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986B1 - 식물또는과실의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합성된장티푸스백신및그제법 - Google Patents

식물또는과실의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합성된장티푸스백신및그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986B1
KR100433986B1 KR1019970702529A KR19970702529A KR100433986B1 KR 100433986 B1 KR100433986 B1 KR 100433986B1 KR 1019970702529 A KR1019970702529 A KR 1019970702529A KR 19970702529 A KR19970702529 A KR 19970702529A KR 100433986 B1 KR100433986 B1 KR 10043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odified
acetyl
oligogalacturonate
polygalactur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845A (ko
Inventor
샤우순 첸 스주
슬라보미르 바이스트릭키
Original Assignee
더 가브먼트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아메리카,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세크러테리, 디파트먼트 오브 헬쓰 앤드 휴먼 서비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가브먼트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아메리카,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세크러테리, 디파트먼트 오브 헬쓰 앤드 휴먼 서비씨즈 filed Critical 더 가브먼트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아메리카,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세크러테리, 디파트먼트 오브 헬쓰 앤드 휴먼 서비씨즈
Publication of KR97070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85Haptens or antigens, bound to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25Enterobacteriales, e.g. Enterobacter
    • A61K39/0275Salmon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37Bacterial toxins, e.g. diphteria toxoid [DT], tetanus toxoid [T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와 항원적으로 유사한 변형된 사카라이드를 제공하도록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진, 변형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변형된 사카라이드는 캐리어에 결합되어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해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결합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이러한 결합체에 반응하여 생산된 항체는 장티푸스를 예방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변형된 사카라이드 및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결합체의 제조방법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 또는 과실의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합성된 장티푸스 백신 및 그 제법
살모넬라 타이피(Salmonella typhi)에 의해 발병되는 장티푸스는 아직도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발병되는 심각한 질병으로 남아 있다. 캡슐성 폴리사카라이드(Vi)는 필수적인 독성인자인 동시에 살모넬라 타이피의 방어성 항원이기도 하다[19]. 탁켓 등 (Tacket 등, J. Infect. Dis. 154: 342-345 (1986))은 살모넬라 타이피의 캡슐성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만들어지는 백신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네팔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실지실험 결과는, 유아기 후반기에 해당하는 어린이와 성인의 경우에는 Vi의 1회 투여로 장티푸스가 약 70% 예방된 것을 보여주었다 [1, 13]. 다른 폴리사카라이드 백신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예방작용의 기작은 상당한 농도의 혈청 항체를 유도해내는 것이다.
그러나, Vi의 백신으로서의 이용성을 제한하는 Vi의 면역학적 특성들은 다음과 같다: 1) 5 내지 45세의 연령범위에서 단지 약 70%의 효능을 나타낸다; 2) 연령체 반응을 유도하며, 2세 미만의 영아인 경우에는 단지 낮은 농도의 항체만을 유도한다; 3) 재투여를 하더라도 항체 반응의 증대가 유도되지 않는다 (T-세포 독립적임) [15, 19]. Vi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고 T-세포 의존성을 유도하기 위해서, Vi를 단백질과 결합시키는 시도가 있었다 [22, 24, 25]. 미국에서의 성인에 대한 임상실험결과는 Vi-단백질 결합체가 Vi 단독인 경우에 비해 상당히 높은 농도의 혈청 항체를 유도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Vi는 (1→4)-α-D-GalApNAc, C3위치에서 다양하게 O-아세틸화되어 있는 선형의 호모폴리머이다 (도 1 참조) [19, 23]. 화이트사이드와 베이커 (Whiteside와 Baker, J. Immunol. 86: 538-542 (1961)) 및 랜디 등 (Landy 등, Am. J. Hyg. 73: 55-65 (1961))은 Vi의 O-아세틸기가 항원성을 나타내는데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스즈 (Szu) 등은 공유결합에 의해 캐리어(carrier) 단백질과 결합된 Vi 캡슐성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결합과정을 밝혀낸 바 있다 [22, 23, 24]. 1994년 2월 17일자로 발행된 국제공개번호 WO 94/03208, 1993년 4월 20일자로 발행된 미국특허 제5,204,098호 및 1993년 4월 15일자로 발행된 국제공개번호 WO 93/07178에도 또한 Vi 캡슐성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캐리어 결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Vi-단백질 결합체(conjugate)의 합성은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Vi의 분자량(약 2x103kD)이 커서 그 결합체의 용해성이 좋지 못하다. 둘째, Vi 다당류를 정량하는 칼라반응방법이 적절하지 못하여 Vi 결합체의 표준화가 어렵다. 폴리헥소사민유론산(polyhexosaminuronic acid) 구조가 산에 의해 가수분해되기가 어렵고 카바졸 분석법에 의해 발색단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Vi에는 칼라반응방법이 적용될 수 없다. 타일러 등 (Szewczyk와 Taylor, Infect. Immun. 29: 539-544 (1980))은 면역 확산법상으로는 항원적으로 Vi와 구별이 불가능한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O-아세틸 폴리칼락튜론산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O-아세틸 펙틴은 항원성은 나타낸다 하더라도 생체내에서는 면역원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아베리와 괴벨(Avery와 Goebel, J. Exp. Med. 50: 531 (1929))과 괴벨 (Goebel, J. Exp. Med. 50: 469-520 (1929))은 뉴모코커스 타잎 3 (pneumococcus type 3) 폴리사카라이드의 면역원성은 이것을 캐리어 단백질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원리는 다른 병원체의 캡슐성 폴리사카라이드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는데도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7, 10, 22, 24].
본 발명 이전까지는,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해 항원성 및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식물 또는 과실에서 유도된 O-아세틸 올리고-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면역학적 예방방법 및 백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폴리사카라이드의 변형방법으로서, 면역원성을 가지고 있어서 유아 및 영아의 장티푸스를 예방하는 백신으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변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Vi, 펙틴과 O-아세틸 펙틴의 반복단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Vi의 경우, C2(R)이 N-아세틸화되어 있고 C3(R1)가 O-아세틸화되어 있으며; 펙틴의 경우, C2와 C3가 하이드록시화되어 있고; OAcPec의 경우 C2와 C3가 O-아세틸화되어 있고, n은 써브유니트의 개수이다.
