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178B1 -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178B1
KR100434178B1 KR1020030092091A KR20030092091A KR100434178B1 KR 100434178 B1 KR100434178 B1 KR 100434178B1 KR 1020030092091 A KR1020030092091 A KR 1020030092091A KR 20030092091 A KR20030092091 A KR 20030092091A KR 100434178 B1 KR100434178 B1 KR 10043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lod
render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3009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178B1/ko
Priority to PCT/KR2004/003318 priority patent/WO2005059829A1/en
Priority to CNB2004800375774A priority patent/CN100481124C/zh
Priority to JP2006545237A priority patent/JP4580938B2/ja
Priority to US11/452,636 priority patent/US7834874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16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daptation to the client's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유연하게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 등을 조정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적 튜닝(Dynamic Tuning)에 의해 저사양의 단말 수단에서도 영상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구현 시간과 연관된 허용 주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단말 수단으로 전송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단말 수단의 구현 처리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구현 처리 주기와 상기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허용 주기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상기 허용 주기 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이후에 전송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에 대한 LOD(level of detail)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 함으로써 동적 튜닝에 의한 자연스러운 영상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A METHOD OF ADJUSTING PRECISION OF IMAGE DATA WHICH INTER-LOCKED WITH VIDEO SIGNALS THROUGHPUT OF A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유연하게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 등을 조정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적 튜닝(Dynamic Tuning)에 의해 저사양의 단말 수단에서도 영상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 구현에 대한 보다 사실적이고 상세화 된 묘사의 요구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고화질 및 고용량이 지속화 되었으며, 이를 영상 신호 처리해야 하는 단말기의 성능 사양 역시 불가피한 업그레이드를 요구받아 왔다. 이러한 단말기 사양의 증가는 단말기 업그레이드 비용 발생을 동반하게 되고, 저사양의 단말기에서는 정상적인 영상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즉, 종래의 영상 제공 서비스는 영상 데이터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의 사양에 크게 영향이 받게 되며, 구현되는 영상의 끊김 현상이나 부자연스러운 화면 전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 레벨 수준의 단말기 사양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저사양의 단말기에서의 영상 데이터 구현을 위해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를 강제적으로 줄이고 저사양 전용의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함으로써 낮은 사양에서도 영상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일부 영상 제공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프레임 수를 제한하는 영상 제공 서비스 방식은 전체적인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일률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영상 자체의 화질 저하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더욱 나쁘게는 영상 식별 자체가 불가능해질 우려도 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용자의 흥미 및 집중도를 떨어뜨림으로써, 영상 제공 서비스의 저변 확대를 저해하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영상을 구현하는 단말 수단의 사양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영상 화질 저하나 영상 식별 열화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저사양의 단말기에서도 본격적인 영상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 함으로써 동적 튜닝에 의한 자연스러운 영상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수단의 사양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동적 튜닝에 있어, 렌더링(rendering) 주요도에 기초한 선별적인 영상 펙터의 상세 정도(Level Of Detail; LOD) 조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구현되는 영상 데이터일지라도 영상 식별 능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 수단의 렌더링 작업 시간을 해당 단말 수단의 사양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 수단의 사양에 관계없이 다수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품질을 담보하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특정 프레임 수에 대응되는 허용 주기 정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의 축소를 위해 각 영상 펙터의 LOD를 조정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펙터의 LOD 조정율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밀도 조정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정밀도 조정 시스템 210 :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
220 : 인터페이스 수단 230 : 주기 산출 수단
240 : 동작 제어 수단 250 : LOD 관리 데이터베이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구현 시간과 연관된 허용 주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단말 수단으로 전송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단말 수단의 구현 처리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구현 처리 주기와 상기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허용 주기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상기 허용 주기 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이후에 전송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에 대한 LOD(level of detail)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를 조정하는 시스템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구현 시간과 연관된 허용 주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단말 수단으로 전송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단말 수단의 구현 처리 주기를 측정하는 주기 산출 수단 및 상기 측정된 구현 처리 주기가 상기 허용 주기 보다 긴 경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이후에 전송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율을 상기 영상 데이터의 렌더링 주요도와 연관하여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어 유연하게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가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정밀도 조정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기재되는 동적 튜닝(Dynamic Tuning)은, 단말 수단 상에서 영상 데이터의 구현 처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단말 수단의 사양(specification)에 따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일정 시간 동안 구현 처리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갯수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유연한 화면 구현 및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구현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LOD(Level Of Detail)는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에 대한 렌더링 수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LOD가 높은 영상 펙터는 폴리곤(Polygon) 또는 텍스쳐(Texture)가 많이 포함되어 보다 상세한 영상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도 조정 시스템(100)은 영상 제공 수단(11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고,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적정하게 조정한 후에 사용자(120)의 단말 수단(130)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게임 영상이나 정지 영상/동영상 등 사용자(120)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연속 또는 불연속 형태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이미지 렌더링 방식(예, 2차원 이미지, 3차원 이미지 등)에 의해 단말 수단(130)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구현된다.
