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805B1 -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805B1
KR100432805B1 KR1020030089122A KR20030089122A KR100432805B1 KR 100432805 B1 KR100432805 B1 KR 100432805B1 KR 1020030089122 A KR1020030089122 A KR 1020030089122A KR 20030089122 A KR20030089122 A KR 20030089122A KR 100432805 B1 KR100432805 B1 KR 10043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lange
side wall
alo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구
윤병정
김학구
Original Assignee
김상구
김학구
윤병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구, 김학구, 윤병정 filed Critical 김상구
Priority to KR102003008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8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8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PURPOSE: A cofferdam structure for repairing an underwater structure and a waterproof method are provided to secure a safe work place by blocking up gaps over 5 cm formed between the bottom side and a sidewall of the cofferdam and the underwater structure. CONSTITUTION: A cofferdam structure(100) for repairing an underwater structure fixed and mounted to an underwater structure side wall(4) of a breakwater, a dam, or a levee to secure a work place(S) is composed of an arc-shaped main frame(102) having an upside exposed to the air, a lower side placed on a bottom side(2), one side opened toward the side wall, and ends of both sides closely contacted along the side wall; a first shock absorbing bar(110a) disposed to the lower and side ends of the main frame and between the bottom side and the side wall and made from one of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for covering a gap; a first seat(120a) made from synthetic resin to cover the first shock absorbing bar; and a fixing member for contacting and fastening both edges of the first seat to the lower and side end edges of the main frame, the bottom side, and the side wall.

Description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 및 이의 방수공법{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 및 이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방파제나 댐 또는 제방 등과 같은 수중축조물의 보수 및 수리를 위하여 바닥으로부터 직립된 상태로 상기 수중축조물의 측벽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내부로 사람이 들어가 작업을 할 수 있는 대기 환경의 격리된 작업공간을 정의하는 물막이구조물 및 이에 적용될 수 있는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barrier structure for the repair of underwater constructions and a waterproof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long the sidewalls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in a state standing upright from the bottom for repair and repair of underwater constructions such as breakwater, dams, or embankm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er structure that is fixedly installed and defines an isolated workspace of an atmospheric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 can work inside, and a waterproof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thereto.

일반적으로 방파제(防波堤 : breakwater)란 외해(外海)로부터의 파랑(波浪)을 막아 항내를 정온(靜穩)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축조물을 나타내고, 댐(dam)은 산간계곡이나 하천을 횡단하여 저수(貯水), 토사유출방지, 취수(取水), 수위상승(水位上昇) 또는 붕괴방지를 위한 축조물을 의미하며, 제방(堤防 : levee)은 하천이나 해안, 호수나 늪의 물을 일정한 유로(流路) 내로 제한해서 범람(氾濫)을 방지하고 폭풍·해일이나 파도로부터 해안·항만을 보호하기 위해 토사 등을 쌓아 조성한 토목 축조물을 뜻한다.In general, breakwater refers to a building for preventing the waves from the sea and keeping the harbor at a constant temperature. A dam is a reservoir that crosses mountain valleys or streams. It refers to a building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sediment drainage, water intake, water level rise or collapse. A levee is a constant flow path for water in rivers, coasts, lakes and swamps. ) Refers to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built up with soil and sand to prevent flooding and to protect coasts and ports from storms, tsunamis and waves.

이들 수중축조물은 모두 수중의 바닥으로부터 직립 설치되는 바, 통상 내수성 및 내염성 있는 특수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유량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이 수중 부분으로 구비되어 있다.All of these underwater structures are installed upright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and are generally constructed of special concrete, which is water and flame resistant, and at least one water gate is provided as an underwater part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하지만 이러한 수중축조물은 항상 물과 접하기 때문에 부식과 탈락 등의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특히 빠른 유속으로 물이 방류되는 수문 부분에서 더욱 심화되어 나타난다.However, since these underwater structures are always in contact with water, phenomena such as corrosion and dropping occur frequently, especially in the hydrologic part where water is discharged at a high flow rate.

이에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하여 수중으로 사람 및 장비가 수용될 수 있는 대기환경의 작업공간을 조성하여야 하는데, 가장 간단하게는 수문을 열어 저수된 물을 모두 방류시킴으로서 전체를 드러내도록 한 후 수리 및 보수를 진행한다. 그러나 이는 물 부족 국가의 하나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할 경우 귀중한 물의 낭비라는 폐해를 낳게 된다.Therefore, for the repair of underwater structures,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where people and equipment can be accommodated should be created in the water. The simplest is to open the gate to expose all the stored water and then repair and repair it. Proceed. However, this is a waste of precious water, considering the reality of Korea, one of the nations lacking water.

따라서 수중의 바닥으로부터 직립 설치되어 방파제 내벽 일부를 감싸안도록 밀착 고정되는 물막이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이를 바닥 및 방파제 측벽에 고정시킨 후 내부의 물을 배수시킴으로서 인부들이 들어가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조성하게 된다.Therefore, a water barrier structure is installed upright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and is tightly fix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inner wall of the breakwater. It will make up.

그러나 통상 방파제 등과 같은 수중축조물의 내벽 및 바닥면은 편평도가 나쁘므로 물막이구조물과의 틈새를 통해서 다량의 물이 유입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수공법은 잠수부들이 위험을 감수하고 물속으로 들어가서 토사나 나뭇조각 또는 별도의 실링재를 이용해 일일이 틈새를 틀어막고 있는 실정인 바, 작업시간이 많이 요구되고 비용지출도 크며 위험한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inner walls and bottom surfaces of underwater constructions, such as breakwaters, have bad flatness, a large amount of water can flow through the gap with the clam 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existing waterproofing method takes divers to take risks. Entering into the soil, or a piece of wood or using a separate sealing material to prevent the gaps one by one bar, a lot of work time is required, costs are large and dangerous disadvantages.

