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517B1 -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 Google Patents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517B1
KR100429517B1 KR10-2002-0073316A KR20020073316A KR100429517B1 KR 100429517 B1 KR100429517 B1 KR 100429517B1 KR 20020073316 A KR20020073316 A KR 20020073316A KR 100429517 B1 KR100429517 B1 KR 10042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control signal
ballas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118A (ko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빅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빅텍 filed Critical (주)빅텍
Priority to KR10-2002-007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5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5Static converters especially adapted therefor; Control thereof
    • H05B41/2887Static converters especially adapted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a controllable bridge in the final s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Abstract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는 DC-DC 컨버터, 배압 회로, DC-AC 인버터, 고압 이그니터, 아크 고압 방전등, 보조 전원 회로 및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C-DC 컨버터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한다. 배압 회로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을 배압하여 출력한다. DC-AC 인버터는 제 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교류 구형파 전압을 출력한다. 고압 이그니터는 상기 배압 회로의 출력을 수신하여 순간적인 고압 펄스를 발생한다. 아크 고압 방전등은 상기 고압 펄스를 수신하여 절연 파괴 후, 상기 교류 구형파 전압을 수신하여 아크 방전을 하여 빛을 발생한다. 보조 전원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의 전압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승압시켜 출력한다.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원 회로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DC-DC 컨버터와 상기 DC-AC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는 플래너 코어(planar core)를 사용한 변압기를 사용함으로써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부피를 줄이고 노이즈를 잘 견디며, 배압기를 사용하여 DC-AC 인버터에 사용되는 전력 소자의 정격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High intensity discharge ballast}
본 발명은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내부에 사용되는 변압기를 플레너 코어(planar core)를 사용하고, 배압기를 사용하여 이그니터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에서는 자동차 배터리 전압을 방전등의 정격 전압까지 빠르게 승압 시키고, 또한 빠른 광출력 특성을 얻기 위한 과도 상태 전력 제어 및 균일한 광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정상 상태 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및 고압 이그니터가 사용된다.
여기서 자동차 배터리 전압은 보통 12V의 직류 전압(DC)이다. 정격 전압은 보통 약 400V 까지 상승될 수 있다.
고압 이그니터가 고압 펄스를 발생시켜 방전등의 초기 점등을 하는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방전등과 직렬로 연결된 고압 변압기의 2차 측에 유도된 고압 펄스를 이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자동차용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100)는 컨버터(110), DC-AC 인버터(120), 고압 이그니터(130) 및 아크 고압 방전등(140)을 구비한다.
컨버터(110)는 자동차용 배터리 전압(VIN)을 플라이백 컨버터 스위치(SW1)의 온 오프 비율과 변압기의 변압비(1:n)에 따라서 승압 하여 승압 된 직류 전압(Vdc)을 출력한다.
DC-AC 인버터(120)는 상기 컨버터(110)에서 출력되는 승압된 직류 전압(Vdc)을 수신하고 상기 직류 전압(Vdc)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DC-AC 인버터(120)는 4개의 FET(Field Effect Transistor) 스위치(S1, S2, S3, S4)들을 구비한다.
고압 이그니터(130)는 승압된 직류 전압(Vdc)을 수신하여 고압 방전등을 구동하기 위한 순간적인 고압 펄스를 발생한다. 아크 고압 방전등(140)은 상기 고압 펄스를 수신하여 절연 파괴 후, 상기 DC-AC 인버터(12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을 수신하여 아크 방전을 하여 빛을 발생한다.
그러나, 컨버터에 사용되는 변압기가 일반적으로 RM 코어 등을 사용함으로써 컨버터의 부피가 커지고 노이즈에 약하며, 직류단 전압과 고압 펄스 발생 장치의 1차측 전압을 함께 사용하므로, 방전등이 점등 개시되기 전까지 직류단 전압이 높아져서 컨버터의 2차 측 소자 및 인버터에 사용되는 전력 소자의 정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부피를 줄이고 노이즈를 잘 견디며, 인버터에 사용되는 전력 소자의 정격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는 DC-DC 컨버터, 배압 회로, DC-AC 인버터, 고압 이그니터, 아크 고압 방전등, 보조 전원 회로 및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C-DC 컨버터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AC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배압 회로는 상기 DC-DC 컨버터의 AC 전압을 배압하여 출력한다.
