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947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947B1
KR100431947B1 KR10-2002-0027932A KR20020027932A KR100431947B1 KR 100431947 B1 KR100431947 B1 KR 100431947B1 KR 20020027932 A KR20020027932 A KR 20020027932A KR 100431947 B1 KR100431947 B1 KR 10043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key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991A (ko
Inventor
강윤기
강훈기
Original Assignee
강훈기
강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훈기, 강윤기 filed Critical 강훈기
Priority to KR10-2002-002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9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은, 한글문자 입력시 숫자키의 조작에 대응되어, 할당된 모음의 선택적 조합으로 해당 한글문자의 모음을 완성시키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와, 상기 키패드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의 모음입력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와, 상기 숫자키와 방향키에 대응하여 해당문자의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를 포함한 입력부 및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영어,일어문자 입력시 숫자키의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열에 대응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와, 상기 키패드부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의 문자선택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내에 배열된 숫자키에 문자를 할당함과 아울러 기존의 방향키에 한글의 모음 또는 할당된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시킴으로서 불필요한 키의 조작 횟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향키에 문자입력기능을 부가하여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와의 병행 조작으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휴대폰 서비스의 시작으로 전화를 통한 문자서비스와 함께문자삐삐등 문자의 송수신이 필요한 다양한 정보단말기의 출현으로 컴퓨터의 키보드가 아닌 전화기의 자판만으로 문자를 입력하려고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오고 있으며, 정보통신기기들이 소형화 추세에 따라 입력버튼수도 적어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크기의 축소와는 반비례하게 오히려 기능은 향상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필요성도 계속 증대하고 있다.
한글의 경우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근거로 하는 경우 초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하고, 중성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로 하고, 종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ㅅ, ㄹㅌ, ㄹㅍ, ㄹㅎ, ㅂ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이론상 만들 수 있는 글자의 수는 11,172자가 되지만 실제 상용되는 글자의 수는 2,500자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코드의 경우 1,800자부터 1,900자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코드체계에서는 키보드로 입력할 때는 ㄲ, ㄸ, ㅃ, ㅆ, ㅉ과 ㅑ, ㅕ, ㅛ, ㅠ, ㅔ, ㅖ, ㅐ, ㅒ를 추가할당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을 단말기의 키를 이용하여 완성형 한글로 표시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마련된 12개 정도의 키(1, 2, 3, 4, 5, 6, 7, 8, 9, 0, *, #)로 각각의 자음 및 모음에 대응하는 입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정된 입력버튼으로 문자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버튼에 여러 개의 문자를 할당한 다음, 선택 시에 연속해서 눌러 해당 문자입력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소형이면서 한글 입력 장치로 보편화된 제품인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휴대폰의 문자 입력키는 한정된 개수로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버튼에 여러 개의 자음, 모음을 할당해야 하는 상황이며,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모음을 버튼에서 찾아 상기 버튼을 필요한 숫자만큼 눌러 입력시킴으로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다시 커서 이동키로 다음 공간까지 이동시킨 후, 다음 문자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글자를 조합하여 하나하나 만들어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입력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다량의 문자를 입력시키기 번거로우며, 한글과 영어문자를 연속해서 입력시킬 수 없어 문자입력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한글을 완전히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모 수는 자음 14개, 모음 10개로 등 최소한 24개가 필요하나 전화기 자판은 특수기호까지 포함해도 12개밖에 되지 않으므로 자판의 숫자하나당 최소한 2개 이상의 자모가 할당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특정자판이 눌렀을 때 자판위에 표기된 2 내지 3개의 자모 중 어떤 것이 적용되어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잡한 규칙들이 제안되어왔다.
