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639B1 -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639B1
KR100429639B1 KR10-2001-0085789A KR20010085789A KR100429639B1 KR 100429639 B1 KR100429639 B1 KR 100429639B1 KR 20010085789 A KR20010085789 A KR 20010085789A KR 100429639 B1 KR100429639 B1 KR 10042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current
motor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722A (ko
Inventor
정윤철
김상영
임준영
최용원
이요한
이동일
유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6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8Reluctance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설정된 위상차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복수개의 순차펄스신호 및 일정한 듀티(duty)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연속펄스신호가 생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연속펄스신호와 상기 순차펄스신호의 전압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연속펄스신호가 큰 경우 하이신호가 출력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 의해 상기 모터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해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모터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류제한부로 구성되어, 소형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비교기를 사용하여 제어부에 생성되는 순차 및 연속펄스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AND 게이트와 같은 별도의 논리연산소자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회로의 레이아웃이 감소될뿐만 아니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Operation circuit of switched reluctance motor}
본 발명은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상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로 과전류가 공급될 경우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모터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AND게이트와 같은 논리연산소자 없이도 소형 비교기를 적용하여 변조부를 구성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모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가 도시된 회로도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의 상에 따라 설정된 위상차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복수개의 순차펄스신호 및 일정한듀티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연속펄스신호가 생성되는 제어부(10)와, 상기 순차펄스신호와 상기 연속펄스신호를 논리연산을 통해 상기 순차펄스신호 및 연속펄스신호가 모두 하이신호일 경우 하이신호가 발생되는 변조부(20)와, 상기 변조부(2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Q1~Q8)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가 온/오프되도록 하는 인버터부(30)와, 상기 모터(2)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와,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50)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동작되어 상기 전원공급부(40)에서 상기 모터(2)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류 제한부(60)로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는 모터의 상이 A상, B상 및 C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상에 따라 설정된 위상차를 가지는 순차펄스신호가 제1, 제2 및 제3 펄스단자(11, 12, 13)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연속펄스신호가 상기 제4 펄스단자(14)로부터 발생된다.
상기 변조부(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11, 12, 13)로부터 생성된 순차펄스신호가 입력되는 제1, 제2 및 제3 AND 게이트(21, 22, 23)와, 상기 제1 내지 제3 AND 게이트(21, 22, 23)와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11, 12, 13) 사이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전류를 크기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저항(R1, R2, R3)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AND 게이트(21, 22, 23)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24)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AND 게이트(21, 22, 23)에는 상기 제4 펄스단자(14)로부터 발생되는 연속펄스신호가 직렬 및 병렬 연결된 복수개의저항(R4,R5)를 거쳐 입력되는데,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11, 12, 13)로부터 발생된 순차 펄스신호와 상기 연속펄스신호가 모두 하이신호일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AND 게이트(21, 22, 23)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부(30)는 상기 변조부(20)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R6, R7, R8) 및 복수개의 트랜지스터(Q1~Q6)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트랜지스터(Q1~Q6)과 저항(R9, R10, R11)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40)와 연결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Q7, Q8, Q9)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외부의 교류 전원(41)을 정류하여 상기모터(2)에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트랜지스터(Q10, Q11, Q12), 저항(R12~R23), 커패시터(C1, C2, C3) 및 다이오드(D1~D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감지부(50)는 상기 인버터부(30)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Q7, Q8, Q9)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R24, R25, R26)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Q7, Q8, Q9)가 온되었을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40)로부터 상기 모터(2)로 공급되는 전류가 저항(R24, R25, R26)에도 흐르게 되어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류제한부(60)는 상기 전류감지부(50)로부터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전류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전류의 크기가 클 경우 하이신호가 발생되는 비교기(61)와, 상기 비교기(61)의 출력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3)와, 상기 비교기(61) 및 상기 트랜지스터(Q13)가 동작될 수 있는 전원이 공급되는 동작전원단(62, 63)과, 상기 비교기(61)와 상기 트랜지스터(Q13)에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R27~R33), 다이오드(D7) 및 커패시터(C4)로 구성되며, 상기 전류감지부(50)에서 감지된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이상인 경우 상기 제4 펄스단자(14)의 연속펄스신호가 상기 제1 내지 제3 AND(21, 22, 23)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40)에서 상기 모터(2)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동작 파형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동작을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 의 (a), (b) 및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의 상이 A상, B상 및 C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설정된 위상차를 가지는 순차펄스신호가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11, 12, 13)로부터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펄스단자(14)에서는 