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665B1 -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665B1
KR100439665B1 KR10-2002-0001899A KR20020001899A KR100439665B1 KR 100439665 B1 KR100439665 B1 KR 100439665B1 KR 20020001899 A KR20020001899 A KR 20020001899A KR 100439665 B1 KR100439665 B1 KR 10043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ir conditioner
connector
main wire
drai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895A (ko
Inventor
양승대
최귀진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6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에서 외부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110)가 구비된 메인 전선(100)이 실내기의 열교환기(30) 측면에 설치된 배플(80)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81)을 통과하여 드레인부재(70)와 인접하게 배선되는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플(80)에 형성된 구멍(81)을 통과하여 배선되는 메인 전선(100)의 커넥터(110)가 드레인부재(70)로부터 오버플로우 되는 응축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배플(80) 상에 형성된 구멍(81)보다 높은 위치에 전선용 새들(Saddle;120)이 설치되고, 이 새들(120)에 메인 전선(100)이 U트랩(Trap) 형태로 고정되어 메인 전선(100)의 커넥터(110)가 드레인부재(70)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Main Electric Wire at Air- Conditioner Indoor Part}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의 전선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실내기의 열교환기 측면에 설치된 배플 상에 전선용 새들(Saddle)을 구비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실내기의 메인 전선에 구비된 커넥터가 드레인부재 위쪽에 위치하도록 U트랩(Trap) 형태로 고정함으로써, 종래 메인 전선의 연결부인 커넥터가 드레인부재 하단에 위치하여 드레인부재로부터 오버플로우(Over Flow) 되는 응축수에 노출되어 메인 전선에서 쇼트 등이 발생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실내기의 전선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 텔레비젼, 오디오,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는 전기장치 및 여러 가지의 전장부품이 있으며, 이들 전장부품들은 전원을 통해 작동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가전제품에는 수많은 전선이 배선되어 전원과 각 전장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처럼 가전제품 내에 많은 전장부품에 전선이 배선됨에 따라 전선간의 불필요한 간섭에 의해 합선이나 기타 누전 등의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전제품 내에 전선 배선은 될 수 있으면 부품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신중한 배선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에어컨과 같이 냉방사이클이 가동되는 동안 에어컨 내부에서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응축수에 전선이 노출되어 누전 및 합선 등의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1은 종래 에어컨 실내기 중 하나의 실시예로써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에어컨 실내기 중 열교환기가 본체의 내부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 에어컨 실내기의 흡입그릴이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는 후방에 후면캐비닛(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면캐비닛(10)의 전면으로 상부와 하부에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그릴(21)과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22)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캐비닛(20)이 구비되어 서로 조립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토출그릴(21)과 흡입그릴(22) 사이인 전면캐비닛(20)의 중앙 부위에는 풍량 및 설정 온도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누르거나 원거리에서 리모컨(remote controller; 도시 안됨)으로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22)의 배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할 때, 먼지를 걸러주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필터의 후방에는 외부의 공기가 통과할 때, 열교환 작용을 함으로써 외부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바꾸어 주는 열교환기(흔히 증발기라고 함;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30)의 하부에는 응축수를 모아서 본체(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30)의 양 측면에는 전면의 흡입그릴(22)을 열었을 때 열교환기(30)를 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배열되어 있는 증발파이프 및 냉매관(31) 등이 산만하게 노출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도록 배플(8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30)의 상부인 본체(1)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흡입그릴 (22)을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그릴(21)을 통해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40)이 장착되어 있고, 이 송풍팬(40)은 후면캐비닛(10)에 모터고정브라켓트(510를 통해 설치된 송풍모터(50)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0)의 전방에는 갖가지 전선이나 칩들이 내장된 컨트롤박스(90)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60)의 조작에 따라 에어컨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에어컨을 이용한 냉방은 실내기 본체(1)의 전면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60)를 조작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를 가동시킨다.
상기 압축기의 가동으로 냉매는 열교환기(30)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로 응축기로 보내게 되고, 응축기 내로 유입된 냉매는 외기에 의해 냉각되고, 액체 상태로 팽창밸브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하는 액체 상태의 냉매는 압력강하 작용으로 저온, 저압의 안개 상태로 변화되어 열교환기(30) 내로 유입이 되고, 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30) 내부를 흐르면서 그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과정을 통한 냉방 작동 시 온도차에 의해 열교환기(30)와 열교환기(30)의 측면에 배치된 배플(80) 상에 응축수가 발생하여 맺히게 되고, 상기 응축수는 열교환기(30) 하부에 위치한 드레인부재(70)로 흘러내리게 된다.