이러한 규칙들 때문에 입력해야 할 글자를 생각해 가며 글자를 짜맞추어가는 과정이 매우 번잡하고 쉽지 않으며 규칙성이 있으나 자판구성에 있어서 자주 쓰이지 않는 자모와 자주 쓰는 자모가 혼재되어 있어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열두 자판을 대각선으로 오르내리며 사용하는 점이라든지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가 전혀 고려되지 않아서 자주 사용되는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이 불편하게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본어의 경우는 히라카나, 가타카나, 탁음, 요음, 촉음등 많은 종류가 있어 휴대폰과 같이 한정된 입력버튼으로는 일본어 전체를 표시하기는 매우 힘든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버튼에 수개의 문자를 할당하고, 필요한 숫자만큼 눌러 입력시킴으로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다시 커서 이동키로 다음공간까지 이동시킨 후 다음 문자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한다. 영어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글자를 조합하여 하나하나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입력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다량의 문자를 입력시키기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문자출력부인 액정을 큰 것으로 채용하고, 상기 액정에 히라카나, 가타카나를 디스플레이 되게 한 다음, 사용자가 선택수단에 의해, 해당문자를 선택하게 함으로서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의 방식을 채용하더라도 액정의 크기가 크고, 선택에 필요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과 사용면에서 불편함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향키에 문자입력기능을 부가하여, 숫자키와 병행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되 한글문자입력 시 소정의 모음이 할당된 방향키와 자음과 모음이 선택적으로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거나, 영어문자 및 일어문자입력 시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내의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본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어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어문자입력 중 한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본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입력부 2 : 저장부
3 : 출력부 4 : 중앙처리부
100, 110, 120, 130 : 숫자키
103, 113, 123, 133 : 방향키
105, 115, 125, 135 : 기능키
107, 117, 127, 137 : 모드전환키
109, 119, 129, 139 : 일반키
140 : 추가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1), 상기 입력부(1)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2), 상기 입력부(1)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3) 및 상기 입력부(1)의 조작으로 저장부(2)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한글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100)의 조작에 대응되어, 할당된 모음의 선택적 조합으로 해당 한글문자의 모음을 완성시키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103)와, 상기 키패드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103)의 모음입력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107)와, 상기 숫자키(100)와 방향키에 대응하여 해당문자의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105)를 포함한 입력부(1) 및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입력부(1)는 1번 숫자키에 ㄱ, ㅋ, ㄲ, 2번 숫자키에 ㅣ, ㅝ, ㅞ, 3번 숫자키에 ㅡ, ㅘ, ㅙ, 4번 숫자키에 ㄴ, ㄹ, 5번 숫자키에 ㄷ, ㅌ, ㄸ, 6번 숫자키에 ㅁ, ㅂ, 7번 숫자키에 ㅂ, ㅃ, 8번 숫자키에 ㅅ, ㅆ, 9번 숫자키에 ㅇ, ㅎ 및 0번 숫자키에 ㅈ, ㅊ, ㅉ 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방향키에 ㅗ, ㅛ, 우방향키에 ㅏ, ㅑ, 하방향키에 ㅜ, ㅠ 및 좌방향키에 ㅓ, ㅕ 가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숫자키(100)의 입력신호에 따라 "*"좌측기능키(105)의 추가 조작으로 상기 숫자키(100)에 할당된 문자 중 마지막 문자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 좌측기능키(105)를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영어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 좌측기능키(105)의 조작과 함께 9번 숫자키(100)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일어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 좌측기능키(105)의 조작과 함께 "#"우측기능키(105)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숫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과 함께, 상기 숫자입력상태에서 상기 방향키(103)의 조작에 따라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의 사칙연산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우측기능키(105)의 조작에 의해 사칙연산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 좌측기능키(105)의 조작과 함께 0번 숫자키(100)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특수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한글문자모드에서 영어문자, 일어문자, 숫자, 특수문자모드로의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기능키의 입력신호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리턴되는 신호를 발생함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영어,일어문자 입력시 숫자키(110,120)의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열에 대응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113,123)와, 상기 키패드부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113,123)의 문자선택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117,127)와, 상기 숫자키(110,120)와 방향키(113,123)의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를 포함한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부(1)는 영어문자입력시 1번 숫자키에 A, B, C, D, 2번 숫자키에 E, F, G, H, 3번 숫자키에 I, J, K, L, 4번 숫자키에 M, N, O, P, 5번 숫자키에 Q, R, S, T, 6번 숫자키에 U, V, W, X 및 7번 숫자키에 Y, Z 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영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입력 후, "*"좌측기능키(115)의 조작에 의해 영어문자의 대소문자를 교번적으로 변환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일어문자입력시 1번 숫자키에 あ(a), い(i), う(u), え(e), お(o), 2번 숫자키에 か(ka), き(ki), く(ku), け(ke), こ(ko), 3번 숫자키에 さ(sa), し(shi), す(su), せ(se), そ(so), 4번 숫자키에 た(ta), ち(chi), つ(tau), て(te), と(to), 5번 숫자키에 な(na), に(ni), ぬ(nu), ね(ne), の(no), 6번 숫자키에 は(ha), ひ(hi), ふ(fu), へ(he), ほ(ho), 7번 숫자키에 ま(ma), み(mi), む(mu), め(me), も(mo), 8번 숫자키에 や(ya), ゆ(yu), よ(yo), 9번 숫자키에 ら(ra), り(ri), る(ru), れ(re), ろ(ro), 및 0번 숫자키에わ(wa), ん(n), -(장음), を(o) 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방향키의 조작으로 표시된 문자에 대해 "*"좌측기능키(125)의 조작에 따라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상호 변환신호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120)의 조작에 따른 방향키(123)의 조작으로 표시된 문자에 대해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따라 한자변환신호를 발생과 함께, 한자변환신호 발생하되,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발생 시 한자변환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상기 한자변환신호 발생 후 "#"우측기능키(125)의 추가 조작으로 해당 한자열의 표시를 출력부에 대응하여 화면단위로 표시되는 화면전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일어문자 입력시 상기 키패드내에 단독으로 형성된 상하좌우의 방향키(133)와, 추가형성된 추가키(140)에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의 a 계열,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ん "의 i 계열,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u 계열,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의 e 계열 및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의 o 계열의 