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231B1 - 커플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플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231B1
KR100437231B1 KR10-2001-0056354A KR20010056354A KR100437231B1 KR 100437231 B1 KR100437231 B1 KR 100437231B1 KR 20010056354 A KR20010056354 A KR 20010056354A KR 100437231 B1 KR100437231 B1 KR 100437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emitter
optocoupler
adhesive
surface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114A (ko
Inventor
핸리마이클프란시스
죤슨글렌왈던
말라그리노제럴드다니엘2세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2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2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being a coupling medium interposed therebetween, e.g. epoxy resin, refractive index matching material, index grease, matching liquid or ge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36Fixing or mounting methods of the aligned elements
    • G02B6/4239Adhesive bonding; Encapsulation with polym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는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를 부착하고 있다. 광 커플러는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에 결합되며,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복수의 광 파이버를 갖는다. 상기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는 갭에 의해 광 커플러로부터 분리되어 광 커플러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갭은 0 마이크론보다 크고 약 50 마이크론보다 작다. 경화성 접착제가 상기 갭에 위치하여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를 광 커플러에 결합시킨다. 상기 접착제는 갭의 크기를 규정하는 점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커플링 장치 및 방법{ENHANCED COUPLING ARRANGEMENT FOR AN OPTOELECTRONIC TRANSDUCER}
본 발명은 광전자 변환기를 위한 개선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 파이버와 같은 광학 디바이스를 위한 광 커플러와 예를 들어,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와 같은 표면 방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광 파이버와 같은 광학 디바이스가 정보 전달을 위해 변조된 광 파(light wave)를 위한 콘딧(conduit)(도파관으로 알려져 있음)으로 사용되는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이 현재 개발 중에 있다. 이들 시스템은 적어도 광 방출기와, 광학 디바이스와 광 방출기를 접속하는 광 커플러를 포함한다. 광 방출기 또는 광 검출기를 총칭하여 "광전자 변환기(optoelectronic transducer)"라고 한다.
예를 들면, 광전자 변환기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또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광 신호는 아주 빠른 속도로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데이터를 반송한다. 통상적으로, 광 신호는 공지된 회로를 이용하여 관련 전기 신호로 변환되거나 또는 관련 전기 신호로부터 변환된다. 이러한 광전자 변환기는 컴퓨터와 같이, 데이터가 고속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디바이스에 빈번히 사용된다.
광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 방출기는 통상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레이저 방출기이다. 통상적으로, 광 신호를 수신하는데 포토다이오드가 사용된다. 광 파이버 케이블을 형성하는 광 파이버들이 각각의 LED 또는 레이저 및 포토다이오드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광 신호들이, 예를 들어 다른 광전자 변환기로전송되거나 이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광전자 변환기는 통상적으로 입력/출력 카드 또는 입력/출력 카드에 접속되어 있는 포트 카드 상에 위치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광 전자 변환기를 부착한) 입력/출력 카드는 통상적으로 회로 보드, 예를 들면, 마더보드에 접속된다. 이 때, 상기 조립체는 컴퓨터 하우징 내에 고정된 프레인인 섀시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섀시는 컴퓨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조립체를 담아놓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광전자 변환기로 이용될 수 있는 두 개의 상이한 유형의 광 방출기가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에지 방출기(edge emitter)와 표면 방출기를 포함한다. 에지 방출기는 통상적으로 칩의 에지에 위치한 광 방출부를 가지며, 예를 들어 크기가 1/2 ×4 마이크론으로 총 면적이 약 2평방 마이크론인 활성 영역을 갖는다. 이에 반해,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VCSEL)와 같은 표면 방출기는 통상적으로 에지 방출기의 활성 영역보다 훨씬 더 큰 활성 영역을 갖는다. 