우선, 영상 제공 수단(110)은 사용자(12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120)의 단말 수단(13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컨대 3D 온라인 게임 서버, 정지영상/동영상 제공 서버, 또는 정지영상/동영상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영상 제공수단(110)은 사용자(120)와의 소정 계약 관계에 따라 보유 중인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신호에 의해 사용자(120)의 단말 수단(130)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120)가 소정의 3D 온라인 게임 서버와 '게임 서비스 제공'이라는 계약 상태 하에 있는 것을 가정한다. 만약, 영상 제공 수단(110)의 형태가 기록 매체일 경우, 사용자(120)는 상기 3D 온라인 게임 서버 측에서 제공되는 콤팩트 디스크(소정의 게임 프로그램을 저장함)를 단말 수단(130)에서 구동시켜 영상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반면, 영상 제공 수단(110)의 형태가 소정의 통신망(140)을 경유하는 단말 수단(130)과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네트워크 서버일 경우, 사용자(120)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3D 온라인 게임 서버)로부터 소정의 게임 프로그램을 직접 제공 받거나, 단말 수단(130)에 기 설치되는 게임 프로그램에 대한 업그레이드용 패치 파일을 전송 받음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더불어, 영상 제공 수단(110)이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콤팩트 디스크인 경우에는 예컨대, 단말 수단(130)에 구비되는 ODD(Optical Disc Drive)에서 상기 콤팩트 디스크의 영상 데이터를 직접 로딩(loading)하여 단말 수단(130)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 구현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영상 제공 수단(110)이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며 실시간으로 게임 진행을 지원하는 3D 온라인 게임 서버인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단, 이것은 설명 대상의 한정일 뿐 기술 사상의 한정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사용자(120)는 소정 계약 관계에 있는 영상 제공 수단(110), 즉 3D 온라인게임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의해 구현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 받는 인터넷 이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 수단(130)은 통신망(140)을 통해 정밀도 조정 시스템(100)과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신호 처리에 따라 구비되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영상을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단말 수단(130)은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제공하기 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전자 사전, 휴대폰, 스마트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단말 수단(130)은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구현 처리 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밀도 조정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정밀도 조정 시스템(100)에 의한 단말 수단(130)의 사양(영상 데이터 처리 속도)에 적합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의 판단 및 제1 영상 데이터 이후, 제2 영상 데이터의 LOD 조정율을 결정하는 동적 튜닝이 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정밀도 조정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 제공 수단(110) 및 단말 수단(130) 사이에 위치하며, 단말 수단(130)에 의해 수집되는 구현 처리 주기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단말 수단(130)에서의 원활한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필요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의 판단 및 영상 펙터의 LOD 조정율 결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정밀도 조정 시스템(100)은 영상 제공 수단(110)으로부터 입력되는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적 튜닝을 수행한 후, 동적 튜닝된 영상 데이터를 단말 수단(130)으로 제공하게 된다.