문자를 각 계열별로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 추가키의 조작에 따라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한글문자 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입력에 따라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의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2)에서 해당 자음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초성입력단계와, 상기 초성에 연계된 해당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100) 및 방향키(103)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2)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중성입력단계와, 상기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의 추가 조합시 추가될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100), 방향키(103)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4)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중성조합단계 및 상기 중성조합단계와 연계되어 받침조합시 추가된 받침에 해당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100), 방향키(103)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2)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받침조합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영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110)의 조작에 의한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2)로부터 숫자키(110)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문자열표시단계와,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113)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문자선택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2)에 해당 문자를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문자선택단계와, 상기 문자선택 후 해당 문자열을 그대로 유지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문자열 유지신호를 발생하는 문자열유지단계 및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의 완료에 따라 상기 숫자키(110) 이외의 다른 숫자키의 입력을 확인하여 기존의 문자열대신에 상기 다른 숫자키(110)에 할당된 문자열로 대체시킨 후 상기 문자열 표시단계로 진행하거나 문자입력의 종료를 확인하는 초기화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문자선택단계는 상기 방향키(113)의 조작 후 "*"좌측기능키(115)의 추가조작에 따라 선택된 해당문자의 대소문자를 선택적으로 저장부(2)에서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또한,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120)의 입력에 따른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2)로부터 숫자키(120)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문자열표시단계와,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123) 또는 상기 문자열표시단계에서 입력된 동일 숫자키(120)의 입력으로 해당문자 입력신호를 발생하거나 다른 숫자키(120)의 입력시 기존의 문자열을 삭제하고나서 상기 문자열표시단계의 해당 숫자키(120)에 할당된 문자열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123)의 입력에 따라 시간지연발생 시 해당 문자를 촉음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문자선택,초기화단계와, 상기 해당 문자의 표시 이후에 선택적인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한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상호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좌측기능키적용단계 및 상기 해당 문자의 표시 이후에 선택적인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의한 시간지연 여부에 따라 한자변환신호 및 탁음,반탁음의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우측기능키적용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우측기능키적용단계는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의한 시간지연에 대해 해당 한자열을 저장부(2)에서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한자열표시단계 및 해당 한자열에 대응된 숫자키(120)의 입력에 의해 해당 한자를 저장부(2)에서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한자표시단계로 진행함과 아울러 상기 한자열표시단계를 진행한 다음, 상기 한자열에 대해 출력부(3)의 화면상에 전체표시가능 여부에 따라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으로 화면단위로 해당 문자열의 페이지전환신호를 발생하는 페이지전환단계를 진행한 다음 상기 한자표시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1), 저장부(2), 출력부(3), 중앙처리부(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부(1)는 숫자키(100,110,120), 방향키(103,113,123), 모드전환키(107,117,127), 기능키(105,115,125), 일반키(109,119,12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숫자키(100,110,120)는 해당 언어별 문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할당하여 문자입력 시 해당 문자의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방향키(103,113,123)는 한글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100,110,120)의 조작에 대응되어, 할당된 모음의 선택적 조합으로 해당 한글문자의 모음을 완성시키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고, 영어, 일어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100,110,120)의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열에 대응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모드전환키(107,117,127)는 상기 키패드부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1회 입력으로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에 따라 한글입력시 상기 방향키(103,113,123)의 모음입력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영어, 일어문자입력시 상기 방향키(103,113,123)의 문자선택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기능키(105,115,125)는 상기 숫자키(100,110,120)와 방향키(103,113,123)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저장부(2)는 상기 입력부(1)에 할당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용도 및 부가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문자들을 더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출력부(3)는 상기 중앙처리부(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한다.
상기 중앙처리부(4)는 상기 입력부(1)에 의해 인가되는 문자입력신호, 문자선택신호 및 문자변환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에 따라 문자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1)의 숫자키(100)에 할당된 한글 자모의 배열을 표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숫자키(100)와 반복횟수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표 2에서는 방향키(103)에 할당된 모음의 배열을 나타내었다.
한글의 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과 모음인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중에서 상기 숫자키(100)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을 할당하고 상기 방향키(103) 중에서 상방향키에는 ㅗ, ㅛ 를 할당하고, 우방향키에는 ㅏ, ㅑ 를 할당하고, 방향키에는 ㅜ, ㅠ 를 할당하고, 좌방향키에는 ㅓ, ㅕ 를 할당한다.
또한, 상기 숫자키(100) 중 2번 숫자키와 3번 숫자키에 각각 ㅣ, ㅝ, ㅞ 와 ㅡ, ㅘ, ㅙ 를 할당하였다.
한편, 나머지 모음중 ㅐ, ㅒ, ㅔ, ㅖ, ㅚ, ㅟ, ㅢ 는 상기 방향키(103)와 숫자 2번키 및 3번키에 할당된 모음의 조합으로 완성되어짐이 자명할 것이다.
상기 숫자키(100)와 방향키(103)에 할당된 한글자모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저장부(2)에 미리 저장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09)의 조작에 의해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입력부(1)의 조작으로 한글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가"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1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출력부(3)에 "ㄱ"가 표시되고 그 다음 우방향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ㅏ"가 "ㄱ"에 조합되어 "가"라는 한글문자를 최종적으로 2회의 키입력으로 출력부(3)에 표시하게된다.