더욱이 이와 같이 수작업에 의존하는 기존의 물막이구조물의 방수공법은 신뢰성이 낮아 보수공사 중 작업환경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로 인해 항상 위험이 뒤따른다.Moreover, the waterproofing method of the existing clamshell structure which relies on the manual work is so unreliable that water is frequently introduced into the working environment during repair work, which is always a risk.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3105호와 같은 물막이구조물이 소개된 바 있는데, 이의 사시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was introduced a clam structure such as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23105, a perspective view thereof is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물막이구조물은 상면과 방파제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되고 바닥면(11)이 형성된 원호형 몸체(10)로 이루어지며, 이의 상측 단부에 인양을 위한 고리(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파제를 향하는 양 측면의 단부를 따라 상하로 물차단용 지수고무(13)가 설치되며 이의 내측으로 각각 볼트삽입공(14a)이 구비된 다수의 브라켓(14)이 구비되는 바, 브라켓(14)을 관통하여 방파제의 측벽으로 볼트를 체결함에 따라 지수고무(13)를 방파제에 밀착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As shown, the existing clamper structure is composed of an arcuate body 10 having one side open to the top surface and the breakwater and a bottom surface 11 formed thereon, and a ring 12 for lifting is formed at its upper end, respectively. have. And water blocking index rubber 13 is installed up and down along the ends of both sides facing the breakwater, and a plurality of brackets 14 are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14a inwards, bracket 14 The fastening rubber 13 is tightly fixed to the breakwater by fastening the bolt through the sidewall of the breakwater.

상기와 같은 구조의 물막이구조물은 비록 기존에 비하여 다소 진보적이라 하겠지만 보수위치에 따라 깊이가 서로 다르다면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물막이구조물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현장에서 간단하고 손쉽게 시공되기 어렵고, 특히 통상 물막이구조물과 콘크리트 내벽 사이로 5cm 이상의 틈새가 형성될 수도 있음을 감안하면 지수고무(13)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방수구조가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Although the cladding structure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somewhat advanced compared to the existing, if the dept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repair position, it is difficult to install simply and easily in the field, becaus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different cladding structures of different length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a gap of 5 cm or mor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s of the concret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aterproof structure that depends entirely on the index rubber 13 is very weak.

또한 바닥면(11)이 형성되어 있어 방파제 등의 바닥보수가 불가능한 바, 여러 가지 제약이 따라 널리 활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11 is formed, so that it is impossible to repair the floor, such as a breakwater,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are difficult to be widely used according to various restriction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수위치에 따라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상하 복층으로 연장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를 가지며, 특히 이와 같은 조립식 구조를 채용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이음새 부분은 물론 물막이구조물과 수중축조물의 바닥 및 측벽 사이로 5cm 이상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충분히 막아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작업공간을 정의해 주는 물막이구조물 그리고 이에 적용이 가능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 prefabricated structure that can be extended to the upper and lower plural layers to facilitate the length adjustment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position, in particular the seam portion that appears inevitably by adopting such a prefabricated structure Of cour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barrier structure and a waterproofing method applicable to the water barrier structure and the bottom and the side wall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which sufficiently prevents the gap that can be generated more than 5 cm to define a safe and comfortable working space.

도 1은 방파제에 부설된 기존의 물막이구조물에 대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water barrier structure attached to the breakwa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a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의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am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am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4의 B, C 원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5A and 5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nlarged B and C circles in FIG. 4,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의 방수공법에 대한 순서도.Figure 6 is a flow chart for the waterproof method of the water b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바닥 4 : 측벽2: floor 4: side wall

100 : 물막이구조물 102 : 메인프레임100: water structure 102: main frame

102a,102b : 상하층 메인프레임 110a,110b : 제 1 및 제 2 완충바102a and 102b: upper and lower mainframes 110a and 110b: first and second buffer bars

120a,120b : 제 1 및 제 2 시트 130a,130b : 제 1 및 제 2 플랜지120a, 120b: first and second seats 130a, 130b: first and second flanges

140a,140b,140c,140d : 제 1 내지 제 4 가이드테140a, 140b, 140c, 140d: first to fourth guide frames

150a,150b,150c : 제 1 내지 제 3 볼트150a, 150b, 150c: first to third bolt

152a,152b,152c : 제 1 내지 제 3 너트 160 : 스크루152a, 152b, 152c: first to third nuts 160: screw

S : 작업공간S: Work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로 대기환경의 작업공간을 정의하도록 방파제나 댐 또는 제방의 수중축조물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로서, 대기에 노출되는 상면과 바닥에 안착되는 하면 그리고 상기 측벽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되어 양 측면의 단부가 상기 측벽을 따라 밀착되는 호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하단 및 측단과 상기 바닥 및 측벽 사이로 개재되어 이들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는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 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완충바와; 상기 제 1 완충바를 덮는 합성수지의 제 1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 및 측단 가장자리 그리고 상기 바닥 및 측벽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barrier structure for repairing the underwater construction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reakwater or dam or embankment to define the working space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An arc-shaped mainframe in which a bottom surface seated on a floor and one surface facing the sidewall are opened so that end portions of both sid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wall; A first buffer bar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and side ends of the mainframe and the bottom and the sidewalls, the first buffer bar being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covering the seam therebetween; A first sheet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first buffer bar; It provides a water blocking structure for repairing the underwater construction, comprising a fixing member for tightly fixing both edges of the first sheet to the bottom and side edges and the bottom and side walls of the main frame, respectively.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하단 및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 돌출된 제 1 플랜지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 1 완충바는 상기 제 1 플랜지와 상기 바닥 및 측벽 사이로 개재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시트의 일 가장자리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 1 플랜지를 따라 그 상부로 포개어지는 제 1 가이드테 그리고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상기 제 1 가이드테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1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1 너트와; 상기 제 1 시트의 타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 및 측벽을 따라 그 상부로 포개어지는 제 2 가이드테 및 상기 제 2 가이드테를 상기 바닥 및 측벽으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frame further includes a first flange protruding outwardly along the bottom and side edges, wherein the first buffer ba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bottom and sidewalls, and the fixing member of the first sheet A first guide frame superimposed thereon along the first flange with one edg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first bolts passing through the first guide frame from the first flange and a plurality of first nuts fastened thereto; ; And a second guide frame overlapping the upper side along the bottom and the sidewall with the other edge of the first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screws for fixing the second guide frame to the bottom and the sidewall. .