도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듀티(duty)를 가지는 펄스가 연속적으로 생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11, 12, 13)로부터 발생되는 순차펄스신호와 상기 제4 펄스단자(14)로부터 생성된 연속펄스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3 AND 게이트(21, 22, 23)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11, 12, 13)로부터 생성되는 순차펄스신호와 상기 제4 펄스단자(14)로부터 생성되는 연속펄스신호가 모두 하이신호일 경우 도2 의 (e), (f) 및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AND 게이트로부터 하이신호가 설정된 위상차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발생되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AND 게이트(21, 22, 23)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Q7, Q8, Q9)가 순차적으로 온/오프됨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40)로부터 상기 모터(2)에 전류가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2)로 공급된 전류가 상기 전류 감지부(50)에서 감지되어 상기 전류제한부(60)로 입력되고, 상기 전류제한부(60)에 입력된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이상인 경우 상기 전류제한부(60)의 트랜지스터(Q13)가 온되고 상기 제4 펄스부단자(14)부터 생성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트랜지스터(Q13)로 입력되어 상기 제1내지 제3 AND 게이트(21, 22, 23)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는 상기 제어부(10)에서 발생되는 연속펄스신호와 순차펄스신호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논리연산소자인 AND 게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동회로를 설계할 때 AND게이트를 실장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여 구동회로의 레이아웃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상기 논리연산소자의 비용이 상당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순차 및 연속펄스신호의 크기를 비교할 경우 논리연산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적용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함으로써 구동회로에 별도의 소자를 사용하지 않아 구동회로의 레이아웃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고가의 논리연산소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가 도시된 회로도,
도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동작이 도시된 그래프,
도3 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가 도시된 회로도,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동작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70: 제어부 80: 변조부
90: 인버터부 100: 전원공급부
110: 전류감지부 120: 전류제한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의 특징에 따르면, 과전류가 모터로 인가되는 경우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키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변조부는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순차펄스신호가 외부의 잡음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순차펄스신호의 로우신호가 제로 전압를 기준으로 설정전압 이하로 레벨이 제한되도록 복수개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는 레벨제한부와; 상기 레벨제한부를 통과한 상기 순차펄스신호와 상기 연속펄스신호를 비교하여 연속펄스신호가 큰 경우 정상적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과전류로 인해 순차펄스신호가 큰 경우 모터가 정지되도록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가 도시된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는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가 동작하는 상에 따라 설정된 위상차를 가지는 순차펄스신호가 발생되는 제1, 제2 및 제3 펄스단자(71, 72, 73) 일정한 듀티(duty)를 가지는 연속펄스신호가 발생되는 제4 펄스단자(74)가 형성되는 제어부(70)와,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와 상기 제4 펄스단자(74)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의 신호가 큰 경우 하이신호가 출력되는 변조부(80)와, 상기 변조부(8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복수개의 푸시풀(Push-Pull)부(91, 92, 93)로 이루어진 인버터부(90)와, 상기 복수개의 푸시풀부(Push-Pull)(91, 92, 93)가 온/오프됨에 따라 그에 따른 전류를 상기 모터(2)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0)와,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상기 모터(2)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110)와, 상기 전류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동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0)에서 상기 모터(2)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류제한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조부(80)는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다이오드(D8, D9, D10)로 이루어진 역류방지부(81)와, 상기 역류방지부(81)를 통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로부터 생성된 순차펄스신호의 레벨을 제한하는 제1 레벨제한부(82)와, 반전(-)단자에는 상기 제1 레벨제한부(82)에 의해 레벨이 제한된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의 순차펄스신호가 입력되고 비반전(+)단자에는 상기 제4 펄스단자(74)로부터 생성되는 연속펄스신호가 입력되는 복수개의 비교기(83a, 83b, 83c)로 이루어진 비교부(8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변조부(80)는 상기 제4 펄스단자(74)로부터 생성되는 연속펄스신호의 레벨을 제한하는 제2 레벨제한부(84)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레벨제한부(82)는 제1, 제2 및 제3 저항부(82a, 82b, 82c)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저항부(82a, 82b, 82c)는 각각 병렬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R35~R40)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1 내지 제3 저항부(82a, 82b, 82c)에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로부터 발생되는 순차펄스신호의 레벨이 제로전압을 기준으로 설정치 이하로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레벨제한 전원단(82d)이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저항부(82a, 82b, 82c)의 저항(R35,R37, R38)과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레벨제한부(82)는 로우레벨로써 0볼트와 하이레벨로써 5볼트를 가지는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로부터 생성되는 순차펄스호가 외부잡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로우레벨로써 1.4볼트 및 하이레벨로써 5볼트를 가지도록 레벨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레벨제한부(84)는 상기 제4 필터단자(74)와 직렬 및 병렬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R41, R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레벨제한부(82)를 통과한 순차펄스신호와 크기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우레벨로써 0볼트 및 하이레벨로써 2.5볼트를 가지도록 신호의 레벨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83)는 상기 제1 레벨제한부(82)를 통과하여 레벨이 제한된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로부터 생성되는 순차펄스신호와 상기 제2 레벨제한부(84)를 통과한 상기 연속펄스신호의 크기를 각각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에서 비교하여 상기 연속펄스신호의 크기가 큰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비교부(83)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동작전원단(85)가 형성된다.
