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788B1 - 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788B1
KR100430788B1 KR1020030088343A KR20030088343A KR100430788B1 KR 100430788 B1 KR100430788 B1 KR 100430788B1 KR 1020030088343 A KR1020030088343 A KR 1020030088343A KR 20030088343 A KR20030088343 A KR 20030088343A KR 100430788 B1 KR100430788 B1 KR 10043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communication
spatial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열
Original Assignee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7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788B1/en

Links

Landscapes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configuring spatial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errors generated in configuring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reduce the cost by shortening a configuration process. CONSTITUTION: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121) include spatial information requesting modules(123) requesting materials of correction and update objects to a main client(111), data editing modules(125) receiving a figure map storing facility data and geographic data for correcting and updating the data, and data loading modules(127)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ain client(111). The main client(111) requests data to a server(101), and includes a spatial information managing module(113) transmitting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and the latest spatial information, an inspection module(117) inspecting an error in a data transmission process, and a transmitting module(115) transmitting the corrected and updated data to the server(101). An interface element downloads and transmits the data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main client(111). The server(101) includes a data decoding module(107) decoding the corrected and updated data, a spatial information database(103) storing the decoded data, and a spatial transmitting module(105) transmitting new data and the existing data to the main client(111).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 및 방법{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Method for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리정보 시스템을 응용한 디지털 수치지도와 PDA(Personal Digtal Assistant), 핸드폰, 셀룰러폰등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를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한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modifying and upda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a digital digital map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igtal Assistant), a mobile phone, a cellular phone, and the like. .

기존의 공간정보 데이타의 경우 공간지물의 그래픽적인 관리와 지리조사를 통해 획득된 시설물과 같은 객체의 속성정보, 각 지자체에서 관리되고 있는 도로대장, 건물대장, 시설물 관리대장 등 각 해당 문헌자료로 구성이 된다. 공간정보 데이타의 구축은 1995년부터 각 지자체별로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다. 각 지자체 별로 관리해야 할 상하수도, 가스, 공동구, 전기, 전화, 도로 시설물 등 도면과 대장을 공간정보 데이타로 구축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고 정형화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공간정보 데이타를 구축하기 위해선 크게 현장 작업과 내부 작업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현장 작업은 다시 현장측량과 현지 지리조사로 구분되어진다.In the case of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it consists of relevant document data such as property information of objects such as facilities acquired through the graphic management and geographic survey of spatial objects, road ledger, building ledger, and facility manager led by each local government. Becomes Construction of geospatial data has been actively conducted by each municipality since 1995. By constructing drawings and maps of water and sewage, gas, communal districts, electricity, telephones, and road facilities that need to be managed by each municipality as spatial information data, more smooth and standardized work could be performed. It is largely divided into field work and internal work, and field work is divided into field survey and local geographic survey.

공간정보 데이터의 취득을 위해서 취득을 하고자 하는 현장의 수치지도를 출력하고 현장에서 토탈스테이션등의 정밀측량기를 이용하여 측량을 수행한 다음 출력된 종이지도에 기록한다. 기록된 종이지도는 내부작업자에게 전달되고, 내부작업자는 측량된 시설물을 캐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현장도면을 구성하게 된다. 현장도면이 완성되면 다시 종이지도로 출력하고 현장에서 각각의 시설물들에 대한 현장지리조사를 수행하며, 현장지리조사를 통하여 취득된 시설물의 속성정보들은 내부작업자에 의해 공간정보 데이타로 구축하게 된다.For acquir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the numerical map of the site to be acquired is printed out, surveyed using a precision instrument such as a total station, and recorded on the printed paper map. Recorded paper maps are delivered to internal workers, who then construct site drawings using the CAD program. When the site drawing is completed, it is printed again as a paper map, and the site geographic survey is conducted for each facility at the site,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acquired through the site geographic survey is constructed as spatial information data by an internal worker.