또한, "갸"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1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출력부에 "ㄱ"가 표시되고 그 다음 우방향키를 2회 입력하게 되면 "ㅑ"가 "ㄱ"에 조합되어 "갸"라는 한글문자를 최종적으로 3회의 키입력으로 출력부(3)에 표시하게된다.
또한, "강"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1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출력부(3)에 "ㄱ"가 표시되고 그 다음 우방향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ㅏ"가 "ㄱ"에 조합되어 "가"라는 글자로 조합되며 이어서 7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함으로서 "ㅇ"을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최종적으로 3회의 키입력으로 출력부(3)에 표시하게된다.
또한, "예"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7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출력부(3)에 "ㅇ"가 표시되고 그 다음 좌방향키를 2회 입력하게 되면 "ㅕ"가 "ㅇ"에 조합되어 "여"라는 글자로 조합되며 이어서 2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함으로서 "ㅣ"을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최종적으로 4회의 키입력으로 출력부(3)에 표시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한글문자입력시 숫자키(100)에 할당된 한글문자 중에서 마지막에 할당된 글자의 입력시 숫자키(100)를 해당 할당 순번까지 반복적으로 입력하여 한글문자를 표시하였으나 해당 숫자키(100)를 누른 다음 "*"좌측기능키(105)를 누르게 되면 마지막의 한글문자로 전환되어 숫자키의 반복적인 입력을 간소화할 수 있는 건너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숫자키(100)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 "*"좌측기능키(105)의 입력으로 건너뛰기의 기능을 수행함이 자명할 것이다.
한편, 한글문자입력시 방향키(103)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하게되는데 이때 한글문자입력도중 커서의 이동을 하고자 한다면 상기 모드전환키(107)를 1회 누름으로서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모드전환키(107)를 누르고 있는동안 시간지연에 따라 상기 방향키(103)의 기능이 원래기능인 커서의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게된다. 더불어 상기 모드전환키(107)의 재입력으로 방향키(103)의 위치이동신호의 발생에서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전환됨이 바람직 하겠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한글문자입력 도중 사용자에 따라 또 다른 문자의 입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된다.
한글문자입력 도중에 "*"좌측기능키(105)를 누르고 있는동안 시간지연으로 영어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영어문자입력 모드로 전환되되 "*"좌측기능키(105)를 다시누르고 있는동안의 시간지연으로 종전의 한글문자입력 상태로 전환하게되며,추가적으로 영어문자입력모드상태에서 "*"좌측기능키(105)의 짧게 누름을 반복적으로 즉, 입력을 반복적으로 하게되면 영어문자의 대소문자를 상호 전환된다.
또한, "*"좌측기능키(105)를 입력하고 9번 숫자키를 입력하게 되면 일어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되, 전환된 후 "*"좌측기능키(105)의 입력에 따라 시간지연으로 종전의 한글문자입력 상태로 전환하게된다.
또한, "*"좌측기능키(105)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0번 숫자키를 입력하게 되면 특수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되, 전환된 후 "*"좌측기능키(105)의 입력에 따라 시간지연으로 종전의 한글문자입력 상태로 전환하게된다.
또한, "*"좌측기능키(105)를 입력하고 "#"우측기능키(105)를 입력하게되면 숫자입력모드로 전환되되, 전환된 후 "*"좌측기능키(105)의 입력에 따라 시간지연으로 종전의 한글문자입력 상태로 전환하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1)의 숫자키(110)에 할당된 알파벳의 배열을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키(110)와 반복횟수에 따라 구분하여 할당하였다.
영어문자인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을 상기 숫자키(110)에 할당하고, 상기 숫자키(110)에 할당된 영어문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2)에 미리 저장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19)의 조작에 의해 영어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입력부(1)의 조작으로 영어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ABC"를 입력하기 위해 1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되면 1번 숫자키에 할당된 "ABCD"의 문자열이 출력부(3)에 표시되며,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순서에 따른 해당 방향키(113)를 입력하면 즉, 상방향키 1회 입력하게되면 "A"가 표시되고, 우방향키를 입력하게 되면 "B"가 표시되며, 하방향키를 입력하게 되면 "C"가 표시되어 최종적으로 4회의 키입력으로도 "ABC"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방향키를 입력하게된 경우부터 표시된 문자열은 지속적으로 출력부(3)에 표시됨을 유지하게 된다.
또 다른예를 들면, "CCD"를 입력하기 위해 1번 숫자키를 입력하게 되면 "ABCD"의 문자열이 출력부(3)에 표시되며,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순서에 따른 해당 방향키(113)인 하방향키의 2회 입력으로 "CC"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문자열을 그대로 유지하며, 이어서 좌방향키를 입력하여 "D"를 표시함으로서 최종적으로 "CCD"를 출력부(3)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영어문자입력시 영어문자의 총 개수인 26개의 영어문자을 모두 입력하고자 한다면 최대 7번의 숫자키 입력을 포함하여 총 33회의 키입력으로도 영어문자를 모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각 숫자키에 3개의 영어문자를 할당된 상태에서 26개의 영어문자를 표시하기위해 총 51회의 키입력이 필요하였으며 본 발명은 기존의경우에 대해 35%정도 줄이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영어문자입력시 "*"좌측기능키(115)의 입력으로 대소문자를 혼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본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1)의 숫자키(120)에 할당된 일어문자의 배열을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키(120)와 반복횟수에 따라 구분하여 할당하였다.