이때 특히 상기 메인프레임은 각각 각각의 상면으로 치우진 상단을 따라 제 2 플랜지가 외향 돌출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복층으로 상하 연결되고, 상기 상하층 메인프레임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도록 상기 상층 메인프레임 하단의 제 1 플랜지와 하층 메인프레임 상단의 제 2 플랜지 사이로 개재되는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의 제 2 완충바와; 상기 제 2 완충바를 덮는 합성수지의 제 2 시트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시트의 일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층 메인프레임 하단의 제 1 플랜지를 따라 그 상부로 포개어지는 제 3 가이드테 그리고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상기 제 3 가이드테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2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2 너트와, 상기 제 2 시트의 타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층 메임프레임 상단의 제 2 플랜지를 따라 그 하부로 포개어지는 제 4 가이드테 그리고 상기 제 2 플랜지로부터 상기 제 4 가이드테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3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3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second flange protruding outwardly along the top of the main frame, respectively,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main frame to cover the seam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ain frames. A second buffer bar of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of the lower layer and the second flange of the lower mainframe; And a second sheet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second buffer bar,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superimposed thereon along a first flange at the bottom of the upper mainframe with one edge of the second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s penetrating the third guide frame from the first flange, and a plurality of second nuts fastened thereto, and a second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frame with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fourth guide frame nested downwardly along the flange and a plurality of third bolts passing through the fourth guide frame from the second flange and a plurality of third nuts fasten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은 내부로 대기환경의 작업공간을 정의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직립되어 방파제나 댐 또는 제방을 포함하는 수중축조물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의 방수공법으로서, a)상기 물막이구조물과 상기 바닥 및 측벽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도록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완충바를 개재하는 단계와; b)합성수지의 제 1 시트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완충바를 덮은 후 상기 제 1 시트의 일 가장자리를 상기 물막이구조물 하단 및 측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고정시키고, 타 가장자리를 상기 바닥 및 측벽을 따라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의 방수공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proofing method of the water barrier structure for the repair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to be installed upright from the bottom to be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including a breakwater, dam or embankment to define the working space of the atmosphere environment, a) Interposing a first buffer bar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to cover the seam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bottom and sidewalls; b) having a first sheet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first buffer bar, and then fixing one edge of the first sheet tightly along the bottom and side edges of the clapper structure, and fixing the other edge tightly along the bottom and sidewalls. It provides a waterproofing method of the water barrier structure for repairing the underwate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이때 상기 물막이구조물은 각각 상하 복층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a)단계 이전 또는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상하층 물막이구조물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도록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의 제 2 완충바를 개재하는 단계와; 합성수지의 제 2 시트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완충바를 따라 덮은 후 상기 제 2 시트의 일 가장자리를 상기 상층 물막이구조물 하단을 따라 밀착 고정시키고, 타 가장자리를 상기 하층 물막이구조물 상단을 따라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ladding structures are each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leading to the upper and lower plural layers so as to cover the seam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dding structures before the step a) or after the step b). Intervening; Covering the second buffer bar with a second sheet of synthetic resin and then fixing one edge of the second sheet closely along the bottom of the upper clasp structure, and fixing the other edge closely along the top of the lower clap structure. It further compris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tructure 100 for repair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100)은 내부로 대기환경의 작업공간(S)을 정의하도록 바닥(2)으로부터 직립되어 방파제나 댐 또는 제방의 수중축조물 측벽(4)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2)을 포함하는 바, 이는 바닥(2)에 안착되는 하면과 대기로 노출된 상면이 각각 개방되어 있고 수중축조물측벽(4)을 향하는 일면 또한 개방되어 양 측면의 단부가 수중축조물 측벽(4)을 따라 밀착되는 호 형상을 가지고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lamper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rected from the bottom 2 to define the working space 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erein, and fixed along the sidewalls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of the breakwater, dam or bank. It includes a main frame 102 that is installed, which is open on the bottom surface 2 and the top surface exposed to the air, respectively, open one side toward the underwater construction side wall (4) also open the end of both sides underwater It has an arc shape adhered along the structure side wall 4.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2) 및 측벽(4)을 감싸안는 형태를 이루고 있어 내부 작업환경(S)이 수중환경으로부터 격리되는데, 이의 종단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목적에 따라 반원, 삼각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을 이룰 수 있고, 특히 수중축조물의 측벽(4)을 따라 바닥(2)으로부터 직립됨으로서 내부로 대기환경의 작업공간(S)을 정의할 수 있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 4 are enclosed to form an inner working environment S, which is isolated from the underwater environment. The longitudinal section thereof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as shown, but according to the purpose. Semicircles, triangles or more polygons can be formed, and as many different forms as possible to define the working environment S of the atmosphere inside, especially by standing upright from the bottom 2 along the sidewall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Can have

그리고 메인프레임(102)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본 발명의 특징인 방수구조가 채용되어 있는데, 이는 메인프레임(102)과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 사이의 이음새 부분을 덮는 합성수지의 제 1 완충바(110a)와, 이의 외측을 덮어 메인프레임(102)과 바닥(2) 및 측벽(4)으로 각각 밀착 고정되는 합성수지의 제 1 시트(120a)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inframe 102 has a waterproof structure,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mainframe 102, which is a seam between the main frame 102 and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s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A first buffer bar (110a) of the synthetic resin to cover, and the first sheet (120a) of the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02,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 (4), respectively.