상기 인버터부(90)는 상기 비교부(83)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Q14~Q19)와 상기 복수개의 트랜지스터(Q14~Q19)와 저항(R45, R46, R47)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100)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Q20,Q21, Q22)로 구성되며, 상기 비교부(83)에 형성되는 동작전원단(8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복수개의트랜지스터(Q14~Q19)에 저항(R42, R43, R44)를 통해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상기 인버터부(9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Q20, Q21, Q22)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Q20, Q21, Q22)가 온/오프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101)이 상기 모터(2)에 정류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PNP형 트랜지스터(Q24, Q25, Q26)과 상기 트랜지스터(Q23, Q24, Q25)과 연결되는 저항(R48~R59) 및 커패시터(C5, C6, C7) 그리고 다이오드(D11~D16)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감지부(110)는 상기 인버터부(9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0)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트랜지스터(Q20, Q21, Q22)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R60, R61, R62)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Q20, Q21, Q22)가 온되었을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저항(R60, R61, R62)에도 흐르게 되어 상기 모터(2)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류제한부(120)는 비반전(+)단자에 상기 전류 감지부(110)에 감지된 전류가 입력되고, 반전(-)단자에 기준치가 입력되어 상기 전류 감지부(110)의 전류가 큰 경우 하이 신호가 출력되는 비교기(121)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121)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될 경우 온되는 트랜지스터(Q26)와, 상기 비교기(121)와 상기 트랜지스터(Q26)사이에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D17) 및 커패시터(C8)와, 상기 비교기(121) 및 트랜지스터(Q26)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R63~R69)과, 각각 상기 트랜지스터(Q26)에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비교기(121)의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기준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전원단(122, 12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가 A상, B상 및 C상을 가지는 3상 모터인 경우 설정된 위상차를 가지는 순차펄스신호가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로부터 순차적으로 생성된다.
또한, 상기 제4 펄스단자(74)에서는 도4 의 (d)와 같이 일정한 듀티(duty)를 가지는 연속펄스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로부터 생성되는 신호는 반전되어 생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펄스단자(71, 72, 73)로부터 생성된 순차펄스신호는 상기 역류 방지부(81)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레벨제한부(82)에 의해 펄스신호의 전압크기가 1.4 내지 5 볼트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로 레벨이 조정되고, 상기 제4 펄스단자(74)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상기 제2 레벨제한부(84)에 의해 펄스크기의 전압크기가 0 내지 2.5 볼트의 전압크기를 가지는 신호로 레벨이 조정된다.
상기 제1 레벨제한부(82)와 상기 제2 레벨제한부(84)에 의해 레벨이 조정된 펄스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에 입력된다.
