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191B1 - 빠찡코기에있어서의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전판 - Google Patents

빠찡코기에있어서의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191B1
KR100435191B1 KR1019960006848A KR19960006848A KR100435191B1 KR 100435191 B1 KR100435191 B1 KR 100435191B1 KR 1019960006848 A KR1019960006848 A KR 1019960006848A KR 19960006848 A KR19960006848 A KR 19960006848A KR 100435191 B1 KR100435191 B1 KR 100435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tting supply
batting
decorati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655A (ko
Inventor
노부오 마쯔바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to KR101996000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191B1/ko
Publication of KR97006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63F7/022Pachinko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빠찡코기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타구공급접시가 장치되는 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틀의 전면상하부에 유리문틀과 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 전판을 개폐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되는 빠찡코기에 있어서, 동일평면상에 설치되는 금속제의 기판 및 축지판과, 이들 전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장식판을 서로 일체로 중첩하여 전판을 형성하고, 기판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유리문틀의 하단부가 계합하는 계합홈을 설치하며, 또한 축지판에는 상기 전면틀에 축착하기 위한 축지부를 설치하여 된 빠찡코기에 있어서의 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 전판이다.

Description

빠징코기에 있어서의 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 전판{Front borad of batting supply establishment for pachinko machine}
본 발명은 빠찡코기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타구공급접시가 장치되는 전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빠찡코기는 기계틀의 전면에 유기반이 면하는 창공을 갖는 액자상의 전면틀이 취착되고, 창공의 한쪽에 유기반의 상하부를 덮는 유리문틀 및 타구공급접시를 장착한 금속제의 전판이 각각 개폐가능하게 축장(軸裝)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디자인 면에서의 탈피를 꾀하고 유기자의 유기에 대한 매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빠찡코기 전면을 참신한 디자인으로 변혁하고 있다. 즉, 빠찡코기 전면의 합성수지화이다. 이것은, 합성수지로써 형성하면 형상이나 색조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빠찡코기에서는 전판이 금속제로서 그 표면의 평면적인 모양으로밖에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디자인상에 한계가 있고, 합성수지화에는 대응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예를 들면, 전판을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뒷면에는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판과 거의 동등한 크기로 구성되는 금속제의 보강판을 점착한 빠찡코기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전판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음으로 해서 뒷면에 복수의 취부용의 돌기나 효과음 발생용의 스피커의 투음공 등이 일체로 장착되고, 그 뒷면 구조가 복잡화되고 있으며, 한 장의 보강판으로는 방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는 금속제 기판 및 축지판과, 이들 전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장식판을 서로 일체로 중첩시킴으로써, 뒷면구조가 복잡하여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빠찡코기에 있어서의 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 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틀의 전면 상하부에 유리문틀과 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 전판을 개폐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되는 빠찡코기에 있어서, 동일평면상에 설치되는 금속제의 기판 및 축지판과, 이들 전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장식판을 서로 일체로 중첩하여 전판을 형성한다. 그리고, 기판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유리문틀의 하단부가 계합하는 계합홈을 장치하고, 또한 축지판에는 상기 전면틀에 축착하기 위한 축지부를 장치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기판과 축지판으로 2분할 되도록 했기 때문에 장식판의 뒷면구조가 복잡하여도 용이하게 중첩 취착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축지판이 중첩 취착됨으로써 전판은 강도상 및 방범상에서도 종래의 것과 변하지 않는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빠찡코기의 정면도.
제 2 도는 타구공급접시를 장치한 전판의 전면 사시도.
제 3 도는 동 이면 사시도.
제 4 도는 전판의 전면 사시도.
제 5 도는 타구공급접시 및 전판의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동 측단면도.