좀더 자세히, 도 4는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4의 B 원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More specifically,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2, and FIG. 5A is an enlarged view of the circle B of FIG. 4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ame.

먼저 제 1 완충바(110a)는 메인프레임(102)의 하단과 측단 그리고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 사이와 같이 외부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모든 이음새 부분을 가리며 이의 외면으로는 제 1 시트(120a)가 덮어지는 것으로, 특히 제 1 시트(120a)의 일 가장자리는 메인프레임(102)의 하단과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고정되며 타 가장자리는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있다.First, the first buffer bar 110a covers all the seam portions through which external water can flow, such as between the bottom and side ends of the main frame 102 and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s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As the first sheet 120a is covered, in particular, one edge of the first sheet 120a is tightly fixed along the bottom and side edges of the mainframe 102 and the other edge is the bottom 2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It is tightly fixed along the side wall 4.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수압은 제 1 완충바(110a)에 의하여 분산됨과 동시에 이를 덮는 제 1 시트(120a)에 의해 메인프레임(102) 내부 작업공간(S)이 외부의 수중과 분리되어 방수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 1 완충바(110a)는 목재나 철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발포우레탄,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프로필렌을 비롯한 합성 고무 등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제 1 시트(120a)는 PVC,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방수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지가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is dispersed by the first buffer bar (110a) and at the same time is covered by the first seat 120a to cover the interior work space (S) of the main frame 102 is separated from the water in the water outside, To this end, the first buffer bar 110a may be made of wood or iron, but preferably synthetic resins such as foamed urethane, foamed polystyrene, foamed polypropylene, and synthetic rub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may be used. 120a may be a synthetic resin sheet of a waterproof material such as PVC, polyvinyl chloride, polypropylene, and the like.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제 1 완충바(110a) 및 제 1 시트(120a)는 각각 완충과 방수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재질을 불문하지만, 가격 및 작업에 용이성 등을 감안하면 가볍고 가공이 편리한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며,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이음새 부분을 제 1 완충바(110a)로 가려 수압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물을 제 1 시트(120a)로 가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at is, the first buffer bar (110a) and the first sheet (120a), which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of the waterpro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material that can function as a buffer and waterproof, respectively, but the price and work In view of ease and the like, a synthetic resin that is light and easy to process is preferable, and the first sheet is used to disperse the water pressure by covering the joint portion where water can flow into the first buffer bar 110a,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flowing into the gap therebetween. It has a structure covered by 120a.

따라서 외부의 수압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수를 가능케 한다.Therefore, it effectively blocks external water pressure and enables reliable waterproofing.

이때 제 1 시트(120a)를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고정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2)의 하단 및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 돌출된 제 1 플랜지(130a)와, 제 1 시트(120a)의 일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제 1 플랜지(130a)를 따라 포개어지는 제 1 가이드테(140a)와, 제 1 시트(120a)의 타측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을 따라 포개어지는 제 2 가이드테(140b)를 포함한다.In this case, a predetermined fixing member may be used to easily fix the first sheet 120a. As an example, the first flange 130a protrudes outwardly along the bottom and side edges of the main frame 102. The first guide frame 140a overlapped along the first flange 130a with one edge of the first sheet 120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bottom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with the other edge of the first sheet 120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guide frame 140b which is superimposed along the side wall 4.

그리고 제 1 플랜지(130a)와 제 1 가이드테(140a)를 긴밀하게 결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일례로 제 1 플랜지(130a)로부터 제 1 시트(120a) 일 가장자리와 제 1 가이드테(140a)를 차례로 관통하는 다수의 제 1 볼트(150a)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1 너트(152a)를 포함하며, 제 1 시트(120a) 타 가장자리 및 제 2 가이드테(140b)를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으로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스크루(160)가 사용될 수 있다.And fixing means for tightly binding the first flange (130a) and the first guide frame (140a), for example, one edge of the first sheet (120a) and the first guide frame (140a) from the first flange (130a) A plurality of first bolts 150a and a plurality of first nuts 152a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dges of the first sheet 120a and the second guide frame 140b are formed at the bottom 2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 And a number of screws 160 may be used for tight coupling to the side wall 4.

이때 다수의 스크루(160)는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으로부터 돌출된 앵커볼트로 대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crews 160 may be replaced with anchor bolts protruding from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따라서 이들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 1 시트(120a)를 해당 부분에 각각 긴밀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se fixing members, the first sheet 120a can be closely bound to the respective portions.

이때 제 1 볼트(150a) 및 스크루(160) 각각의 사이간격은 신뢰성 있는 방수를 위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보다 긴밀한 결합을 위해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별도의 패킹(미도시)이 개재될 수 도 있다.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each of the first bolt 150a and the screw 160 may be properly adjusted for reliable waterproofing, and a separate packing (not shown)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may be interposed for a more tight coupling. There is also.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다른 물막이구조물은 서로 다른 깊이의 보수위치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상하 복층으로 연결되는 조립식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대하여 앞서의 도면과 함께 도 4의 C 원내도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 5b를 같이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clamshe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have a prefabricat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lural layers to be variously applied to the repair position of the different depth, with respect to this in FIG. 4C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B,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ide drawing.