표면 방출기의 활성 영역은, 예를 들어 약 400 평방 마이크론의 활성 영역을 제공하도록 약 20 마이크론의 직경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통상적인 에지 방출기와 대조적으로, 종래의 표면 방출기는 비활성 부분들로 둘러싸여진 활성 영역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활성 부분을 베어링 표면(bearing surface)으로 이용함으로써 표면 방출기에 바로 인접하게 다른 디바이스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에지 방출기와는 대조적으로, 표면 방출기는 실리콘 이산화물 또는 기타 질화물과 같은, 패시베이션 목적으로 이용되는 코팅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VCSEL에 의하면, 광이 칩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원뿔형 빔으로 방출된다. 또한, 종래의 VCSEL은 집적된 2차원 어레이 구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VCSEL은 예를 들어 약 250 마이크론 정도 분리된 12개의 표면 방출기로 이루어지는 선형 어레이 또는 16×16 어레이 또는 8×8 어레이의 2차원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어레이들의 배열도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2차원 어레이보다 선형 어레이 내의 VCSEL로부터 방출된 광을 집광하는 광 파이버를 정렬(align)시키는 것이 쉽기 때문에, 광전자 변환기와 함께 사용하는데 선형 어레이가 보다 양호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VCSEL들을 어떠한 종류든 간에 어레이로 배열하지 않고 VCSEL들을 한 줄로만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광 방출기로부터 방출된 만큼의 광이 각각의 광 파이버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광 방출기로부터 방출된 광은 항상 발산한다. 상기 발산에 의해 일부 방출된 광이 광 파이버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전송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방출기와 광 파이버 사이에 브리지되어야 하는 갭을 제어하는데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방출된 광이 발산함에 따라, 방출된 광을 각각의 광 파이버와 정렬시키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즉, 방출된 광빔이 각각의 광 파이버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면, 정렬 과정에서 어느 정도 허용될 수 있는 에러 마진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광 방출기는, 방출된 광이 완전히 광 파이버 상에 충돌(impinging)하도록 하면서, 각각의 광 파이버에 대해 중심을 약간 이탈할 수도 있다. 반면에, 방출된 광빔이 발산으로 인해 각각의 광 파이버의 직경보다 더 크거나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 광 방출기가 각각의 광 파이버에 대해 중심으로부터 약간만 이동해도 방출된 광의 일부는 광 파이버와 만나지 못하게 될 것이다.
광 파이버와 광 방출기 간의 오정렬(misalignment)을 줄이고, 방출된 광이 목표 지점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빗나가지(miss)" 않도록 하기 위해, 광 방출기는 능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능동적으로 정렬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광 방출기는 통상적으로 온(on)으로 되고 다른 소자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 광 방출기와 정렬된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생성된 각각의 디바이스는 개별적으로 정렬된다. 디바이스가 대량 생산되는 경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위치 허용오차가 아주 작을 때, 특히 방출된 광빔에서 발산이 심한 경우, 능동 정렬이 광 방출기가 광 파이버와 확실히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채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수동 정렬 기법은 광 방출기를 각각의 광 파이버에 정렬하기 위해 지그(jig) 또는 다른 수동 조작을 이용한다. 수동 정렬 기법은 능동 정렬 기법보다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위치 허용 오차가 보다 큰 경우, 즉, 각각의 광 파이버에 대한 광 방출기의 약간의 위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는 경우에 가장 적절하다.
이상으로부터 가능한 한 광 방출기로부터 방출된 광빔의 발산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광빔의 발산을 줄이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광 방출기를 가능한 한 광 파이버에 가깝게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광 방출기의 약한 성질 때문에, 특히 정렬 과정에서, 광 방출기의 표면은 광 파이버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방출기를 광 파이버에 대해 고정시켜,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및 2에는, VCSEL과 같은 광 방출기(10)가 캐리어(carrier)(12)에 부착되어 있으며, 광 파이버의 단부(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광 커플러(14) 내에 삽입되어 있는 기존의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장치에서, 광 방출기(10)가 아니라 캐리어(12)가 광 커플러(14)에 직접 부착된다. 또한, 광 방출기는 통상 칩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예시를 위해, 광 방출기와 관련 칩은 모두 총칭하여 광 방출기(10)라 한다.