도 1에는 정밀도 조정 시스템(130)이 통신망(140)을 통하여 단말 수단(130)과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조정 시스템(100)은 사용자단, 즉 단말 수단(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정밀도 조정 시스템(130)이 단말 수단(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밀도 조정 방법이 기록된 펌 웨어(firmware) 형태로 단말 수단(130)에 제공되거나, 기타 프로그램 형태로 배포되어 단말 수단(130)의 저장 수단(도시되지 아니함)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밀도 조정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210), 인터페이스 수단(220), 주기 산출 수단(230), 동작 제어 수단(240), 및 LOD 관리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우선,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영상 데이터의 구현 시간과 연관된 허용 주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정 시간에 디스플레이 수단에 구현 처리되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와, 하나의 프레임을 구현 처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기준 시간과의 연관 정보를 기록 유지한다. 상기 허용 주기는 소정 시간, 바람직하게는 초당 구현 처리되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를 고려하여 하나의 프레임에 소요되는 구현 처리 경과 시간의 한계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허용 주기는,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구현하는 데에 있어, 구현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화면 절단(끊김)이 발생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속도로 구현되지 않는 한계 시간 정보를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허용 주기는 초당 구현 처리되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의 수, 영상 펙터의 LOD, 구현될 시야 거리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는 정보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특정 프레임 수에 대응되는 허용 주기 정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허용 주기의 주기 시간(Cycle time)에 관한 정보 및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 바람직하게는 초당 구현되어야 할 영상 데이터의 FPS(Frame Per Secon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FPS의 수치값이 높은 경우, 초당 구현되는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수 증가로 인해 디스플레이 수단에서의 렌더링(묘사)이 섬세하게 수행되고 연속되는 영상의 화면 전환이 부드러워 진다. 예컨대, 3차원 영상 데이터에서 입체적인 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곤 또는 텍스쳐 매핑(Texture Mapping) 등은 그 수가 많을 수록 영상의 정밀감이나 현실감이 뛰어나게 되나, 이를 위해 필요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가 증가되고, 또한 렌더링 작업을 통해 처리해야 할 영상데이터의 프레임 수 증가로 인해 구현 처리 주기의 주기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 수와 구현 처리 주기의 주기 시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초당 구현되어야 할 프레임 수를 설정하고, 이를 유연하게 구현 처리할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속도, 즉 주기 시간의 한계 표준(허용 주기)을 설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구현 처리 주기를 허용 주기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단말 수단(130)이 보유하고 있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구현하는 데 소요되는 렌더렁 시간이 '25㎳'인 단말 수단(130)을 고려한다. 이러한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을 보유한 단말 수단(130)에서 1초마다 구현되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 FPS는 도 3에서와 같이, '40'(=1000/25)이며, 이에 따라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해당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을 허용 사양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 렌더링 시간 '60㎳'인 단말 수단(130)에서는 구현되는 영상 테이터의 프레임 수가 허용치를 넘어서게 되어 프레임 수의 부족으로 인한 화면 끊김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산술적으로 렌더링 시간이 '60㎳'인 단말 수단(130)에서 1초당 구현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는 '16.67'(=1000/60)이 되고, 허용된 프레임 수 '20' 미만이 되어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의 구현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해당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을 비허용 사양으로 판단하고 상기 렌더링 시간 '60㎳'이 감소되어 최대 허용값인 '50㎳'이 되도록 하는 동적 튜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동적 튜닝은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구현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렌더링 시간이 허용 주기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분의 렌더링 시간을 강제 축소시키는 신호 처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적 튜닝에 의한 렌더링 시간의 축소는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factor)의 LOD를 감소 조정함으로써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사양에서도 무리없이 구현될 수 있는 프레임 수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 채택하고 있는 영상 펙터의 LOD 조정은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영상 펙터에 대한 일률적인 LOD의 감소 조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식별이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게임 진행 전환에 큰 영향이 없도록 영상 펙터에 대한 선택적인 LOD 조정에 의한 렌더링 시간의 축소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렌더링 시간을 강제 감소시켜 초당 구현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FPS)가 높아지도록 하는 동적 튜닝법(Down Tuning)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렌더링 시간을 강제로 증가시켜 FPS가 낮아지도록 하는 동적 튜닝법(Up Tuning)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다. 예컨대, 렌더링 시간이 '25㎳'인 단말 수단(130)의 FPS는 '40'으로 허용치 내에 있으며, 상기 FPS가 '20'이 될 때까지(FPS의 하한 허용치, 도 3 참조) 렌더링 시간을 길게 조정하게 된다. 즉, 단말 수단(130)의 렌더링 시간을 '50㎳'로 연장함으로써 하나의 프레임을 구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연장된 시간('25㎳')동안, 각 영상 펙터에 대해 높은 LOD 레벨로 렌더링이 수행되도록 할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배경 화면이 더욱 상세하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른 FPS를 허용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각 영상 펙터에 대한 LOD를 높게 조정하여 보다 섬세하고 정밀한 영상 데이터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수단(220)은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동적 튜닝 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120)에게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단말 수단(130)으로의 전송 과정에서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왜곡이나 변형,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통신망(140)에 최적인 프로토콜 변경 처리를 병행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인터페이스 수단(220)은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된 단말 수단(130)으로의 영상 데이터 전송에 있어, 영상 제공 수단(11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 없이 그대로 단말 수단(130)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특히, 인터페이스 수단(220)은 영상 데이터(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수신된 구현 처리 주기를 동적 튜닝에 대한 정보로서 활용하게 된다.
