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574B1 -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574B1
KR100435574B1 KR10-2002-0035729A KR20020035729A KR100435574B1 KR 100435574 B1 KR100435574 B1 KR 100435574B1 KR 20020035729 A KR20020035729 A KR 20020035729A KR 100435574 B1 KR100435574 B1 KR 10043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information
issuer
settle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034A (ko
Inventor
민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캐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캐시
Priority to US10/326,99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30236743A1/en
Publication of KR2003000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574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폐 발급사들과 가맹점들을 공유하여 전자화폐를 다양한 가맹점에서 결재할 수 있도록 한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은 전자화폐를 발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발급사들을 구비하는 발행그룹과; 발행그룹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발행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발급사들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라우팅 서버와; 인터넷 상에서 물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가맹점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SHARED SYSTEM AND METHOD OF ELECTRIC CASH}
본 발명은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화폐 발급사들과 가맹점들을 공유하여 전자화폐를 다양한 가맹점에서 결재할 수 있도록 한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보급 확산과 기술의 향상에 힘입어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입하는 전자 상거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때 신용카드 및 전자화폐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전자화폐는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에는 전자화폐 발급사들이 독자적으로 회원과 가맹점을 모집하여 전자화폐가 공유되지 못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화폐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화폐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은 사용자(2), 제 1가맹점(4) 및 발급사(6)를 구비한다. 사용자(2)는 발급사(6)에 회원으로 등록하여 "A"라는 전자화폐를 발급받는다. 발급사(6)는 자신이 발행한 "A" 전자화폐가 인터넷 상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가맹점(4)을 갖는다. 발급사(6)로부터 "A" 전자화폐를 발급받은 사용자(2)는 "A"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제 1가맹점(4)으로부터 소정의 물건을 구입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2)는 발급사(6)에 회원으로 등록함과 아울러 "A" 전자화폐를 발급받는다. 이때, 사용자(2)는 소정의 금액을 발급사(6)에송부함으로써 "A" 전자화폐를 충전한다. 이후, 사용자(2)는 제 1가맹점(4)에 접속하여 가맹점(4)에서 제공하는 물품 중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A" 전자화폐로 구매한다. 가맹점(4)은 사용자(2)가 "A" 전자화폐로 물품을 구입할 때 발급사(6)에 접속하여 사용자(2)가 사용한 전자화폐 금액을 승인받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화폐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에서는 발급사(6)에 등록하지 않은 제 2가맹점(8)에서는 "A" 전자화폐로 물품을 구입할 수 없다. 다시 말하여 제 2가맹점(8)이 "B" 전자화폐의 가맹점으로 등록했을경우 "A" 전자화폐를 사용하는 사용자(2)는 제 2가맹점(8)에서 "A" 전자화폐로 물품을 구입할 수 없다. 아울러, 제 2가맹점(8)이 "A" 전자화폐의 가맹점이라도 발급사가 상이하다면 사용자(2)는 자신의 전자화폐로 제 2가맹점(8)으로부터 물품을 구입할 수 없다.