DC-AC 인버터는 제 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교류 구형파 전압을 출력한다. 고압 이그니터는 상기 배압 회로의 출력을 수신하여 순간적인 고압 펄스를 발생한다.
아크 고압 방전등은 상기 고압 펄스를 수신하여 절연 파괴 후, 상기 교류 구형파 전압을 수신하여 아크 방전을 하여 빛을 발생한다. 보조 전원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의 전압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승압시켜 출력한다.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원 회로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DC-DC 컨버터와 상기 DC-AC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DC-DC 컨버터는 플래너 코어(Planar core)를 사용하는 변압기를 구비한다.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전압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스위치의 출력을 전달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을 수신하고 승압시켜 상기 AC 전압을 출력하는 상기 변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상기 제 1 스위치의 출력을 상기 변압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턴 오프 되어 상기 제 1 스위치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용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구성 요소 중 하나라도 오동작이 있으면 비활성화 되어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고, 상기 차량용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구성 요소가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경우 활성화 되어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원 회로의 출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DC 전압을 발생하며, 소정의 제어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PWM 제어 회로 및 상기 DC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PWM 제어 회로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전류를 발생하고, 상기 제 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3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안정기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압 회로는 상기 DC-DC 컨버터의 AC 전압을 2 배 배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는 DC-DC 컨버터(210), 배압 회로(230), DC-AC 인버터(240), 고압 이그니터(250), 아크 고압 방전등(260), 보조 전원 회로(270) 및 제어부(28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는 차량의 헤드라이트용 안정기 등 여러 가지 전기 장치의 안정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DC-DC 컨버터(210)는 입력 전압(VIN)을 수신하고, 제 1 제어 신호(CTRL1) 및 제 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승압 하여 AC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좀더 설명하면, DC-DC 컨버터(210)는 제 1 제어 신호(CTRL1)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제 1 스위치(215), 제 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215)의 출력을 전달하는 제 2 스위치(220) 및 제 2 스위치(220)의 출력을 수신하고 승압시켜 AC 전압을 출력하는 변압기(225)를 구비한다.
제 1 스위치(215)는 제 1 제어 신호(CTRL1)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215)가 온 또는 오프 되는 비율에 따라서 DC-DC 컨버터(210)의 전압 승압 비율을 제어한다.
제 2 스위치(220)는 제 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제 1 스위치(215)의 출력을 변압기(225)로 전송하거나 또는 턴 오프 되어 제 1 스위치(215)의 출력을 차단한다.
변압기(225)는 플래너 코어(planar cor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제어 신호(CTRL1)는 듀티(duty) 폭을 이용하여 제 1 스위치(215)가 턴 온 되는 정도를 제어한다.DC-DC 컨버터(210)의 변압기(225)의 출력은 AC 전압이고 변압기(225)의 출력을 커패시터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DC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제 2 제어 신호(CTRL2)는 차량용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의 구성 요소 중 하나라도 오동작이 있으면 비활성화 되어 제 2 스위치(220)를 턴 오프 시키고, 차량용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의 구성 요소가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경우 활성화 되어 제 2 스위치(220)를 턴 온 시킨다.
배압 회로(230)는 DC-DC 컨버터(210)의 AC 전압을 배압하여 출력한다. 좀더 설명하면, 배압 회로(230)는 DC-DC 컨버터(210)의 AC 전압을 2 배 배압하여 출력한다. 배압 회로(230)는 두 개의 다이오드와 두 개의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DC-AC 인버터(240)는 제 3 제어 신호(CTRL3)에 응답하여 DC-DC 컨버터(210)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교류 구형파 전압을 출력한다. 고압 이그니터(250)는 배압 회로(230)의 출력을 수신하여 순간적인 고압 펄스를 발생한다.
아크 고압 방전등(260)은 고압 펄스를 수신하여 절연 파괴 후, 상기 교류 구형파 전압을 수신하여 아크 방전을 하여 빛을 발생한다.