캐리어(12)는 통상적으로 금형 제작되거나 구리와 같은 열전도 재료(thermally-conductive material)로 제조되어 광 방출기(10)에 의해 생성된 열을 방산시키는 것을 돕는다. 또한, 캐리어(12)는 통상적으로 웰(well)(18)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접촉면을 구비한다. 웰(18)은 광 방출기를 갖는 칩을 수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칩은 에폭시 수지 또는 웰(18)의 바닥에 위치한 기타 접착제를 이용하여 캐리어(12)에 부착된다. 또한, 광 커플러(14)의 종단면은 광 파이버가 위치하는 중간 활성 영역을 갖는다. 캐리어(12)가 광 커플러(14)에 부착되는 경우, 캐리어의 상기 두 개의 접촉면(16)은 광 커플러(14)의 중간 활성 영역의 한 측면 상에 배치되며, 따라서 광 방출기(10)는 광 파이버와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12)는 통상적으로 구리로 형성되므로, 상기 캐리어는 광 방출기(10)를 위한 복귀 전기 통로(return electrical path) 역할을 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즉, 칩을 캐리어(12)에 부착하는데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에폭시 수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 방출기(10)로부터 상기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에폭시 수지를 통해 캐리어로 전류가 흐르며, 그 밖의 곳에서는 예를 들어, 유연한 케이블 상의 전기 전도체를 이용하여 전도된다.
광 방출기(10)의 정확한 배치 및 정렬을 돕기 위해, 다양한 접촉 표면(광 커플러(14)의 종단면과 캐리어의 접촉 표면(16))이 그 최고점으로부터 최저점까지가 약 2 마이크론 정도로 아주 평탄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칩은 기지의(known) 정의된 두께를 가지며, 아주 평탄한 상부 및 하부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칩이 웰(18) 내에 부착될 때, 캐리어(12)는 광 커플러(14)의 종단면에 부착되고, 기지의 크기를 갖는 갭(20)이 칩 상의 광 방출기(10)의 상부면과 광 커플러의 종단면 사이에 형성될 것이다. 상기 갭(20)은 통상적으로 정렬 과정에서 광 방출기(1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그러나, 인접한 표면들 각각은 관련 허용 오차를 갖는다. 즉, 웰(18)의 깊이의 크기, 칩의 두께, 에폭시 수지 또는 칩을 웰의 하부에 부착하는데 사용된 기타 접착제의 두께, 광 커플러(14)의 종단면의 표면 평탄도(flatness) 및 제조 허용오차로 인한 캐리어의 접촉 표면(16)이 변할 수 있다. 이들 허용오차는 누적되며, 따라서 통 누적된 허용오차는 약 50 마이크론이며, 그 결과 갭은 약 75 내지 125 마이크론이 된다. 상기 갭은 비교적 크며, 광빔의 상당한 발산을 허용하므로, 따라서 복잡한 능동 정렬 기법이 요구되며, 감소된 양의 광이 광 파이버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광전자 변환기에 있어서 방출된 광의 발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갭이 최소화된 커플링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방출된 빔의 집광을 돕기 위해 커플링 장치 내에 렌즈를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렌즈를 이용하면 복잡해지며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렌즈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방출된 광의 발산을 감소시키는 광전자 변환기를 위한 커플링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내부에(즉, 광 커플러 내에) 광 파이버를 포함하는 마운트(mount)에 칩을 직접 부착(즉, 갭 없이)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Brow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0,198호에는, 칩을 광 파이버와 정렬시킨 후에, 칩과 마운트 사이에 위치된 투명 에폭시 수지 또는 솔더(solder)의 도포에 의해 칩이 적절한 위치에 유지(hold)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칩은 소위 하드 스톱 장치(hard stop arrangement) 내의 마운트의 종단면에 대해 유지된다. 즉, 두 요소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포인트에서 서로 직접 접촉할 때까지 칩이 마운트에 대해 밀착된다. 