주기 산출 수단(230)은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산출되는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나의 프레임을 영상 신호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소정의 렌더링 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구현 처리 주기는 영상 데이터 입력, 영상 데이터 로딩, 영상 데이터 렌더링까지의 단말 수단(130)에서 수행되는 영상 신호 처리에 대한 일련작업의 소요 시간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주기 산출 수단(230)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영상 데이터를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의 입력이 확인되는 시점(S 시점)에서 해당 영상 데이터가 단말 수단(130)의 소정 디스플레이 수단에 렌더링을 완료하는 시점(F 시점)까지의 작업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해당 단말 수단(230)의 구현 처리 주기로서 입력 받게 된다. 여기서 S 시점은 디스플레이 수단 내의 영상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 예컨대 사용자 키 입력 또는 온라인 게임 서버로부터의 패킷 전송(타 사용자의 키 입력 등)이 수행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고, F 시점은 상기 영상 전환에 대한 렌더링 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동작 제어 수단(240)은 입력된 단말 수단(230)의 구현 처리 주기가 허용 주기보다 긴 경우, 해당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이 현재의 영상 데이터를 구현하는 데에 최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펙터의 LOD 감소 조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동작 제어 수단(240)은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으로 소정 시간 내에 적절한 구현 처리가 불가한 영상 데이터를 인지하고, 해당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예컨대, 대상물의 폴리곤 수나 텍스쳐 매핑 수준을 떨어뜨려 단말 수단(230)의 구현 처리 주기가 허용 주기 내에서 산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송이 이루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한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가 '55㎳'인 경우를 고려한다. 동작 제어 수단(240)은 입력된 구현 처리 주기가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는 허용 주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해당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으로 현재 선정되는 영상 펙터의 LOD를 적절하게 구현하지 못함을 판단한다. 즉, 단말 수단(130)에서 초당 구현 처리되는 프레임 수 FPS는 '18.18'(=1000/55)로 허용된 프레임 수 '20'이 미만이 되며 적정 프레임 수 부족으로 인한 화면 끊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작 제어 수단(240)은 영상 펙터의 LOD를 감소 조정하여 바람직하게는, 초당 프레임 수가 '20' 이상, 즉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동적 튜닝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각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은 선정된 조건에 따라 차등되도록 하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식별 능력을 유지할 수 있게 소정의 렌더링 주요도를 고려하여 수행한다. 동적 튜닝 후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소정의 LOD 조정율이 적용됨으로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원활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를 단말 수단(130) 상에 최적하게 구현하는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감소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예컨대, 해당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적합한 영상 데이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영상 데이터 만이 전송되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영상 데이터의 구현을 보장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렌더링 시간의 감소 처리를 위한 상기 동작 제어 수단(240)의 영상 펙터 LOD 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의 축소를 위해 각 영상 펙터의 LOD를 조정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동적 튜닝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 데이터를 구현한 영상 화면을 나타내며, 모든 영상 펙터에 대한 표준 LOD(최상의 영상 데이터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이상적인 LOD 레벨)를 적용하여 렌더링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최상 상태의 영상 데이터를 구현하는 데에 적절한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하지 못한 단말 수단(130)은 영상 데이터 구현의 끊김 현상 또는 구현 시간의 과도한 소요를 동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 구현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작 제어 수단(130)은 영상 펙터 각각에 대해 렌더링 주요도를 부여하며, 렌더링 주요도에 따라 LOD 조정율을 차등 있게 결정하게 된다. 즉, 동작 제어 수단(240)은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 각각에 대한 LOD 조정율을 영상 데이터의 렌더링 주요도에 연관하여 결정하게 된다. 영상 펙터는 영상 데이터의 구현에 있어, 단말 수단(130)에 의한 렌더링 작업의 대상이 되는 것, 예컨대 영상 데이터의 화면 배경, 화면 배경 내에서 위치하는 동적 또는 정적인 피사체인 캐릭터(character), 정적인 물체(object), 사용자 캐릭터, 보조 캐릭터(NPC) 등의 대상물, 대상물의 쉐도우, 영상 데이터 내에서 발생하는 이펙트(effect)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팩터는 각각의 표준 LOD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 표준 LOD에 의한 단말 수단(130)의 렌더링 작업으로 인해 영상 데이터 구현에 있어 상세 정도의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렌더링 주요도는 구현될 영상 데이터의 식별에 관계된 가중치에 따라 영상 펙터 각각에 부여되는 것으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예컨대 3차원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사용자(120)가 플레이하는 캐릭터, 캐릭터와 대적하는 적 캐릭터, 캐릭터들이 보유하는 아이템, 대전하는 장소 등에는 비교적 높은 렌더링 주요도가 부여될 수 있다. 