도 2는13C NMR 스펙트로스코피에 의한 O-아세틸 펙틴의 메틸 레조넌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0.01M 인산나트륨과 0.1M 황산나트륨 용액 (pH 7.0)과 슈퍼로오스 6(Superose
Figure pct00001
6) 칼럼을 이용하여 O-아세틸 펙틴-TT 결합체를 HPLC 겔여과하여 얻은 프로파일이다. 상부 라인이 굴절율을 나타내며, 하부 라인이 280nm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도 4는 O-아세틸 펙틴의 항원성을 Vi의 항원성과 비교한 것으로서, 2차원 면역확산법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중앙의 웰은 B-260 Vi 항혈청을 나타내며, 1)은 Vi 100㎍/ml; 2)는 OAcPec K+형; 3)은 OAcPec Ca++형; 4)는 OAcPec C2H5N+형을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펙틴 (△), OAcPec (●) 및 Vi (○)의 정량적인 침전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Vi (- - - ) 및 O-아세틸 펙틴 (-----)에 대한 O-아세틸기의 온도 의존적 안정성을 4℃ (○), 22℃ (□), 37℃ (▲) 및 60℃ (△)에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O-아세틸화 정도의 감소는 다양한 기간 및 다양한 온도에서 배양한 후 출발물질에 대한 잔류%로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타이피의 Vi 항원과 면역학적으로 유사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를 기초로 하는 항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는 갈락튜로네이트 써브유니트의 C2및/또는 C3하이드록시기가 아세틸화됨으로써 변형된 펙틴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와 결합하는 항체를 유도하는 면역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면역원은 단백질과 결합체를 이룬,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를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폴리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를 이용한 면역화에 의해 유도되며, 살모넬라 타아피의 Vi에 대항하는 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Vi 항원과 유사한 변형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하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와 캐리어를 결합시키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살모넬라 타이피의 Vi 분자는 반복되는 당 써브유니트를 가지고 있는 선형의 폴리사카라이드로 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Vi의 항원성과 면역원성은 각각의 갈락튜로네이트 써브유니트상에서 C2의 N-아세틸기와 C3의 O-아세틸기에 의해 좌우된다 [19, 23]. Vi 및 다른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해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O-아세틸기를 제거하면 대부분의 항원성과 모든 면역원성이 제거된다 [23, 26]. Vi상의 N-아세틸기의 선택적인 제거가 아직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N-아세틸기의 정확한 역할은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은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사카라이드를 변형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Vi를 모방한 것이다. 변형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사카라이드는 항원성 및 면역원성면에서 Vi와 유사하며, 그 자체로서장티푸스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변형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2개 내지 10개의 단당류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탄수화물이다. 폴리사카라이드는 또한 여기에서 단당류가 10개 이상 서로 연결되어 있는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기로는, 변형된 펙틴 또는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형된 펙틴 또는 변형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테이트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또는 천연상태에서 존재하는 펙틴 또는 구조적으로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 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형은 살모넬라타이피의 Vi 항원과 항원적으로 유사한, 변형된 펙틴 또는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변형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형은 살모넬라 타이피의 Vi 항원 구조와 실질적으로 근사한 구조로의 변형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살모넬라 타이피에 의해 발현되는 에피토프 (항원 결 정기)를 면역학적으로 모방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변형된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례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본 발명에서 살모넬라 타이피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체, 바람직하기로는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체를 생산하기 위한 접종성분으로서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인 "면역학적으로 모방"이라는 의미는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상의 원천적인 에피토프를 인식하여 결합하는 본 발명의 항체와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이들이 소정의 입체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살모넬라 타이피의 Vi 항원과 반응하는 항체를 유도할 수 있기만 하다면, Vi 항원과 구조적으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이들이 Vi 항원과 반응하는 항체와 반응할 수 있는 한, 펙틴의 치환된 아날로그, 단편 또는 화학적 유도체를 포함하여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그 이용성면에서 소정의 장점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 변화반응을 거칠 수 있다.
"치환"이라는 용어는, 상기와 같은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필수적인 면역학적 활성을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유도체화 되지 않은 잔기(residue)의 위치에 화학적으로 유도체화된 잔기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학적 유도체"라는 용어는, 관능성 부작용기 (functional side group)의 반응에 의해 화학적으로 유도체화된 하나 이상의 잔기를 가지고 있는,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를 의미한다. "링커"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잔기들이 더 첨가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라벨 또는 고체 매트릭스 또는 캐리어에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에 이용될 수 있는 라벨, 고체 매트릭스 및 캐리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단당류 써브유니트가 하나의 O-아세틸 탄소, 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O-아세틸 탄소를 가지고 있는,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C3또는 C2가 O-아세틸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C3와 C2가 아세틸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C2와 C3의 50% 이상이O-아세틸화되어 있다.
Vi 분자는 C2위치에 N-아세틸기를, C3위치에 O-아세틸기를 가지고 있다. Vi 상의 모든 C2위치가 아세틸기를 가지고 있고 모든 C3위치가 아세틸기를 가지고 있다면, 그 Vi 분자는 이론적으로 200% 완전히 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Vi로 된 대부분의 생성물에 있어서 아세틸화율은 다양하다. C2위치는 통상 약 100% N-아세틸화되어 있고, C3위치는 Vi 제조시의 통상적인 변화에 따라 약 60% 내지 90% O-아세틸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Vi의 총아세틸화율과 근사한 값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약 50% 내지 200%, 바람직하기로는 약 8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약 160% 내지 190% O-아세틸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Vi와 결합하는 항체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O-아세틸기/갈락튜로난 몰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몰비는 0.5몰 이상의 O-아세틸기/1몰 갈락튜로난(Gal A), 바람직하기로는 1.6몰 이상의 O-아세틸기/1몰 Gal A,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약 1.6몰 내지 1.9몰의 O-아세틸기/1몰 Gal A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며, 이 몰비는 약 1.9몰 O-아세틸기/1몰 Gal A 이다.
O-아세틸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전술한 방법들에 의해 면역원성인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는 몰비가 보다 낮아져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폴리사카라이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Vi 단독의 분자량 및 Vi-캐리어 결합체로서의 분자량이 이것의 면역원성과 관련이 있다 [16, 17, 22]. 그러므로,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결합체 형태로 존재할 때 그것의 항원성 또는 그것의 면역원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분자량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약 2 내지 약 1000개의 변형된 갈락튜론 써브유니트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약 50 내지 약 800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약 200 내지 약 600개의 단당류 써브유니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변형된 펙틴의 분자량 범위는 약 100 내지 약 1,000,000, 바람직하기로는 약 200,000 내지 약 600,000 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변형된 펙틴의 분자량은 약 400kD 이다.
C2또는 C3위치에 갈락튜론산이 변형된 것 외에도 다른 종류의 치환 또는 탈락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치환 또는 탈락의 결과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살모넬라 타이피의 Vi항원과 항원적으로 유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자연상태에서 발견되는 펙틴이 갈락튜론산의 C2및 C3위치의 하이드록시기가 O-아세틸기로 치환되도록 변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변형된 펙틴은 "OAcPec"라 칭하기로 한다.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와 비교되는 OAcPec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Vi의 분자량(M1)(약 2x103kD)은 OAcPec의 분자량(약 400kD)보다 크다.; 2) Vi의 C2위치의 N-아세틸기는 OAcPec에서는 O-아세틸기로 치환되어 있다; 3) OAcPec는 5% 미만의 중성 당류를 가지고 있지만 Vi는 검출불가능한 정도의 양으로 가지고 있다. 3-8℃에서, O-아세틸기의 함량과 분자 크기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서의 OAcPec의 안정성은 Vi의 안정성과 유사하다. 고온에서 Vi의 분자 크기는 N-아세틸기와, 인접한 잔기의 카르복시기 사이의 수소결합의 안정화 효과로 인해 OAcPec에 비해 안정한 것으로 보인다 [23]. 백신은 3-8℃ 이하의 온도에서 저장될 것이므로, OAcPec와 Vi의 안정성 특성은 서로 유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OAcPec와 Vi는 면역확산상 항원적으로 구별불가능하다 (도 4 참조). 그러나, Vi와는 달리 OAcPec는 분자량이 더 작아서 쥐에 대해서는 면역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는 포유동물에게서 Vi에 대해 면역원성을 나타낸다. "면역원성"이라는 용어는,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결합체가 포유동물에 투여되는 경우 항체 생산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도된 항체는 살모넬라 타이피와 특이적으로 반응 또는 결합하고,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와 특이적으로 반응 또는 결합하여 사람의 경우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해 수동면역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는 재투여시 Vi와 결합하는 항체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수준으로 상승 (부스터 효과)시킬 수 있다.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장티푸스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용 결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Vi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살모넬라 타이피와 같은 병원체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P3설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은 Vi의 이용성을 제한하며 Vi 백신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안정성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의 제조 및 정제가 살모넬라 타이피로부터 Vi를 추출하는 방법보다 용이하고 안전성 있고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2) 결합체의 합성과정동안 및 최종 단계에서 칼라변화반응에 의해 변형된 올리고-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의 정량이 가능하다; 3) 용해도로 인한 문제가 없고 변형된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의 생성수율이 Vi의 경우에 비해 높다; 4) 백신의 표준저장온도인 4℃에서, 변형된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의 안정성은 Vi의 안정성과 유사하다.