그러나, 이 장치는, 정렬하는 동안 칩이 마운트의 종단면에 대해 움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칩이 마운트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칩의 표면은 상대적인 미끄럼 운동을 하는 동안 마운트와의 결합으로 인해 손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지된 장치는 칩과 마운트 사이의 갭이 감소되도록 하지만, 에폭시 수지의 도포 전에 정렬 기법이 수행되기 때문에, 정렬 과정에서 칩이 손상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 따라서, 칩과 광 커플러 사이의 갭을 감소시켜, 칩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칩을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광전자 변환기를 위한 개선된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광전자 변환기를 위한 개선된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2는 종래의 광전자 변환기용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는 도 3 및 4의 광 방출기(light-emitter)와 광 커플러(light coupler) 사이에 위치한 갭, 접착부 및 볼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볼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캐리어(carrier) 24 : 표면 방출기
26 : 광 커플러 28 : 접착제
30 : 갭 32 : 볼
34 : 유리 베이스(glass base) 36 : 플라스틱 코팅
38 : 광 파이버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본원 명세서에 개시된 광전자 변환기를 위한 개선된 커플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종래의 본딩 표면의 크기가 감소되었거나 제거된 캐리어가 제공된다. VCSEL과 같은 표면 방출기는 종래의 방법으로 캐리어에 부착된다. 그러나, 캐리어의 접촉 표면에 광 커플러를 부착하는 대신에, 본 발명의 상기 특징은 광 커플러를 표면 방출기에 결합시키기 위해 우레탄 아크릴산염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Torrington, Connecticut에 위치한 Dymax(TM)사의 우레탄 아크릴산염(628 시리즈)이 이용되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산염은 통상 650cP(centipoise)의 점도를 가지며, UV 또는 가시광, 열 또는 활성제로 경화된다.
접착제의 점도 때문에, 사전 결정된 양의 힘이 광 커플러와 표면 방출기 사이에 가해지면, 접착제는 점착성의 윤활 매체(lubricating medium) 역할을 하여 베어링 층으로 작용하며, 표면 방출기의 표면이 광 커플러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는다. 그 다음에 광 커플러와 표면 방출기는, 광 커플러가 표면 방출기의 표면을 손상시킬지에 대한 걱정없이 능동 또는 수동 정렬 기법을 이용하여 정렬될 수 있다. 정렬 후에 접착제는 경화되어 표면 방출기를 광 커플러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접착제는 예를 들어 10 마이크론 정도의 바람직한 갭의 직경을 각각 갖는 복수의 작은 볼을 포함한다. 상기 볼들은 광 커플러와 표면 방출기 사이에 너무 큰 힘이 가해지면, 접착제의 일부가 그 사이에 남아 있도록 보장한다. 또한, 상기 볼들은 광 커플러의 활성 영역과 표면 방출기 사이가 평행하게 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정렬 동안에, 상기 볼들은 회전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볼들은 베어링 표면 역할을 하며, 이것은 표면 방출기를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볼들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반투명 재료로 만들어지며, 접착제의 반사율과 거의 유사한 반사율을 갖는다. 이것은 상기 볼들이 광의 부가적인 산란 및 잠재적인 손실을 가져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볼들은 유리 베이스(glass base)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플라스틱 코팅으로 피복될 수도 있다. 유리 베이스는 비교적 딱딱한 베이스 역할을 하지만, 유리가 플라스틱으로 피복되기 때문에, 심하게 압력이 가해져도 유리가 표면 방출기의 표면을 파괴시키거나 열화시키지 않는다. 대신에, 플라스틱은 완충 역할을 하는 버퍼층으로 작용한다. 반면에, 하부 유리 베이스는 심한 압력이 가해지면 일그러질(distorted) 수도 있는 순 플라스틱 볼에 비해 훨씬 더 튼튼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볼들은 비접착 캐리어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볼들이 갭을 설정하는데 사용된 후에, 표면 방출기를 광 커플러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바를 수 있다.
