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819B1 - 썸네일 데이터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썸네일 데이터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819B1
KR100429819B1 KR10-2004-0003815A KR20040003815A KR100429819B1 KR 100429819 B1 KR100429819 B1 KR 100429819B1 KR 20040003815 A KR20040003815 A KR 20040003815A KR 100429819 B1 KR100429819 B1 KR 10042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information
playback
program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068A (ko
Inventor
박봉길
이희수
정태윤
정현권
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8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부터 썸네일을 정의하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방법은,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 (b) 상기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프로그램 식별자, 상기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정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비트스트림의 특정 구간을 썸네일로 지정함으로써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썸네일 데이터 재생 방법{Thumbnail data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거나 대표하는 썸네일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썸네일(Thumbnail)은 "엄지손톱 크기 만한 그림"이라는 의미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많은 양의 이미지나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크기가 큰 원본 데이터를 보다 작은 이미지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종래 썸네일이 정의된 기록매체에는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된 N개의 A/V(Audio/Video) 비트스트림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의 비트스트림은 영화 또는 뮤직비디오 등의 컨텐츠가 기록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 정의되는 썸네일은 하나의 정지화(still picture)로 구성되므로, 썸네일을 가리키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썸네일 포인터는 비트스트림의 한 지점을 가리키게 된다. 즉, 종래 썸네일 정의방식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정지화만을 정의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영화 또는 뮤직비디오와 같은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검색정보로서 제공되는 썸네일은 정지화만으로 구성되게 된다. 그러나, 한 장의 정지화만으로 표시되는 썸네일은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거나 대표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해당 프로그램의 내용이 무엇인지 전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프로그램을 보다 적절히 대표하며 식별하기 쉽도록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램과 썸네일 포인터의 관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도 3의 프로그램과 썸네일 포인터의 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지정하기 위한 기록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9는 도 8의 802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도 8의 802단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목적은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 (b) 상기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로그램 식별자, 상기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재생하는 단계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a)단계는, (a11) 상기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로서 상기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a21) 상기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로서 상기 프로그램의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을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단계는, (a3)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상기 썸네일을 재생함에 있어 사용될 부가효과를 정의하는 부가효과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3) 단계는, (a31) 재생 전반부에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부가 효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a32) 재생 후반부에 페이드-아웃(fade-out)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부가 효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a33) 재생 후반부에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 after playback)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부가 효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일 구현예로서 광 디스크에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로서 N 개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각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N 개의 썸네일 포인터가 기록되어 있다. 영화, 뮤직비디오 등의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각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된다.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된 디지털 데이터를 가리킨다. 다만, 각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램과 썸네일 포인터의 관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썸네일 포인터는 대응 비트스트림의 일 구간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썸네일 포인터는 비트스트림 식별자(AV bitstream ID), 시작 프레임 오프셋(Start Frame offset), 마지막 프레임 오프셋(Last Frame offset)을 포함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리드-인 효과(Lead IN Effect), 및 리드-아웃 효과(Lead OUT Effec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식별자는 N 개의 비트스트림 중 대응 비트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필드이다. 시작 프레임 오프셋 및 마지막 프레임 오프셋은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하나인 썸네일 포인터의 필드에 해당되며, 선택된 비트스트림 중 시작 프레임이 기록된 위치 및 마지막 프레임이 기록된 위치를 파일시스템에 의해 억세스 가능하도록 표시한 값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썸네일은 대응 비트스트림의 빗금친 부분에 대응되며, 썸네일은 동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리드-인 효과 및 리드-아웃 효과는 썸네일의 재생시 부가되는 부가 효과로서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한 필드로서, 리드-인 효과는 재생 전반부에 도입되는 화면처리효과를 지정하며 리드-아웃 효과는 재생 후반부에 도입되는 화면처리효과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리드-인 효과로는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될 수 있고, 리드-아웃 효과로는 페이드-아웃(fade-out) 또는 프리즈 에프터플레이백(freeze-after-playback)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썸네일이 보다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다만, 리드-인 효과 및 리드-아웃 효과는 동영상으로 재생되는 썸네일을 정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드는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다른 부가효과로 변경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일 구현예로서 DVD(Digital Video Disc)에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로서 N개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각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N개의 맵 테이블과 썸네일 포인터가 기록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된다.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된 디지털 스트림 데이터이다. 다만, 각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될 수 있다.
맵 테이블은 소정 데이터의 재생시간정보에 대해 파일시스템에 의해 억세스 가능한 위치정보를 매핑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썸네일 포인터는 각 비트스트림에 대해 정의된 썸네일을 가리킨다.