이 경우에 메인프레임(102)은 각각 상, 하층으로 구비되어 복층 연결될 수있는데 편의상 도면 상에는 2층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목적에 따라 그 이상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main frame 102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respectively, and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ayers.

그리고 특히 각각의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 돌출된 제 1 플랜지(130a) 이외에도 적어도 하층 메인프레임(102b)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 2 플랜지(130b)가 외향 돌출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first flange 130a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bottom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and 102b, the second flange 130b may protrude outward along at least the upper edge of the lower mainframe 102b. Can be.

또한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을 긴밀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상하면 끝단을 따라 제 3 및 제 4 플랜지(130c,130d)가 내향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and fourth flanges 130c and 130d may protrude inwards alo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and 102b to tightly fix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and 102b.

따라서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을 상하로 연결할 경우에 서로 포개어지는 제 3 및 제 4 플랜지(130c,130d)를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적절히 체결하여 상하 복층 구조로 건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102b) up and down, the third and fourth flanges (130c, 130d) overlapping each other can be properly fastened by a bolt and a nut, etc., and can be connected in a solid structure up and down.

그러나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 사이의 이음새 부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구조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방식과 유사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water may flow into the seam por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and 102b, a waterproof structure is needed to prevent this, which may adopt a structure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즉,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 사이에는 각각 상층 메인프레임(102a) 하단의 제 1 플랜지(130a)와 하층 메인프레임(102b) 상단의 제 2 플랜지(130b) 사이로 이음새가 나타나게 되고, 따라서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의 제 1 플랜지(130a)와 제 2 플랜지(130b) 사이로 합성수지의 제 2 완충바(110b)를 개재한 후, 합성수지의 제 2 시트(120b)로 이의 외면을 덮고 상기 제 2 시트(120b)의 양 가장자리를 각각 상층 메인프레임(102a) 하단 가장자리와 하층 메인프레임(102b)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고정시킴으로서 방수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 seam appears between the first flange 130a at the bottom of the upper mainframe 102a and the second flange 130b at the top of the lower mainframe 102b, respective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and 102b. After the second buffer bar 110b of the synthetic resin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130a and the second flange 130b of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and 102b,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formed by the second sheet 120b of the synthetic resin. By covering and fixing both edges of the second sheet (120b) along the lower edge of the upper main frame (102a) and the upper edge of the lower main frame (102b), it can be waterproof.

이때 제 2 시트(120b)를 보다 편리하게 밀착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2 시트(120b)의 일 가장자리는 상층 메인프레임(102a) 하단으로 외향 돌출된 제 1 플랜지(130a) 상부로 위치시켜 제 3 가이드테(140c)를 덮은 후, 상기 제 1 플랜지(130a)와 제 2 시트(120b) 일 가장자리 및 제 3 가이드테(140c)를 차례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볼트(150b) 그리고 이에 체결되는 제 2 너트(152b)로 긴밀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고, 제 2 시트(120b)의 타 가장자리는 하층 메인프레임(102b) 상단으로 외향 돌출된 제 2 플랜지(130b) 하단으로 위치시킨 후 이의 하단을 따라 제 4 가이드테(140d)를 덮고, 상기 제 2 플랜지(130b)와 제 2 시트(120b) 타 가장자리 및 제 4 가이드테(140d)를 차례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볼트(150c) 및 이에 체결되는 제 3 너트(152c)를 이용하여 긴밀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one edge of the second sheet 120b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flange 130a protruding outwar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mainframe 102a in order to close and fix the second sheet 120b more conveniently. After covering 140c, at least one or more second bolts 150b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edge of the first flange 130a, the second sheet 120b, and the third guide frame 140c, and the second fastened to the first flange 130a. The nut 152b may be tightly fixed, and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sheet 120b may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flange 130b protruding outward to the top of the lower mainframe 102b and then along the bottom thereof. At least one third bolt 150c covering the guide frame 140d and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flange 130b and the second sheet 120b and the fourth guide frame 140d and coupled thereto.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nut 152c Can.

그리고 이들 각각의 경우에 제 2 볼트(150b) 및 제 3 볼트(150c) 사이의 간격은 앞서와 마찬가지로 방수를 위한 적절한 위치가 선정될 수 있으며, 그 사이로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별도의 패킹이 개재될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each of these c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olt 150b and the third bolt 150c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or waterproofing as before, and a separate packing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is interposed therebetween. Of course it can b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은 수중축조물의 보수위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프레임(102a 또는 102b)을 상하 복층으로 연결하고, 이들 사이의 이음새와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 사이의 이음새에 각각 제 1 및 제 2 완충바(110a,110b)를 개재한 후 이들 각각에 제 1 및 제 2 시트(120a,120b)를 덮어씌워 고정시킴으로서 방수가 가능하다.Accordingly, the water b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at least one mainframe 102a or 102b to the upper and lower plural layers according to the repair position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between the seams between them, and the bottom 2 and the sidewall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The first and second buffer bars 110a and 110b are interposed on the j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120a and 120b, respectively, to cover and fix them.

이때 제 2 완충바(110a) 및 제 2 시트(120b) 또한 제 1 완충바(110a) 및 제1 시트(120a)와 동일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buffer bar 110a and the second sheet 120b may also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uffer bar 110a and the first sheet 120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은 결국 해당 이음새를 가리는 완충바(110a,110b)와 이를 덮는 시트(120a,120b)를 통해서 방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방수공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인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정리한다.The water b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waterproofed through the buffer bars (110a, 110b) and the sheets (120a, 120b) covering the seam, eventually showing the waterproof meth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It is summarized with reference to FIG. 6 which is a flowchart.