이때, 도4 의 (e), (f) 및 (g)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에 입력된 상기 연속펄스신호 및 순차펄스신호의 크기를 비교되고 상기 연속펄스신호의 크기가 큰 경우에 도4 의 (h), (i) 및 (j)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인버터부(9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0)사이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0, Q21, Q22)가 온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상기 모터(2)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상기 모터(2)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는 상기 전류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되고, 그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전류 제한부(120)의 트랜지스터(Q26)이 온되어 상기 제4 펄스단자(74)로부터 생성되는 연속펄스신호가 상기 트랜지스터(Q26)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4 펄스단자(74)로부터 생성되는 연속펄스신호가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로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83a, 83b, 83c)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상기 모터(2)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모터(2)가 과전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는 소형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비교기를 사용하여 변조부를 구현함으로써 AND 게이트와 같은 별도의 논리연산소자 구매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회로 레이아웃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비교기를 포함하는 변조부가 과전류시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로우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구동회로의 안전성이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설정된 위상차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복수개의 순차펄스신호 및 일정한 듀티(duty)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연속펄스신호가 생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연속펄스신호와 상기 순차펄스신호의 전압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연속펄스신호가 큰 경우 하이신호가 출력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 의해 상기 모터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해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모터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류제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순차펄스신호가 외부의 잡음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순차펄스신호의 로우신호가 제로 전압를 기준으로 설정전압 이하로 레벨이 제한되도록 복수개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는 레벨제한부와; 상기 레벨제한부를 통과한 상기 순차펄스신호와 상기 연속펄스신호를 비교하여 연속펄스신호가 큰 경우 정상적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과전류로 인해 순차펄스신호가 큰 경우 모터가 정지되도록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펄스신호는 그 위상이 반전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제한부는 각각 복수개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제2 및 제3 저항부와; 상기 제1, 제2 및 제3 저항부에 상기 순차펄스신호의 레벨을 제한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레벨제한전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비반전(+)단자에는 상기 연속펄스신호가 입력되고, 반전(-)단자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되는 순차펄스신호가 입력되는 복수개의 비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6. 삭제
KR10-2001-0085789A 2001-12-27 2001-12-27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KR10042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789A KR100429639B1 (ko) 2001-12-27 2001-12-27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789A KR100429639B1 (ko) 2001-12-27 2001-12-27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722A KR20030055722A (ko) 2003-07-04
KR100429639B1 true KR100429639B1 (ko) 2004-05-03

Family

ID=3221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789A KR100429639B1 (ko) 2001-12-27 2001-12-27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656B1 (ko) * 2002-01-18 2004-08-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저가형 전류 제한 회로를 포함한 스위치드 릴럭턴스모터의 구동 회로
KR100550523B1 (ko) * 2002-12-02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전류 감지 회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378A (ja) * 1996-08-09 1998-03-06 Nippon Electric Ind Co Ltd Sr(スイッチド・リラクタンス)型モータの駆動装置
JPH10271885A (ja) * 1997-03-21 1998-10-09 Nippon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ド・リラクタンスモータの異常運転抑制方法
KR19980079541A (ko) * 1997-03-20 1998-11-25 윤종용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전류 제어 장치
KR20000024769A (ko) * 1998-10-01 2000-05-06 윤종용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378A (ja) * 1996-08-09 1998-03-06 Nippon Electric Ind Co Ltd Sr(スイッチド・リラクタンス)型モータの駆動装置
KR19980079541A (ko) * 1997-03-20 1998-11-25 윤종용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전류 제어 장치
JPH10271885A (ja) * 1997-03-21 1998-10-09 Nippon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ド・リラクタンスモータの異常運転抑制方法
KR20000024769A (ko) * 1998-10-01 2000-05-06 윤종용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722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7981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回路
JP4229656B2 (ja) 電流制限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出力回路
US6727752B2 (en) Modulation scheme for switching amplifiers to reduce filtering requirements and crossover distortion
US5543996A (en) Protective circuit for protecting transistor from thermal destruction
US7038408B2 (en) Fan motor speed control circuit
KR100429639B1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US11784487B2 (en) Overvoltage protecting system and method of motor pre-driver
KR100407973B1 (ko) 모니터의 인버터 시스템 보호회로
JP2006187101A (ja) 電圧駆動素子の駆動方法
JP4040013B2 (ja) スイッチング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素子保護方法
KR100439499B1 (ko) 엘시디의 백라이트 인버터
KR0116579Y1 (ko) 인버터의 이상전류감지회로
KR100347175B1 (ko) 부스트 컨버터의 전압 보호 회로
KR100550523B1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전류 감지 회로
KR100445656B1 (ko) 저가형 전류 제한 회로를 포함한 스위치드 릴럭턴스모터의 구동 회로
JP2000012330A (ja) ソレノイド駆動装置
KR100191750B1 (ko) 전원 온/오프시의 모터 드라이브 보호회로
KR100228697B1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방지회로
KR960002458B1 (ko) 선택적 오동작 방지 정전압회로
KR200156380Y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US20090072756A1 (en) Converter circuit capable of self-reactivation and related display device
KR0117096Y1 (ko) 전압제한 기능을 내장한 펄스폭 변조 발생회로
SU11020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шаговым двигателем
KR20000013324U (ko) 전류 제어 방식의 비례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
KR950021931A (ko) 직류서보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