반면, 게임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원거리의 화면 배경 또는 보조 캐릭터(NPC), 화면 배경의 나무 수 등에는 비교적 낮은 렌더링 주요도가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제어 수단(240)은 영상 데이터에 대해 자연스러운 구현 처리가 어려운 단말 수단(130)에 대해, 도 4b와 같이 렌더링 주요도가 낮은 영상 펙터의 LOD를 감소 조정되도록 제어 함으로써 단말 수단(130)의 렌더링 시간을 감소되도록 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도 4b에서는 게임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이 주는 주요 캐릭터(예, 식별자 '푸할하')를 중심으로 렌더링 작업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게임 화면이 전체적인 정밀도 축소 및 각 영상 펙터의 LOD가 감소 조정된 영상이 구현됨을 보여주고 있다. 즉, 렌더링 주요도가 낮은 원거리 화면 배경의 나무를 소정 갯수 생략하거나 건물 외형 문양을 단순화하여 LOD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렌더링 시간 감소를 위한 폴리곤 또는 텍스쳐 수가 축소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게임 진행을 위한 영상 데이터의 구현에는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러운 이미지 전환 및 영상 끊김 현상을 억제하여 영상 데이터의 구현을 최적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펙터의 LOD 조정에 있어, 상술한 폴리곤 수 또는 텍스쳐 수에 대한 LOD 레벨 설정의 일예로서, 캐릭터 또는 물체의 형태의 구현시 사용되는 폴리곤 수 또는 텍스쳐 수를 감소시켜 기존의 것보다 덜 섬세하게 표현되도록 하거나 해당 대상물의 렌더링을 생략되도록 하는 것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LOD 레벨 설정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유연하게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적절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이 유연하게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속도 저하로 인해 본격적인 영상 데이터의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했던 저사양의 단말 수단(130)에서도 무난한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충실히 이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적한 영상 데이터 제공 방식으로, 동작 제어 수단(240)에 의한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를 입력 받고, 이를 분석하여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적절한 렌더링 시간으로 동적 튜닝 시키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1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수단(130)의 사양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 받고, 입력된 사양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이 조정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동적 튜닝의 영상 데이터 제공 방식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LOD 관리 데이터베이스(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각 영상 펙터에 대한 표준 LOD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LOD 관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는 표준 LOD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영상 데이터의 제작자로부터 수시로 정보 입력되고,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갱신 처리 되도록 함으로써 최상의 영상으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은 상술한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된다.
우선,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영상 데이터의 구현 시간과 연관된 허용 주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210)를 유지한다(S510). 본 단계(S510)는 일정 기간 동안 구현 처리되어야 할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를 유지하기 위한 이상적인 렌더링의 작업 경과 시간에 관한 정보를 허용 주기로서 저장하는 과정으로, 상기 허용 주기는 영상 데이터가 소정 디스플레이 수단에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는 최소 사양의 단말 수단(130)에서의 한계 작업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신호 처리에 소요되는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가 허용 주기 이내에 있는가를 판단하여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을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갈음한다(도 3 참조).
다음으로,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사용자(120)의 단말 수단(130)으로 전송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를 측정한다(S520). 본 단계(S520)는 예컨대, 소정 기간 동안에 최초 전송되어진 제1 영상 데이터를 구현 처리하는 단말 수단(130)에서의 영상 신호 처리에 대한 작업 경과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으로, 영상 데이터 입력, 영상 데이터 로딩, 영상 데이터 렌더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말 수단(130)의 영상 데이터 구현에 따른 작업 시간 경과를 인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구현되는 영상 데이터의 영상 펙터에 대한 LOD 레벨이 높을수록 하나의 프레임을 영상 신호 처리하기 위한 단말 수단(130)의 렌더링 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더불어 렌더링 시간의 증가 폭은 단말 수단(130)의 사양에 큰 영향을 받게 되며, 예컨대 단말 수단(130)의 사양이 낮으면 상기 렌더링 시간의 증가 폭은 LOD 레벨 상승과 함께 더욱 커지게 된다.