먼저 본 발명은 내부로 대기환경의 작업공간(S)을 정의하도록 방파제나 댐 또는 제방을 포함하는 수중축조물의 바닥(2)으로부터 직립되어 측벽(4)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물막이구조물(100) 및 이의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바, 이때 물막이구조물(1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기에 노출되는 상면과 바닥에 안착되는 하면 그리고 상기 측벽(4)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되어 양 측면의 단부가 상기 측벽(4)을 따라 밀착되는 호 형상의 메인프레임(1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t1)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right structure 100 which is installed upright from the bottom 2 of an underwater construction including a breakwater, a dam, or an embankment so as to define a working space 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erein, and fixedly installed along the sidewall 4. It provides a waterproof method, wherein the water barrier structure 100, as men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the lower surface to be seated on the bottom and one side toward the side wall 4 is open so that the end portions of both sides are open to the side wall. It may be made of an arc-shaped main frame 102 in close contact along (4). (St1)

따라서 이러한 메인프레임(102)을 수중으로 입수시켜 해당 위치로 안착시킨 후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도록 합성수지의 제 1 완충바(110a)를 개재한다.(st2)Therefore, after obtaining the main frame 102 in water and seated in the position, it interposes the first buffer bar 110a of the synthetic resin to cover the seam between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st2)

이어 합성수지의 제 1 시트(120a)를 구비하여 제 1 완충바(110a)를 따라 덮은 후 이의 일 가장자리를 메인프레임(102)의 하단 및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고정시키고, 타 가장자리를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을 따라 밀착 고정시킨다.(st3)Subsequently, a first sheet 120a of synthetic resin is covered and covered along the first buffer bar 110a, and one edge thereof is tightly fixed along the bottom and side edges of the main frame 102, and the other edge is bottom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2) and sidewalls (4) to be tightly fixed. (St3)

이때 보다 용이한 작업을 위하여 메인프레임(102)의 하단 및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플랜지(130a)가 외향 돌출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완충바(110a)는상기 제 1 플랜지(130a)와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 사이로 개재된다.In this case, the first flange 130a may protrude outwardly along the bottom and side edges of the main frame 102 for easier operation. Therefore, the first shock absorbing bar 110a is underwater with the first flange 130a.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 4 of the construction.

그리고 제 1 시트(120a)의 일 가장자리는 제 1 플랜지(130a) 상에 안착된 상태로 그 상부로 제 1 가이드테(140a)를 포개어 이들 모두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1 볼트(150a)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1 너트(152a)로 고정시킬 수 있고, 제 1 시트(120b)의 타 가장자리는 수중축조물의 바닥(2) 및 측벽(4)에 안착시킨 후 그 상부로 제 2 가이드테(140b)를 포개고 다수의 스크루(160)를 이용해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And one edge of the first sheet (120a) is seated on the first flange (130a) a plurality of first bolts (150a) and overlaps the first guide frame (140a) through all of them A plurality of first nuts 152a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dge of the first sheet 120b may be seated on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s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and then the second guide frame may be disposed thereon. 140b) is superimposed and fixed using a plurality of screws 160.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인프레임(102)은 각각 상하 복층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바, 서로 포개어지는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 상단 및/또는 하단에는 제 3 및 제 4 플랜지(130c,130d)가 내향 돌출되어 이들을 결착시킴으로서 서로를 연결할 수 있고, 이들 사이의 이음새를 막아 방수시키기 위하여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도록 합성수지의 제 2 완충바(110b)를 개재한다.At this time, more preferably, the main frame 102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duplex,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upper and lower main frames 102a and 102b overlapping each other, Four flanges 130c and 130d protrude inwards and bind them to each other to connect them, and the second buffer bar of synthetic resin to cover the seam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and 102b to prevent and seal the seams between them. Via 110b.

이 경우 제 2 완충바(110b)의 유동을 막고 후술하는 제 2 시트(120b)의 고정에 편의를 위하여 적어도 하층 메인프레임(102b)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 2 플랜지(130b)가 외향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결국 제 2 완충바(110b)는 상층 메인프레임(102a) 하단의 제 1 플랜지(130a)와 하층 메인프레임(102b) 상단의 제 2 플랜지(130b) 사이로 개재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flange 130b may protrude outward along at least the upper edge of the lower main frame 102b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second buffer bar 110b and for fixing the second sheet 120b to be described later. As a result, the second buffer bar 110b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130a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mainframe 102a and the second flange 130b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mainframe 102b.

그리고 합성수지의 제 2 시트(120b)로 제 2 완충바(110b)를 덮은 후 상기 제 2 시트(120b)의 일 가장자리를 상층 메인프레임(102a) 하단을 따라 밀착 고정시키며, 타 가장자리를 하층 메인프레임(120b) 상단을 따라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After covering the second buffer bar 110b with the second sheet 120b of synthetic resin, one edge of the second sheet 120b is tightly fix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mainframe 102a and the other edge is lower layer mainframe. 120b may be fixed along the upper end.

이때 제 2 시트(120b)의 고정을 위하여 이의 일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층 메인프레임(102a) 하단의 제 1 플랜지(130a)를 따라 그 상부로 포개어지는 제 3 가이드테(140c) 그리고 이들 모두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2 볼트(150b)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2 너트(152b)가 사용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시트(120b)의 타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층 메임프레임(102b) 상단의 제 2 플랜지(130b)를 따라 그 하부로 포개어지는 제 4 가이드테(140d) 그리고 이들 모두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3 볼트(150c)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3 너트(152c)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guide frame (140c) and all of them are superimposed along the first flange (130a) at the bottom of the upper mainframe (102a) with one edge thereof in between for fixing the second sheet (120b) A plurality of second bolts 150b penetrating therethrough and a plurality of second nuts 152b fastened thereto may be used, and likewise, an upper end of the lower main frame 102b with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sheet 120b interposed therebetween. A fourth guide frame (140d) that is nested below it along the second flange (130b) and a plurality of third bolts (150c) penetrating all of them and a plurality of third nuts (152c) fastened thereto. have.

