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995B1 - 포토닉 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포토닉 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995B1
KR100430995B1 KR10-2002-0047167A KR20020047167A KR100430995B1 KR 100430995 B1 KR100430995 B1 KR 100430995B1 KR 20020047167 A KR20020047167 A KR 20020047167A KR 100430995 B1 KR100430995 B1 KR 10043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optical
optical signal
feedback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004A (ko
Inventor
이홍석
이석한
김지덕
문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995B1/ko
Priority to EP03018136A priority patent/EP1388962B1/en
Priority to US10/636,735 priority patent/US7206513B2/en
Priority to DE60323434T priority patent/DE60323434D1/de
Priority to JP2003291083A priority patent/JP3990660B2/ja
Publication of KR2004001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25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comprising photonic band-gap structures or photonic latt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in optical waveguid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21Operation of devices; Circuit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04B10/2569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polarisation mode dispersion [PM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3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for the control of polarisation, e.g. state of polarisation [SOP] control, polarisation scrambling, TE-TM mode conversion or sepa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6Liquid crystal optical waveguides or liquid crysta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gating or modulating between optical wave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8Circuits comprising a photo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2Photonic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가 개시된다. 분파기는 입사되는 상기 광신호를 그 편광방향이 상호 직교하는 두 편광상태의 광신호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출력한다. 합파기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한 방향으로 합파하여 출력한다. 광가이드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로서, 분파기로부터 합파기까지 최단경로로 유도하는 제 1도파로, 및 분파기로부터 합파기까지 제 1도파로보다 소정거리 긴 경로로 유도하는 제 2도파로를 구비한다. 신호탭은 합파기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의 일부는 외부로 출력하고, 광신호의 일부는 피드백부로 출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피드백부는 신호탭으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의 분산정도를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편광모드분산을 제거하기 위한 피드백신호를 출력한다. 유효광거리가변부는 피드백부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제 2도파로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유효광거리를 가변한다. 이와 같은 포토닉크리스탈을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양의 군지연 시간을 보상할 수 있고, 내구성이 강하며, 소형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토닉 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apparatus for compensating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using photonic crystal structure}
본 발명은 광학 전송 시스템(optical transmission system)에 있어서, 편광모드분산의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포토닉 크리스탈(photonic crystal)구조를 이용한 편광 모드 분산의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 모드 분산(PMD ; Polarization Mode Dispersion)은 광섬유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광섬유 내에 발생하는 불규칙한 편광 결합(random polarization coupling), 국부적인 비대칭 스트레스(stress), 및 비대칭 스트레인(strain)에 의해서 섬유의 중심부로 들어오는 작은 양의 잉여 복굴절로 인해 발생한다.
편광모드분산은 광섬유 전송선을 따라 전송되는 광 신호의 일정한 편광상태를 변화시키고, 광신호가 광섬유를 통과하여 진행되는 동안 광신호의 두 편광상태 사이에 군지연(differential time delay)을 발생 시킨다.
이와 같은 군지연은 최근에 양산되는 저-PMD 광섬유의 경우는 0.1 ps/(km) 정도이고 종전의 방식으로 생산되는 단일 모드 광섬유의 경우에는 수 ps/(km)에 이른다. 그리고, 단일 모드 광섬유를 사용하는 100km 지상 전송 시스템과 같은 장거리 섬유 광학 연결에 대해서는 군지연시간은 20 ps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최근의저-PMD 광섬유를 사용하는 대양 횡단 연결의 경우에도 10 ps 이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10 Gbps 이상의 광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에 문제를 일으킨다. 그러나 특정한 전송 섬유 내에서 일어나는 군지연은 시간에 대해 일정하지 않으며 온도, 압력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에 의해 수시로 변화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섬유 내의 편광모드분산을 보상하는 방법은 문헌'편광 분산의 실험적 균등화(Experimental Equalization of Polarization Dispersion)'(M. A. Santoro와J. H. Winters저, IEEE Photonic Technology Letters, Vol. 2, No. 8, p. 591, 1990년 발표.) 및 문헌'위상 변화 검출에 의한 편광 모드 분산 보상(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by Phase DiversityDetection)'(B. W. Hakki저, Photonic Technology Letters, Vol. 9, No. 1, p. 121, 1997년 발표.)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편광모드분산 보상방법 및 다른 종래의 편광모드분산 보상방법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군지연 시간만을 보상할 수 있고, 고가의 고속 전자 공학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소형화 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움직이는 부위(moving part)를 필요로 하므로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도 1의 유효광거리가변부의 제 1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a는 도 1의 유효광거리가변부의 제 2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그리고