이후,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측정된 구현 처리 주기와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는 허용 주기를 비교한다(S530). 본 단계(S530)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해당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동작 제어 수단(240)에 의해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허용 주기를 시간적으로 경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계속해서,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구현 처리 주기가 허용 주기 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감소되도록 하여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한다(S540). 본 단계(S540)는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 각각에 대한 LOD를 조정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적 튜닝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렌더링 주요도에 의거하여 우선해서 LOD 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영상 펙터를 선정하게 된다. 또, 본 단계(S540)는 선정된 영상 펙터에 대한 LOD 감소 조정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렌더링과 연관된 단말 수단(130)의 렌더링 작업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즉, 프레임 당 렌더링 감소 조정에 따라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와 관련된 작업 시간이 축소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가 상기 허용 주기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여 유연한 영상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의 수행에 대해 보다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적 튜닝에 있어서, 우선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율을 영상 데이터의 렌더링 주요도에 연관하여 결정한다(S610). 본 단계(S610)는 영상 데이터의 식별에 관계되는 소정의 가중치에 따라 각 영상 펙터에 부여되는 렌더링 주요도와, 해당 영상 펙터의 LOD 조정율을 연관시키는 과정으로, 렌더링 주요도가 높게 설정된 영상 펙터의 LOD 조정율은 바람직하게는 LOD 관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는 표준 LOD가 그래도 유지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렌더링 주요도가 낮게 설정된 영상 펙터의 LOD 조정율은 표준 LOD 보다 하향 조정되도록 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시간의 감소 효과가 발생하도록 한다. 즉, 본 단계(S610)에서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영상 데이터의 식별 능력이 저하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실질적인 영상 데이터의 구성에 크게 중요하지 않는 영상 펙터의 LOD가 감소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LOD 조정율을 결정하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영상 펙터 각각에 대한 LOD 조정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펙터의 LOD 조정율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더링 주요도는 영상 데이터를 인지하는 데 있어 식별 판단 기준이 되는 영상 펙터에 비교적 높은 등급을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본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렌더링 주요도가 낮은 영상 펙터에 대해서는, 렌더링 작업을 생략하거나 기존의 LOD 보다 낮게 렌더링 작업이 수행되어도 전체적인 영상 데이터의 식별에는 큰 지장 없다는 고려하에서 LOD 조정율을 결정한다.
우선,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영상 데이터의 각 영상 펙터에 대한 표준 LOD를 저장하기 위한 LOD 관리 데이터베이스(250)를 유지한다(S710). 본 단계(S710)는 영상 데이터의 구현에 있어 특정 영상 펙터가 최상으로 구현되는 최상의 LOD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표준 LOD는 소정의 영상 데이터 제작자에 의해 미리 선정되어 입력 받을 수 있다. 단, 이러한 표준 LOD는 이상적인 영상의 구현을 위한 각 영상 펙터의 LOD로 정의할 수 있는 것으로 일정한 레벨의 사양을 보유하지 못하는 단말 수단(130)에서는 최상 상태의 영상 구현이 불가능하고 끊김 현상이나 상당한 렌더링 시간을 요구하게 되어 동적 튜닝에 의한 LOD 조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다음으로,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표준 LOD 또는 렌더링 주요도에 의거하여 영상 펙터 각각에 대한 LOD를 결정한다(S720). 본 단계(S710)는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영상 펙터에 대한 렌더링 주요도에 따라, 영상 펙터 별로 LOD 레벨이 선정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예컨대 렌더링 주요도가 높은 영상 펙터에 대해서는 소정의 표준 LOD가 유지되도록 결정하고, 렌더링 주요도가 낮은 영상 펙터에 대해서는 표준 LOD보다 낮은 LOD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식별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단말 수단(130)의 사양에 최적화되는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적 튜닝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도 6을 살펴보면, 정밀도 조정 시스템(200)은 렌더링 주요도에 따른 영상 펙터에 대한 소정의 렌더링 작업이, 결정된 LOD 조정율에 의거하여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620). 본 단계(S620)는 예컨대, 동작 제어 수단(240)에 의한 단말 수단(130)의 렌더링 작업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각 영상 펙터마다 결정되는 표준 LOD 또는 LOD 조정율에 의거하여 단말 수단(130)의 소정 디스플레이 수단에 영상 데이터가 구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식별 능력은 그래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의 축소로 인한 단말 수단(130)의 구현 처리 주기를 경감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구현이 무리 없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밀도 조정 방법은 동일 영상 데이터일지라도 이를 구현하는 단말 수단(130)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유연하게 단말 수단(130)의 렌더링 시간이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단말 수단(130)의 사양에 구애 받지 않고 영상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120)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밀도 조정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20)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 함으로써 동적 튜닝에 의한 자연스러운 영상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수단의 사양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동적 튜닝에 있어, 렌더링(rendering) 주요도에 기초한 선별적인 영상 펙터의 상세 정도(Level Of Detail; LOD) 