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401B1 -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 Google Patents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401B1
KR100439401B1 KR10-2001-0077664A KR20010077664A KR100439401B1 KR 100439401 B1 KR100439401 B1 KR 100439401B1 KR 20010077664 A KR20010077664 A KR 20010077664A KR 100439401 B1 KR100439401 B1 KR 10043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conductor
satellite signal
isolation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234A (ko
Inventor
전동원
박철형
윤이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40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6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 H01Q19/0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for modifying the radiation pattern of a radiating horn in which it is loc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3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being a single radiating element, e.g. a dipole, a slot, a waveguide termination
    • H01Q19/132Horn reflector antennas; Off-set fee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2Waveguide horns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수신용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LNB)의 원형 피드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혼(21)과 웨이브 가이드(22)를 갖는 원형 피드혼(20)에 있어서, 위성신호중 제1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웨이브 가이드(22) 내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1 프로브(P1); 상기 제1 위성신호와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2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웨이브 가이드(22) 내측면 각각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2 프로브(P2);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웨이브 가이드(22)의 내부 저면(22a) 중앙에서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 각 단부 사의 공간으로 연장된 도체 폴(isolation pole)(IS); 및 상기 도체 폴(IS)에서, 상기 제1 프로브(P1)에 대응하는 지점과 상기 제2 프로브(P2)에 대응하는 지점 사이에, 상기 도체 폴(IS)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도체 바(IB)를 구비하며,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에서 프로브에 수직하는 도체 폴(pole)에 도체 바(bar)를 형성시킴으로서,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FEEDHORN FOR IMPROVING THE ISOLATIPON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ATION}
본 발명은 위성수신용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LNB)의 원형 피드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에서 프로브에 수직하는 도체 폴(pole)에 도체 바(bar)를 형성시키도록 한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 수신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에 설치되는 위성 안테나(parabolic antenna)(10), 원형 피드혼(feedhorn)(20) 및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LNB)(30)를 포함하고, 또한 옥내에 설치되는 위성수신기(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피드혼(feedhorn)은 위성안테나에 의한 위성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혼(horn)과 이 유도된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브가 내부에 설치된 웨이브가이드(wave guide)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피드혼의 구조 및 프로브 설치조건은 위성신호의 수신감도 특성,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도 2는 종래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의 피드혼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A-A선 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의 피드혼(20)은 혼(21)과 웨이브 가이드(22)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웨이브 가이드(22)의 내측에는 제1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프로브(P1)가 가이드 내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위성신호와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2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로브(P1) 및 가이드 내측면 각각에 수직으로 제2 프로브(P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웨이브 가이드(22)의 내부 저면(22a) 중앙에서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 각 단부의 사이로 연장된 도체 폴(isolation pole)(IS)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위성수신용 LNB에 있어서, 전파의 수신 원형도파관 안에는 수직편파(horizontal polarization)와 수평편파(vertical polarization)를 각각 수신하는 RF 프로브(porbe)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각 프로브의 반사손실(수직편파의 반사손실과 수평편파의 반사손실)과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수직편파가 수평 프로브에 인가되는 양과 수평편파가 수직 프로브에 인가되는 양)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션을 위한 도체 폴(pole)을 프로브와 수직하게 원형도파관내 웨이브(wave)의 전파(propagation) 방향으로 위치시켜 설치하였다. 이러한 도체 폴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에 해당하는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HFSS(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도 4에 되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의 피드혼(10)에 있어서는, 수직편파의 전파가 원형 도파관을 따라 전파하다가 수직편파 프로브에 도달하면 수직편파는 대부분이 수직성분이므로 수직편파 프로브에 인가가 되지만, 적은 량의 수평성분이 존재하므로 그 성분들은 수평편파 프로브에 인가가 되어 아이솔레이션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에서 프로브에 수직하는 도체 폴(pole)에 도체 바(bar)를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서,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 위성 수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의 피드혼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 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의 피드혼의 구성도로서, 도 4a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b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및 종래의 아이솔레이션 비교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브에서 반사판까지의 길이별 반사손실 그래프이고, 도 6b는 프로브에서 반사판까지의 길이별 아이솔레이션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피드혼 21 : 혼
22 : 웨이브 가이드 P1 : 제1 프로브
P2 : 제2 프로브 IS : 도체 폴
IB : 도체 바 IB1,IB2 : 제1,제2 도체 바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혼과 웨이브 가이드를 갖는 원형 피드혼에 있어서, 위성신호중 제1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웨이브 가이드 내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1 프로브; 상기 제1 위성신호와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2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로브 및 웨이브 가이드 내측면 각각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2 프로브; 상기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웨이브 가이드의 내부 저면 중앙에서 상기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 각 단부 사의 공간으로 연장된 도체 폴(isolation pole)(IS); 및 상기 도체 폴에서, 상기 제1 프로브에 대응하는 지점과 상기 제2 프로브에 대응하는 지점 사이에, 상기 도체 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도체 바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의 피드혼의 구성도로서, 도 4a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b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측 단면도이다.