다음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써 제공될 뿐, 본원의 신규한 개념을 특정한 물리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라.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상부(upper)", "하부(lower)", "전면(front)", "후면(back)", "위(over)", "아래(under)"라는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방향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들 용어들은 상대적인 기준에 대해서만 사용된다.
도 3 및 4에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접촉면들의 크기가 감소했거나 접촉면들이 제거된 캐리어(22)를 이용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면 방출기(24)는 칩(별도의 참조부호는 없음) 상에 형성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이다. 표면 방출기(24)는 종래의 방식으로 캐리어(22)에 부착된다. 단지 하나의 표면 방출기만 예로서 이용되었지만, 복수의 표면 방출기가 칩의 공통 표면상의 어레이 내에 배열될 수도 있음을 주지하라. 각각의 표면 방출기는 자신의 각각의 광 신호를 방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종래의 방식으로 캐리어의 접촉면에 광 커플러(26)를 부착하는 대신에, 본 발명은 우레탄 아크릴산염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28)(도 5 참조)를 이용하여 광 커플러(26)를 표면 방출기(24)에 결합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Torrington, Connecticut의 Dymax(TM)사에 의해 제조된 우레탄 아크릴산염(628 시리즈)이 이용되었다. 이 우레탄 아크릴산염은 통상 650 cP(centipoise)의 점도를 가지며, UV 또는 가시광, 열 또는 활성제로 경화된다.
접착제(28)의 점도 때문에, 광 커플러(26)와 표면 방출기(24) 사이에 사전 결정된 양의 힘이 가해지면, 접착제(28)는 점착성의 윤활 매체 역할을 하여 베어링 층으로 작용하며, 표면 방출기의 표면이 광 커플러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는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우레탄 아크릴산염 접착제가 이용될 때, 1 파운드의 힘이 광 커플러(26)와 표면 방출기(24) 사이에 가해져서 그 사이에 약 10 마이크론의 갭(30)을 형성한다. 물론, 상이한 점도를 갖는 접착제가 사용되면, 원하는 갭을 얻기 위해 힘의 세기가 변형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그 다음에, 광 커플러(26)와 표면 방출기(24)는 광 커플러가 표면 방출기의 표면을 손상시킬지에 대한 걱정없이 능동 또는 수동 정렬 기법을 이용하여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갭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방출된 광의 낮은 발산으로 인해 수동 정렬 기법이 양호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정렬 후에는, 접착제(28)가 경화되어 표면 방출기(24)를 광 커플러(26)에 부착시킨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측면에서, 접착제(28)는 예를 들어 10 마이크론 정도의 바람직한 갭의 직경을 각각 갖는 복수의 작은 볼(32)을 포함한다. 볼(32)들은 광 커플러와 표면 방출기 사이에 너무 큰 힘이 가해지면, 접착제(28)의 일부가 그 사이에 남아 있도록 보장한다. 또한, 상기 볼(32)들은 광 커플러(26)의 활성 영역과 표면 방출기(24) 사이가 평행하게 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정렬 동안에, 상기 볼(32)들은 회전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볼들은 베어링 표면 역할을 하며, 이것은 표면 방출기(24)를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32)들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반투명 재료로 만들어지며, 접착제(28)의 반사율과 거의 유사한 반사율(즉, 진공에서의 광속을 상기 재료 내의 광속으로 나눈 비)을 갖는다. 이것은 상기 볼들이 광의 부가적인 산란 및 잠재적인 손실을 가져오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상이한 재료들의 굴절율은 0.5 정도의 지수(index) 내에 있을 것이다. 이에 비해, 두 재료의 굴절율이 크게 상이하면, 상기 볼들은 부가적인 산란 및 잠재적인 광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볼(32)들은 유리 베이스(glass base)(34)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플라스틱 코팅(36)으로 피복될 수도 있다. 유리 베이스(34)는 비교적 딱딱한 베이스 역할을 하지만, 유리가 플라스틱(36)으로 피복되기 때문에, 심하게 압력이 가해져도 유리가 표면 방출기(24)의 표면을 파괴시키거나 열화시키지 않는다. 대신에, 플라스틱(36)은 완충 역할을 하는 버퍼층으로 작용한다. 반면에, 하부 유리 베이스(34)는 심한 압력이 가해지면 일그러질(distorted) 수도 있는 순 플라스틱 볼에 비해 훨씬 더 튼튼할 것이다.