그러나, 각 지자체의 사업진행 중 비용이나 시간이 가장 많이 드는 과정은 공간정보 데이타의 구축과정이며, 공간정보 데이타의 구축과정 중에서도 시설물의 현장 측량 및 속성정보의 취득과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기존의 공간정보 데이타를 위한 시설물의 위치정보 및 속성정보의 취득과정이 여러단계로 나뉘어져 있다보니 데이터의 무결점화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며, 데이터의 신뢰도에 대한 불신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However, the most costly and time-consuming process of each local government's business is the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the field surveying and acquisition of attribute information of facilities i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data. As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for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the problem of intactness of the data is highligh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distrust of the reliability of the data.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단계에서 여러단계를 통하는 작업과정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일원화 함으로써, 기존의 작업단계에서 발생하는 현장데이타의 누락, 오기, 이기오류를 현저히 줄이며, 이를 통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시에 입력작업에 대한 시간절약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 및 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nify the work process through the various stages in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current spatial information data directly in the fiel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gnificantly reduce the omission, misunderstanding, and self-error of on-site data, and provide a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rove time saving and economic efficiency for input work when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For the purpose.

도1은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edi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도2는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도3은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오프라인 방식을 통하여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다운 및 전송하는 과정을 보이는 캡춰화면이다.3 is a capture screen show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nd transmitting a digital map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through an offline metho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4는 온라인 방식을 통하여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다운 및 전송하는 과정을 나태낸 이동통신 단말기 캡쳐 화면이다.4 is a screen cap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nd transmitting a digital map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through an online method.

도5는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캡춰화면이다.5 is a capture screen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a digital map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6은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속성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객체의 속성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이동통신 캡쳐 화면이다.6 is a mobile communication capture screen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n object to input attribute information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주요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Drawing>

101 : 서버장치 103 : 공간정보 데이터 베이스101: server device 103: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105 : 공간정보 전송 모듈 107 : 데이터 디코딩 모듈105: spatial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07: data decoding module

111 : 메인 클라이언트 113 : 공간정보 관리 모듈111: main client 113: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5 : 전송 모듈 117 : 검수 모듈115: transmission module 117: inspection module

121 : 이동통신 단말기 123 : 공간정보 요청 모듈12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3: spatial information request module

125 : 데이터 편집 모듈 127 : 데이터 로딩 모듈125: data editing module 127: data loading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은,A system for building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수정 및 갱신 대상의 자료를 메인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하는 공간정보 요청 모듈, 시설물 데이터 및 지리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수치지도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를 수정하고, 갱신하는 데이터 편집 모듈과 메인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로딩 모듈을 포함하는 기능을 갖는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받아 서버장치에 데이터 요청을 하며, 서버 장치로로부터 전송받은 기존의 공간정보와 최근의 공간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정보 관리 모듈,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서버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 검수기능을 갖는 검수모듈과 수정, 갱신된 데이터를 서버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클라이언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인 클라이언트간의 전송수단은 온오프라인으로 다운 및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메인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정, 갱신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딩 모듈, 상기 데이터 디코딩 모듈을 통해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정보 데이터 베이스, 메인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메인 클라이언트에 신규데이터 및 기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간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Receives a spatial information request module for requesting data to be modified and updated to the main client, a numerical map storing facility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a data editing module for modifying and updating the data and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main client.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function including a loading module; Receiving a data reques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quest a data to the server device, a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for transmitting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and the latest spati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device, the server device receiv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ain client including an inspection module having an error inspection function and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modified and updated data to the server devic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device; The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ain client, the interface means for down and transmitting on and offline; And a data decoding module for decoding the data for receiving the modified and updated data from the main client and storing the data in the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a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data through the data decoding module, and a data request from the main cli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device including a space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new data and existing data to the main client.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각의 단말기상의 수치지도에서 공간정보 데이터, 지형정밀 측량기를 통해 취득한 측량데이터를 입력, 편집하는 기능과 수정하는 기능을 갖어 메인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고, 메인클라이언트는 상기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속성을 수정, 편집하여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서버 장치로 전송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인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는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다운 및 전송하는 형태는 케이블 및 FTP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데이터 전송을 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a function of inputting, editing, and modifying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survey data acquired through a topographical precision instrument on a digital map on each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ain client. In response to data requests from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the client modifies and edits the data attributes and transmits the data attributes back to the mobile terminal or to a server device. The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ain client is down and offline. The form of transmiss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form of offline data transmission using a cable and FTP.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공간정보 데이터 베이스(103), 공간정보 전송 모듈(105), 데이터 디코딩 모듈(107)로 이루어진 서버장치(101), 공간정보 관리 모듈(111), 전송 모듈(115), 검수 모듈(117)로 이루어진 메인 클라이언트, 공간정보 요청 모듈(123), 데이터 편집 모듈(125), 데이터 로딩 모듈(127),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지형지물을 측정하기 위한 지형정밀 측량기(141)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edi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The server apparatus 101 and the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1, which are composed of a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103, a spatial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05, and a data decoding module 107, are shown in FIG. ), A main client consisting of a transmission module 115 and an inspection module 117, a spatial information request module 123, a data editing module 125, a data loading module 127, and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features Terrain precisio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141 is configured.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121)에서 공간정보를 전송 받기 위해 공간정보 요청 모듈(123)을 지나, 메인 클라이언트(111)내에 있는 공간 정보를 관리 하는 공간 정보 관리 모듈(113)을 거쳐 서버장치(101)내에 있는 공간정보 데이터 베이스(103)를 호출하게 되면, 서버장치(101)내에 있는 공간 정보전송 모듈(105)이 작동하여 메인클라이트(111)가 요청하는 공간정보 관리 모듈(113)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서버장치(101)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는 오류의 유,무를 판단하는 검수 모듈(117)에 통과하게 되면, 온오프 방식의 인터페이스(131)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로딩 모듈(127)을 통해 다운로드 된다. 상기와 같이 다운로드 한 데이터를 '수치지도'라고 칭하기도 한다.First, the server apparatus 101 passes through the spatial information request module 123 to receive the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1 and through the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3 that manages the spatial information in the main client 111. When call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103 in the), the spatial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05 in the server device 101 is operated to transmit to the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3 requested by the main clock 111 Done. When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device 101 passes through the inspection module 117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through the data loading module 12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on-off interface 131 Is downloaded. The data downloaded as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a 'numeric map'.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21)상의 데이터 편집 모듈(125)에서 추가, 수정 및 갱신하려는 시설물을 선택하고, 현장에서 공간지형 정밀 측량기(141)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취득한다.The data editing module 125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1 selects a facility to be added, modified, or updated, and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using the spatial terrain precision measuring instrument 141 in the field.