* 도면에 있어서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전면틀 4……유리문틀 5……전판
8……타구공급접시 11……기판 12……축지판
13……장식판 24……계합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빠찡코기에 있어서의 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 전판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또, 이 빠찡코기는 소위 카드식의 빠찡코기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빠찡코기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은 빠찡코기의 기계틀, 2는 기계틀(1)의 전면에 개폐자재하게 장착되는 전면틀이고, 그 전면틀(2)의 뒷쪽에 유기반(3)이 고정설치된다. 또한, 전면틀(2)의 전면에는 그 한쪽의 단부를 지축으로서 전면틀(2)의 다른쪽 단부까지를 덮는 유리문틀(4)과 전판(5)이 개폐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유기반(3)의 표면에 가이드레일(6)이 부설되고, 그 가이드레일(6)로 둘러싸인 유기부(7)에 복수의 입상구나 변동입상구 등이 배설된다. 그리고, 상기 전판(5)의 전면에는 저장구를 타구발사부로 공급하기 위한 타구공급접시(8)가 장착된다. 도면부호 9는 전면틀(2)의 하부에 장착되는 여잉구받침접시, 10은 조작 핸들이다.
제 2 도는 타구공급접시(8)를 장착한 전판(5)의 전면사시도, 제 3 도는 동이면사시도, 제 4 도는 전판(5)으로부터 타구공급접시(8)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5 도는 전판(5) 및 타구공급접시(8)를 각각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판(5)은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나듯이 동일평면상에 설치되는 금속제의 기판(11) 및 축지판(12)과, 이들의 전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장식판(13)을 서로 일체로 중첩하여 형성되고 있다. 장식판(13)은 가로로 긴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장식판(13)의 중앙부에 후술하는 타구공급접시(8)의 구저장부(49)가 대응하는 횡장상(橫長狀)의 개구부(14)가 개설되며, 그 개구(14)의 일측에 타구공급접시(8)내에 저장되근 빠찡코구를 여잉구받침접시(9)로 배출하기 위한 분류통(15)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장식판(13)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유기하여 뛰쳐나온 빠찡코 구 수 및 남은 빠찡코구 수 등을 표시하는 디지탈 표시부(16)가 면하는 가로로 긴 장공(17)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장식판(13)의 한쪽 상부에 구저장부(49)로 경품구를 내보내는 상구구(18)가 개설되고, 그 하방에 스피커의 효과음을 통하게 하기 위한 투음공(19)이 개설되어 있다. 그 투음공(19)의 전면에는 주위를 둘러싸고자차양판(20)이 돌설된다. 또한, 장식판(13)의 전면 아래가장자리를 따라 타구공급접시(8)를 장착할때,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수평안내판(21)이 돌설되어 있다. 도면부호 22, 23는 장식판(13)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는 장치용 소공 및 비스공(23a)을 갖는 돌기이다.
기판(11)은 장식판(13)의 뒷면에 상구구(18)측을 남기고 그 뒷면을 덮도록 중첩되고, 장식판(13)의 뒷면에 합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 기판(11)의 상단 가장자리는 장식판(13)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유리문틀(4)의 하단 가장자리가 계합하는 계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공(17) 및 분류통(15)의 하단 출구부(25)에 대응시켜 장공(26) 및 결절(27)이 개설된다. 또한, 구저장부(49)의 유하단부(流下端部)에 대응시켜 유입구(28)가 개설된다. 29는 기관(11) 뒷면의 한쪽에 장착되고, 상기 전면틀(2)쪽의 계지구(掛止具, 도시하지 않음)와 계탈자재하게 계합되도록 하기 위한 괘지편이다. 또한, 장식판(13)의 뒷면에 돌설된 복수의 돌기(23)와 대향하는 위치에 그 돌기(23)가 삽통되는 투공(3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11)은 그 한쪽 가장자리를 장식판(13)의 뒷면의 한끝에 장치한 단부(31)의 안쪽에 끼우고, 또한 하단 가장자리를 장식판(13)의 뒷면 하단에 절곡 형성한 저벽(32)에 지지시키며, 또한 복수의 투공(30)에 돌기(23)가 삽통된다. 이 상태에서, 기판(11) 뒷면의 장공(26)과 합치하는 위치에 디지탈 표시부(16)가 배치되고, 복수의 소공(33)을 통하여 이들과 대향하여 장공(26)의 둘레에 돌설된 돌기(23)의 비스공(23a)에 비스를 나합(螺合)함으로써 장치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 (28)와 대향 위치하여 그 유입구(28)로부터 유입되는 빠찡코구를 타구발사부로 1 개씩 내보내는 타구공급장치(34)가 배치되고, 복수의 소공(35)을 통하여 돌기(23)의 비스공(23a)에 비스를 나합함으로써 장치된다.