일어문자중 히라카나 문자를 1번키에 "あ, い, う, え, お ", 2번키에 "か, き, く, け, こ ", 3번키에 "さ, し, す, せ, そ ", 4번키에 "た, ち, つ, て, と ", 5번키에 "な, に, ぬ, ね, の ", 6번키에 "は, ひ, ふ, へ, ほ ", 7번키에 "ま, み, む, め, も ", 8번키에 "や, ゆ, よ ", 9번키에 "ら, り, る, れ, ろ ", 0번키에 "わ, ん, -, を, "를 각각 할당하고, 상기 숫자키(120)에 할당된 일어문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2)에 미리 저장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29)의 조작에 의해 일어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입력부(1)의 조작으로 일어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하게 되는데, 표시방법은 상기 도 3에서 보인 방향키(113)를 이용한 방법을 따르게 된다.
여기서 추가적인 설명을 한다면, 상기 일어문자 중 "a "계열의 일어문자 あ(a), か(ka), さ(sa), た(ta), な(na), は(ha), ま(ma), や(ya), ら(ra), わ(wa) 는 방향키(123)에 할당 되지 않았기 때문에 "a "계열의 일어문자를 입력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해당 숫자키(120)를 1회 입력한 후 화면에 해당 문자열이 표시되고 이어서 동일한 숫자키(120)를 다시한번 1회 입력하게되면 해당 "a "계열의 대표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어문자는 히라카나와 가타카나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으로 히라카나와 가타카나로 상호전환되도록 구성되어지며, 기본 설정은 히라카나로 되어진다.
한편, 일어문자중 가타카나의 입력도 중 "-"장음을 표시하기 위해 0번키에 할당되며, 0번키의 입력과 함께 좌방향키의 입력으로 표시되는 "-"장음을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해당 문자에 해당되는 방향키(125)를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이 이루어지면 해당 문자를 촉음으로의 변환하게 된다.
초기에는 대문자로 설정된 일어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하도록 설정되어지며 재입력하게 되면 다시 원래의 대문자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능키중 "#"우측기능키(125)를 반복적으로 입력함으로서 탁음과 반탁음을 바로 전 일어문자와 조합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한편, 상기 "#"우측기능키(125)의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으로 해당 일어문자를 한자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며, 한문전환 방법은 도 9에서 자세히설명하겠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특수문자를 입력하고자 할때에는 영어문자나 일어문자와 같은 테이블 형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부(2)에 저장한 다음 필요한 특수문자를 방향키와 숫자키의 조작으로 출력부(3)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숫자를 입력할 시에도 숫자키의 조작으로 숫자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 방향키에 사칙연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산기능인 "-"(빼기), "+"(더하기), "x"(곱하기), "/"(나누기)를 다음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방향키에 할당하였으며, 상기 기능키중 "#"키에 연산후의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일반키(109,119,129)를 조작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게 되며(S100), 이때 문자종류를 선택하게 되는데(S200), 한글문자(S300), 영어문자(S400), 일어문자(S500), 숫자(S600), 특수문자(S700)로 구분되어 설정하되, 그 이외의 언어는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문자입력상태로의 전환 시 기본적인 언어를 한글로 설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언어별 문자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별한 후(S800), 문자입력과정을 종료하거나 상기 문자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된다(S200).
앞으로의 도면 설명에서는 한글문자(S300), 영어문자(S400) 및 일어문자(S500)에 대해서 설명하며, 상기 숫자(S600)와 특수문자(S700)는 충분한 적용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5에서 한글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한글문자가 입력되는데, 한글문자의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100)의 입력으로 문자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중앙처리부(4)에서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문자를 저장부(2)에서 독출한 다음 해당 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S301)하게되는 초성입력단계(S350)를 진행한다.
이어서,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을 입력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이 할당된 방향키(103) 또는 숫자키(100)를 조작하여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게되면 상기 중앙처리부(4)에서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문자를 저장부에서 독출한다음 해당 문자를 상기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과 조합하여 출력부(3)에 표시(S303)하고, 이어서 문자완성을 확인하는 과정(S305)을 진행하는 중성입력단계(S360)를 진행한다.
이때 한글은 자음과 모음 각각의 하나씩만을 조합하여도 글자가 되므로 문자의 완성을 판별하여 문자조합의 계속진행을 확인하는 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자음과 모음 각각 하나씩의 조합 후의 진행은 모음의 변화를 인지하여 상기 표시된 모음에 대해 모음조합을 확인하는 단계(S307)를 진행하고 나서, 모음조합에 해당되는 모음이 할당된 방향키(103) 또는 숫자키(100)의 조작에 의한 문자입력신호를 중앙처리부(4)에서 전달받아 해당 문자를 저장부(2)에서 독출한 다음 해당 모음을 맨처음의 중성을 표시한 모음과 조합하여 최종적인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을 이루며 출력부(3)에 표시하는 단계(S309)를 진행하고, 더불어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도 한글이 완성될 수 있기 때문에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단계(S311)를 진행하는 중성조합단계(S370)를 진행한다.