본 발명은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합성 Vi 항원을 제조하여, 살모넬라 타이피의 캡슐성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항하여 부스터 반응을 증진 및 유도하기 위해 캐리어와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C2및 C3위치가 무수아세트산에 의해 O-아세틸화되어 있다. 카보디이미드 축합반응을 통해, O-아세틸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시스타민에 의해 티올화되거나, 디하이드라지드 아디프산, 디아미노에스테르, 에틸디아민 등에 의해 아미노화된다. 티올화 및 아미노화된 O-아세틸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안정성이 있고 동결건조되어 저온에서 저장될 수 있다. 티올화된 중간체는 환원되어 설피드로기, N-피리딜디티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머성 캐리어와 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아미노화된 중간체는 카보디이미드 축합 반응을 통해 카르복시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머성 캐리어와 공유결합될 수 있다. 폴리머성 캐리어와 공유결합된 O-아세틸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포유동물에 대해 면역원성을 나타내며, 장티푸스 백신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식물 또는 과실 폴리사카라이드의 정제 및 O-아세틸화: 식물 또는 과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오랜지와 같은 감귤류 과실의 외피의 안쪽부분, 사과 또는 비트 등의 과실 찌끼로부터 추출되어 정제된 펙틴이 폴리사카라이드의 소스로 이용될 수 있다. 이 펙틴은,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겔여과법 등에 의해 더 정제될 수 있다. 포름아미드 및 피리딘 용매 중에서 무수아세트산으로 처리함으로써 펙틴이 O-아세틸화될 수 있다. O-아세틸기의 함량은 원하는 수준의 아세틸화에 도달할 때까지 아세틸화반응을 반복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폴리머성 캐리어: 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선택된다: 1) 폴리사카라이드의 면역원성의 증가 및 2) 캐리어에 대항하여 유도된 항체가 의학적으로 유용할 것. 이러한 범주의 기능을 수행하는 캐리어에 대해서는 종래의 문헌에도 기재되어 있다 [7, 10, 22-25]. 폴리머성 캐리어는 1차 및/또는 2차 아미노기, 아지도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가지고 있는 천연 또는 합성물질이다. 수용성 캐리어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세균 또는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천연 또는 합성 펩티드 또는 단백질이 포함되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테타누스 톡신/톡소이드, 디프테리아 톡신/톡소이드,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의 엑소톡신/톡소이드/단백질, 백일해 톡신/톡소이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의 엑소톡신/톡소이드 및 B형 간염 표면 항원 및 코어 항원이 있다. 불수용성 캐리어의 예로는, 예를 들어 아미노알킬-세파로오스(Sepharose
Figure pct00002
), 구체적으로는 아미노프로필 또는 아미노헥실 세파로오스(Sepharose
Figure pct00003
) 및 아미노프로필 글래스 등이 있는데, 이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밖의 첨가제가, 아미노기 또는 카르복시기가 링커 분자와의 공유결합을 통해 첨가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와 결합된 O-아세틸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의 합성: O-아세틸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링커 분자의 존재 또는 비존재하에 캐리어와 공유결합될 수 있다. 링커 없이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O-아세틸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와 캐리어를,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및 캐리어 모두에 대해 적절한 것으로 알려진 용매 중에서 카보디이미드와 같은 카르복시기 활성화제의 존재하에 혼합한다 [24].
O-아세틸화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는 링커 분자를 이용하여 캐리어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링커 또는 가교제는 분자량이 약 500 미만인 작은 선형 분자이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생성물에 있어 비발열성이며 비독성인 물질이다 [7, 10, 22-25]. 링커 또는 가교제와 결합시키기 위해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와 캐리어 중의 한 성분 또는 두 성분 모두를 먼저 링커에 공유결합시킨다. 링커 또는 가교제는 동성의 2작용성(homobifunctional) 또는 이성의 2작용성(heterobifunctional)을 나타내는 분자로서, 예를 들어 디하이드라지드 아디프산, 에틸렌디아민, 시스타민, N-숙신이미딜-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SPDS), N-숙신이미딜 N-(2-요오도아세틸)-b-알라니네이트-프로피오네이트(SIAP),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 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SMCC),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 등과 같은 물질이다. 이러한 링커는 카보디이미드 축합반응을 통해 O-아세틸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또는 캐리어의 카르복시기와 결합된다. 또한, 링커들은 카보디이미드 축합반응 또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반응을 통해 캐리어의 아미노기와 결합된다. 결합되지 않은 물질들은 분리될 물질에 따라 겔 여과 칼럼 또는 이온교환 칼럼에 의해 제거된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결합체는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와, 링커를 통해 사카라이드와 결합된 캐리어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Vi 항원에 대한 혈청 항체가 장티푸스에 대해 면역성을 부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임상적인 증거가 있다 [1, 2]. 항체를 유도하는데 이용되는 면역원은 Vi 캡슐성 폴리사카라이드이다. Vi 항체가 장티푸스를 예방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또한 살모넬라 타이피 배양상의 복잡성과 안정성 문제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는 비세포성 백신(acellular vaccin)의 허가기준으로서 항원투여 데이터를 더 이상 요구하지 않고 있다.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는 비세포성 백신에 대한 WHO와 FDA의 허가기준은 얻어진 생성물이 Vi 항체를 유도하거나 또는 Vi 항체와 결합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 및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는, Vi 항원과 반응하거나 Vi 항원과 결합하는 항체를 유도한다. ELISA에 따라 측정된 바에 의하면,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에 의해 유도되는 항-Vi 항체의 수준은 Vi-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재조합 세포외단백질 A (rEPA) 결합체에 의해 유도되는 항체의 수준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는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는 효과적인 백신으로서 이용되어 사람에게 있어 장티푸스를 예방하거나 치료한다.
본 발명의 접종물은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 및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를 면역학적으로 효과적인 양 만큼 함유하고 있다. Vi 항원에 대해 면역반응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단위 투여당,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 및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의 효과적인 양은, 다른 무엇보다도 접종 대상이 되는 포유동물의 종, 체중 및 종래부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접종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접종물은 1회 접종(투여)당 약 1㎍ 내지 100mg, 바람직하기로는 25㎍ 내지 50mg의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 및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를 포함한다.