도 4a,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혼(21)과 웨이브 가이드(22)를 갖는 원형 피드혼(20)은 위성신호중 제1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웨이브 가이드(22) 내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1 위성신호와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2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웨이브 가이드(22) 내측면 각각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2 프로브(P2)와,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웨이브 가이드(22)의 내부 저면(22a) 중앙에서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 각 단부 사의 공간으로 연장된 도체 폴(isolation pole)(IS)과, 상기 도체 폴(IS)에서, 상기 제1 프로브(P1)에 대응하는 지점과 상기 제2 프로브(P2)에 대응하는 지점 사이에, 상기 도체 폴(IS)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도체 바(IB)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1 위성신호 및 제2 위성신호중 하나는 수직편파이고, 다른 하는 수평편파이며, 이에 따라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중 하나는 수직편파 프로브이고, 다른 하는 수평편파 프로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체 바(IB)는 상기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2 프로브(P2)에 의해 형성되는 90°사이에 설치한 제1 도체 바(IB1)와, 상기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2 프로브(P2)에 의해 형성되는 270°사이에 설치한 제2 도체 바(IB2)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도체 바(IB)는 상기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2 프로브(P2)에 의해 형성되는 90°사이에, 상기 각 제1 프로브(P1) 및 상기 제2 프로브(P2)와 대략 45°를 이루도록 설치한 제1 도체 바(IB1)와, 상기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2 프로브(P2)에 의해 형성되는 270°사이에, 상기 각 제1 프로브(P1) 및 상기 제2 프로브(P2)와 대략 135°를 이루도록 설치한 제2 도체 바(IB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수직편파 및 수평편차 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단면이 원형인 도체 폴(IS)를 사용하던 것을 개선하여,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체 폴(IS)에 도체 바(IB)를 형성하는데, 이 도체 바(IB)의 형태는 원형의 단면에 직사각 형태로서, 상기 도체 폴(IS)의 양 옆에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제2 프로브(수직편파, 수평편파 프루브)와 45°각도로 위치시킨다.
도 5는 본 발명 및 종래의 아이솔레이션 비교 그래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드혼 및 종래의 피드혼에 대해서 각각 아이솔레이션을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험에서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피드혼에 의한 아이솔레이션의 특성이 종래의 피드혼에 의한 아이솔레이션 특성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체 바(IB)는 상기 도체 폴(IS)의 길이보다 작게 설정하는데, 상기 도체 폴에 형성되는 도체 바의 길이는 원형 도체 막대보다 작게 설계를 하며, 이에 대한 실험으로서, HFSS(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에 의하면, 평균 10dB이상의 아이솔레이션이 개선이 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아이솔레이션이 개선이 되는 원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수직편파의 전파가 원형 도파관을 따라 전파하다가 수직편파 프로브에 도달하면 수직편파는 대부분이 수직성분이므로 수직편파 프로브에 인가가 된다. 하지만 적은 량의 수평성분이 존재하므로 그 성분들은 수평편파 프로브에 인가되므로, 아이솔레이션이 나빠지는 것인데, 본 발명에 의한 도체 바를 형성하면, 수평편파 프로브로 인가되는 전파를 도체바가 반사시켜 다시 수직편파 프로브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피드혼에서 웨이브가이드(22)의 내부 저면(22a)을 입력되는 파를 반사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반사판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브에서 반사판까지의 길이별 반사손실 그래프이고, 도 6b는 프로브에서 반사판까지의 길이별 아이솔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브에서 반사판까지의 길이별(7mm,7.5mm, 9mm) 반사손실은 길이가 작을수록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브에서 반사판까지의 길이별(7mm,7.5mm, 9mm) 아이솔레이션 레벨은 길이가 작을수록 낮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길이가 작을수록 아이솔레이션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 잡음 주파수변환기에서 프로브에 수직하는 도체 폴(pole)에 도체 바(bar)를 형성시킴으로서,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에 관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혼(21)과 웨이브 가이드(22)를 갖는 원형 피드혼(20)에 있어서,
    위성신호중 제1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웨이브 가이드(22) 내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1 프로브(P1);
    상기 제1 위성신호와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2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웨이브 가이드(22) 내측면 각각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2 프로브(P2);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웨이브 가이드(22)의 내부 저면(22a) 중앙에서 상기 제1 프로브(P1) 및 제2 프로브(P2) 각 단부 사의 공간으로 연장된 도체 폴(isolation pole)(IS); 및
    상기 도체 폴(IS)에서, 상기 제1 프로브(P1)에 대응하는 지점과 상기 제2 프로브(P2)에 대응하는 지점 사이에, 상기 도체 폴(IS)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도체 바(IB)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바(IB)는
    상기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2 프로브(P2)에 의해 형성되는 90°사이에 설치한 제1 도체 바(IB1); 및
