배출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A ventilator's eliminating device of noise}
본 발명은 송풍기의 흡입 및 토출측에 설치하여 유체의 소음(騷音) 에너지를 제거할 수 있게 한 송풍기의 소음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산업분야에서 압축 공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필요한 압력이 되도록 압축하여 송풍하고 있는 바, 이러한 송풍기로 공기를 압축할 때는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과정에서 관로 내의 유속에 의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이 발생되므로 이와 같은 송풍기의 관로 상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소음기(消音器)를 사용하여 관로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소음 에너지를 확산, 흡수의 과정을 거쳐 이의 소음(騷音)을 줄이고 있으나 이와 같은 소음기는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음기의 외통과 망체 형상인 내통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소음 흡수재에 의하여 소음을 줄이도록 하고 있어 구조상으로 단순하여 충분한 소음 제거 효과를 얻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송풍기에 부착하는 소음기(消音器)에 있어서 흡입측 소음기(5)와 토출측 소음기(5a) 내에는 유입된 소음(騷音) 에너지를 가진 공기가 소음기(5)(5a)의 공실 내에서 충분히 확산될 수 있게 상하부에 공간을 형성 하되, 그 상부에 끼움된 유입관(5-2)의 내단부 및 하부에 끼움된 배출관(5-3)의 내단부에는 다수의 통기공(5-2a)(5-3a)을 형성하여 공기의 확산 및 확산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소음기(5)(5a)의 중간부에는 다공벽(多孔壁)으로 된 내통(5-1)을 설치하여 이의 상하에는 양측이 트임부(개방부)(5-10b)로 된 지지판(5-10)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유도판(5-11)을 다단(多段) 설치하여 와류통로를 형성하되, 이 유도판(5-11)에 형성된 끼움공(5-11a)에는 외부둘레에 소음 흡수재(5-7)가 끼움된 다수의 다공관(多孔管)(5-6)을 끼움 설치함으로서 흡입 공기 및 토출 공기 속에 함유된 소음(騷音)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 개요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소음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송풍기 몸체 2-구동모터 3-제어반 4-벨트
5, 5a-소음기 5-1. 내통 5-1a. 통기공 5-2.유입관
5-2a. 통기공 5-3. 배출관 5-3a. 통기공 5-4. 흡입압 측정부
5-5. 토출압 측정부 5-6. 다공관 5-6a. 통기공
5-7, 5-8, 5-9. 소음 흡수재 5-9a. 고정판 5-10. 지지판
5-10a. 통기공 5-10b. 트임부 5-11. 유도판 5-11a. 끼움공
6-외부 공기 흡입구 6a-압축 공기 유입구 7, 7a-공기 배출구
8-흡입 공기 유입구 9-압축 공기 배출구
10, 10a, 10b, 10c-관로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의하면 송풍기 몸체(1)의 일측에는 제어반(3) 및 벨트(4)와 연결된 구동 모터(2)가 설치되고, 송풍기 몸체(1)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 공기 유입구(8)에는 흡입측 소음기(5)의 압축 공기 배출구(7)의 관로(10a)가 연결되고, 상기한 흡입측 소음기(5)의 상부에 형성된 외부공기 흡입구(6)에는 외부 관로(管路)(10)가 연결되며 상기한 송풍기 몸체(1)의 하부에 형성된 압축 공기 배출구에 연결된 관로(10b)의 선단부에는 토출부 소음기(5a)의 일측에 형성된 압축 공기 유입구(6a)가 연결되고, 토출측 소음기(5a)의 타측에 형성된 압축 공기 배출구(7a)에는 압축공기 배출관로(10c)가 연결되며, 그리고 도 2, 도 3에 의거하면 이는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흡입측 소음기(5) 및 토출측 소음기(5a)의 내부 상하에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된 일측에 트임부(개방부)(5-10b)가 있는 상하 지지판(5-10) 사이의 외측에는 내통(5-1)이 끼움되어 있고, 이 내통(5-1)의 내측에는 상기한 상하 지지판(5-10)의 통기공(5-10a)과 연동되는 끼움공(5-11a)이 있는 다수의 유도판(5-11)을 지그재그 상으로 다단(多段) 설치하여 와류통로를 형성하되, 이 와류통로의 유도판(5-11)에는 상기한 통기공(5-10a)과 일치되게 뚫린 끼움공(5-11a)으로 다수의 다공관(多孔管)(5-6)이 끼움 설치되고 이 다공관(5-6) 주면(周面)에는 고리형상의 소음 흡수재(5-7)가 끼움 설치되며, 상기한 내통(5-1)의 주벽(周壁)에는 다수의 통기공(5-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통(5-1)과 