이어서, 받침이 추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313)로 진행하고 나서 받침에 해당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100)의 조작에 의한 문자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4)에서 전달받아 해당 문자를 저장부(2)에서 독출한 다음 해당 자음을 받침으로 조합하는 단계(S315)를 진행하되 받침자음 또한 이중의 자음이 결합되는 받침의 경우가 있어도 상기의 받침입력방법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받침까지 조합하여 완성된 문자가 표시되면 한글문자의 완성을 확인(S317)한 다음 하나의 한글문자의 완성을 이루며 종료하게 되며 계속적인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상기 (S301)단계로 진행하는 받침조합단계(S380)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S305)단계에서 자음하나와 모음 하나만의 글자가 완성되었다면 마지막 단계인 문자를 완성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317)로 진행하며, 또한 상기 (S307)단계에서의 모음 조합을 하지 않게되면 받침조합을 확인하는 단계(S313)로진행하며, 상기 받침조합을 확인하는 단계(S313)에서 받침을 표시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문자완성을 확인하는 단계(S317)로 진행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어문자입력상태에서 해당 숫자키(110)의 입력으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401)를 진행하고, 상기 문자입력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부(4)에서 저장부(2)에 저장된 해당 숫자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403)를 진행하는 문자열표시단계(S450)를 수행한다.
이어서, 중앙처리부(4)는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113)를 입력하는 단계(S405)를 진행하고, 이어서 상기 방향키(113)의 입력 이후에 "*"좌측기능키(115)의 입력여부를 판별(S407)하여 "*"좌측기능키(115)의 조작이 없다면 상기 방향키(113)의 입력에 따른 해당 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하는 단계(S409)를 진행하고, 상기 "*"좌측기능키(115)의 입력으로 판별되면 상기 방향키(113)에 따른 해당문자의 대소문자를 표시하는 단계(S411)를 진행하는 문자선택단계(S460)를 수행하게되는데, 이때 상기 "*"좌측기능키(115)의 반복적인 입력으로 대소문자의 상호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방향키(113)의 조작후 상기 출력부(3)에 표시된 문자열에 대해 출력부(3)에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문자열유지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413,S470)를 진행한다.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415)를 진행하고 나서,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이 완료되었으면 다른 숫자키(110)의 조작으로 문자입력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417)를 진행하여 다른 숫자키(11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문자입력종료를 확인(S419)하는 초기화단계(S480)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완료의 판별(S415)결과 완료되지 않았다면 즉, 지속적인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문자열내에 대응된 방향키(113)의 입력을 진행하는 단계(S405)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다른 숫자키(110)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417)에서 다른 숫자키(110)의 입력이 일어나게 되면 기존의 문자열을 삭제하는 과정(S421)을 수행하고 이어서 상기 숫자키(110)에 할당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단계(S403)로 진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어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어문자입력상태에서 해당 숫자키(120)의 조작으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진행(S501)하게 되면, 중앙처리부(4)에서 상기 문자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저장부(2)에 저장된 해당 숫자키(120)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S503)하고,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순서에 대응된 해당키를 입력하는 과정을 진행(S505)하는 문자열표시단계(S550)를 진행하고,
이어서 방향키(123)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별(S511)하여 방향키(123)의 입력이 아니라면, 동일한 숫자키(120)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513)을 수행하여 동일 숫자키(120)가 입력되었다고 한다면 해당 문자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S515)하고, 상기 동일 숫자키(120)의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513)에서 동일 숫자키(120)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즉, 다른 숫자키(120)가 입력되었다면 기존에 표시된 문자열을 삭제(S519)하고 나서 해당 숫자키(120)에 할당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단계(S503)로 진행하는 문자선택,초기화단계(S56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방향키(123)의 입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11)에서 방향키(123)가 입력되었다면, 시간지연을 판별(S517)하여 시간지연이 없으면 해당 방향키(123)에 대응된 문자열의 문자를 표시하는 해당문자표시단계로 진행(S515)하고, 반면에 시간지연으로 판별되면 해당 문자를 촉음으로 변환(S518)한 후 출력부(3)에 표시하는 해당문자표시단계(S515) 이후로 진행 한다.
이어서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S521)을 수행하여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이 발생되면 "*"좌측기능키(125)의 반복적인 누름에 따라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변환(S523)이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상기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변환단계(S523) 이후의 과정을 진행하는 좌측기능키적용단계(S570)를 수행한다.