조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당 렌더링 시간을 구현되는 영상 데이터일지라도 영상 식별 능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수단의 렌더링 작업 시간을 해당 단말 수단의 사양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 수단의 사양에 관계없이 다수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품질을 담보하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정밀도 조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구현 시간과 연관된 허용 주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의 단말 수단으로 전송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단말 수단의 구현 처리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구현 처리 주기와 상기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허용 주기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상기 허용 주기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이후에 전송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에 대한 LOD(level of detail)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상기단계는,
    상기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율을 소정의 렌더링 주요도와 연관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LOD 조정율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펙터에 대한 렌더링 작업이 상기 단말 수단 상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주요도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식별에 관계된 소정의 가중치에 따라 상기 영상 펙터 각각에 부여되고,
    상기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율을 소정의 렌더링 주요도와 연관하여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상기 영상 펙터에 대한 표준 LOD를 저장하기 위한 LOD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LOD 또는 상기 렌더링 주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펙터에 대한 LOD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 LOD 또는 상기 렌더링 주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펙터에 대한 상기 LOD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렌더링 주요도가 높은 상기 영상 펙터의 LOD는 상기 표준 LOD가 그대로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렌더링 주요도가 낮은 상기 영상 펙터의 LOD는 상기 표준 LOD보다 낮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펙터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화면 배경, 상기 화면 배경에 소정 위치하는 대상물 - 상기 대상물은 동적 또는 정적인 피사체를 포괄함 -, 상기 대상물의 쉐도우/이펙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펙터의 상기 LOD 조정율은 상기 화면 배경/대상물의 시야 거리 또는 상기 화면 배경/대상물의 폴리곤(polygon)/텍스쳐(texture) 수에 대한 레벨을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 처리 주기는 상기 단말 수단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입력, 상기 영상 데이터의 로딩, 상기 영상 데이터의 렌더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데이터이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렌더링과 연관된 렌더링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를 조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구현 시간과 연관된 허용 주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단말 수단으로 전송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단말 수단의 구현 처리 주기를 측정하는 주기 산출 수단; 및
    상기 측정된 구현 처리 주기가 상기 허용 주기보다 긴 경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이후에 전송되는 제2 영상 데이터의 상기 구현 처리 주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펙터에 대한 LOD 조정율을 상기 영상 데이터의 렌더링 주요도와 연관하여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시스템.
KR1020030092091A 2003-12-16 2003-12-16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 KR10043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091A KR100434178B1 (ko) 2003-12-16 2003-12-16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
PCT/KR2004/003318 WO2005059829A1 (en) 2003-12-16 2004-12-16 A method of adjusting precision of image data which inter-locked with video signals throughput of a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CNB2004800375774A CN100481124C (zh) 2003-12-16 2004-12-16 调节图像数据的精度的方法及系统
JP2006545237A JP4580938B2 (ja) 2003-12-16 2004-12-16 端末手段の映像信号処理能力に連動する映像データの精密度調整方法および調整システム
US11/452,636 US7834874B2 (en) 2003-12-16 2006-06-14 Method of improving the presentation of image data which inter-locked with video signals throughput of a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091A KR100434178B1 (ko) 2003-12-16 2003-12-16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096A Division KR20050061249A (ko) 2004-01-15 2004-01-15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178B1 true KR100434178B1 (ko) 2004-06-09

Family

ID=3469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091A KR100434178B1 (ko) 2003-12-16 2003-12-16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34874B2 (ko)
JP (1) JP4580938B2 (ko)
KR (1) KR100434178B1 (ko)
CN (1) CN100481124C (ko)
WO (1) WO20050598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5036A (zh) * 2020-11-30 2021-02-23 北京博瑞彤芸科技股份有限公司 页面渲染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2898B2 (en) * 2007-05-09 2018-08-07 Illinois Institutre Of Technology Weighted metalabels for enhanced search in hierarchical abstract data organization systems
US11080165B1 (en) * 2011-05-13 2021-08-03 Amazon Technologies, Inc. Hierarchical performance instrumentation injection
US8888590B2 (en) * 2011-12-13 2014-11-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Graphics render matching for displays