도 4는 도 3의 프로그램과 썸네일 포인터의 관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썸네일 포인터는 맵 테이블을 통해 대응 비트스트림의 일 구간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썸네일 포인터는 비트스트림 식별자(AV bitstream ID), 시작 프레임 식별자(Start Frame ID), 마지막 프레임 식별자(Last Frame ID)를 포함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리드-인 효과(Lead IN Effect), 및리드-아웃 효과(Lead OUT Effec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식별자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특히 N 개의 비트스트림 중 썸네일에 대응되는 비트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필드이다. 시작 프레임 식별자 및 마지막 프레임 식별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특히 재생구간정보에 해당된다.
동영상은 조금씩 다르게 표현된 복수개의 정지 화상을 빠르게 보여줌으로써 구현된다. 즉,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1 초 당 소정 개수(예: 30개)의 정지화를 뿌려주어야 한다. 동영상을 이루는 정지화 하나 하나를 프레임(frame)이라고 하며, 1 초에 뿌려주는 프레임의 개수를 프레임 율(frame rate)이라 한다. 따라서, 프레임 식별자는 재생시간정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한편, 맵 테이블은 DVD 규격에 따라 정의된 네비게이션 정보의 하나로서, 소정 데이터의 재생시간정보와 기록위치정보를 매핑시켜준다. 따라서, 썸네일 포인터 #n에 대응되는 맵 테이블 #n을 참조하면 시작 프레임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 식별자로부터 지정된 썸네일이 기록된 위치값을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썸네일은 시작 프레임 식별자를 갖는 프레임에서부터 마지막 프레임 식별자를 갖는 프레임에 의해 동영상으로 재생된다.
한편, 리드-인 효과 및 리드-아웃 효과는 썸네일의 재생시 부가되는 부가효과로서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한 필드로서, 리드-인 효과는 재생 전반부에 도입되는 화면처리효과를 지정하며 리드-아웃 효과는 재생 후반부에 도입되는 화면처리효과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리드-인 효과로는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될 수 있고, 리드-아웃 효과로는 페이드-아웃(fade-out) 또는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after-playback)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썸네일이 보다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드-인 효과 및 리드-아웃 효과는 동영상으로 재생되는 썸네일을 정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드는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다른 부가효과로 변경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지정하기 위한 기록장치의 블록도이다.
기록장치(5)는 DVD와 같은 광 디스크의 제작단계에서 제작업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일반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썸네일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기록장치(5)에 의해 제작자의 의도에 따른 소정 프로그램 및 썸네일이 광 디스크(500)에 기록될 경우, 기록장치(5)는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1), 인코더(52), 및 기록부(53)를 구비한다. 제어부(51)는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다. 기록부(52)는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500)에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제어부(51)로부터 제공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록한다. 프로그램이 인코딩되지 않은 데이터로서 입력되는 경우(A), 인코더(52)는 이를 인코딩하여 기록부(53)로 전달한다. 프로그램이 인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되는 경우(B), 곧바로 기록부(53)에 전달되어 광 디스크(500)에 기록된다.
한편,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소정 프로그램 및 썸네일을 광 디스크(500)에 기록하는 경우 기록장치(5)는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1),인코더(52), 및 기록부(53), 독출부(54) 및/또는 디코더(55)를 포함한다. 제어부(51), 인코더(52), 및 기록부(53)의 역할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독출부(54)는 독출된 프로그램을 디코딩할 필요없이 출력가능한 경우 곧바로 출력하거나 디코딩이 필요한 경우 디코더(55)로 전달한다. 이에, 디코더(55)는 수신된 프로그램을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사용자는 독출부(54) 또는 디코더(55)에 인터페이싱된 디스플레이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재생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썸네일로 지정하고자 하는 구간이 재생되기 시작하거나 재생이 완료되면 썸네일의 재생시작 및 재생완료를 제어부(51)로 입력하고, 제어부(5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재생시작 위치에서 재생완료 위치까지 썸네일로서 정의되도록 썸네일 포인터(및 맵 테이블)를 생성한다.
여기서,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이 기록된 대응 비트스트림을 알려주는 위치정보 및 대응 비트스트림에 있어서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을 알려주는 재생구간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정보는 비트스트림 식별자로 표시된다. 재생구간정보는 선택된 비트스트림에서의 썸네일로 지정된 구간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 또는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는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의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중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에 대한 파일시스템에서의 오프셋값으로 표시되거나,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로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썸네일을 재생함에있어 사용될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썸네일 포인터는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재생장치(6)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썸네일을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재생장치(6)에 의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광 디스크(600)에 기록된 소정 프로그램 및/또는 썸네일이 재생되거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 디스크(600)에 기록된 소정 프로그램 및/또는 썸네일이 재생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재생장치(6)는 제어부(61), 디코더(62), 및 독출부(63)를 구비한다.