소음기(5)(5a)의 내주벽 사이에는 소음 흡수재(5-8)가 끼움되고 상기한 유입관(5-2) 내측단부 및 배출관(5-3)의 내측단부에는 다수의 통기공(5-2a)(5-3a)이 형성되어 있으되, 상기 배출관(5-3)의 내단부에는 소음 흡수재(5-9)를 끼움한 후 고정판(5-9a)에 의해 고정 부착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송풍기의 소음 제거장치인 바, 이를 실시할 시는 구동 모터(2)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송풍기 몸체(1)가 가동되면서 외부관로(10)를 통해 외부 공기는 흡입 마찰에 의해 소음 에너지를 함유한 상태에서 외부공기 흡입구(6)를 통해 흡입측 소음기(5) 내로 흡입된다. 이때 흡입된 공기는 흡입 소음기(5)의 공실 내에 설치된 유입관(5-2)의 기공(5-2a)을 통해 확산됨과 동시 지그재그 상으로 다단 설치된 유도판(5-11)으로 안내되는 과정 다공관(5-6)의 주벽에 형성된 통기공(5-6a)을 통해 공기 속에 함유된 소음 에너지(소음파장)는 소음 흡수재(5-7)에 흡수되어지고, 흡입측 소음기(5)의 하부 공실 내로 토출된 공기는 배출관(5-3)으로 배출될 때는 이에 함유된 소음 에너지는 원심 방향으로 분산된 상태에서 배출관(5-3)의 내선단 통공(5-3a)으로 유입되고, 이때에는 배출관(5-3) 내측단에 설치된 소음 흡수재(5-9)에 의해 흡수된 후 배출관(5-3) 및 배출 관로(10a)를 통해 송풍기 몸체(1) 내로 유입하기 때문에 송풍기 몸체(1) 내로 흡입될 때는 물리적 소음은 최대한 제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송풍기 몸체(1) 내에서 압축된 공기가 압축공기 배출구(9)와 연결된 관로(10b)를 통해 토출특 소음기(5a)를 통해 공기 배출구(7a)로 배출될 시는 이 토출측 소음기(5a) 내에도 상기한 흡입 소음기(5)와 같은 소음 제거 구조로 되어 있어, 송풍기에서 압축된 공기가 압축되는 과정의 기계적 소음과 배출관로(10b) 내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소음 에너지는 토출측 소음기(5a)에 의해 소음기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관로(10c)로 토출되어지므로 압축 공기가 산업기기 등에 공급될 시는 소음이 거의 제거된 상태로 되어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의 구성에서 송풍기 몸체(1)의 공기흡입 및 배출부의 관로(10)(10a)(10b)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한 소음기(5)(5a)의 공기 유입관(5-2) 및 공기 배출관(5-3)에는 압력 측정부(5-4)(5-5)가 설치되어 있어 소음 전후의 압력 측정 및 이의 압력 차이를 측정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조작은 전기 제어반(3)에 의해 자동조절이 가능하나, 설비 구성상 불필요한 경우에는 전기 제어반(3), 압력 측정부(5-4)(5-5)를 장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2) 대신으로 엔진 압축기 또는 엔진 송풍기를 바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산업분야에서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가동시킬 때 관로를 통해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 변화와 배관 내의 유속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에너지를 제거함에 있어, 송풍기의 공기 흡입 및 공기 토출측에 소음기(5)(5a)를 각각 설치하되, 이의 내부에 설치된 상하 지지판(5-10) 사이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유도판(5-11)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와류 통로를 형성하고 이 유도판(5-11)에 형성된 끼움공(5-11a)에는 소음 흡수재(5-7)를 외주면에 끼움한 다공관(5-6)을 설치함으로서, 흡입 및 토출 공기 속에 함유된 소음 에너지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면적을 대폭 축소로 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송풍기 몸체(1)의 일측에는 전기 제어반(3)과 구동모터(2)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외부공기 흡입구(6) 및 압력 측정부(5-4)(5-5)를 구비한 흡입측 소음기(5)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압축공기 유입구(6a)와 소음공기 배출구(7a)를 구비한 토출측 소음기(5a)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흡입측 소음기(5) 및 토출측 소음기(5a)의 공실 상하부에 돌출된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의 주벽(周壁)에는 다수의 통기공(5-2a)(5-3a)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소음 흡수재(5-8)가 끼움된 