접종과 관련하여 "단위 투여"라는 용어는 포유동물에 대해 1회 투여되기에 적합한 양으로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량을 의미하는 것이며, 각각의 단위는 요구되는 희석액과 연합하여 원하는 면역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수준으로 계산된 소정량의 활성물질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접종물의 새로운 단위 투여량에 대한 사양은 다음과 같은 인자에 따라 결정된다: (a) 활성물질의 독특한 성질과 원하는 특정 면역학적 효과 및 (b)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물에게 면역학적 용도로 이용되는 활성물질을 혼합하는기술상의 근본적인 제한사항.
접종물은 약학적 조성물 수용액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물, 생리식염수 또는 인산완충화된 생리식염수 또는 물과 같이 기타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용매에 용해된 용액상태로 제조된다.
접종경로로는,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방어작용을 나타내는 항체를 유도해낼 수 있는, 근육투여, 피하투여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 투여는 1회 이상 이루어진다. 항체의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최초의 투여로부터 약 4 내지 6주후 2차 투여인 부스터 투여가 이루어진다. 또한, 지시에 따라 후속적인 투여가 더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 및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백신에 대한 테스트는 실시예 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WHO의 권장시험법에 의해 또는 이와 동등한 면역학적 분석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Vi 항체의 유도는 사람에게 있어 결합체의 생체내 효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 및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에 의해 유도된 항체는 살모넬라 타이피에 노출된 사람에게 수동방어기능을 부여하여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 및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항체"라는 용어는 면역글로불린 분자와 면역글로불린 분자 중 면역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부분, 즉 항체결합부위(antibody combining site) 또는 파라토프(paratope)를 가지고 있는 분자를 의미한다. 항체 분자의 예로서는, 키메라 항체 뿐만아니라 변형되지 않은 면역글로불린 분자,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면역글로불린 분자 및 Fab, Rab', F(ab')2, F(v)로 알려져 있는 항체 단편을 들 수 있다.
항체 결합부위 또는 항원결합단편(antigen binding fragment)은,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헤비 및 라이트 변성 체인 및 초변성 영역들로 이루어진 항체의 구조적인 부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면역학적 반응"이라는 용어는 항원결정기를 함유하는 분자와, 항체결합부위를 함유하는 분자로서의 항원 분자 전체 또는 그 단편간의 특이적인 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항체는, 1) 살모넬라 타이피, 2) 살모넬라 타이피로부터 분리된 Vi 항원 및 3)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으로서 원래의 또는 자연상태에서 존재하는 펙틴과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분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은 펙틴과 면역학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 및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로 포유동물을 면역화시킨 다음 포유동물에게서 면역원성 결합체에 대한 면역특이성을 가진 항체 분자를 유도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런 다음, 이 항체 분자를 포유동물로부터 수거한다. 본 발명의 항체 분자는 폴리클로날 항체일 수도 있고 모노클로날 항체일 수도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본 발명의 항체는 혈장, 혈청, 하이브리도마 상등액 등에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항체는 예를 들어 DEAE 세파덱스(Sephadex
Figure pct00004
)를 이용하는 방법과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정도로 분리된다. 또한, IgM, IgG, IgA, IgG1, IgG2, IgG3, IgG4등과 같은 특정 클래스 또는 써브클래스를 얻기 위해 상기 항체를 더 정제할 수도 있다. 수동면역을 위해서는 IgG 클래스의 항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체는 여러 가지 진단 및 치료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표준 면역학적 분석방법으로 생물학적 시료에 대해 살모넬라 타이피가 존재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생체외적 진단시약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분석방법으로는, 방사성면역분석법, EIA, 형광분석법, 웨스턴 블롯팅법 등과 같은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방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에 의하면, 생물학적 시료를 본 발명의 항체와 접촉시키고, 라벨링된 제2항체를 이용하여 항체와 결합하는 살모넬라 타이피 또는 살모넬라 타이피의 Vi 항원의 존재를 검출한다.
이러한 분석방법들은, 예를 들면 직접적인 방법 (라벨링된 제1항체가 항원과 반응하는 경우), 간접적인 방법 (라벨링된 제2항체가 제1항체와 반응하는 경우), 경쟁적인 방법 (라벨링된 항원을 첨가하는 경우) 또는 샌드위치 방법 (라벨링된 항체와 라벨링되지 않은 항체가 모두 이용되는 경우) 및 기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들이다.
본 발명의 항체 및 항원결합단편은 살모넬라 타이피 및 면역학적으로 Vi 항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 및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수용체 포유동물, 바람직하기로는 사람에게 본 발명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단편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주사되는 항체 또는 항원결합단편의 투여량은 포유동물의 연령, 체중, 신장, 성별, 전반적인 의료상태, 이전의 병력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수준으로 투여될 수도 있기는 하지만, 포유동물 체중 1kg당 약 1 내지 10mg 범위로 항체 또는 항원결합단편을 수용체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단편은 살모넬라 타이피에 의한 감염증을 예방, 감염증의 심각성, 정도 또는 기간을 감소 또는 약화시키기에 충분한 양만큼 수용체 환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약제의 투여는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예방 목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제공된다. 약제를 예방학적으로 투여하면 후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감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치료학적 목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감염 증상의 개시순간에 (또는 그 직후에)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는 (감염 및 질병의 예견되는 심각성, 기간 또는 정도를 약화시키기 위해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한 노출이 예상된다면 예상되는 노출 이전 또는 감염의 개시 후, 어느 경우에나 제공될 수 있다.
치료, 예방 및 진단 목적 모두의 경우에 대해, 용이하게 입수하여 쉽게 이용이 될 수 있도록, 항체 및 기타 필요한 시약 및 적절한 기구와 부품들 뿐만아니라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단독으로 또는 캐리어에 연결된 상태로 킷트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시약: 펙틴 (GENU 펙틴, 코펜하겐, 덴마아크, 타잎 LM-1912CSZ)은 감귤류로 부터 추출하였다. 임상적으로 이용되는, 발열원이 없는 물(pyrogen-free water: PFW)과 발열원이 없는 생리식염수(PFS)는 박스터 (Baxter, 디어필드, 위스콘신)로 부터; N-숙신이미딜 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SPDP)는 피어스 (Pierce, 록포드, 일리노이)로부터; 포름아미드, 시스타민은 플루카 (Fluka, 론콘코마, 뉴욕)로부터; 피리딘, NaOH, HCl은 베이커 케미칼 (Baker Chemical, 필립스부르그, 뉴저지)로부터; 무수아세트산, 디티오트레이톨(DTT), EDTA, 1-에틸-3(d-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EDCA), 아세틸콜린, BSA, 디티오니트로벤조산(Ellman reagent), D-갈락튜론산 모노하이드리드(GalA)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는 시그마(Sigma, 세인트루이스, 미주리)로부터; 카바졸은 알드리치 (Aldrich, 밀워키, 위스콘신)로부터; HEPES는 칼바이오켐 (Calbiochem, 라 졸라, 캘리포니아)로부터, 바이신코닌산(BCA)는 단백질 시약, 세파크릴(Sephacryl
Figure pct00005
) S-1000, 세파덱스(Sephadex
Figure pct00006
)G-50, 슈퍼로오스 6(Superose
Figure pct00007
6)은 파마시아 (Pharmacia, 피스카타웨치, 뉴저지)로부터 각각 입수하였다. 테타누스 톡소이드(TT)에 대한 항혈청은 월리암 해비그(William Habig, CBER, FDA)로부터 기증받았다.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엑소톡신 A(ETA)와 이 단백질에 대한 염소 항혈청은 리스트 바이오로지칼 랩 (List Biological Lab., 캠프벨, 캘리포니아)로부터 입수하였고, Vi 항혈청(B-260)은 열에 의해 사멸시킨 살모넬라 타이피 균주 Ty-2를 당나귀에게 수차례 정맥주사함으로써 제조하였다 [19].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재조합 세포외단백질 A(rEPA)은 미국특허 제5,328,984호와 4,892,827호07/825,08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Vi-rEPA는 1993년 4월 20일자 미국특허 제5,204,09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분석방법: 폴리사카라이드와 결합체의 분자 크기는 0.1M Na2SO4를 포함하고 있는 0.02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7.0)과 슈퍼로오스 6 HPLC 칼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카르복시기는 펙틴을 표준품으로 이용하여 카바졸 반응에 의해 측정하였다 [3, 27]. O-아세틸기는 아세틸콜린을 표준품으로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몰/몰 GalA로 표현하였다 [12]. 설피드릴기의 농도는 엘만 반응에 의해 측정하였다[8]. 단백질은 BSA를 표준품으로 하고 BC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20], 핵산의 함량은 A280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28].13C 핵자기공명 스펙트로스코피 (NMR)는 실온에서 제너럴 일렉트릭의 GN300 분석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23].