아울러, 종래에는 사용자(2)와 발급자(6) 간에 엔드-투-엔드 접속이 지원되지 않았다. 다시 말하여, 사용자(2) 및 발급사(6)는 가맹점(4)등을 경유하여 접속되기 때문에 엔드-투-엔드 접속이 보장되지 않고, 이에 따라 사용자(2) 및 발급사(6) 간에 신뢰성보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화폐 발급사들과 가맹점들을 공유하여 전자화폐를 다양한 가맹점에서 결재할 수 있도록 한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화폐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급사 등록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물품 구매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화폐 충전 및 거래정보 전송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0 : 사용자 4,8,22 : 가맹점
6,12,14,16 : 발급사 10 : 발행그룹
18 : 라우팅서버 24 : 정산서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은 각기 전자화폐를 발행하고 상기 전자화폐를 발행받은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다수개의 전자화폐 발급사들을 구비하는 전자화폐 발행그룹; 상기 전자화폐 발행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전자화폐 발급사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라우팅 서버; 상기 인터넷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물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가맹점; 상기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물품을 구매하고 상기 라우팅 서버를 통하여 상기 물품 구매에 사용한 전자화폐를 발행한 전자화폐 발급사를 찾아 상기 물품 구매에 대한 지불 승인을 받아 상기 가맹점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 상기 지불 승인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가맹점으로부터의 지불 승인의 조회를 확인하여 주고 상기 지불 승인의 조회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물품 판매에 대한 정산을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 요청하는 정산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물품의 구매에 사용하는 전자화폐를 발행하는 다수의 전자화폐 발급사들을 구비하는 전자화폐 발행그룹과, 상기 전자화폐 발행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라우팅 서버와, 상기 물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가맹점들과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가맹점과 상기 전자화폐 발행그룹 내 전자화폐 발급사 간의 물품구매에 대한 정산을 처리하는 정산서버가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전자화폐 공유 방법은, (a) 상기 전자화폐 발행그룹에 포함된 각각의 전자화폐 발급사가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발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발행된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단계; (c)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물품 구매에 대한 거래자료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래자료에 결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라우팅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물품 구입에 사용한 전자화폐를 발급한 전자화폐 발급사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를 확인한 전자화폐 발급사에 접속하여 상기 거래자료를 승인받는 단계; (g)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승인된 정보를 상기 가맹점 및 상기 정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정산서버로 상기 전자화폐로 판매한 금액의 정산을 요구하는 단계; 및 (i)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승인 정보와 상기 가맹점의 정산 요구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물품 구매에 사용된 전자화폐를 발행한 전자화폐 발급사로 상기 물품 판매에 대한 정산을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은 발행그룹(10), 라우팅서버(18), 사용자(20), 가맹점(22) 및 정산서버(24)를 구비한다.
발행그룹(10)에는 다양한 전자화폐를 발행하는 발급사들(12,14,16)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발행그룹(10)은 "A" 전자화폐를 발행하기 위한 제 1발급사(12), "B" 전자화폐를 발행하기 위한 제 2발급사(14) 및 "C" 전자화폐를 발행하기 위한 제 n(n은 3이상의 정수) 발급사(16)들을 구비한다.
사용자(20)는 발행그룹(10)에 포함된 다양한 발급사들(12,14,16)이 발행하는 전자화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화폐를 가맹점(22)에서 물품을 구매하는데 이용한다.
라우팅 서버(18)에는 발행그룹(10)에 포함된 각각의 발급사들(12,14,16)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라우팅 서버(18)에는 발급사들(12,14,16) 중 어느 하나의 발급사(12,14,16)에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20)들의 정보가 해당 발급사로부터 전달되어 저장된다. 이때, 라우팅 서버(18)에 저장되는 사용자(20)들의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라우팅 서버(18)에 저장된 사용자(20) 정보가 악의적인 목적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라우팅 서버(18)가 독립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발급사들(12,14,16)의 위치가 변경될 때 라우팅 서버(18)에 포함된 위치정보만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20)들이 발급사들(12,14,16)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발급사들(12,14,16)의 위치정보가 사용자(20)들의 단말기에 포함된다면 발급사들(12,14,16)의 위치가 변경될 때 모든 사용자(20)들의 단말기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모됨과 아울러 사용자(20)들이 실시간으로 정확한 발급사들(12,14,16)의 위치를 파악하기 곤란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라이팅 서버(18)에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팅 서버(18)의 위치정보만을 변경하여 사용자(20)들이 항상 정확한 발급사들(12,14,16)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정산서버(24)는 가맹점(22)으로부터 사용자(20)의 물품 구매에 대한 정산정보를 발행그룹(10)에 포함된 발급사들(12,14,16)들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급사 등록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20)는 라우팅 서버(18)에 접속되어 자신이 원하는 발급사(12,14,16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라우팅 서버(18)에 접속한다(S30).
이를 위해, 라우팅 서버(18)에는 발급사들(12,14,16)의 위치정보(예를 들면, IP주소, URL 정보 등)가 저장되어 있다. 이후, 사용자(20)는 발행그룹(10)에 포함되어 있는 발급사들(12,14,16) 중 어느 하나의 발급사(12,14,16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한다(S32).