또한, 볼들이 비접착 캐리어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볼들이 갭을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광 커플러 및 표면 방출기가 정렬된 후에, 표면 방출기를 광 커플러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바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논의로부터 명백하듯이, 접착제의 점도 및/또는 접착제 내의볼들을 이용함으로서, 본 발명은 광 커플러와 표면 방출기 사이의 갭을 최소로 줄이는 동안 표면 방출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표면 방출기가 광 커플러에 대해 정렬되도록 한다.
볼(32)에 대한 대안으로서, 표면 방출기(24)의 표면과 광 커플러(26)의 표면이, 예를 들어, 기계적인 지그(jig)(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평행판들 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둘 중 표면 방출기(24)와 같은 하나의 디바이스가 리모트 센터 컴플라이언스 디바이스(remote center compliance device)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된 운동이 허용되는 디바이스이다. 두 표면에 힘이 가해지면, 점성의 접착제가 표면 방출기와 광 커플러 사이의 갭으로부터 유출되어 두 디바이스가 비교적 가깝게 된다. 따라서, 가해진 힘, 접착제의 점도 및 두 디바이스에 공통인 표면 영역에 의해 갭이 제어된다(공통 표면 영역은 2 mm2내지 50 mm2이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약 3 mm2이다).
본 발명은 광 파이버(38)를 포함하는 광 커플러(26)와 관련한 예를 통해 이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표면 방출기에 평면을 제공하는 어떠한 유형의 광학 디바이스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렌즈 어레이, 또는 광을 집광하고 그것을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기타 다른 광학 디바이스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장치 및 요소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수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주지하라.
권리로서 주장된 본 발명을 실시하고 이용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취해진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적절히 개시되어 있음을 당업자들은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많은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은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 및 그 의도하는 바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칩과 광 커플러 사이의 갭을 감소시켜, 칩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칩을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링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3)

  1. 커플링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 방출기(surface emitter)와,
    상기 표면 방출기에 결합되어, 상기 표면 방출기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광 커플러―상기 표면 방출기는 0 마이크론보다 크고 약 50 마이크론보다 작은 갭에 의해 상기 광 커플러로부터 분리되어 있슴―와,
    상기 표면 방출기와 상기 광 커플러 간의 갭 내에 배치된 다수의 볼을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커플러는 상기 표면 방출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커플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방출기는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인 커플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커플러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방출기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파이버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 내에 배치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우레탄 아크릴산염(urethane acrylate)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볼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되, 상기 볼들의 직경은 상기 갭의 크기를 규정하는 커플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볼은 약 10 마이크론의 직경을 갖는 커플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볼은 유리 베이스(glass base)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볼은 각각의 유리 베이스를 둘러싸는 플라스틱 코팅을 더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방출기를 상기 광 커플러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갭 내에 배치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들은 상기 접착제 내에 배치되는 커플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및 상기 볼들은 반투명이며, 상기 접착제 및 상기 볼들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커플링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방출기를 부착한 캐리어(carri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면 방출기는 상기 캐리어와 상기 광 커플러 사이에 삽입되는 커플링 장치.
  15. 표면 방출기를 광 커플러에 커플링(coupling)시키는 방법으로서,
    표면 방출기와 광 커플러 사이에 약 650 cP의 점도를 갖는 점착성 재료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착성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표면 방출기와 상기 광 커플러 사이에 약 1파운드의 힘을 가함으로써 갭을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점착성 재료를 위치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광 커플러에 대해 상기 표면 방출기를 정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플링 방법.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방출기가 상기 광 커플러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갭이 상기 정렬 단계 동안에 유지되는 커플링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 이후에, 상기 표면 방출기가 상기 광 커플러에 부착되도록 상기 점착성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플링 방법.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은 수동 정렬 조작인 커플링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재료는 경화성 접착제인 커플링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은 베어링 층(bearing layer)으로서 상기 점착성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표면 방출기와 상기 광 커플러 사이에 부동 접촉(a floating contact)을 확립하는 커플링 방법.