독출부(63)는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600)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한다. 재생장치(6)는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된 썸네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거나(C), 디지털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한다(D). 예를 들어, 재생장치(6)가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거나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와 인터페이싱하는 경우 썸네일은 디코더(62)를 통해 출력된다. 재생장치(6)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디지털 장치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경우 썸네일은 디코딩되지 않은 디지털 비트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썸네일이 기록된 대응 비트스트림을 알려주는 위치정보 및 대응 비트스트림에 있어서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을 알려주는 재생구간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정보는 비트스트림 식별자로 표시된다. 재생구간정보는 선택된 비트스트림에서의 썸네일로 지정된 구간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 또는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는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의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중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에 대한 파일시스템에서의 오프셋값으로 표시되거나,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로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썸네일을 재생함에 있어 사용될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썸네일 포인터는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단계를 통해 광 디스크(500)의 제작자 또는 일반 사용자는 기록장치(5)를 사용하여 의도한 바에 따라 프로그램 및 썸네일을 기록할 수 있다. 기록장치(5)는 외부로부터 소정 프로그램을 입력받아 기록부(53)를 통해 광 디스크(500)에 기록한다(701단계). 이 때, 입력된 프로그램은 인코더(52)에 의해 인코딩된 후(A) 기록되거나, 이미 인코딩되어 입력된 경우에는 인코딩단계를 거치지 않고(B) 기록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1)는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광 디스크(500)의 소정 영역에 기록한다(500단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단계를 통해 일반 사용자는 기록장치(5)를 사용하여 광 디스크(500)에 이미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시청하면서 썸네일로 지정하고자 하는 구간이 재생되기 시작하거나 재생이 완료되면 재생시작위치 또는 재생완료위치를 제어부(51)로 전달하는 방식에 의해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록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록장치(5)의 제어부(51)로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되면(801단계), 제어부(51)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기록부(53)는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광 디스크(500)의 소정 영역에 기록한다(802단계).
도 9는 도 8의 802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썸네일로 지정하고자 하는 구간의 재생이 시작되거나 종료되면 사용자는 기록장치(5)에 마련되어 재생시작위치 또는 재생종료위치를 알리기 위한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른다. 이에, 제어부(51)는 썸네일의 위치정보로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기록부(53)로 전달하고 기록부(53)는 생성된 프로그램 식별자를 기록한다(901단계). 또한,제어부(51)는 썸네일의 재생구간정보로서 대응 비트스트림 중 버튼이 눌려진 시점에서 재생되고 있는 위치, 즉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알아내어 기록부(53)로 전달하며, 기록부(53)는 전달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기록한다(902단계).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는 전술한 바에 같이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의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로서 파일시스템을 통해 억세스 가능한 오프셋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1)는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입력된 부가효과정보를 기록부(53)로 전달하고 기록부(53)는 입력된 부가효과정보를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기록한다(903단계). 다만, 부가효과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생략가능하다.
도 10은 도 8의 802단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제어부(51)는 썸네일의 위치정보로서 대응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기록부(53)로 전달하고 기록부(53)는 생성된 프로그램 식별자를 기록한다(1001단계). 또한, 제어부(51)는 대응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생성하고, 기록부(53)는 생성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기록한다(1002단계). 여기서, 재생구간정보, 즉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은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로 기록되거나(1002-1),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 및 썸네일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개수로 기록될 수 있다(1002-2).
다음으로, 제어부(51)는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입력된 부가효과정보를 출력하고 기록부(53)는 부가효과정보를 기록한다(1003단계). 여기서, 부가효과정보는 재생 전반부에 페이드-인(fade-in)을 사용함이 기록되거나(1003-1), 재생 후반부에 페이드-아웃(fade-out)을 사용함이 기록되거나(1003-2), 재생 후반부에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 after playback)을 사용함이 기록될 수 있다(1003-3). 마찬가지로, 부가효과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생략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재생장치(6)는 광 디스크(600)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thumb nail)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이 재생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의 재생을 요구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부(63)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대응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독출하고(1101단계), 대응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독출한다(1102단계). 여기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일시스템을 통해 억세스 가능한 오프셋값을 의미한다. 더불어, 독출부(63)는 썸네일의 재생을 위해 정의된 부가효과정보를 독출하여 제어부(61)로 전달한다(1103단계). 제어부(61)는 전달받은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재생한다(1104단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의 재생을 요구하면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부(63)는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위치정보 및 재생구간정보를 독출한다(1201단계). 다음으로, 제어부(61)는 독출된 위치정보 및 재생구간정보를 해석하여 독출부(63)로 전달하고, 독출부(63)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독출하여 재생되도록 한다(1202단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의 재생을 요구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부(63)는 광 디스크(600)의 소정 영역에 기록된 대응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독출한다(1301단계). 또한, 독출부(63)는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을 독출한다(1302단계). 여기서, 독출부(63)는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으로서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를 독출하거나(1302-1),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 및 썸네일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개수를 독출할 수 있다(1302-2).