보조 전원 회로(270)는 상기 입력 전압(VIN)의 전압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승압시켜 출력한다. 좀더 설명하면 보조 전원 회로(270)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수신하여 일정한 전압 레벨로 승압하는 하나의 칩으로 된 승압기이다.
제어부(280)는 보조 전원 회로(270)의 출력에 응답하여 DC-DC 컨버터(210)와 DC-AC 인버터(240)를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제어 신호(CTRL3)를 발생한다.
좀더 설명하면, 제어부(280)는 PWM 제어 회로(285) 및 안정기 제어 회로(290)를 구비한다. PWM 제어 회로(285)는 보조 전원 회로(270)의 출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DC 전압(DCV)을 발생하며, 소정의 제어 전류(ICTRL)에 응답하여 제 1 제어 신호(CTRL1)를 발생한다.
안정기 제어 회로(290)는 DC 전압(DCV)에 응답하여 PWM 제어 회로(285)를 제어하는 제어 전류(ICTRL)를 발생하고, 제 2 제어 신호(CTRL2) 및 제 3 제어 신호(CTRL3)를 발생한다.
도 3은 도 2의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를 회로도로 표시한 것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표기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DC-DC 컨버터(210)는 입력 전압(VIN)을 수신하고, 제 1 제어 신호(CTRL1) 및 제 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승압하여 AC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AC 전압을 DC 전압으로변화하여 출력한다. 입력 전압(VIN)은 배터리(205)에서 출력된다.
DC-DC 컨버터(210)는 제 1 스위치(215)가 턴 온 또는 턴 오프 되는 비율에 따라서, 그리고 변압기(225)의 변압비(T1:T2)에 따라서 입력 전압(VIN)의 승압 비율이 정해진다.
제 1 스위치(215)는 제 1 제어 신호(CTRL1)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VIN)을 수신하여 전달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스위치(215)는 제 1 제어 신호(CTRL1)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215)가 온 또는 오프 되는 비율에 따라서 DC-DC 컨버터(210)의 전압 승압 비율을 제어한다.
제 1 스위치(215)는 플라이백 컨버터 스위치이다. 제 1 제어 신호(CTRL1)는 듀티(duty) 폭을 이용하여 제 1 스위치(215)가 턴 온 되는 정도를 제어한다.
즉, PWM 제어 회로(285)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어 신호(CTRL1)는 하나의 주기마다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비율이 조정된다. 하이 레벨의 양 만큼 제 1 스위치(215)가 턴 온 되고, 로우 레벨의 양 만큼 제 2 스위치(220)가 턴 온 된다.
따라서 제 1 제어 신호(CTRL1)의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비율, 즉, 듀티 비를 조절하여 제 1 스위치(215)가 턴 온 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제어신호(CTRL1)를 발생하는 PWM 제어 회로(285)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제 2 스위치(220)는 제 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215)의 출력을 전달한다. 다시 말하면, 제 2 스위치(220)는 제 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제 1 스위치(215)의 출력을 변압기(225)로 전송하거나 또는 턴 오프 되어 제 1 스위치(215)의 출력을 차단한다.
제 2 제어 신호(CTRL2)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의 구성 요소 중 하나라도 오동작이 있으면 비활성화 되어 제 2 스위치(220)를 턴 오프 시키고,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의 구성 요소가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경우 활성화 되어 제 2 스위치(220)를 턴 온 시킨다.
따라서, 제 2 스위치(220)는 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에서 메인 스위치의 기능을 한다. 제 2 스위치(220)가 턴 온 되어 있어야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가 동작을 할 수 있고, 제 2 스위치(220)가 턴 오프 되면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200)는 동작을 할 수 없다.
변압기(225)는 제 2 스위치(220)의 출력을 수신하고 승압시켜 출력한다. 변압기(225)는 플래너 코어(planar core)를 사용한다. 플래너 코어(planar core)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동선을 장착시킨 것이다.