축지판(12)은 장식판(13) 뒷면의 상구구(18)쪽의 측단부에 중첩되고, 장식판(13)보다 외측에 돌출되는 선단 가장자리에 축지부가 장치된다. 즉, 그 상하에 축통(36a, 36b)이 형성되고, 하부의 축통(36b)에는 용수철(37)의 잡아당김에 의해서 하단을 항상 하방으로 돌출시키도록 힘을 받은 축(38)이 감삽(嵌揷)된다. 그리고 상부의 축통(36a)과 축(38)이 전면틀(2)의 한쪽에 지착되게 된다. 또한, 축지판(12)의 하단 가장자리는 저벽(32)으로 지지되고, 투공(30)에 장식판(13)의 뒷면에 돌설되는 돌기(23)가 삽통된다. 또, 전판(5) 및 타구공급접시(8) 등의 기능을 크게 바꾸었다 하더라도 기판(11) 또는 전판(5) 및 타구공급접시(8)의 구조가 바뀔 뿐으로 축지판(12)이 크게 바뀌는 일은 없고, 또한 이에 따라 외관적 디자인을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다.
장식판(13) 뒷면의 상구구(18)에는 경품구로서 나오는 빠찡코구를 구저장부(49)로 이끌기 위한 좁속관(39)이 연결설치된다. 그 접속관(39)은 그 하변에 연결설치된 칼날편(40)으로 기판(11)과 축지판(12)의 양끝 가장자리가 눌러져 있다. 이 상태에서, 접속관(39)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소공(41, 41)을 통하여 돌기(23)의 비스공(23a)에 버스가 나사로 죄어진다. 도면부호 42는 접속관(39)의 상면 및 양쪽을 덮는 관속제의 보호판이고, 양쪽의 통공(43, 43)이 상기 비스공(23a, 23a)과 합치되며, 상기 비스의 나사조임에 의해 동시에 장착된다.
상기 타구공급접시(8)는 저장부재(44)와, 그 저장부재(44)의 전면을 덮는 지지부재(45)와, 그 지지부재(45)의 전면에 끼워지고, 좌우 양단부를 상기 전판(5)의 전면에 지착시킨 약문상(略門狀)의 취부부재(46)와 그 취부 부재(46)와 지지부재(45) 사이에 끼워지는 결합부재(47)가 조합되어 형성된다.
우선, 저장부재(44)는 전면의 측벽(48)으로 둘러싸여 상구구(18)와 연통하는 구저장부(49)가 설치되고, 그 구저장부(49)의 하류쪽에 기판(11)에 설치된 유입구(28)까지 연결설치되어 빠찡코구를 서서히 일렬로 흐르게 하는 정류부(50)가 장치되어 있다.
정류부(50)는 유하단이 유입구(28)와 연통되어 있고, 또한 그 위치에 유입구(28)에 빠찡코구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유로변경부(51)가 형성됨과 동시에, 유입구(28)의 하변에 접하여 유로변경부(51)의 하방에 분류구(52)가 개설된다. 또한, 정류부(50)의 저면에는 내마모성을 갖는 금속플레이트(53)가 부설되어, 빠찡코구의 전동에 대한 마찰을 줄여 원활한 빠찡코구의 흐름을 꾀하고, 저면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지부재(45)는 전벽(45a)이 양측으로부터 곡선적으로 전방으로 돌설되어, 후면이 개방된 공동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한쪽에 상기 저장부재(44)에 저장되는 빠찡코구를 여잉구받침접시(9)로 골라내기 위한 발취분류장치(54)가 장치된다. 이 발취분류장치(54)는 지지부재(45)의 상단에 면한 누름단추(55)의 하부에 용수철로 항상 뒷쪽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지레팔(56)이 배설되고, 그 지레팔(56)의 하단에 분기판(57)이 수평으로 추착된다.그 분기판(57)은 저장부재(44)의 측벽(48)에 설치된 장구(長溝)(58)로 부터 분류구(52) 내에 면해 그 분류구(52)를 폐색시키고 있다. 그리고, 누름단추(55)를 누름으로써 분기판(57)이 후퇴하여 분류구(52)가 개방되고 이에 의해 빠찡코구가 분류통(15)을 통하여 여잉구받침접시(9)로 유하된다.