도 3c는 도 3b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가이드 20 : 분파기
30 : 합파기 35 : 제 1도파로
40 : 제 2도파로 50 : 신호탭
60 : 피드백부 70 : 유효광거리가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는, 광섬유를 통해 광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에 있어서, 입사되는 상기 광신호를 그 편광방향이 상호 직교하는 제 1편광상태 및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출력하는 분파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상기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 및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를 한 방향으로 합파하여 출력하는 합파기; 상기 분파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신호를 상기 합파기까지 최단경로로 유도하는 제 1도파로, 및 상기 분파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신호를 상기 합파기까지 상기 제 1도파경로보다 소정거리 긴 경로로 유도하는 제 2도파로를 구비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광가이드;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를 구성하는 매질; 상기 합파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일부는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광신호의 일부는 피드백부로 출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신호탭; 상기 신호탭으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의 상기 제 1편광모드 및 제 2편광모드모드의 분산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편광모드분산을 제거하기 위한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부; 및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유효광거리를 가변하는 유효광거리가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파기 및 상기 합파기는 상기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 및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중 어느 하나의 편광상태의 광신호에 대한 포토닉밴드갭을 갖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매질이다.
그리고,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 및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에 대한 포토닉밴드갭을 갖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매질이다.
상기 분파기, 상기 합파기, 및 상기 광가이드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효광거리가변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를 구성하는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하여, 상기 제 2도파로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상기 유효광거리를 가변하는 굴절율가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상기 굴절율가변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에 전기장의 세기를 가변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전기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절부와; 상기 제 2도파로를 중심으로 상기 제 2도파로 양측에 소정거리 이격 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에 전기장을 가변적으로 형성하는 전극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상기 굴절율가변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를 구성하는 매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절부와; 상기 제 2도파로와 소정거리 이격 되어 상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제어신호에 따라 발열 및 냉각되어,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의 온도를 가변하는 가열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상기 굴절율가변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에 인가되는 광학신호의 광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광량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절부와; 상기 제 2도파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광량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에 가변적인 광량의 광학신호를 인가하는 광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 상기 굴절율가변부는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의 굴절율과 상이한 굴절율을 갖는 미소크기의 다수의 세그먼트와;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한 가변적인 수량의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제 2도파로 내부에 삽입 및 제거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포토닉 크리스탈(photonic crystal)구조를 갖는 매질은 서로 상이한 굴절율을 갖는 두 매질이 임의의 공간상에서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일정한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갖는 광은 그 매질 내에서 전파되지 않는 포토닉 밴드갭(photonic bandgap)이 형성된다. 밴드갭의 형성원인과 범위는 맥스웰 방정식의 해를 구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 포토닉크리스탈은 사용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백 나노미터부터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결정구조를 갖는다. 포토닉크리스탈을 이용하면 특정편광상태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완전밴드갭(complete band-gap)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편광상태에 관계없이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절대밴드갭(absolute band-ga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포토닉 크리스탈은 분기필터, 광도파관, 광지연소자, 레이저 등과 같은 광기능소자에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닉크리스탈을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이드(10)는 그 결정구조가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매질로 구성되어 있고, 입사되는 광신호의 두 편광상태(TE모드 및 TM모드)에 대해 모두 포토닉밴드갭(Photonic Band Gap)을 갖고 있으며, 그 내부에 제 1도파로(35) 및 제 2도파로(40)를 구비한다. 따라서, 광가이드(10)는 광신호의 입사각 및 편광상태와 무관하게 광신호를 반사 시키는 광가이드 특성을 지니게 된다.
제 1도파로(35)는 분파기(20)로부터 합파기(30)까지의 최단거리의 도파 경로를 제공한다.
제 2도파로(40)는 제 1도파로의 도파 경로보다 소정거리만큼 증가한 도파 경로를 제공하며, 그 내부에 소정의 굴절율을 갖는 매질(예로서, 입사광에 대한 포토닉밴드갭을 갖지 않는 포토닉크리스탈구조의 매질, 액정, 및 LiNbO3, 등)을 구비한다.