측량 및 조사된 시설물의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21)상에 있는 수치지도에 편집, 입력하고, 위치정보의 기록이 완료된 시설물에 대해서는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121)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입력하게 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rveyed and surveyed facilities is edited and input into a numerical map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1, and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is again used for the facility where record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omplet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1 again. Will be entered.

상기와 같이 위치정보, 속성정보를 입력한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121)의 데이터 로딩 모듈(127)을 통해 메인클라이언트(111)의 공간 정보 관리 모듈(113)로 송신 되어, 송신된 데이터는 전송 모듈(115)을 통해 서버장치로 전송되는 과정을 통하여 공간 정보 데이터 베이스(103)를 구축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in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3 of the main client 111 through the data loading module 12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1, and the transmitted data is transmitted. The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103 is construct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device through the module 115.

상기 메인 클라이언트(111)로 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21)에 수치지도를 온 오프라인 방식으로 다운 및 전송 할 수 있다. 오프라인 방식의 경우 공간정보데이터 및 수치지도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장치(101)를 통해 FTP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다운 받는 것을 말하며, 이와 같은 방식은 현장의 위치가 정해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온라인 방식의 공간정보데이터 및 수치지도의 다운 방식은 현장에서 준비되어지지 않은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급하게 필요할 경우 무선랜 또는 모바일을 통하여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방식을 말한다.The digital map may be downloaded and transmitted from the main client 111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1 in an on-line manner. In the case of the offline method, it means downloading the numerical map and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through FTP or cable through the server device 101 in which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the numerical map are stored. Such a method is used when the location of the site is determined. Can be. The online method of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digital map download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receiving digital map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through wireless LAN or mobile when urgently needed digital map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not prepared in the field.