이에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완전한 방수가 가능한 물막이구조물(100)을 시공한 후, 내부의 물을 배출시켜 대기환경의 작업공간을 형성한다.The height can be adjusted, and after constructing a watertight structure 100 that can be completely waterproof, the internal water is discharged to form a working environmen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그리고 그 내부로 장비 및 인부를 투입시켜 수중축조물의 측벽 및 바닥을 수선 및 보수할 수 있다.And it is possible to repair and repair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by introducing equipment and labor into the interio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 및 이의 방수공법을 사용할 경우 수중축조물의 바닥 및 측벽의 편평도가 지극히 불량하여 5cm 이상의 틈새가 발생되어도 신뢰성 있는 방수가 가능한 바, 완충바가 수압을 분산시키고 그 틈새를 시트로 차단함에 따라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water b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waterproofing method thereof are used, the flatness of the bottom and the sidewall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is extremely poor, so that even if a gap of 5 cm or more is generated, the waterproof bar can be reliably dispersed, and the buffer bar distributes the water pressure and the gap. Blocking the seat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a safe work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은 각각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하여 플랜지와 겹쳐지는 가이드테를 이용해서 볼트/너트 체결함으로서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따라서 기존과 달리 잠수부가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clamshe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by fastening bolts / nuts using a guide frame overlapping the flanges in order to securely fix both edges of the seats, and thus, divers must take risks unlike the existing ones. There is no.

이에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수를 함으로서 안전한 작업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a safe workspace by providing a simple and reliable waterproof.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물막이구조물은 조립식으로 높이에 따라 상하 복층으로 다양하게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현장에서의 작업공수를 줄이고 어떠한 환경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oreover, the clamshe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lural layer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efabricated structure, thus reducing the labor in the field and can be easily used in any environment.

Claims (5)