한편, 종래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을 하는 에어컨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커넥터(110)를 갖춘 메인 전선(100)이 실내기 내부에 배선되게 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과 연결을 위한 메인 전선(100)이 상기 열교환기(30)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배플(80)을 따라 배선된 후에 상기 배플(80) 상에 형성된 구멍(81)을 통과하여 드레인부재(70) 하부 쪽으로 늘어져 메인 전선(100)의 커넥터(110)가 드레인부재(70) 하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배선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상기 메인 전선(100)의 연결부인 커넥터(110)가 드레인부재 (7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에어컨 작동 시에 발생하는 다량의 응축수가 드레인부재(70)에 축적되면서 오버 플로우가 일어나는 경우에 드레인부재(70) 하단에 위치한 메인 전선(100)의 연결부인 커넥터(110)로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이처럼 응축수가 메인 전선(100)의 커넥터(110)에 유입되게 되면, 쇼트(short) 등이 발생하여 에어컨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었고, 심한 경우에는 전기 합선 등에 의해 화재를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 감전의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발명의 목적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실내기의 메인 전선에 구비된 커넥터가 드레인부재 위쪽에 위치하여 메인 전선의 연결부인 커넥터가 드레인부재로부터 오버플로우(Over Flow) 되는 응축수에 노출되어 메인 전선에서 쇼트 등이 발생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컨 실내기 중 하나의 실시예로써 도시한 외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에어컨 실내기 중 열교환기가 본체의 내부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측면도,
도 3은 종래 에어컨 실내기의 흡입그릴이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열교환기가 본체의 내부 하단부에 배치된 에어컨 실내기를 보여주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에어컨 실내기의 흡입그릴이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후면캐비닛
20 : 전면캐비닛 21 : 토출그릴
22 : 흡입그릴 30 : 열교환기
60 : 제어부 70 : 드레인부재
80 : 배플 81 : 구멍
90 : 콘트롤박스 100 : 메인 전선
110 : 커넥터 120 : 전선용 새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전선 고정구조는, 에어컨 실내기에서 외부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가 구비된 메인 전선이 실내기의 열교환기 측면에 설치된 배플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드레인부재와 인접하게 배선되는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플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배선되는 메인 전선의 커넥터가 드레인부재로부터 오버플로우 되는 응축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배플 상에 형성된 구멍보다 높은 위치에 전선용 새들(Saddle)이 설치되고, 이 새들에 메인 전선이 U트랩(Trap) 형태로 고정되어 메인 전선의 커넥터가 드레인부재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열교환기가 본체의 내부 하단부에 배치된 에어컨 실내기를 보여주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에어컨 실내기의 흡입그릴이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에어컨 실내기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은 도 1 및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에어컨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고,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고 있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에어컨 실내기의 본체(1)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22)과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그릴(21)을 갖추고 있는 전면캐비닛(20)과, 이 전면캐비닛(20)의 후방에 조립되는 후면캐비닛(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토출그릴(21)과 흡입그릴(22) 사이인 전면캐비닛(20)의 중앙 부위에는 풍량 및 설정 온도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6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에어컨 실내기는 열교환기(30)가 본체(1)의 내부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전면캐비닛(20)에 설치된 흡입그릴(22)을 열게 되면 이 열교환기(30)가 그대로 밖으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0)의 양 측면에는 배플(8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배플(80)은 열교환기(30)를 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배열되어 있는 증발파이프 및 냉매관(31) 등이 산만하게 노출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도록 열교환기(30)의 양 측면을 가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30)의 하부에는 에어컨 작동 시 온도차에 의해 열교환기(30)와 배플(80)에 맺히게 되는 응축수를 모아서 본체(1)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어컨 실내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실내기 내부에 배선되는 메인 전선(100)의 연결부인 커넥터(110)가 열교환기(30)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드레인부재(70)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기(30) 측면에 설치된 배플(80) 상에 전선 등을 감아서 걸 수 있는 전선용 새들(Saddle;120)을 설치하고, 상기 열교환기 (30) 상부에 위치한 컨트롤박스(90) 쪽에서 배플(80)의 후면을 따라 배선된 후 배플(80)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구멍(81)을 통과하여 전면으로 빠져 나온 메인 전선(100)을 상기 새들(120)에 U트랩(Trap) 형태로 감아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배플(80) 상에 형성된 전선용 새들(120)은 상기 메인 전선(100)이 통과하는 배플(80) 상의 구멍(8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새들(120)에 메인 전선(100)을 U트랩 형태로 감아서 고정할 때, 상기 메인 전선(100)의 끝단에 형성된 커넥터(110)가 항상 열교환기(30) 하부의 드레인부재(70)보다 높은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새들(120)의 설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새들(120))의 설치 높이를 배플(80) 상에서 충분히 고려했음에도 불구하고 메인 전선(100)의 커넥터(110)가 드레인부재(70)보다 높이 올라가지 않을 경우에는 새들(120)에 메인 전선(100)을 여러 번 U트랩 형태로 감아서 