다음으로, 제어부(61)는 대응되는 맵 테이블을 참조하여 독출된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에 매핑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추출하고, 이에 독출부(63)는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독출한다(1303단계).
독출부(63)는 또한 부가효과정보를 독출한다(1304단계). 이 때, 재생 전반부에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되거나(1004-1), 재생 후반부에 페이드-아웃(fade-out)이 사용되거나(1304-2), 재생 후반부에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 afterplayback)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부가효과정보가 독출될 수 있다(1304-3). 다만 광 디스크(600)에 부가효과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부가효과정보를 독출하는 단계가 생략된다.
이에, 제어부(61)는 독출된 프로그램 식별자,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및 부가효과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구성하는 데이터, 즉 프레임이 독출되어 재생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비트스트림의 특정 구간을 썸네일로 지정함으로써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2)

  1.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
    (b) 상기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로그램 식별자, 상기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로서 상기 썸네일에 포함된 소정 프레임의 식별자 및 상기 썸네일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개수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3.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독출하여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1) 상기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로서 상기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21) 상기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로서 상기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을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a22) 독출된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에 매핑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21)단계의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은, 상기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3)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상기 썸네일을 재생함에 있어 사용될 부가효과를 정의하는 부가효과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는,
    (a31) 재생 전반부에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부가 효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a32) 재생 후반부에 페이드-아웃(fade-out)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부가 효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a33) 재생 후반부에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 after playback)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부가 효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KR10-2004-0003815A 2004-01-19 2004-01-19 썸네일 데이터 재생 방법 KR10042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15A KR100429819B1 (ko) 2004-01-19 2004-01-19 썸네일 데이터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15A KR100429819B1 (ko) 2004-01-19 2004-01-19 썸네일 데이터 재생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375A Division KR100429793B1 (ko) 2001-02-05 2001-02-05 썸네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68A KR20040013068A (ko) 2004-02-11
KR100429819B1 true KR100429819B1 (ko) 2004-05-04

Family

ID=3732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815A KR100429819B1 (ko) 2004-01-19 2004-01-19 썸네일 데이터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8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68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8613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構造
KR100608074B1 (ko)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활성화되는 인터랙티브 그래픽스트림을 저장한 저장 매체를 재생하는 방법
US8073306B2 (en)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umbnail recorded there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20060056800A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RU242001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видеоданных и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на котором записаны видеоданные
WO2002056314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30028134A (ko) 계층적 이미지 인덱싱 방법 및 그 장치
JP5355754B2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TW200300928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WI330357B (ko)
JP3617201B2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再生方法及び装置、情報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装置
KR100429793B1 (ko) 썸네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429818B1 (ko) 썸네일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429819B1 (ko) 썸네일 데이터 재생 방법
KR100429820B1 (ko) 썸네일 데이터 기록 장치
KR100429821B1 (ko) 썸네일 데이터 재생장치
KR100561404B1 (ko) 재생 모드 정보가 설정된 동영상 재생 장치, 저장 매체 및그 재생방법
JP3403870B2 (ja) メニューストリーム作成装置
WO2006032195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de donnees multi-standard, procede et appareil d'enregistrement et de lecture de donnees
KR100335409B1 (ko) 메뉴기능을제공하는광기록재생장치및그방법과메뉴기능을제공하는디스크
JP2001346148A (ja) 動画再生制御方法および画像再生装置
RU226662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видеоданных и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на котором записываются видеоданные посредством этого способа и устройства
JP2003224790A (ja) 番組記録再生装置、および番組記録再生方法
KR20000001196A (ko) 주제 영상의 종횡비 정보가 저장되는 기록 매체 및 주제 영상의기록재생장치와 방법
JP2005222691A (ja) 動画再生制御方法及び画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