이어서,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S531)을 수행하여 "#"우측기능키(125)의 누름에 따른(S533) 시간지연으로 한자변환이 이루어지는단계(S535)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이 발생되지 않았다면 상기 한자변환과정(S525) 이후의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우측기능키(125)의 시간지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S533) "#"우측기능키(125)의 반복적인 누름에 따라 탁음과 반탁음의 상호 변환(S517)을 하게된 후, 상기 한자변환과정(S535) 이후의 과정을 진행하고, 이어서, 문자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S541)하여 완료가 되지 않았다면 상기 해당 숫자키(120)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진행(S501)하고, 완료되었으면 일어문자의 입력을 종료하게 되는 우측기능키적용단계(S580)를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어문자입역 중 한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8에서 한자변환과정에서 수행하는 단계로서 먼저,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따른 해당 한자열을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S535a)하되, 상기 한자열내의 한자가 출력부(3)의 화면에 전부 표시가 되지 않았을 때는(S535b) "#"우측기능키(125)를 반복적인 누름으로 화면단위의 페이지별로 한자열을 표시하는 단계(S535c)를 진행하게 되고, 해당 한자를 확인하게 되면 화면에 보이는 한자열내의 배열 순서에 대한 대응된 숫자키(120)를 입력(S535d)하여 한자로 변환하여 출력부(3)에 해당 한자를 표시하는 단계(S535e)를 진행하고, 이이서, 상기 출력부(3)에 해당 한자를 표시하고 나면 화면복귀로 진행(S535f)하게 된다. 상기 화면복귀라 함은 이전의 일어문자입력상태로 돌아간다는 것임이 자명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본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39)를 조작하여 일어문자 입력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내에 단독으로 형성된 상하좌우의 방향키(133)와, 추가형성된 추가키(140)에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의 a 계열,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ん "의 i 계열,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u 계열,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의 e 계열 및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의 o 계열의 문자를 각 계열별로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숫자키(130)의 입력에 대응되어 상기 방향키(133) 및 추가키(140)의 추가입력에 따라 문자선택신호를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5개의 키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상기 5개의 키의 선조작으로 인하여 상기 각 계열별로 출력부(3)에 표시한 후에 해당 계열에 따른 배열순서에 대응된 숫자키(130)의 입력으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할 수 있음은 당 업자라면 충분히 응용시켜 제작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내에 배열된 숫자키에 문자를 할당함과 아울어 기존의 방향키에 모음 또는 할당된 문자열에 대응시켜 해당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시킴으로서 불필요한 키의 조작 횟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2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한글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의 조작에 대응되어, 할당된 모음의 선택적 조합으로 해당 한글문자의 모음을 완성시키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와,
    상기 키패드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의 모음입력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와,
    상기 숫자키와 방향키에 대응하여 해당문자의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를 포함한 입력부; 및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1번 숫자키에 ㄱ, ㅋ, ㄲ, 2번 숫자키에 ㅣ, ㅝ, ㅞ, 3번 숫자키에 ㅡ, ㅘ, ㅙ, 4번 숫자키에 ㄴ, ㄹ, 5번 숫자키에 ㄷ, ㅌ, ㄸ, 6번 숫자키에 ㅁ, ㅂ, 7번 숫자키에 ㅂ, ㅃ, 8번 숫자키에 ㅅ, ㅆ, 9번 숫자키에 ㅇ, ㅎ 및 0번 숫자키에 ㅈ, ㅊ, ㅉ 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방향키에 ㅗ, ㅛ, 우방향키에 ㅏ, ㅑ, 하방향키에 ㅜ, ㅠ 및 좌방향키에 ㅓ, ㅕ 가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4. 제 1 항 내지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한글문자입력시 상기 숫자키의 입력신호에 따라 "*"좌측기능키의 추가 조작으로 상기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 중 마지막 문자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5. 제 1 항 내지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한글문자 입력 도중 "*" 좌측기능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영어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영어문자입력상태에서 상기 "*"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다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6. 제 1 항 내지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한글문자 입력 도중 "*" 좌측기능키의 조작과 함께 9번 숫자키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일어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일어문자입력상태에서 상기 "*"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다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7. 제 1 항 내지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한글문자 입력 도중 "*"좌측기능키의 조작과 함께 "#"우측기능키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숫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숫자입력상태에서 상기 "*"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다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입력상태에서 상기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의 사칙연산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우측기능키의 조작에 의해 사칙연산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한글문자 입력 도중 "*" 좌측기능키의 조작과 함께 0번 숫자키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특수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특수문자입력상태에서 상기 "*"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다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0.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한글문자 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입력에 따라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의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서 해당 자음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초성입력단계;
    상기 초성에 연계된 해당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 및 방향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중성입력단계;
    상기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의 추가 조합시 추가될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 방향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중성조합단계; 및
    상기 중성조합단계와 연계되어 받침조합시 추가된 받침에 해당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 방향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받침조합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11.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영어,일어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의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열에 대응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와,
    상기 키패드부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의 문자선택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와,