여기서, 사용자(20)가 제 2발급사(14)에 접속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발급사(14)에 접속한 사용자(20)는 제 2발급사(14)에 회원으로 등록한다(S34). 이때, 제 2발급사(14)는 라우팅 서버(18)로 사용자(20)의 등록정보를 통지한다(S36). 제 2발급사(14)로부터 사용자(20)의 등록정보를 통지받은 라우팅 서버(18)는 사용자(20)의 등록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제 2발급사(14)에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20)는 제 2발급사(14)로부터 "B" 전자화폐를 발급받는다. 이후, 사용자(14)는 도 5와 같은 충전과정을 거치면서 "B" 전자화폐를 충전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20)는 제 2발급사(14)에 접속하여 소정의 금액을 송부함으로써 "B" 전자화폐를 충전하게 된다(S60). 이후, 제 2발급사(14)는 사용자(20)의 충전정보를 정산서버(24)로 전송한다(S62). 정산서버(24)는 제 2발급사(14)로부터 전송된 충전정보를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64).
도 4는 사용자의 물품 구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발급사(14)로부터 "B" 전자화폐를 발급받은 사용자(20)는 가맹점(22)에 접속한다(S40). 단계(S40)에서 가맹점(22)에 접속한 사용자(20)는 가맹점(22)에서 제공하는 물품 중 어느 하나의 물품을 구매한다(S42). 이때, 가맹점(22)은 사용자(20)의 단말기로 거래자료를 전송한다(S44) 이 거래자료에는 구입물품의 품목 및 가격등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20)는 자신의 단말기로 전송된 거래자료에 결재정보를 입력한다.(S46) 여기서, 사용자(20)는 자신의 단말기로 전송된 거래자료에 결재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에 가맹점(22)에 자신의 정보가 기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악의 적인 목적에 의한 해킹등에 의하여 자신의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S46)에서 결재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20) 단말기는 라우팅 서버(18)에 접속된다. 라우팅 서버(18)는 자신에게 접속된 사용자(20) 단말기와 자신에게 등록된 사용자(20)의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20)가 회원으로 등록한 발급사(14)의 위치를 확인한다(S48).
단계(S48)에서 발급사(14)의 위치가 확인된 후 사용자(20) 단말기는 제 2발급사(14)에 접속된다(S50). 한편, 사용자(20)의 단말기에는 라우팅 서버(18)에 거래자료가 입력되었을 때 라우팅 서버(18)에 접속하여 발급사(14)의 위치를 확인함과 아울러 라우팅 서버(18)에서 제공된 발급사(14)로 접속하기 위하여 특정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은 최초 라우팅 서버(18)에 접속되었을 때 라우팅 서버(18)의 제어에 의하여 설치되게 된다.
단계(S50)에서 사용자(20) 단말기가 접속되면 제 2발급사(14)는 사용자(20)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거래자료에 기재된 금액이 결제 가능한 금액인지를 체크한다(S52). 단계(S52)에서 거래자료에 기재된 금액이 결제 가능한 금액이라면 거래 승인을 한다(S54). 단계(S54)에서 승인된 정보는 사용자(20) 단말기를 경유하여 가맹점(22)에 통보된다(S58). 이후, 가맹점(22)은 사용자(20)가 구입한 물품을 소정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20)에게 전달한다.