내부로 대기환경의 작업공간(S)을 정의하도록 방파제나 댐 또는 제방의 수중축조물 측벽(4)에 고정 설치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로서,As a water barrier structure for repairing underwater structures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wall 4 of a breakwater, a dam, or an embankment so as to define a working space 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erein, 대기에 노출되는 상면과 바닥(2)에 안착되는 하면 그리고 상기 측벽(4)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되어 양 측면의 단부가 상기 측벽(4)을 따라 밀착되는 호 형상의 메인프레임(102)과;An arc-shaped main frame 102 in which an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a lower surface seated on the bottom 2 and one surface facing the side wall 4 are opened so that end portions of both sides are closely adhered along the side wall 4; 상기 메인프레임(102) 하단 및 측단과 상기 바닥(2) 및 측벽(4) 사이로 개재되어 이들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는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 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완충바(110a)와;A first buffer bar 110a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and side ends of the mainframe 102 and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 4 and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that covers the seam therebetween; 상기 제 1 완충바(110a)를 덮는 합성수지의 제 1 시트(120a)와;A first sheet 120a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first buffer bar 110a; 상기 제 1 시트(120a)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102)의 하단 및 측단 가장자리 그리고 상기 바닥(2) 및 측벽(4)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Underwate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tightly fixing the both side edges of the first sheet (120a) to the bottom and side edges of the main frame 102 and the bottom (2) and side walls (4), respectively Retaining structure for repai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프레임(102)은 상기 하단 및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 돌출된 제 1 플랜지(130a)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 1 완충바(110a)는 상기 제 1 플랜지(130a)와 상기 바닥(2) 및 측벽(4) 사이로 개재되고,The main frame 102 further includes a first flange 130a protruding outwardly along the bottom and side edges, so that the first shock absorbing bar 110a includes the first flange 130a and the bottom 2, and Interposed between the side walls 4,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시트(120a)의 일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플랜지(130a)를 따라 그 상부로 포개어지는 제 1 가이드테(140a) 그리고 상기 제 1 플랜지(130a)로부터 상기 제 1 가이드테(140a)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1 볼트(150a)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1 너트(152a)와;The fixing member has a first guide frame (140a) and the first guide frame (140a) is superimposed along the first flange (130a) with one edge of the first sheet (120a) in between the first flange (130a) A plurality of first bolts 150a passing through the first guide frame 140a and a plurality of first nuts 152a fastened thereto; 상기 제 1 시트(120a)의 타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2) 및 측벽(4)을 따라 그 상부로 포개어지는 제 2 가이드테(140b) 및 상기 제 2 가이드테(140b)를 상기 바닥(2) 및 측벽(4)으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스크루(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The second guide frame (140b) and the second guide frame (140b) that overlaps the top along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 (4) with the other edge of the first sheet (120a) in between the bottom (2) and a water barrier structure for repairing the underwater construc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screws (160) fixed by the side wall (4).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프레임(102)은 각각 각각의 상면으로 치우진 상단을 따라 제 2 플랜지(130b)가 외향 돌출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복층으로 상하 연결되고,The main frame 102 is at least two or more in which the second flange 130b protrudes outwards along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upper surface is vertically connected in multiple layers, 상기 상하층 메인프레임(102a,102b)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도록 상기 상층 메인프레임(102a) 하단의 제 1 플랜지(130a)와 하층 메인프레임(102b) 상단의 제 2 플랜지(130b) 사이로 개재되는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의 제 2 완충바(110b)와;Synthetic resi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130a at the bottom of the upper mainframe 102a and the second flange 130b at the top of the lower mainframe 102b so as to cover the seam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ainframes 102a and 102b. A second buffer bar 110b of wood or metal; 상기 제 2 완충바(110b)를 덮는 합성수지의 제 2 시트(120b)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시트(120b)의 일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층 메인프레임(102a) 하단의 제 1 플랜지(130a)를 따라 그 상부로 포개어지는 제 3 가이드테(140c) 그리고 상기 제 1 플랜지(130a)로부터 상기 제 3 가이드테(140c)를관통하는 다수의 제 2 볼트(150b)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2 너트(152b)와, 상기 제 2 시트(120b)의 타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층 메임프레임(102b) 상단의 제 2 플랜지(130b)를 따라 그 하부로 포개어지는 제 4 가이드테(140d) 그리고 상기 제 2 플랜지(130b)로부터 상기 제 4 가이드테(140d)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3 볼트(150c) 및 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 3 너트(15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The second sheet 120b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second buffer bar 110b is further included, and the fixing member has a lower edge of the upper mainframe 102a with one edge of the second sheet 120b interposed therebetween. A third guide frame (140c) that is superimposed along the first flange (130a)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s (150b) through and through the third guide frame (140c) from the first flange (130a) and A plurality of second nuts 152b fastened therebetween and a fourth overlapped downwardly along a second flange 130b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main frame 102b with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sheet 120b interposed therebetween; A guide frame 140d and a plurality of third bolts 150c penetrating through the fourth guide frame 140d from the second flange 130b and a plurality of third nuts 152c fastened thereto. Cushion structure for repair of underwater construction. 내부로 대기환경의 작업공간을 정의하도록 바닥(2)으로부터 직립되어 방파제나 댐 또는 제방을 포함하는 수중축조물 측벽(4)에 고정 설치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100)의 방수공법으로서,As a waterproofing method of the water barrier structure 100 for repairing an underwater construction, which is erected from the bottom 2 so as to define a working environmen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erein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wall 4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including a breakwater, a dam or a dike , a)상기 물막이구조물(100)과 상기 바닥(2) 및 측벽(4)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도록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완충바(110a)를 개재하는 단계와;a) interposing a first buffer bar (110a) made of one material selected from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so as to cover the seam between the water barrier structure (100) and the bottom (2) and the side wall (4); b)합성수지의 제 1 시트(120a)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완충바(110a)를 덮은 후 상기 제 1 시트(120a)의 일 가장자리를 상기 물막이구조물(100) 하단 및 측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고정시키고, 타 가장자리를 상기 바닥(2) 및 측벽(4)을 따라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의 방수공법.b) having a first sheet 120a of synthetic resin to cover the first buffer bar 110a, and fixing one edge of the first sheet 120a closely along the bottom and side edges of the clapper structure 100. And the other edges are tightly fixed along the bottom (2) and the sidewalls (4).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물막이구조물(100)은 각각 상하 복층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a)단계 이전 또는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상하층 물막이구조물 사이의 이음새를 가리도록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의 제 2 완충바(110b)를 개재하는 단계와;The cladding structure 100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leading to the upper and lower plural layers, respectively, so as to cover the seam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dding structures before the step a) or after the step b). Interposing the buffer bar (110b); 합성수지의 제 2 시트(120b)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완충바(110b)를 따라 덮은 후 상기 제 2 시트(120b)의 일 가장자리를 상기 상층 물막이구조물 하단을 따라 밀착 고정시키고, 타 가장자리를 상기 하층 물막이구조물 상단을 따라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축조물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구조물의 방수공법.After covering the second buffer bar 110b with a second sheet 120b of synthetic resin, one edge of the second sheet 120b is tightly fix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cladding structure, and the other edge is lowered. Waterproofing method of the water barrier structure for repairing the underwater construc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losely fixing the top of the water structure.
KR1020030089122A 2003-12-09 2003-12-09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432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122A KR100432805B1 (en) 2003-12-09 2003-12-09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122A KR100432805B1 (en) 2003-12-09 2003-12-09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2805B1 true KR100432805B1 (en) 2004-05-28

Family

ID=3734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122A KR100432805B1 (en) 2003-12-09 2003-12-09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8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35B1 (en) 2007-04-17 2008-06-12 이중우 Sector caisson for maintenance of the large underwater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35B1 (en) 2007-04-17 2008-06-12 이중우 Sector caisson for maintenance of the large underwater struc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98937A1 (en) Flood barrier
JP4134242B2 (en) Seawall
KR100432805B1 (en)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376551Y1 (en)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 construction
JP5610934B2 (en) Overflow prevention device
JP4504274B2 (en) Method of laying sand-proof sheet covering slope of rubble revetment and sand-proof sheet
JP4611123B2 (en) Waste disposal site
JP5572540B2 (en) Temporary deadline structure of the final deadline in the impermeable wall and its deadline method
KR101002281B1 (en) Waterproofing structure for repairing of underwaterconstruction
JP2001152425A (en) Impervious structure of revetment
JP2002371529A (en) Water area structure with retarding chamber
JPH0619127B2 (en) Impermeable structure and impermeable sheet for landfill
JP2007247309A (en) Construction method of seepage control processing layer
JP3224479B2 (en) Structure of bottom plate of underground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JP5268512B2 (en) CONCRETE STRUCTURE, ITS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2206220A (en) Steel sheet-pile impervious structure
JPH0886119A (en) Flooding protection wall
JP6202616B2 (en) Impermeable body installation structure and impermeable body installation method
JP3759118B2 (en) Natural movable ups and downs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coast, rivers, and flat grounds.
KR20120007093U (en) Silt protector device
JP2920795B2 (en) Mortar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offshore structures
US10323372B1 (en) Floating turbidity barrier
JPH067047Y2 (en) Cover sheet for reclaimed seawall
JP4320972B2 (en) Landfill soil runoff prevention structure for quay and revetment
JP3308070B2 (en) Diffusion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