실시예 2
감귤로부터 O-아세틸 펙틴의 제조
펙틴을 60℃의 PFW(10mg/ml)에 1시간 동안 용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고 이어서 1M NaOH를 이용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75% 에탄올을 이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를 2회 침전시킨 다음 동결건조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펙틴은 1% 미만의 단백질과 핵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28]. 펙틴의 O-아세틸화는 참고문헌 [6]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간단하게 말하면, 펙틴(1g)을 50℃에서 포름아미드(20mg/ml)에 1시간 동안 현탁시키고 여기에 20ml의 피리딘을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무수아세트산(15ml)을 적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차가운 순수 에탄올에 쏟아 부었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PFW에 용해하고 3-8℃에서 탈이온수를 수차례 교환해 가면서 투석처리한 다음 동결건조하였다. 최대로 가능한 수율이 200% 인데 비해 O-아세틸화율은 약 50% 였다. O-아세틸화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OAcPec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다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은 생성물을 세파덱스(Sephadex
Figure pct00008
) G-50 칼럼(2.5×50cm, 용출용매: PFW)을 통과시킨 다음 공극율 피크(void volume peak) 분획을 멸균된 0.45㎛ 멤브레인에 통과시켜 동결건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생성물에는 약 1.6몰 0-아세틸기/몰 GalA (또는 수율 80% 상당)이 포함되어 있었다.
O-아세틸기의 몰량은 헤스트린 (Hestrin) 반응에 의해 측정되고 [12], O-아세틸기의 분포는13C NMR의 메틸 레조넌스에 의해 연구된다 (도 2 참조).
O-아세틸 펙틴의 항원성은, Vi 폴리사카라이드를 대조군으로 하고 2차원적인면역확산법을 이용하여,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는 항혈청과의 반응에 의해 연구되었다. 면역확산법은 1% 한천을 함유하는 PBS와 B-260 항혈청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정량적인 침전반응은,100㎕의 B-260과, 1 내지 100㎍/ml의 항원을 포함하고 있는 동일용적의 항원 용액을 37℃에서 1시간 동안, 3-8℃에서 5일 동안 때때로 혼합해주면서 반응시킴으로써 이루어졌다. 침전체를 차가운 PFS로 3회 세척하고 0.8% SDS에 용해하여 A280을 기록하였다 [23]. 초면역(hyperimmune) 마우스 혈청을 이용하여 ELISA에 의해 혈청의 Vi 항체를 측정하고 표준방법 [1]에 따라 방사성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O-아세틸기의 안정성은 기간별로, 온도별로 연구가 이루어진다. PBS(pH 7.0)에 OAcPec와 Vi를 용해(1mg/ml)한 다음 3-8℃, 25℃, 37℃ 및 60℃에서 배양하였다. 1주, 2주 및 12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소량을 취하여 O-아세틸기의 함량을 측정하고 겔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
결합체의 제조
결합체의 합성은 Vi에 대해 기술한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24]. 폴리사카라이드(5mg/ml)를 0.2M NaCl에 용해하였다. 시스타민(0.1M)을 첨가하고 0.1M HCl을 이용하여 pH를 5.0으로 조정하였다. 온도는, Vi에 대해서는 37℃로, OAcPec에 대해서는 실온으로 하였다. EDAC(0.1M)을 첨가하고 pH를 4.9 내지 5.1 범위로 유지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10mM 인산을 함유하는PFS(pH 7)를 이용하여 3-8℃에서 1일 동안 투석하고, PFW를 이용하여 수차례 교환해 가면서 3일간 투석한 다음 동결건조하였다. 티올화는, 실온에서 1시간 동안 0.1M DTT로 처리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소량 취하여 측정하고, P10 칼럼(2.5×35cm)을 통과시켰다. 공극율 피크 분획들에 대해 그들의 설피드릴기 함량을 적정하고 유도체화 비율을 % 시스타민으로서 나타내었다.
SPDP를 이용한 단백질의 유도체화.순수 에탄올에 용해되어 있는 SPDP를, 0.15M HEPES + 0.001M EDTA 용액(pH 7.5: HE 완충용액)에 단백질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에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적가하여 최종 농도가 0.04M이 되도록 하였다. 1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키고 HE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하룻밤동안 투석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P10 칼럼(2.5×35cm, 용출용매: HE 완충용액)에 통과시키고, 공극율 피크 분획을 약 10mg/ml의 농도로 농축하였다. 소량을 취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0.075M DTT로 처리하고, 그것의 A343을 측정하여 단백질에 대한 SPDP의 몰비를 계산하였다 [5].
결합체 형성 반응: 시스타민에 의해 유도체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PBS(pH 7.4)에 10mg/ml이 되도록 용해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0.05M DTT로 처리하여 세파덱스 G-50 칼럼(2.5×35cm, 용출용매: PBS(pH 7.0))에 통과히켰다. 소량을 취하여 그것의 설피드릴기 함량을 측정하고, 그 나머지를 동일 중량의, SPDE에 의해 유도체화된 단백질과 혼합하여 실온에서 4시간 동안, 3-8℃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3-8℃에서 세파크릴 S-100 칼럼(2.5×95cm, 용출용매:PFS)에 통과시켰다. OAcPec-TT에 대해, 단백질과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분획들을 2개의 배치(batch)로 수집하였다: 공극율 피크 분획에 대한 OAcPec-TT1과, 저분자량 분획들에 대한 OAcPec-TT2. Vi-rEPA를 세파크릴 S-100 칼럼(2.5×95cm, 용출용매: PFS)에 통과시켜 공극율 피크 분획들을 수집하였다.