한편, 단계(S52)에서 거래자료에 기재된 금액이 결제 가능하지 않다면 제2 발급사(14)는 거래를 승인하지 않는다(S56). 이후, 제2 발급사(14)의 불승인 정보는 사용자(20) 단말기를 경유하여 가맹점(22)에 통보된다(S58). 이후, 가맹점(22)가 거래가 승인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사용자(20)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가맹점(22)은 사용자(20)가 사용하는 전자화폐가 어느 발급자(12,14,16)에게 발행된 전자화폐인지 구분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가맹점(22)은 사용자들(20)이 제공하는 다양한 전자화폐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사용자(20)가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입한 후 사용자(20)가 구입된 물품을 승인받을 발급자(12,14,16)를 찾아 승인을 받기 때문에 가맹점(22)은 사용자(20)가 사용하는 전자화폐가 어느 발급자에게서 발행된 전자화폐인지 구분할 필요가 없다.따라서, 가맹점(22)은 라우팅 서버(18)에 연결된 모든 발급사(12,14,16)이 발행한 전자화폐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발급사들(12,14,16)은 라우팅 서버(18)에 접속함으로써 다수의 가맹점(22)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20)의 거래정보는 도 5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정산서버(24)로 전송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 2발급사(14)는 도 4의 단계(S54)에서와 같이 사용자(2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승인한다(S60). 단계(S60)에서 거래정보를 승인한 제 2발급사(14)는 자신이 승인한 거래정보를 정산서버(24)로 전송한다(S62). 이후, 정상서버(24)는 제 2발급사(14)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6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물품을 판매한 가맹점(22)은 특정 주기(또는 수시로)로 정산서버(24)에 정산을 요청한다(S70). 가맹점(22)으로부터 정산요청을 받은 정산서버(24)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정산정보와 가맹점(22)으로부터 요청된 정산정보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정산정보와 가맹점(22)으로부터 요구된 정산정보가 상이하다면 가맹점(22)으로 확인을 요하는 메세지를 송부한다(이때, 정산할 발급사(14)로 확인 메세지를 송부할 수 있다).
한편,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정산정보와 가맹점(22)으로부터 요구된 정산정보가 동일하다면 해당 발급사(14)로 정산정보를 전송한다(S72). 이후, 정산서버(24)는 정산이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한다(S74). 단계(S74)에서 정산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단계(S72 및 S74)를 반복한다.
단계(S74)에서 정산이 완료되었다면 정산완료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76). 이때, 정산완료정보는 가맹점(22)으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20)와 발행그룹(10)간에 엔드-투-엔드 접속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20)와 발행그룹(10) 간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전자화폐 발급자에 관계없이 라우팅 서버에 접속된 모든 발급자들이 발행한 전자화폐가 하나의 가맹점에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가맹점은 각각의 발급자들에 등록할 필요없이 다양한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물품을 판매할 수 있으므로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구입된 물품을 승인받을 발급자를 찾아 승인을 받기 때문에 가맹점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화폐가 어느 발급자에게서 발행된 전자화폐인지 구분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발급자들의 위치가 변경될 때 라우팅 서버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발급자들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급자와 사용자간에 엔드-투-엔드 접속되기 때문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정산서버를 이용하여 가맹점으로부터 요청된 금액을 정산하게 된다. 따라서, 가맹점은 자신들이 각각 발급사에 접속하여 정산을 요청할 필요가 없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인터넷 상에서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 결제하기 위한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각기 전자화폐를 발행하고 상기 전자화폐를 발행받은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다수개의 전자화폐 발급사들을 구비하는 전자화폐 발행그룹;
    상기 전자화폐 발행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전자화폐 발급사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라우팅 서버;
    상기 인터넷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물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가맹점;
    상기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물품을 구매하고 상기 라우팅 서버를 통하여 상기 물품 구매에 사용한 전자화폐를 발행한 전자화폐 발급사를 찾아 상기 물품 구매에 대한 지불 승인을 받아 상기 가맹점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 상기 지불 승인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가맹점으로부터의 지불 승인의 조회를 확인하여 주고 상기 지불 승인의 조회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물품 판매에 대한 정산을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 요청하는 정산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가맹점에서 물품의 구매에 대한 거래 내역에 대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물품 구매에 대한 승인을 위하여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서버는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6. 물품의 구매에 사용하는 전자화폐를 발행하는 다수의 전자화폐 발급사들을 구비하는 전자화폐 발행그룹과, 상기 전자화폐 발행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라우팅 서버와, 상기 물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가맹점들과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가맹점과 상기 전자화폐 발행그룹 내 전자화폐 발급사 간의 물품구매에 대한 정산을 처리하는 정산서버가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전자화폐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화폐 발행그룹에 포함된 각각의 전자화폐 발급사가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발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발행된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단계;
    (c)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물품 구매에 대한 거래자료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거래자료에 결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라우팅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물품 구입에 사용한 전자화폐를 발급한 전자화폐 발급사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를 확인한 전자화폐 발급사에 접속하여 상기 거래자료를 승인받는 단계;