또한, 지지부재(45)의 다른측에는 전벽(45a)의 안쪽으로 장식판(13)에 설치된 투음공(19) 및 차양판(20)과 연속하도록 투음공(59) 및 그 상방을 둘러싸는 차양판(60)이 장착되고, 차양판(20, 60)의 안쪽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45)의 양쪽 네 구석에 각각 장식판(13)의 전면에 당접되는 당접면부(61)가 장착된다.
또한, 취부부재(46)는 지지부재(45)의 전벽(45a) 전면에 설치한 요(凹)부(45b)에 맞도록 횡장대상(橫長帶狀)으로 형성되고, 그 양끝에 장식판(13)에 대한 취부부(62, 63)가 직교상으로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한쪽의 취부부(62)는 지지부재(45)의 한쪽 끝보다 돌출되고, 다른 쪽의 취부부(63)는 지지부재(45)의 다른쪽 끝에 합치된다. 취부부(63)에는 그 안쪽에 당접면부(61)의 외측 가장자리에 탄발적으로 계합하는 계합편(64)이 장치되어 있다. 취부부(63)의 외측에는 추가로 연장부(63a)가 연결설치되고, 그 연장부(63a)의 후단면에 상기 축지판(12)에 설치한 축통(36a, 36b)를 수용시킨 요부(65a, 65b)가 형성된다.
상기 취부부재(46)의 뒷면에는 거의 중간 높이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66)가 설치되고, 그 각 돌기(66)가 지지부재(45)의 전벽(45a)에 설치한 축통(67)에 삽통되어, 돌기(66)에 비스를 나사조임으로써 취부부재(46)가지지부재(45)에 감합된다.
그리고, 제 2 도에 나타내듯이 취부부재(46)와 지지부재(45)의 전면 중앙에 걸쳐서 형성되는 요와부(凹窩部; 68)에 결합부재(47)가 감입되고, 결합부재(47)의 뒷면에 돌출된 돌기(69, 69)에 지지부재(45)의 뒷쪽으로부터 소공(70, 70)을 통하여 비스 고정하여 결합부재(47)가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재(45)의 전벽(45a) 안쪽에 설치된 돌기(71, 71)의 비스공(71a, 71a)에 저장부재(44)의 하단 가장자리에 설치된 통공(72, 72)으로부터 비스를 단단히 죔으로써 지지부재(45)가 저장부재(44)에 감합된다. 또한, 상기 취부부재(46)를 장식판(13)의 전면에 당접시키고, 취부부(62)의 뒷면에 돌출시킨 각 돌기(73, 73)와 저장부재(44)의 뒷면 한쪽의 비스공(74, 74)에 기판(11) 및 축지판(12)의 뒷면으로부터 소공(30a, …)을 통하여 비스를 삽통하여 단단히 죔으로써 제 2 도에 나타내듯이 타구공급접시(8)의 조립이 완성된다. 타구공급접시(8)를 저장부재(44), 지지부재(45) 및 취부부재(46)의 3개의 부재로 구성했기 때문에 이들의 색조를 바꿈으로써 장식적인 변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별개로 설치되는 기판(11) 및 축지판(12)과 장식판(13)을 각각 일체로 중첩 취착하여 전판(5)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장식판(13)의 복잡한 구조에 대응하기 쉽다. 또한, 필요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유기자가 예를 들어, 전판(5)에 그 전면으로부터 뜨거운 철봉 등을 눌러 수지를 녹이고 구멍을 내어, 그곳으로부터 피아노선 등을 집어넣어 행하는 부정행위도 방지된다.