커넥터(110)가 드레인부재(70)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에어컨 실내기에서 메인 전선(100)을 고정할 때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에어컨 작동 시 열교환기(30) 및 배플(80) 상에 발생한 다량의 응축수가 드레인부재(70)에 흘러 내려 축적된 후 어떠한 원인에 의해 응축수가 원활하게 도시되지 않은 배수호스를 통해 본체(1)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오버플로어(Over Flow) 되는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메인 전선(100)의 커넥터(110)로 응축수가 유입될 우려가 없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컨 실내기의 열교환기 측면에 설치된 배플 상에 전선용 새들을 구비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실내기의 메인 전선에 구비된 커넥터가 드레인부재 위쪽에 위치하도록 U트랩 형태로 고정함으로써, 종래 메인 전선의 연결부인 커넥터가 드레인부재 하단에 위치하여 드레인부재로부터 오버플로우 되는 응축수에 노출되어 메인 전선에서 쇼트 등이 발생하던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어컨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에어컨 실내기에서 외부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110)가 구비된 메인 전선(100)이 실내기의 열교환기(30) 측면에 설치된 배플(80)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81)을 통과하여 드레인부재(70)와 인접하게 배선되는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플(80)에 형성된 구멍(81)을 통과하여 배선되는 메인 전선(100)의 커넥터(110)가 드레인부재(70)로부터 오버플로우 되는 응축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배플(80) 상에 형성된 구멍(81)보다 높은 위치에 전선용 새들(Saddle;120)이 설치되고, 이 새들(120)에 메인 전선(100)이 U트랩(Trap) 형태로 고정되어 메인 전선(100)의 커넥터(110)가 드레인부재(70)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의 전선 고정구조.
KR10-2002-0001899A 2002-01-12 2002-01-12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 KR10043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899A KR100439665B1 (ko) 2002-01-12 2002-01-12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899A KR100439665B1 (ko) 2002-01-12 2002-01-12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895A KR20030061895A (ko) 2003-07-23
KR100439665B1 true KR100439665B1 (ko) 2004-07-12

Family

ID=3221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899A KR100439665B1 (ko) 2002-01-12 2002-01-12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60B1 (ko) * 2006-11-13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7544A (en) * 1987-09-07 1989-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wire fix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KR980009008U (ko) * 1996-07-10 1998-04-3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장치
KR19980021323U (ko) * 1996-10-19 1998-07-15 김광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증발수받이의 전선고정장치
KR19990020728U (ko) * 1997-11-28 1999-06-25 오상수 패키지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설치구조
KR200199032Y1 (ko) * 2000-05-18 2000-10-02 주식회사센추리 에어컨용 전면커버
KR200212809Y1 (ko) * 2000-09-01 2001-02-15 만도공조주식회사 에어콘의 전선 정리용 배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7544A (en) * 1987-09-07 1989-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wire fix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KR980009008U (ko) * 1996-07-10 1998-04-3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장치
KR19980021323U (ko) * 1996-10-19 1998-07-15 김광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증발수받이의 전선고정장치
KR19990020728U (ko) * 1997-11-28 1999-06-25 오상수 패키지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설치구조
KR200199032Y1 (ko) * 2000-05-18 2000-10-02 주식회사센추리 에어컨용 전면커버
KR200212809Y1 (ko) * 2000-09-01 2001-02-15 만도공조주식회사 에어콘의 전선 정리용 배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895A (ko)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88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09104471A1 (ja) 室外機の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
KR2005001848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60081093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10480799B2 (en) Outdoor unit
CN114127478B (zh) 冷冻装置的室内机
US10473341B2 (en) In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100439665B1 (ko) 에어컨 실내기의 메인 전선 고정구조
KR100413072B1 (ko) 에어컨 실내기용 배플의 응축수 안내구조
JP4213725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092712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JP719959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04361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7108204B2 (ja) 付加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212408877U (zh) 一种空调室内机
KR100579558B1 (ko) 서비스밸브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42796B1 (ko) 에어컨의 이슬방지 구조
KR200272497Y1 (ko) 룸 에어콘의 드레인 호스 고정장치
KR1010104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40041405A (ko)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 연결구조
KR100596258B1 (ko) 공기조화기
WO2020129215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CA1230982A (en) Split system air conditioner
KR200312170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 구조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