  23. 커플링 장치로서,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a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와,
    상기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를 부착한 캐리어(carrier)와,
    상기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복수의 광 파이버를 갖는 광 커플러 -상기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는 갭에 의해 상기 광 커플러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광 커플러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갭은 0 마이크론보다 크고 약 50 마이크론보다 작음- 와,
    상기 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와 상기 광 커플러를 결합시키는 경화성 접착제―상기 접착제는 상기 갭의 크기를 규정하는 점도를 가지되, 그 점도는 상기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와 상기 광 커플러 간에 약 1 파운드의 힘이 가해질 때 갭이 형성되도록 약 650 cP가 됨―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KR10-2001-0056354A 2000-09-21 2001-09-13 커플링 장치 및 방법 KR100437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66,790 US6542669B1 (en) 2000-09-21 2000-09-21 Enhanced coupling arrangement for an optoelectronic transducer
US09/666,790 200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114A KR20020023114A (ko) 2002-03-28
KR100437231B1 true KR100437231B1 (ko) 2004-06-23

Family

ID=2467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354A KR100437231B1 (ko) 2000-09-21 2001-09-13 커플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42669B1 (ko)
KR (1) KR100437231B1 (ko)
CN (1) CN1162724C (ko)
MY (1) MY134293A (ko)
SG (1) SG98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5269A1 (en) * 2002-03-26 2003-10-02 Gutin Mikhail A. Fiber-coupled vertical-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DE102006041959A1 (de) * 2006-08-30 2008-03-06 Karl Storz Gmbh & Co. Kg Beleuchtungssystem zum Erzeugen von Licht und zum Einkoppeln des Lichts in ein proximales Ende eines Lichtleitkabels einer Beobachtungsvorrichtung für die Endoskopie oder Mikroskopie
JP6730583B2 (ja) * 2016-02-12 2020-07-29 富士通株式会社 光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7006A (ja) * 1991-03-16 1992-10-12 Fujitsu Ltd 光半導体モジュール
EP0562211A1 (en) * 1992-03-25 1993-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ligning fiber couplers
JPH05313045A (ja) * 1992-05-07 1993-11-26 Nec Corp 光結合装置
US5271083A (en) * 1992-07-27 1993-12-14 Motorola, Inc. Molded optical waveguide with contacts utilizing leadfram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276754A (en) * 1992-07-06 1994-01-04 Motorola, Inc. Optoelectronic mount and method for making
US5631988A (en) * 1993-05-24 1997-05-20 Vixel Corporation Parallel optical interconnect
US5774614A (en) * 1996-07-16 1998-06-30 Gilliland; Patrick B. Optoelectronic coupl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40564A (en) * 1997-08-05 1999-08-17 Picolight, Inc. Device for coupling a light source or receiver to an optical waveguide
US5973337A (en) * 1997-08-25 1999-10-26 Motorola, Inc. Ball grid device with optically transmissive coating
JP2000269523A (ja) * 1999-03-16 2000-09-29 Fuji Xerox Co Ltd 光電変換装置
US6243508B1 (en) * 1999-06-01 2001-06-05 Picolight Incorporated Electro-opto-mechanical assembly for coupling a light source or receiver to an optical waveguide
US6328482B1 (en) * 1998-06-08 2001-12-11 Benjamin Bin Jian Multilayer optical fiber coupl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847A (en) * 1981-02-23 1987-03-31 Motorola, Inc. Fiber optics semiconductor package
NL8303251A (nl) * 1983-09-22 1985-04-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optisch verbinden van een lichtgeleider aan een elektrooptische inrichting.