도2는 본 발명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수치지도 다운로드 과정(S201), 시설물 선택 과정(S203),시설물 위치정보 취득과정(S205), 위치정보 입력과정(S207), 속성정보 입력과정(S209)을 바람직한 순서로 하여 메인 클라이언트로 부터 온오프 방식을 통하여 공간정보 데이터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장의 작업 대상 수치지도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S201);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erical map download process (S201), facility selection process (S203),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S205), location information input process (S207) In step S201, the attribute information input process (S209) is performed from the main client and downloaded from the main cli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editing function through the on-off method (S20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공간 정보 데이터 편집 시스템에서 추가, 수정 및 갱신하려고 하는 시설물 선택하는 과정(S203);Selecting a facility to be added, modified, or updated by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editing system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3);

현장에서 공간정밀측량기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과정(S205);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by using a spatial precision measuring instrument at the site (S205);

상기 공간정밀측량기를 통해 측량 및 조사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상의 수치지도에 입력하는 과정(S207);Inpu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rveyed and surveyed facilities through the spatial precision instrument into a numerical map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7);

상기 위치정보의 기록을 완료한 시설물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입력하는 과정(S208)을 보인다.The facility that has completed the record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hows a process of inpu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8).

도3은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온라인 방식을 통하여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 데이터를 다운 및 전송하는 과정을 보이는 캡춰화면으로, 현장에서 시설물의 입력시 측량할 시설물을 선택하여 공간정밀측량기를 이용해 측량하며, 측량된 위치정보값을 입력받아 자동으로 해당 위치에 선택된 시설물을 기록한다. 또한 현장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 및 수정 갱신해야할 시설물들의 그래픽적인 정보들도 편집할 수 있다.3 is a capture screen show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nd transmitting digital maps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through an online metho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rveying using a spatial precision instrument by selecting a facility to be surveyed when the facility is input in the fiel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automatically records the selected facility in the location. You can also edit graphical information on facilities that users need to add, modify, and update arbitrarily.

도4는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편집 하는 과정(S207)을 나타내는 캡춰화면으로 위치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시설물은 공간정보데이터로서 구축되기 위하여 속성정보를 필요로 하며, 해당 속성정보는 현장에서 바로 이동통신 단말기상의 공간정보데이터 편집 모듈을 통하여 입력 한다.4 is a capture screen showing a process of editing a digital map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7). The facility where input of location information is completed requires attribute information in order to be constructed as spatial information data. Is input through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editing module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rectly from the field.

도5는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속성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객체의 속성정보를 입력하는 과정(S208)을 나타낸 이동통신 캡쳐 화면으로 공간정밀측량기에 의해측량 및 조사된 시설물의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상에 있는 수치지도에 편집, 입력하고, 위치정보의 기록이 완료된 시설물에 대해서는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입력시키게 된다.FIG. 5 is a mobile communication capture screen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n object to which attribute information is to be input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8). Location information of a surveyed and surveyed facility by a spatial precision instrument i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acility is edited and entered in the numerical map, and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input agai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facility where the record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ompleted.

도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 메인클라이언트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무선으로 수치지도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다운 및 전송하는 과정을 보이는 캡춰화면이다.6 is a capture screen show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nd transmitting a numerical map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wirelessly between a main cli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벗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of a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기존의 공간정보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던 여러가지의 오류를 크게 줄이고, 최종 구축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 향상과 공간정보데이터의 구축시에 실시해오던 여러단계의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킴으로써 비용절감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얻는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error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are greatly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finally constructed data is improved, and the various stages of spatial information data that have been implemented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By drastical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rocess, economic ripple effects such as cost reduction can be obtained.

Claims (6)