주벽에 다수의 통기공(5-1a)이 있는 내통(5-1)을 설치하고, 이 내통(5-1)의 상하 단부에는 다수의 통기공(5-10a)이 있고 양측이 트임부(5-10b)로 된 상하 지지판(5-10)이 서로 어긋나게 끼움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다단으로 유도판(5-11)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 유도판(5-11) 및 상기한 상하 지지판(5-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5-10a)과 일치되는 끼움공(5-11a)을 형성하여 주면에 다수의 통기공(5-6a)이 있는 다공관(多孔管)(5-6)을 끼움 설치하되, 이 다공관(5-6)의 외주면(外周面)에는 고리형상의 소음 흡수재(5-7)가 끼움됨을 특징으로 한 송풍기의 소음 제거장치.
KR10-2001-0026536A 2001-05-15 2001-05-15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 KR10043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536A KR100439864B1 (ko) 2001-05-15 2001-05-15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536A KR100439864B1 (ko) 2001-05-15 2001-05-15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860A KR20010069860A (ko) 2001-07-25
KR100439864B1 true KR100439864B1 (ko) 2004-07-14

Family

ID=1970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536A KR100439864B1 (ko) 2001-05-15 2001-05-15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8986B (zh) * 2016-12-06 2019-02-01 山西大唐国际临汾热电有限责任公司 一种风机消声器
CN106382242A (zh) * 2016-12-06 2017-02-08 姚均甫 一种高压风机消音器
KR102499824B1 (ko) * 2022-03-31 2023-02-14 주식회사 씨엔에스환경기술 자동 소음측정기용 외함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8040U (ko) * 1976-01-21 1977-07-23
JPS5512064U (ko) * 1978-07-12 1980-01-25
JPS60187320U (ja) * 1984-05-24 1985-12-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気消音器
JPS6354213U (ko) * 1986-09-26 1988-04-12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8040U (ko) * 1976-01-21 1977-07-23
JPS5512064U (ko) * 1978-07-12 1980-01-25
JPS60187320U (ja) * 1984-05-24 1985-12-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気消音器
JPS6354213U (ko) * 1986-09-26 1988-04-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860A (ko)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15695A (ja) 消音ノズル
KR100439864B1 (ko) 송풍기의 소음 제거 장치
US20070227526A1 (en) Backpressure-inhibiting device for exhausting apparatus
KR20080102740A (ko) 소음기 및 그 소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208565000U (zh) 一种真空泵排气端的降噪装置
CN209857143U (zh) 一种降噪型吸油烟机
JP2008163905A (ja) ポンプ装置
KR200243016Y1 (ko) 다중 다공벽관 분산 흡수식 소음 제거 장치
KR100501567B1 (ko) 압축기용 소음기
KR20090084595A (ko) 소음방지구조를 갖춘 송풍기
CN2270838Y (zh) 隧道轴流风机消声器
CN211082408U (zh) 一种微穿孔板复合式消声器
CN2274257Y (zh) 节喷扩抗式消声器
CN101865117B (zh) 空气压缩机用多功能消声器
KR200199288Y1 (ko) 환풍기
JP4919035B2 (ja) スクロールコンプレッサ
KR200225151Y1 (ko) 저소음형 공기 청정장치
KR200311997Y1 (ko) 압축기용 소음기
TWI789237B (zh) 具有導風結構的排油煙機風胃
KR102429698B1 (ko) 터보 블로워 장치
KR100518663B1 (ko) 소음이 저감된 산소발생기
RU66788U1 (ru) Всасывающий глушитель герметичного холодильного компрессора
RU2008503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KR200199289Y1 (ko) 환풍기
CN219299532U (zh) 一种罗茨鼓风机用带憎水吸声材料的消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