US4730198A (en) 1984-11-26 1988-03-0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Aligning arrays of optoelectronic devices to arrays of optical fibers
US5959315A (en) * 1992-03-02 1999-09-28 Motorla, Inc. Semiconductor to optical link
US5912913A (en) * 1995-12-27 1999-06-15 Hitachi, Ltd.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optical transmitter-receiver module using the laser, and paralle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laser
US6081638A (en) * 1998-07-20 2000-06-27 Honeywell Inc. Fiber optic header with integrated power monitor
US6356686B1 (en) * 1999-09-03 2002-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encapsulant
US6337760B1 (en) * 2000-07-17 2002-01-08 Reflectivity, Inc. Encapsulated multi-directional light beam stee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7006A (ja) * 1991-03-16 1992-10-12 Fujitsu Ltd 光半導体モジュール
EP0562211A1 (en) * 1992-03-25 1993-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ligning fiber couplers
JPH05313045A (ja) * 1992-05-07 1993-11-26 Nec Corp 光結合装置
US5276754A (en) * 1992-07-06 1994-01-04 Motorola, Inc. Optoelectronic mount and method for making
US5271083A (en) * 1992-07-27 1993-12-14 Motorola, Inc. Molded optical waveguide with contacts utilizing leadfram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631988A (en) * 1993-05-24 1997-05-20 Vixel Corporation Parallel optical interconnect
US5774614A (en) * 1996-07-16 1998-06-30 Gilliland; Patrick B. Optoelectronic coupl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40564A (en) * 1997-08-05 1999-08-17 Picolight, Inc. Device for coupling a light source or receiver to an optical waveguide
US5973337A (en) * 1997-08-25 1999-10-26 Motorola, Inc. Ball grid device with optically transmissive coating
US6328482B1 (en) * 1998-06-08 2001-12-11 Benjamin Bin Jian Multilayer optical fiber coupler
JP2000269523A (ja) * 1999-03-16 2000-09-29 Fuji Xerox Co Ltd 光電変換装置
US6243508B1 (en) * 1999-06-01 2001-06-05 Picolight Incorporated Electro-opto-mechanical assembly for coupling a light source or receiver to an optical wave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98032A1 (en) 2003-08-20
CN1344947A (zh) 2002-04-17
US6542669B1 (en) 2003-04-01
KR20020023114A (ko) 2002-03-28
MY134293A (en) 2007-12-31
CN1162724C (zh)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9566B2 (en) Structure of photoelectric conversion assembly having a circuit board embedded within the concave portion of an optical bench
US741335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structural units connected by an articulated joint
US6203212B1 (en) Optical subassembly for use in fiber optic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EP3165953B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EP3220174B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ssembly
US6792171B2 (en) Receiver optical sub-assembly
US7092603B2 (en) Optical bridge for chip-to-board interconnection and methods of fabrication
KR100460703B1 (ko) 일체화된 광송수신 모듈과 광도파로를 구비하는 광백플레인
US10416396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US6839476B2 (en)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method for coupling optical signals between layers of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EP2426537A2 (en) Optical coupler module having optical waveguide structure
JP2006506657A (ja) 光ファイバーとの半導体装置の能動的光学整合のための一体化プラットホーム
JP2001242358A (ja) 光ファイバ接続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7271998A (ja) 光コネクタ及び光モジュール
US6879423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with multi-channel block-type optical devices packaged therein
KR100734906B1 (ko) 연성 광 pcb를 이용한 광연결 장치
TWI402549B (zh) 光電互連模組
KR100437231B1 (ko) 커플링 장치 및 방법
US20020126962A1 (en) Brent waveguide for connection to at least one device, adaptive passive alignment features facilitating the conn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6733188B2 (en) Optical alignment in a fiber optic transceiver
KR100864962B1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연성 광 접속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80901A (ko) 연성 광 pcb를 이용한 신호전달 장치
WO2002077691A2 (en) Optical interconnect structure, system and transceiver including th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