지리정보 시스템(GIS) 구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에 있어서,In the building system of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build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수정 및 갱신 대상의 자료를 메인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하는 공간정보 요청 모듈, 시설물 데이터 및 지리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수치지도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를 수정하고, 갱신하는 데이터 편집 모듈과 메인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로딩 모듈을 포함하는 기능을 갖는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Receives a spatial information request module for requesting data to be modified and updated to the main client, a numerical map storing facility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a data editing module for modifying and updating the data and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main client.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function including a loading modul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받아 서버장치에 데이터 요청을 하며, 서버 장치로로부터 전송받은 기존의 공간정보와 최근의 공간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정보 관리 모듈,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서버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 검수기능을 갖는 검수모듈과 수정, 갱신된 데이터를 서버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클라이언트;Receiving a data reques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quest a data to the server device, a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for transmitting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and the latest spati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device, the server device receiv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ain client including an inspection module having an error inspection function and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modified and updated data to the server devic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devic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인 클라이언트간의 전송수단은 온오프라인으로 다운 및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및The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ain client, the interface means for down and transmitting on and offline; And 상기 메인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정, 갱신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딩 모듈, 상기 데이터 디코딩 모듈을 통해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정보 데이터 베이스, 메인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메인 클라이언트에 신규데이터 및 기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간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A data decoding module for decoding data to receive modified and updated data from the main client and storing the data in a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a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data through the data decoding module; A system for building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erver device including a spati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new data and existing data to a cli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각의 단말기상의 수치지도에서 공간정보 데이터, 지형정밀 측량기를 통해 취득한 측량데이터를 입력, 편집 및 수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메인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s means for inputting, editing, and modifying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surveying data acquired through a topographic instrument in a digital map on each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interface means for transmitting to the main client. Spatial information data construc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클라이언트는 상기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속성을 수정, 편집하여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The main client constructs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main client modifies and edits the data property in response to data requests from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ransmits the data propert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ransmits the data to the server devic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인 클라이언트간의 인터페이스 수단은 온오프라인으로 다운 및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케이블 또는, FTP를 통한 데이터 전송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And the interface mean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ain client is an interface means for down and transmitting on-offline, and further comprising data transmission means via a cable or FTP.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동통신 단말기상의 데이터 편집 모듈은 현장에서 지형 정밀 측량기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추가, 수정 및 갱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시스템.The data editing module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means for acquiring, adding, modifying, and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by using a terrain precision surveyor in the field. . 현장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공간정보 데이터를 추가, 수정 및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adding, modifying and updat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ield, a)메인 클라이언트로 부터 온오프라인으로 통하여 공간정보 데이터의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장의 작업 대상 수치지도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a) downloading the numerical target map of the work site from the main client on-offlin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diting function of spatial information data; b)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공간 정보 데이터 편집 시스템에서 추가, 수정 및 갱신하려고 하는 시설물을 선택하는 과정;b) selecting facilities to be added, modified and updated in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editing system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현장에서 지형 정밀측량기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과정;c)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by using a topographic precision instrument at the site; d)측량 및 조사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상의 수치지도에 입력하는 과정;d) inputting the survey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rveyed facility into a numerical map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위치정보의 기록이 완료된 시설물은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해당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데이터의 구축방법.e) A method of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facility for which location information has been recorded includes inpu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gain.
KR1020030088343A 2003-12-06 2003-12-06 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 KR100430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343A KR100430788B1 (en) 2003-12-06 2003-12-06 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343A KR100430788B1 (en) 2003-12-06 2003-12-06 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0788B1 true KR100430788B1 (en) 2004-05-10

Family

ID=3733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343A KR100430788B1 (en) 2003-12-06 2003-12-06 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7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292B1 (en) * 2012-07-12 2013-01-31 태양정보시스템(주) Digital map system to correct error remotely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292B1 (en) * 2012-07-12 2013-01-31 태양정보시스템(주) Digital map system to correct error remotely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4085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generation, transmission, access and storage of virtual white line (VWL) images and data for excavation projects
US76645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lanning using geographical data
US80321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flexible GIS data collection network
US201703723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asset inventory of lighting fixture infrastructure
US11687852B2 (en) Management devic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12054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KR100430788B1 (en) Method for Construction System of Spatial Data by Mobile
KR101643592B1 (e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of buried pipes using portable terminal
JP2004287254A (en) Map graphic attribut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map graphic attribute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server
JP4688017B2 (en) Transmission line inspection support system
US9922053B1 (en) System for image capture, notation and distribution
JP2004029115A (en) Map attribute information updating system, server system, terminal device, map attribute information updating method, map attribute information updat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map attribute information updating program recorded therein
KR101675422B1 (en)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CN108540522B (en) Information push platform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1475157B (en) Image acquisition template management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platform
KR100586318B1 (en) The method to manage networks b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534070B1 (en) Method for managing position data and system thereof
CN117093662B (en) Rail transit digital-analog fus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07188027A (en) System for updating map data using svg format
CN113242144B (en) Method for managing passive device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KR1007072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ometric information service
KR20070122187A (en) Grave register system management method using gps and communication network
KR1006919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p By Using Mobile Terminal
CN115201876A (en) Line creation system and method of optical fiber early warning system
CN116522428A (en) Distribution network data acquisition and modeling method based on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