    (g)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승인된 정보를 상기 가맹점 및 상기 정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정산서버로 상기 전자화폐로 판매한 금액의 정산을 요구하는 단계; 및
    (i)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승인 정보와 상기 가맹점의 정산 요구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물품 구매에 사용된 전자화폐를 발행한 전자화폐 발급사로 상기 물품 판매에 대한 정산을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공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는,
    (i-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승인 정보와 상기 가맹점의 정산 요구가 일치할 때, 상기 정산 서버에서 상기 물품 구매에 사용된 전자화폐를 발행한 전자화폐 발급사로 상기 가맹점의 물품 판매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i-2)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상기 정산 정보에 따른 금액을 정산하고, 상기 정산 정보를 상기 정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i-3) 상기 정산 서버에서 상기 정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의 물품 판매에 대한 정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가맹점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공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는 상기 전자화폐를 발급받은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라우팅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라우팅 서버는 상기 발급사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의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공유 방법.
KR10-2002-0035729A 2001-06-25 2002-06-25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043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26,999 US20030236743A1 (en) 2002-06-25 2002-12-24 Electronic cash sha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573 2001-06-25
KR20010038573 2001-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034A KR20030004034A (ko) 2003-01-14
KR100435574B1 true KR100435574B1 (ko) 2004-06-19

Family

ID=2771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729A KR100435574B1 (ko) 2001-06-25 2002-06-25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05A (ko) * 2021-07-27 2023-02-03 이지은 역전자화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06B1 (ko) * 2008-04-04 2011-02-09 주식회사 하나티앤에스 한 장의 교통기능수행용 카드를 이용하여 멤버십 서비스를 겸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01A (ko) * 2000-02-28 2000-06-05 김지홍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위한 대금결재방법
KR20000063971A (ko) * 2000-08-14 2000-11-06 강태교 온라인 신용카드 역결제 시스템
KR20010094897A (ko) * 2000-04-07 2001-11-03 이경우 전자결제포탈서버 및 그 전자결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01A (ko) * 2000-02-28 2000-06-05 김지홍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위한 대금결재방법
KR20010094897A (ko) * 2000-04-07 2001-11-03 이경우 전자결제포탈서버 및 그 전자결제방법
KR20000063971A (ko) * 2000-08-14 2000-11-06 강태교 온라인 신용카드 역결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05A (ko) * 2021-07-27 2023-02-03 이지은 역전자화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2635B1 (ko) * 2021-07-27 2024-02-02 이지은 역전자화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034A (ko) 200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289B2 (en) Prepaid card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US77345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ecure electronic payments
JP4685812B2 (ja) オンラインクーポン流通方法
US200501718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using electronic tokens
US20040148254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secure cash-free payment transaction and a cash-free payment system
US81316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the legitimacy of a financial instrument
KR20000077102A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KR20010051710A (ko) 전자상거래전용 신용카드결제한도 및 이동전화기를 이용한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전자상거래 방법
JP2006510969A (ja) 電子決済情報を用いた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354237B1 (ko) 전자 상거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2290B1 (ko) 구매자에 의한 신용 카드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50105A (ja) 電子クーポン流通システム及びそのユーザ端末並びに販売店端末
US200201288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olidating billing information and paying suppliers on a network
KR100435574B1 (ko)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4140A (ko)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상품권을 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390360B1 (ko) 전자 상거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85205A (ko) 전자상거래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8073A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1645A (ko) 전자화폐 가맹점 결재 공유 시스템
KR20060124375A (ko)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WO2005006232A1 (en) Order delivery system in electronic commerce using convenience store and method thereof
KR20020065805A (ko) 무선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구매 결제 제어방법
KR200300431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머천다이징 시스템
KR102638698B1 (ko)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