분파기(20)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매질로 구성되어 광가이드(1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 1도파로와 제 2도파로의 분기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분파기(20)를 형성하는 매질은 입사광중에서 특정 상태의 편광광에 대한 포토닉밴드갭만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분파기(20)로 입사되는 광신호를 그 편광방향이 상호 직교 하는 제 1편광상태 및 제 2편광상태의 두 개의 광신호로 분리하여 군속도가 느린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는 제 1도파로(35)로 반사하고, 군속도가 빠른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는 제 2도파로(40)로 통과시킨다.
합파기(30)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재질로 구성되어 광가이드(1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 1도파로와 제 2도파로의 합기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합파기(30)를 형성하는 매질은 분파기(20)의 그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1도파로(35)로부터 입사되는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는 통과시키고, 제 2도파로(40)로부터 입사되는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는 반사하여, 두 편광상태의 광신호를 한 방향으로 합파하여 출력한다.
신호탭(50)은 합파기(30)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그의 일부를 피드백부(60)로 출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피드백부(60)는 신호탭(50)으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의 제 1편광모드 및 제 2편광모드의 분산정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편광모드분산을 제거하기 위한 피드백신호를 유효광거리가변부(70)로 출력한다.
유효광거리가변부(70)는 피드백부(60)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제 2도파로(40)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유효광거리를 가변한다. 이때 유효광거리가변부(70)는 제 2도파로(40) 내부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함으로써 유효광거리를 가변한다. 제 2도파로(40)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유효광거리를 증가하게 되면, 제 2도파로(40)를 통과하는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의 군속도를 늦추게 되어, 합파기(30)를 통과한 후에는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의 군속도와 동일하게 되고, 편광모드분산이 제거된다.
제 2도파로(40) 내부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하는 방법은 매질의 온도를 가변하는 방법, 매질에 가변적인 전기장을 형성하는 방법, 매질에 가변적 광신호를 인가하는 방법, 및 기계적인 방법 등의 여러가지 공지된 방법이 있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매질에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의 유효광거리가변부의 제 1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b는 도 2a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광거리가변부(70)는 조절부(274), 전극판(272)을 구비한다.
조절부(274)는 피드백부(60)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에 전기장의 세기를 가변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전기장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전극판(272)은 제 2도파로(40)의 상하측에 소정거리 이격 되어 배치되어 있고, 조절부(274)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장제어신호에 따라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에 가변적인 세기의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 2도파로(40)내부의 매질로는 인가되는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그 굴절율이 가변되는 액정, 및 LiNbO3 등을 이용한다.
굴절율을 가변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a, 3b, 및 3c를 참조하여 매질의 온도를 가변함으로써 그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하는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유효광거리가변부의 제 2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3c는 도 3b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광거리가변부(70)는 조절부(374), 및 열전소자(372)를 구비한다.
조절부(374)는 피드백부(60)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의 온도를 가변하기 위한 온도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열전소자(37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도파로(40)를 중심으로 소정거리 이격 되어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원통형 관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거나, 도 3b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도파로(40)의 상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평판의 평태로 배치되어 있다. 열전소자(372)는 조절부(274)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제어신호에 따라 발열 및 냉각되어,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의 온도를 가변한다.
이 경우, 제 2도파로(40)내부의 매질로는 온도 따라 그 굴절율이 가변되는 액정 등을 이용한다.
굴절율을 가변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매질에 인가하는 광학신호의 광량을 가변함으로써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하는 제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도면 생략)
유효광거리가변부(70)는 조절부, 및 광원을 구비한다.
조절부는 피드백부(60)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에 인가하는 광신호의 세기를 가변하기 위한 광량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광원은 제 2도파로(40)를 중심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에 광을 조사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광원은 조절부(274)로부터 입력되는 광량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적인 광량의 광신호를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에 인가함으로써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한다.
굴절율을 가변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내부매질과 상이한 굴절율을 갖는 세그먼트를 삽입 및 제거함으로써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하는 제 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도면 생략)
유효광거리가변부(70)는 다수의 세그먼트, 및 구동부를 구비한다.