US20160047206A1 (en) * 2014-08-18 2016-02-18 Baker Hughes Incorporated Methods of selecting bottom hole assemblies comprising earth-boring tools, of improving drilling operations, and of improving drilling plans based on drilling simulations
US10630992B2 (en) 2016-01-08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lication processor, and mobile terminal for processing reference image
US11625848B2 (en) * 2020-01-30 2023-04-11 Unity Technologies Sf Apparatus for multi-angle screen coverage analysis
JP2023049982A (ja) * 2021-09-29 2023-04-10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サーバシステム、プログラム、プレーヤ端末、及び提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6150A (en) * 1995-08-04 2000-01-18 Microsoft Corporation Sprite compositor and method for performing lighting and shading operations using a compositor to combine factored image layers
KR0180160B1 (ko) * 1995-09-29 1999-05-15 배순훈 3차원 물체의 랜더링 방법
JP2858556B2 (ja) * 1996-04-17 1999-02-17 日本電気株式会社 3次元形状通信システム
JPH10320573A (ja) * 1997-05-22 1998-12-04 Sega Enterp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6072498A (en) * 1997-07-31 2000-06-06 Autodesk, Inc. User selectable adaptive degradation for interactive computer rendering system
AU2680699A (en) * 1998-02-17 1999-08-30 Sun Microsystems, Inc. Estimating graphics system performance for polygons
US6538651B1 (en) * 1999-03-19 2003-03-25 John Hayman Parametric geometric element definition and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JP2001022948A (ja) * 1999-07-08 2001-01-26 Seg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503539B2 (ja) * 1999-09-07 2004-03-08 日本電気株式会社 3次元グラフィックス表示装置
JP2002024285A (ja) * 2000-06-30 2002-01-25 Sanyo Electric Co Ltd ユーザ支援方法およびユーザ支援装置
JP4704558B2 (ja) * 2000-12-25 2011-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3次元空間データ送信表示システム、3次元空間データ送信方法、3次元空間データ送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3次元空間データ送信表示方法、及び3次元空間データ送信表示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002564B1 (en) * 2001-03-06 2006-02-21 Pixelworks, Inc. Failsafe display of frame locked graphics
JP2002279449A (ja) * 2001-03-19 200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3次元空間データ送信表示装置、3次元空間データ送信方法、3次元空間データ送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076583A (ja) * 2001-09-04 2003-03-14 Fujitsu Ltd レンダリング計算処理状況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装置、方法
JP2003308277A (ja) * 2002-04-17 2003-10-31 Sony Corp 端末装置、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4189627B2 (ja) * 2002-04-24 2008-12-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サーバ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5036A (zh) * 2020-11-30 2021-02-23 北京博瑞彤芸科技股份有限公司 页面渲染方法及系统
CN112395036B (zh) * 2020-11-30 2023-03-24 北京博瑞彤芸科技股份有限公司 页面渲染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34874B2 (en) 2010-11-16
CN100481124C (zh) 2009-04-22
JP4580938B2 (ja) 2010-11-17
US20070002185A1 (en) 2007-01-04
CN1894718A (zh) 2007-01-10
JP2007520925A (ja) 2007-07-26
WO2005059829A1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7117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рвер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US9086776B2 (en) Modifying avatar attributes
KR102394296B1 (ko) 다수의 디바이스 상에 컴퓨팅 환경의 제시
CN111756646B (zh) 网络传输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795056B (zh) 调节显示参数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6906584B2 (ja) デバイスをウェイクアップ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834874B2 (en) Method of improving the presentation of image data which inter-locked with video signals throughput of a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CN111050203A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视频处理设备及存储介质
US200802118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of Image Resource
JP2007034687A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
US117507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rate limiting client service requests at a blockchain service provider platform
CN113117326B (zh) 一种帧率控制方法和装置
CN111914149A (zh) 一种请求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378089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CN113849271A (zh) 云桌面展示方法、装置、设备、系统和存储介质
CN109639813B (zh) 视频文件传输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050061249A (ko) 단말 수단의 영상 신호 처리 능력에 연동되는 영상데이터의 정밀도 조정 방법 및 조정 시스템
CN111031377B (zh) 移动终端及视频制作方法
EP3412020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device
CN116450353A (zh) 处理器核匹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118122A (zh) 一种用户生产内容的处理方法、装置和系统
US20110314412A1 (en) Compositing application content and system content for display
CN115103321B (zh) 一种短信发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402353A (zh) 一种基于自适应虚拟化绘制流水线的云-端绘制计算框架
JP616086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