    상기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2 프로브(P2)에 의해 형성되는 270°사이에 설치한 제2 도체 바(IB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바(IB)는
    상기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2 프로브(P2)에 의해 형성되는 90°사이에, 상기 각 제1 프로브(P1) 및 상기 제2 프로브(P2)와 45°를 이루도록 설치한 제1 도체 바(IB1); 및
    상기 제1 프로브(P1)와 상기 제2 프로브(P2)에 의해 형성되는 270°사이에, 상기 각 제1 프로브(P1) 및 상기 제2 프로브(P2)와 135°를 이루도록 설치한 제2 도체 바(IB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바(IB)는
    상기 도체 폴(IS)의 길이보다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KR10-2001-0077664A 2001-12-08 2001-12-08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KR10043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664A KR100439401B1 (ko) 2001-12-08 2001-12-08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664A KR100439401B1 (ko) 2001-12-08 2001-12-08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234A KR20030047234A (ko) 2003-06-18
KR100439401B1 true KR100439401B1 (ko) 2004-07-09

Family

ID=2957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664A KR100439401B1 (ko) 2001-12-08 2001-12-08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616B1 (ko) * 2015-08-31 2017-05-30 전자부품연구원 멀티 채널 밀리미터 플라스틱 웨이브 가이드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535A (en) * 1988-09-08 1991-02-26 General Electric Company Shortened dual-mode horn antenna
US5841404A (en) * 1997-02-04 1998-11-24 Yen; Kerl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ing and transferring device with high polarization isolation performance
EP0945911A1 (en) * 1998-03-26 1999-09-29 Alps Electric Co., Ltd.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converter
JPH11284428A (ja) * 1998-03-30 1999-10-15 New Japan Radio Co Ltd パラボラアンテナ給電用一次放射器
JPH11308005A (ja) * 1998-04-20 1999-11-05 Fujitsu General Ltd 偏波分波装置
JP2000114803A (ja) * 1998-09-30 2000-04-21 Fujitsu General Ltd 直線偏波用フィードホ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535A (en) * 1988-09-08 1991-02-26 General Electric Company Shortened dual-mode horn antenna
US5841404A (en) * 1997-02-04 1998-11-24 Yen; Kerl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ing and transferring device with high polarization isolation performance
EP0945911A1 (en) * 1998-03-26 1999-09-29 Alps Electric Co., Ltd.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converter
JPH11284428A (ja) * 1998-03-30 1999-10-15 New Japan Radio Co Ltd パラボラアンテナ給電用一次放射器
JPH11308005A (ja) * 1998-04-20 1999-11-05 Fujitsu General Ltd 偏波分波装置
JP2000114803A (ja) * 1998-09-30 2000-04-21 Fujitsu General Ltd 直線偏波用フィードホ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616B1 (ko) * 2015-08-31 2017-05-30 전자부품연구원 멀티 채널 밀리미터 플라스틱 웨이브 가이드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234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2763B1 (ko) 안테나장치및레이더모듈
US6906676B2 (en) FSS feeding network for a multi-band compact horn
US4498061A (en) Microwave receiving device
US9728863B2 (en) Power splitter comprising a tee coupler in the e-plane, radiating array and antenna comprising such a radiating array
JPH10126146A (ja) ミリ波平面アンテナ
US6798386B1 (en) System with multiple source antennas integrated with a low-noise frequency converter
JP3769494B2 (ja) 偏波分離構造、電波受信用コンバータおよびアンテナ装置
KR100707897B1 (ko) 전송 선로 도파관 변환기, 마이크로파 수신용 컨버터 및위성 방송 수신 안테나
CA2014661C (en) Nested horn radiator assembly
US5977844A (en) Dual polarization waveguide probe system
KR100439401B1 (ko)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보강한 피드혼
JP3060871B2 (ja) アンテナ
US4695844A (en) Device for receiving dual polarized microwave signals
JP3607825B2 (ja)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
RU2703605C1 (ru) Волноводный поляризационный селектор с уменьшенным продольным размером
JP3055467B2 (ja) アンテナ
WO2004105177A2 (en) Waveguide slot antenna
KR100415572B1 (ko)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개선한 피드혼
JP3826156B2 (ja) 偏波分離構造、電波受信用コンバータおよびアンテナ装置
US6181277B1 (en) Microstrip antenna
GB2182806A (en) Linearly polarized grid reflector antenna system with improved cross-polarization performance
CN102074773B (zh) 波导管式正交模变换器
JP2002094301A (ja) 直線偏波受信用コンバータ
KR960002460B1 (ko) 동축 도파관 변환기 및 이것을 구비한 위성방송용 안테나의 컨버터
KR20060017281A (ko) 위성방송 수신용 평면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