실시예 4
O-아세틸 펙틴의 특성
OAcPec의 물리화학적 특성: O-아세틸화율은 펙틴의 경우 0.1 내지 1.6몰/GalA 범위였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 서술된 부분에서 OAcPec는 1.6몰 O-아세틸기/몰 GalA 값을 갖는 것이다. OAcPec의13C NMR 결과는 아세틸 메틸 레조넌스에 대해 2개 이상의 신호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모노아세틸화 및 디아세틸화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O-아세틸화되지 않은 잔기는 존재할 수 없었다 (도 2 참조). C2및 C3O-아세틸화의 화학량론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O-아세틸기는 아마도 C2와 C3사이에 동일하게 분포되며 (도 2 참조), 적어도 60%의 GalA가 디-O-아세틸화되어 있는 반면, 20%는 모노아세틸화되어 있다. 펙틴의 중성 당의 함량은 5%, 미만이다.
OAcPec의 M1은 펙틴의 M1과 유사한데, 주피크가 약 400kD이며 분포 양상이 넓다 (도 3 참조). 펙틴과는 달리, OAcPec는 0.15M NaCl에는 용해되며, Ca++의 존재하에서는 겔을 형성하지 않았다. 카바졸 분석에 따른 몰흡광율은, OAcPec의 경우가1.32x103, 펙틴의 경우가 1.61x103, GalA의 경우가 1.63x103이었다. 펙틴과 GalA 간의 차이는 2% 미만이었고, 이는 펙틴의 중성 당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Vi는 카바졸 분석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펙틴은 2차원 면역분석법에 의한 분석시 B-260 혈청과 반응하지 않았다. 반면, OAcPec는 Vi와 동일성을 나타내었다 (도 4 참조). Vi 항혈청에 의한 OAcPec의 침전은 Na+, Ca++, K+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다른 짝이온에 대해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O-아세틸화율이 보다 낮은 경우에는 (0.4-0.9몰 O-아세틸기/몰 GalA), 펙틴도 Vi와 동일성을 나타내었다 (미도시). 펙틴의 O-아세틸화율이 0.2몰/몰 GalA 이하인 경우에는 2차원 면역확산법에 의한 분석시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정량적인 침전반응에 의하면, Vi와 OAcPec가 모두 2.6mg/ml Ab(B-260 항혈청으로부터 유래된 Ab) 수준으로 침전되었다 (도 5 참조).
OAcPec 및 Vi O-아세틸기의 안정성.O-아세틸기의 열적 안정성은 Vi보다는 OAcPec와 유사하였다 (도 6 참조). 3-8℃에서 12주 보관한 후에도 Vi 및 OAcPec의 O-아세틸기의 농도가 보관 전의 Vi 및 OAcPec에 대한 O-아세틸기의 원래농도와 비교하여 변화되지 않았다: 22℃에서는, Vi의 경우 O-아세틸기가 93%로 감소되었고 OAcPec의 경우에는 88%로 감소되었드며, 60℃에서는 Vi의 경우에는 단지 12%의 O-아세틸기가, OAcPec의 경우에는 10%만이 남아 있었다.
분자 크기. 폴리사카라이드의 글리코사이드 결합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겔여과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3-8℃에서 3개월 경과된 후에도 OAcPec의 M1에는 변화가 없었다. 60℃에서 3개월 보관된 후에는 OAcPec의 M1이 400kD에서 30kD로 감소되었다 (미도시). 반면, Vi는 보다 안정하였다: 60℃에서 2주일 동안 배양한 후에도 분해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M1은 3개월 후 2x103kD에서 500kD로 변화되었다.
실시예 5
결합체의 특성 및 면역원성
O-아세틸 펙틴의 경우 티올화율이 4% 였다. OAcPec-TT의 HPLC 분석결과는 결합체와 소량의 OAcPec가 동일한 공극율로 용출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수차례의 실험 (미도시)에서, 결합체의 최종 수율은 20-30% 였다.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비는 약 0.4-0.8중량% 이다.
[표 1]
O-아세틸 펙틴(OAcPec)과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의 결합체 및 Vi와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재조합 세포외단백질 A(rEPA)의 결합체의 조성
Figure pct00009
면역화 반응: NIH에서 입수한 일반 목적으로 이용되는 암컷 마우스(체중 16-20g)에 2주 간격으로 2.5㎍의 폴리사카라이드를 단독으로 또는 결합체 형태로 1차, 2차 또는 3차 피하주사하였다. 1차 주사 한 지 2주 후와 2차 및 3차 주사한 지 1주일 후에 각각의 군의 10마리의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모두 채취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 Vi 또는 OAcPec를 주사한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Vi 항체 수준을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는데, 이때 비교치로는 RIA에 의해 보정된 값을 이용하였다.
Vi 항체 측정을 위한 ELISA
시약: Vi 항원은 살모넬라 타이피로부터 정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로 라벨링된 염소 항-마우스 또는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로 라벨링된 항-인간 (Kerkegaard & Perry Lab. Inc.)=결합체; p-니트로페닐포스페이트 디소듐 (Sigma Fine Chemical)=기질; 소의 혈청알부민(BSA) (Sigma Fine Chemical); 탄산나트륨(Na2CO3); 중탄산나트륨(NaHCO3); 염화나트륨, Brij
Figure pct00010
35; NaN3; Tirs-HCl-MgCl2; HCl; PBS.
완충용액:
코팅용 완충용액: 탄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 완충용액(pH 9.5) 20℃, 30ml 0.1M Na2CO3, 70ml 0.1M NaHCO3.
세척용 완충용액: 0.85%, NaCl, 0.1% Brij
Figure pct00011
35, 0.02% NaN3.
희석용 완충용액: 1xPBS, 0.1% Brij
Figure pct00012
35, 2% BSA, 매번 즉석에서 바로 준비하여 0.45㎛ 필터(Millipore
Figure pct00013
)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BSA(DB)가 들어 있지 않은 희석용 완충용액을 "저장 용액"으로서 제조하고 사용 전에 BSA를 첨가할 수도 있다.
기질용 완충용액: 1000ml Tris-HCl, 300ml 1M MgCl2, HCl을 이용하여 pH를 9,8로 조정한다.
결합체용 완충용액: DB와 동일하다
절차:
1. 동결된 Vi 폴리사카라이드(0.1mg/ml) 500㎕를 준비한다.
2. 미량적정용 플레이트(96웰, 바닥이 평평한 폴리스티렌 임뮤노론(Immunolon
Figure pct00014
) 미세적정용 플레이트)를 Vi로 코팅한다. 코팅용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1ml당 1 내지 2㎍의 Vi를 희석한 다음, 웰당 100㎕를 넣고 조심스럽게 흔들어 준다. 4℃에서 플레이트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덮은 채 하룻밤 동안 배양한다.
3. 플레이트를 세척용 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하고, 흔들어서 건조한다.
4. 항체 시료를 희석용 완충용액 DB.BSA로 희석한다. 희석배수는 5 내지 10으로 할 수 있다.
5. 플레이트 내용물을 연속적으로 희석함에 있어, 첫 번째 열(row)을 제외한 나머지 웰에 대해 피펫을 사용하여 100㎕의 DB.BSA를 첨가한다. 첫 번째 열에 대해서는 200㎕의 희석된 시료를 넣는다. 다채널 피펫을 사용하여 위에서부터 아래로 차례대로 100㎕를 옮겨주고 웰내에서 혼합한다. 바닥 열로부터는 여분의 100㎕를 제거한다.
6.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항원-항체 혼합물을 배양한다.