구동부는 상기 피드백부(6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한 가변적인 수량의 세그먼트를 제 2도파로 내부에 삽입 및 제거한다.
소정 수량의 세그먼트는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의 굴절율과 상이한 굴절율을 갖고 있으며, 구동부에 의해 제 2도파로(40) 내부매질 속에 삽입되어, 내부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제 2도파로(40)의 광경로가 비교적 단순하고 완만한 커브를 형성하고 있지만, 포토닉밴드갭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와 같은 보다 자유롭고 복잡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이경우에도, 모든 편광상태의 입사광을 반사하여, 특정 상태의 편광광의 유효광거리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도파로의 구조가 가능하면서, 전체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는 상대적으로 큰 양의 군지연 시간을 보상할 수 있고, 내구성이 강하며, 소형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광섬유를 통해 광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에 있어서,
    입사되는 상기 광신호를 그 편광방향이 상호 직교하는 제 1편광상태 및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출력하는 분파기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상기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 및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를 한 방향으로 합파하여 출력하는 합파기와;
    상기 분파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신호를 상기 합파기까지 최단경로로 유도하는 제 1도파로, 및 상기 분파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신호를 상기 합파기까지 상기 제 1도파로보다 소정거리 긴 경로로 유도하는 제 2도파로를 구비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광가이드와;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를 구성하는 매질과;
    상기 합파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일부는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광신호의 일부는 피드백부로 출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신호탭과;
    상기 신호탭으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의 상기 제 1편광모드 및 제 2편광모드모드의 분산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편광모드분산을 제거하기 위한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부와;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유효광거리를 가변하는 유효광거리가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파기 및 상기 합파기는
    상기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 및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 중 어느 하나의 편광상태의 광신호에 대한 포토닉밴드갭을 갖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매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제 1편광상태의 광신호 및 제 2편광상태의 광신호에 대한 포토닉밴드갭을 갖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의 매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파기, 상기 합파기, 및 상기 광가이드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을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광거리가변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를 구성하는 매질의 굴절율을 가변하여, 상기 제 2도파로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상기 유효광거리를 가변하는 굴절율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율가변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를 구성하는 매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의 온도를 가변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율가변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에 전기장의 세기를 가변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전기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에 전기장을 가변적으로 형성하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율가변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에 인가되는 광학신호의 광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광량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절부와;
    상기 제 2도파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광량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에 가변적인 광량의 광학신호를 인가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율가변부는
    상기 제 2도파로 내부매질의 굴절율과 상이한 굴절율을 갖는 미소크기의 다수의 세그먼트와;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신호에 근거한 가변적인 수량의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제 2도파로 내부에 삽입 및 제거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닉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KR10-2002-0047167A 2002-08-09 2002-08-09 포토닉 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KR10043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167A KR100430995B1 (ko) 2002-08-09 2002-08-09 포토닉 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EP03018136A EP1388962B1 (en) 2002-08-09 2003-08-08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apparatus using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US10/636,735 US7206513B2 (en) 2002-08-09 2003-08-08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apparatus using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DE60323434T DE60323434D1 (de) 2002-08-09 2003-08-08 Kompensationsvorrichtung der Polarisationsmodendispersion mittels einer Photonenkristallstruktur
JP2003291083A JP3990660B2 (ja) 2002-08-09 2003-08-11 フォトニッククリスタル構造を用いた偏光モード分散補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167A KR100430995B1 (ko) 2002-08-09 2002-08-09 포토닉 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04A KR20040014004A (ko) 2004-02-14
KR100430995B1 true KR100430995B1 (ko) 2004-05-20

Family

ID=3043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167A KR100430995B1 (ko) 2002-08-09 2002-08-09 포토닉 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06513B2 (ko)