    상기 숫자키와 방향키의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를 포함한 입력부; 및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영어문자입력시 1번 숫자키에 A, B, C, D, 2번 숫자키에 E, F, G, H, 3번 숫자키에 I, J, K, L, 4번 숫자키에 M, N, O, P, 5번 숫자키에 Q, R, S, T, 6번 숫자키에 U, V, W, X 및 7번 숫자키에 Y, Z 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3. 제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영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입력 후, "*" 좌측기능키의 조작에 의해 영어문자의 대소문자를 교번적으로 변환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일어문자입력시 1번 숫자키에 あ(a), い(i), う(u), え(e), お(o), 2번 숫자키에 か(ka), き(ki), く(ku), け(ke), こ(ko), 3번 숫자키에 さ(sa), し(shi), す(su), せ(se), そ(so), 4번 숫자키에 た(ta), ち(chi), つ(tau), て(te), と(to), 5번 숫자키에 な(na), に(ni), ぬ(nu), ね(ne), の(no), 6번 숫자키에 は(ha), ひ(hi), ふ(fu), へ(he), ほ(ho), 7번 숫자키에 ま(ma), み(mi), む(mu), め(me), も(mo), 8번 숫자키에 や(ya), ゆ(yu), よ(yo), 9번 숫자키에 ら(ra), り(ri), る(ru), れ(re), ろ(ro), 및 0번 숫자키에 わ(wa), ん(n), -(장음), を(o) 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5. 제 10 또는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방향키의 조작으로 표시된 문자에 대해 "*" 좌측기능키의 조작에 따라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상호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6. 제 10 항 또는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방향키의 조작으로 표시된 문자에 대해 "#"우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탁음과 반탁음으로의 변환신호를 발생하되, "#"우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발생 시 한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한자변환신호 발생 후 "#" 기능키의 추가 조작으로 해당 한자열의 표시를 출력부에 대응하여 화면단위로 표시되는 화면전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일어문자 입력시 상기 키패드내에 단독으로 형성된 상하좌우의 방향키와, 추가형성된 추가키에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의 a 계열, "い,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ん "의 i 계열,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u 계열,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의 e 계열 및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의 o 계열의 문자를 각 계열별로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 추가키의 조작에 따라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19.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영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문자열표시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문자선택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 해당 문자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문자선택단계;
    상기 문자선택 후 해당 문자열을 그대로 유지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문자열 유지신호를 발생하는 문자열유지단계; 및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의 완료에 따라 상기 숫자키 이외의 다른 숫자키의입력을 확인하여 기존의 문자열대신에 상기 다른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로 대체시킨 후 상기 문자열 표시단계로 진행하거나 문자입력의 종료를 확인하는 초기화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선택단계는
    상기 방향키의 조작 후 "*"좌측기능키의 추가조작에 따라 선택된 해당문자의 대소문자를 선택적으로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21.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문자열표시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 또는 상기 문자열표시단계에서 입력된동일 숫자키의 입력으로 해당문자 입력신호를 발생하거나 다른 숫자키의 입력시 기존의 문자열을 삭제하고나서 상기 문자열표시단계의 해당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 입력에 따다 시간지연발생 시 해당 문자를 촉음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문자선택,초기화단계;
    상기 해당 문자의 표시 이후에 선택적인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한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상호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좌측기능키적용단계; 및
    상기 해당 문자의 표시 이후에 선택적인 "#"우측기능키의 입력에 의한 시간지연 여부에 따라 한자변환신호 및 탁음,반탁음의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우측기능키적용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22. 상기 21 항에 있어서, 우측기능키적용단계는
    "#"우측기능키의 입력에 의한 시간지연에 대해 해당 한자열을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한자열표시단계; 및
    해당 한자열에 대응된 숫자키의 입력에 의해 해당 한자를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한자표시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23. 상기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열표시단계를 진행한 다음, 상기 한자열에 대해 출력부의 화면상에 전체표시가능 여부에 따라 "#"우측기능키의 입력으로 화면단위로 해당 문자열의 페이지전환신호를 발생하는 페이지전환단계를 진행한 다음 상기 한자표시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2002-0027932A 2002-05-20 2002-05-20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043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32A KR100431947B1 (ko) 2002-05-20 2002-05-20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32A KR100431947B1 (ko) 2002-05-20 2002-05-20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91A KR20030089991A (ko) 2003-11-28
KR100431947B1 true KR100431947B1 (ko) 2004-05-17

Family

ID=323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932A KR100431947B1 (ko) 2002-05-20 2002-05-20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30B1 (ko) 2016-03-14 2016-07-28 박진옥 침몰선박 인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61B1 (ko) * 2004-08-26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89821B1 (ko) * 2006-03-15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356788B1 (ko) * 2015-07-13 2022-02-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키패드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30B1 (ko) 2016-03-14 2016-07-28 박진옥 침몰선박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91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47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JP2002251253A (ja) 移動端末の入力部
KR1004319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04180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2457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랍어 및 이란어 문자 입력 방법
KR100415728B1 (ko) 특정키버튼을 이용한 글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KR100679421B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371869B1 (ko)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KR20020009204A (ko) 휴대폰 문자입력코드 발생 장치
KR19980013987A (ko) 텐키를 이용한 한글신호입력방법
KR20020011299A (ko)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74825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배열구조 및 문자입력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69227B1 (ko) 3×4 키패드를 갖는 제품을 위한 한글문자 입력장치
KR100539281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0300803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200407401Y1 (ko) 한글입력장치
KR20020022384A (ko) 전화 단말기용 키패드
KR200313360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20030094811A (ko) 통신기기용 다국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국어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