7. 플레이트를 2회 세척한다.
8. DB를 이용하여 1:500 내지 1:1000으로 희석된 결합체를 웰당 100㎕ 첨가하고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다.
9. 플레이트를 2회 세척한다.
10. 사용 직전에 기질용 완충용액에 용해하여 제조한 포스파타제 기질용액(1mg/ml)을 웰당 100㎕ 첨가한다. 모든 수직 열에 대해서는 6초 간격으로, 플레이트간에는 3분 간격으로 첨가한다.
11. 기질을 첨가하고 약 15-20분 경과 후 41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때로는, 결합체의 농도와 강도에 따라 시간 간격을 달리하여 흡광도를 기록하여야 한다. 적정 광학밀도는 1.0 내지 1.5 범위에 있어야 한다.
통계학적 처리: 모든 통계학적 계산에는 항체 농도의 로그값이 이용되었다. ELISA 감도 미만의 항체 농도에 대해서는 그 값의 1/2 값으로 주어졌다. t-테스트(unpaired t-test)를 이용하여 기하평균값을 비교하였다. 모든 데이터 분석은 통계학적 분석시스템(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Vi 항체: 전술한 바와 같이, Vi를 1차 투여한 마우스에게서 혈청 항체가 유도되었고, 재투여시에는 부스터 반응이 유도되지 않았다 [14, 22-25]. 펙틴이나 OAcPec는 아무리 투여하여도 Vi 항체를 유도하지 않았다. Vi 및 OAcPec 결합체는 1차 투여 후 비슷한 수준의 항체를 유도하였다. 2차 투여 후에는, 결합체가 부스터 반응을 유도하였는데 (P<0.001), 이때의 항체 수준의 기하평균값은 Vi-rEPA (17.1)의 경우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OAcPec-TT2(7.65), OAcPec-TT1(5.47)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이었다.3종류의 결합체 모두, 3차 투여시 부스터 반응이 유도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OAcPec-TT1과 OAcPec-TT2를 3차 투여하는 경우, 매번의 투여 후 이들에 의해 유도된 Vi 항체수준의 기하평균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2]
Vi, Vi-rEPA, 펙틴, O-아세틸 펙틴 (OAcPec) 및 OAcPec-TT 결합체에 의해 면역화된 마우스에 있어서의 Vi 항체 농도 (㎍ Ab/ml 혈청)
Figure pct00015
실시예 6
살모넬라 타이피 백신에 대한 WHO 권장시험방법
변형된 펙틴, 변형된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및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 백신에 대해,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는 비세포성 백신에 대한 WHO 요건에 따라 시험하였다 [32].
하기 간단하게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WHO 요건에 따라 각각의 롯트의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1) 표준화된 Vi 항원과의 면역학적 동일성에 대한 혈청학적 시험, 2) 폴리사카라이드 함량; 3) 멸균도 시험; 4) 발열원성 시험; 5) 독성 시험; 6)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 방부제 함량; 7) pH; 8) 안정성 시험.
WHO 요건을 충족시키는 롯트의 제품들은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한 백신으로서 인간에게 이용되기에 적합하다.
실시예 7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를 이용한 인간의 면역화
B형 간염과 HIV-1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18세 내지 45세의 지원자들을 모집한다. 지원자들로부터 동의를 얻은 다음, Vi (25㎍/0.5ml)를 1회 또는 본 발명의 변형된 펙틴-캐리어 결합체 (25㎍ 폴리사카라이드/0.5ml)를 1회 근육주사하였다. 구강내 온도를 측정하고, 주사한 지 6, 24, 48시간 경과 후 지원자마다 주사부위를 조사한다. 이로부터 6주 후 2차 주사를 하고 난 다음 2주 후 및 2차 주사한 지 26주 후에 채혈하였다. Vi와 반응하는 항체를 전술한 바와 같이 ELISA에 따라 측정하였다.
모든 참고문헌 및 인용 특허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자료로서 이용되어 있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Claims (55)

  1.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변형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를 O-아세틸화하여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O-아세틸 폴리갈락튜로네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b)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O-아세틸 폴리갈락튜로네이트를 캐리어와 결합시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나타내는 변형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캐리어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O-아세틸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50% 이상 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O-아세틸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80% 내지 200% 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O-아세틸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160% 내지 190% 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O-아세틸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의 갈락튜로네이트 1몰당 0.5몰 이상의 O-아세틸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O-아세틸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의 갈락튜로네이트 1몰당 1.6몰 이상의 O-아세틸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O-아세틸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의 갈락튜로네이트 1몰당 1.6 내지 1.9몰의 O-아세틸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아세틸화가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의 갈락튜론산 써브유니트상의 C2, C3, 또는 C2및 C3위치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식물 또는 과실로부터 분리된 펙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세균성 단백질, 바이러스성 단백질, 테타누스 톡소이드, 테타누스 톡신, 디프테리아 톡신,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의 엑소톡신,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의 톡소이드, 백일해 톡신, 백일해 톡소이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의 엑소톡신,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의 톡소이드, B형 간염 표면 항원, B형 간염 코어 항원 및 슈도모나스 세포외단백질 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아미노알킬-세파로오스, 아미노프로필-세파로오스, 아미노헥실-세파로오스 및 아미노프로필 글래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수용성 캐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l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유기용매중에서 무수아세트산에 의해 O-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동성의 2작용성 또는 이성의 2작용성 가교제에 의해 유도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N-숙신이미딜-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라지드 아디프산, 시스타민,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 에틸렌디아민, N-(2-요오도아세틸)-b-알라니네이트-프로피오네이트 및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 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티올화되어, 설피드릴기를 가지고 있는 캐리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가 아미노화되어, 카르복시기를 가지고 있는 캐리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지닌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캐리어 결합체.
  18. 제6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지닌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캐리어 결합체.
  19. 제8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지닌 O-아세틸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캐리어 결합체로서, 상기캐리어가 테타누스 톡소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0. 제9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지닌 변형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캐리어 결합체로서, 펙틴이 50% 이상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1. 제9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지닌 변형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캐리어 결합체로서, 펙틴이 80% 이상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2. 제9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지닌 변형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캐리어 결합체로서, 펙틴이 160% 내지 190%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3. 제13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여 면역원성을 지닌 변형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 캐리어 결합체로서, 가교제가 시스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4. 제17항의 결합체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모넬라 타이피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25.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폴리갈락튜로네이트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식물, 과실로부터 또는 합성 소스로부터 유래되며, O-아세틸화에 의해 변형되고, 공유결합에 의해 캐리어와 결합되어 있는 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또는 폴리갈락튜로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펙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50% 이상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80% 이상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160% 내지 190%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상에서 적어도 C2, C3, 또는 C2및 C3위치가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사카라이드가 O-아세틸기:갈락튜로네이트 몰비값이 0.5 이상: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사카라이드가 O-아세틸기:갈락튜로네이트 몰비값이 1.6 이상: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사카라이드가 O-아세틸기:갈락튜로네이트 몰비값이 1.6 내지 1.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세균성 단백질, 바이러스성 단백질, 테타누스 톡소이드, 테타누스 톡신, 디프테리아 톡신,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의 엑소톡신,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의 톡소이드, 백일해 톡신, 백일해 톡소이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의 엑소톡신,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의 톡소이드, B형 간염 표면 항원, B형 간염 코어 항원 및 슈도모나스 세포외단백질 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테타누스 톡소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동성의 2작용성 또는 이성의 2작용성 가교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디하이드라지드 아디프산, 에틸렌디아민, 시스타민, N-숙신이미딜-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 N-숙신이미딜 N-(2-요오도아세틸)-b-알라니네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 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 및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3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사카라이드가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의 써브유니트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써브유니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
  40. O-아세틸화에 의해 변형되어 캐리어와 공유결합하고 있는,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살모넬라 타이피에 대항하는 면역원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가 포유동물에게서 항체를 유도하고, 상기 항체가살모넬라 타이피의 Vi에 대항하여 특이적으로 면역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사카라이드가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와 면역확산법상 면역학적 동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또는 과실의 사카라이드가 감귤류의 과실, 사과 또는 비트로부터 유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펙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폴리갈락튜로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세균성 단백질, 바이러스성 단백질, 테타누스 톡소이드, 테타누스 톡신, 디프테리아 톡신,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의 엑소톡신,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의 톡소이드, 백일해 톡신, 백일해 톡소이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의 엑소톡신,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의 톡소이드, B형 간염 표면 항원, B형 간염 코어 항원 및 슈도모나스 세포외단백질 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50% 이상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7.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펙틴이 80% 이상 O-아세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8.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테타누스 톡소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
  49. 제40항의 면역원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티푸스 백신.