EP (1) EP1388962B1 (ko)
JP (1) JP3990660B2 (ko)
KR (1) KR100430995B1 (ko)
DE (1) DE6032343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147B1 (ko) 2005-10-28 200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분산 보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05898B2 (en) * 2007-06-15 2014-04-2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uning a resonant wavelength of an optical resonator and dispersion properties of a photonic crystal wavegu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738A (en) * 1994-12-30 1997-02-04 Lucent Technologies Inc. Polarization dispersion compensation for optical devices
US5850492A (en) * 1996-05-03 1998-12-15 Pirelli Cavi S.P.A. Acousto-optical waveguide device with compensation of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JP2000224109A (ja) * 1999-01-29 2000-08-11 Nec Corp 分散補償光回路
JP2002082239A (ja) * 2000-09-11 2002-03-22 Nec Corp フォトニック結晶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パルス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0414A (en) * 1997-09-16 1999-07-2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mpensation of first-order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PMD)
CN1154841C (zh) * 1997-11-28 2004-06-23 富士通株式会社 偏振模色散检测方法以及色散补偿控制设备和色散补偿控制方法
US6175671B1 (en) * 1998-10-01 2001-01-16 Nortel Networks Limited Photonic crystal waveguide arrays
JP3493149B2 (ja) 1998-10-23 2004-02-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偏光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導波型光デバイス
JP3608983B2 (ja) 1999-07-09 2005-01-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偏波分散補償回路
US6493473B1 (en) * 1999-08-03 2002-12-10 Uniphase Telecommunciation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formation of the polarization of light
US6674949B2 (en) * 2000-08-15 2004-01-06 Corning Incorporated Active photonic crystal waveguide device and method
AU2001295022A1 (en) * 2000-09-01 2002-03-1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ompensation and control of both first-order and higher-order polarization-mode dispersion
JP3467467B2 (ja) 2000-10-20 2003-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制御素子
JP2002196296A (ja) 2000-12-25 2002-07-12 Mitsubishi Electric Corp 光変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738A (en) * 1994-12-30 1997-02-04 Lucent Technologies Inc. Polarization dispersion compensation for optical devices
US5850492A (en) * 1996-05-03 1998-12-15 Pirelli Cavi S.P.A. Acousto-optical waveguide device with compensation of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JP2000224109A (ja) * 1999-01-29 2000-08-11 Nec Corp 分散補償光回路
JP2002082239A (ja) * 2000-09-11 2002-03-22 Nec Corp フォトニック結晶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パルス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04A (ko) 2004-02-14
US20040114937A1 (en) 2004-06-17
EP1388962B1 (en) 2008-09-10
JP3990660B2 (ja) 2007-10-17
EP1388962A3 (en) 2005-07-13
US7206513B2 (en) 2007-04-17
DE60323434D1 (de) 2008-10-23
JP2004078213A (ja) 2004-03-11
EP1388962A2 (en)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3720B2 (en) Devices based on optical waveguides with adjustable Bragg gratings
US63396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chromatic dispersion in optical fibers
US6400869B2 (en) Tunable compensation for polarization-mode dispersion using a birefringent nonlinearly-chirped bragg grating in a dual-pass configuration
US63853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higher order PMD in a fiber transmission system
US6233375B1 (en) Integrated optics component with polarization effect
US20200257050A1 (en) Optical dispersion compensator on silicon
US6928199B2 (en) Tunable optical device for dynamic chromatic dispersion and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JP2540951B2 (ja) 一括偏波制御方法
US10126629B1 (en) Optical dispersion compensator on silicon
KR100430995B1 (ko) 포토닉 크리스탈 구조를 이용한 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US6782147B2 (en) Optical phase shifting, splitting and combining device
US6515778B1 (en)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Goure et al. Linear and nonlinear optical fibre devices
US20220397722A1 (en) Process for delaying an optical signal
Jung et al. Tunable polarization-dependent loss element based on acoustooptic mode coupling in a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
US6546170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dispersion in optical communications
KR100586226B1 (ko) 타원형의 응력 분포를 가지는 편광 유지 광섬유를 이용한광섬유 가변 편광 필터, 편광 의존 손실 소자 및 광섬유편광기
US20020191882A1 (en) Polarisation dependent loss generators
KR100587523B1 (ko) 두개의 수직 편광모드의 독립적 시간지연 조절을 이용한가변 편광모드분산보상기
KR20030089676A (ko) 인라인 가변 광감쇠기
CN114185221A (zh) 一种调制器和调制方法
Li et al. Simultaneous dispersion compensation and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using linearly chirped fiber Bragg grating
Yeh et al. Optical fibers
KR20040107243A (ko) 다중공액정광섬유를 갖는 복굴절 생성기 및 이를 이용한편광모드분산 보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