이상 서술했듯이, 본 발명에 관한 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 전판은, 동일평면상에 별개로 설치되는 금속제의 기판 및 축지판과, 이들 전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장식판을 중첩 취착하여 형성했기 때문에, 장식판의 뒷면이 복잡한 구조이더라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고, 장식판의 형상에 유연성을 갖게 한다. 이에 따라, 타구공급접시의 외관형상도 자유로이 선정할 수 있어 참신한 디자인의 실현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전면 틀의 전면 상하부에 유리 문틀과 타구공급접시 취부용의 전판을 개폐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된 빠찡코기에 있어서,
    상기 전판은,
    전면 틀에 축착하기 위한 축지부가 설치되며, 투공이 형성된 축지판;
    축지판 전면에 위치하되, 뒷면에 형성된 돌기가 축지판의 투공에 삽통됨으로서 축지판과 결합되는 합성수지제의 장식판; 및
    상기 축지판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유리문틀의 하단부가 계합하는 계합홈이 설치되고, 다수의 투공이 형성되어 있어 장식판의 돌기가 투공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장식판과 축지판에 일체로 연결되는 금속제의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찡코기에 있어서의 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 전판.
KR1019960006848A 1996-03-14 1996-03-14 빠찡코기에있어서의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전판 KR10043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848A KR100435191B1 (ko) 1996-03-14 1996-03-14 빠찡코기에있어서의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848A KR100435191B1 (ko) 1996-03-14 1996-03-14 빠찡코기에있어서의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655A KR970064655A (ko) 1997-10-13
KR100435191B1 true KR100435191B1 (ko) 2004-07-30

Family

ID=4938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848A KR100435191B1 (ko) 1996-03-14 1996-03-14 빠찡코기에있어서의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0642A (zh) * 2012-08-08 2014-02-12 三星电机株式会社 用于去除噪声的滤波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863U (ko) * 1985-10-30 1987-05-13
JPH0615053A (ja) * 1992-06-30 1994-01-25 Sankyo Kk 弾球遊技機
JPH07171257A (ja) * 1993-11-25 1995-07-11 Newgin Kk パチンコ遊技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863U (ko) * 1985-10-30 1987-05-13
JPH0615053A (ja) * 1992-06-30 1994-01-25 Sankyo Kk 弾球遊技機
JPH07171257A (ja) * 1993-11-25 1995-07-11 Newgin Kk パチンコ遊技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0642A (zh) * 2012-08-08 2014-02-12 三星电机株式会社 用于去除噪声的滤波器
CN103580642B (zh) * 2012-08-08 2017-12-12 三星电机株式会社 用于去除噪声的滤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655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384950S (en) Handset
MY124643A (en) Disc device.
USD391253S (en) Telephone
KR100435191B1 (ko) 빠찡코기에있어서의타구공급접시취부용의전판
USD371841S (en) Diver's mask with offset purge cover
USD407013S (en) Box for flood control
USD400225S (en) Camera with a water resistant housing
USD341360S (en) Keyboard
USD410855S (en) Control unit for evaporative cooler
TW240201B (en) Handle cover for motorcycle
USD379569S (en) Recessed dispenser assembly
JPH06315563A (ja) パチンコ機の上皿
USD407515S (en) Dual headed flashlight
USD398177S (en) Toothbrush holder
USD440558S1 (en) Cover for TV control panel
USD375126S (en) Electronic game housing
USD361428S (en) Camera case
CN217256290U (zh) 上盖组件及具有其的机器人
JPH0433901Y2 (ko)
JPH0975530A (ja) 遊技機
JP4119643B2 (ja) パチンコ機
JP2000024256A (ja) パチンコ遊技機の開閉板
USD457498S1 (en) Raceway for signage wiring
USD274341S (en) Game board
USD380002S (en) Camera with lens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