  50. 제40항의 면역원을 사용하여 면역시킴으로써 유도되는 항체 또는 이 항체의 항원결합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항체.
  51. 펙틴, D-갈락튜로난, 올리고갈락튜로네이트, 폴리갈락튜로네이트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카라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변형된사카라이드-캐리어 결합체에 의해 유도되는 항체 또는 이 항체의 항원결합단편을 포함하는 분리 항체에 있어서, 상기 사카라이드가 식물, 과실 또는 합성소스로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O-아세틸화에 의해 변형되어 공유결합에 의해 캐리어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항체.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살모넬라 타이피와 면역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항체.
  53. 제50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항체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모넬라 타이피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54. 캐리어와 결합되어 있는 O-아세틸화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사카라이드를 살모넬라 타이피의 Vi와 반응하는 항체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생체내에 투여함으로써 장티푸스에 대해 인간을 능동면역시키는 방법에 사용되는 약제의 활성성분으로서의, 캐리어와 결합된 형태의 O-아세틸화된, 식물, 과실 또는 합성의 사카라이드.
  55. 제50항 또는 51항의 항체 또는 이 항체의 항원결합단편을 충분한 양만큼 생체내에 투여함으로써 장티푸스에 대해 인간을 수동면역시키는 방법에 사용되는 약제의 활성성분으로서의, 제50항 또는 51항의 항체 또는 이 항체의 항원결합단편.
KR1019970702529A 1994-10-17 1995-09-28 식물또는과실의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합성된장티푸스백신및그제법 KR100433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23,918 US5738855A (en) 1994-10-17 1994-10-17 Synthesis of typhoid fever vaccine from a plant or fruit polysaccharide
US08/323918 1994-10-17
US08/323,918 1994-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845A KR970706845A (ko) 1997-12-01
KR100433986B1 true KR100433986B1 (ko) 2004-09-13

Family

ID=2326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529A KR100433986B1 (ko) 1994-10-17 1995-09-28 식물또는과실의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합성된장티푸스백신및그제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38855A (ko)
EP (1) EP0787015B1 (ko)
KR (1) KR100433986B1 (ko)
AT (1) ATE213647T1 (ko)
AU (1) AU3760795A (ko)
DE (1) DE69525638T2 (ko)
WO (1) WO1996011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8011B1 (en) * 1996-12-16 2001-03-21 De Staat Der Nederlanden Vertegenwoordigd Door De Minister Van Welzijn, Volksgezondheid En Cultuur Method of coupling polysaccharides to proteins
DE69830326T2 (de) * 1997-10-03 2006-02-02 Galenica Pharmaceuticals, Inc. Iminbildende polysaccharid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zusatzmittel und immunstimulierende mittel
US6258774B1 (en) * 1998-03-19 2001-07-10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Of New Jersey Carrier for in vivo delivery of a therapeutic agent
US6797275B1 (en) * 1998-12-04 2004-09-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 of immunizing humans against Salmonella typhi using a Vi-rEPA conjugate vaccine
AU776855B2 (en) 1998-12-23 2004-09-23 Boyce Thompson Institute For Plant Research Inc. Expression of immunogenic hepatitis B surface antigens in transgenic plants
CA2434668A1 (en) 2003-07-04 2005-01-04 Laurence Mulard Novel approach to design glycopeptides based on o-specific polysaccharide of shigella flexneri serotype 2a
CN1645104B (zh) * 2004-12-21 2011-03-16 兰州生物制品研究所 伤寒Vi-rEPA结合疫苗中高分子结合物含量的测定方法
US8426567B2 (en) * 2005-08-26 2013-04-23 Econugenics, Inc. Method for enhancing mammalian immunological function
GB0810894D0 (en) 2008-06-13 2008-07-23 Novartis Vaccines & Diagnostic Conjugated saccharide
EP2386563A1 (en) 2010-05-12 2011-11-16 Institut Pasteur Novel O-acetylated decasaccharides
KR102183569B1 (ko) 2013-08-24 2020-11-26 브하라트 바이오테크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박테리아성 백신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4098A (en) * 1988-02-16 1993-04-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s
FR2682388B1 (fr) * 1991-10-10 1995-06-09 Pasteur Merieux Serums Vacc Procede de preparation d'un oligoside par depolymerisation d'un polyoside issu d'un agent pathogene, oligoside ainsi obtenu et son utilisation notamment comme agent vaccinal.
IL102687A (en) * 1992-07-30 1997-06-10 Yeda Res & Dev Conjugates of poorly immunogenic antigens and synthetic pepide carriers and vaccines compris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11709A1 (en) 1996-04-25
KR970706845A (ko) 1997-12-01
US5738855A (en) 1998-04-14
EP0787015A1 (en) 1997-08-06
ATE213647T1 (de) 2002-03-15
EP0787015B1 (en) 2002-02-27
DE69525638T2 (de) 2002-10-17
AU3760795A (en) 1996-05-06
DE69525638D1 (de)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6479B2 (en) Antigenic group B streptococcus type II and type III polysaccharide fragments having A 2, 5-anhydro-D-mannose terminal structure and conjugate vaccine thereof
KR0158436B1 (ko) 개선된 수막염균성 폴리사카라이드 결합체 백신
CA2142981C (en) Vaccines against group c neisseria meningitidis
US8168195B2 (en) Vaccines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infection
JPH01500036A (ja) 免疫原性複合体
KR100433986B1 (ko) 식물또는과실의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합성된장티푸스백신및그제법
JPH08501563A (ja) グループbストレプトコッカス・タイプ▲ii▼およびタイプ▲v▼多糖−蛋白質接合ワクチン
SK15122003A3 (sk) Imunogénne konjugáty nízkomolekulárnej kyseliny hyalurónovej s polypeptidovými toxínmi
JPH04507244A (ja) リピドa類似体/免疫原性担体コンジュゲートおよびそのワクチンとしての使用
CA2338093C (en) Vaccines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