플래너 코어(planar core)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RM 코어 등을 사용한 변압기에 비하여 노이즈를 줄일 수 있고 변압기(225)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안정기의 크기 자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노이즈에 강하므로 노이즈 감소에 따른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장해) 특성 개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배압 회로(230)는 DC-DC 컨버터(210)의 변압기(225) 출력인 AC 전압을 배압 하여 출력한다. 좀더 설명하면, 배압 회로(230)는 DC-DC 컨버터(210)의 AC 전압을 두 개의 다이오드(D1, D2)와 두 개의 커패시터(C1, C2)를 이용하여 2 배 배압 하여 출력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패시터(C1, C2)와 다이오드(D1, D2)는 직렬 연결된다. 배압 회로(230)는 변압기(225)의 전압을 승압 시켜 이그니터(250)로 보낸다. 스파크 갭의 방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높은 전압이 필요한데 배압 회로(230)는 높은 전압을 발생시키므로, DC-AC 인버터(240)의 전압 부담을 줄일 수 있다.
DC-AC 인버터(240)는 제 3 제어 신호(CTRL3)에 응답하여 DC-DC 컨버터(210)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교류 구형파 전압을 출력한다. DC-AC 인버터(240)는 네 개의 트랜지스터(S1, S2, S3, S4)를 구비하는 풀 브리지 인버터이다.
고압 이그니터(250)는 배압 회로(230)의 출력을 수신하여 순간적인 고압 펄스를 발생한다. 아크 고압 방전등(260)은 고압 펄스를 수신하여 절연 파괴 후, 상기 교류 구형파 전압을 수신하여 아크 방전을 하여 빛을 발생한다.
보조 전원 회로(270)는 상기 입력 전압(VIN)의 전압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승압시켜 출력한다. 보조 전원 회로(270)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수신하여 일정한 전압 레벨로 승압하는 하나의 칩으로 된 승압기이다.
보조 전원 회로(270)는 제어부(280) 내부의 PWM 제어 회로(285)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한다. 입력 전압(VIN)이 약 12 V 내지 16 V 일 경우, 보조 전원 회로(270)의 출력 전압은 16 V가 된다. 그러나 보조 전원 회로(270)의 출력 전압이반드시 16 V 인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범위에서는 그 전압 레벨은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보조 전원 회로(270)의 출력에 응답하여 DC-DC 컨버터(210)와 DC-AC 인버터(240)를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제어 신호(CTRL3)를 발생한다. 제어부(280)는 PWM 제어 회로(285) 및 안정기 제어 회로(290)를 구비한다.
PWM 제어 회로(285)는 보조 전원 회로(270)의 출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DC 전압(DCV)을 발생하며, 소정의 제어 전류(ICTRL)에 응답하여 제 1 제어 신호(CTRL1)를 발생한다.PWM 제어부(280)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된다.
PWM 제어부(280)가 발생하는 DC 전압(DCV)은 안정기 제어 회로(290)를 구동하는 구동 전압으로 사용된다. DC 전압(DCV)은 약 5V의 전압 레벨을 갖는다. 그러나, DC 전압(DCV)이 반드시 5V 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범위에서 전압 레벨은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PWM 제어 회로(285)는 제어 전류(ICTRL)에 응답하여 제 1 제어 신호(CTRL1)의 듀티 비를 제어한다.
안정기 제어 회로(290)는 DC 전압(DCV)에 응답하여 PWM 제어 회로(285)를 제어하는 제어 전류(ICTRL)를 발생하고, 제 2 제어 신호(CTRL2) 및 제 3 제어 신호(CTRL3)를 발생한다.
안정기 제어 회로(290)는 DC 전압(DCV)에 응답하여 구동되며, 방전등용 안정기(200)의 구성 요소들중 오동작하는 부분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오동작 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2 제어 신호(CTRL2)를 활성화 시켜 제 2 스위치(220)를 턴 온 시켜서 DC-DC 컨버터(210)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러나 오동작 되는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2 제어 신호(CTRL2)를 비활성화 시켜 제 2 스위치(220)를 턴 오프 시키고 DC-DC 컨버터(21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제 3 제어 신호(CTRL3)는 DC-AC 인버터(240)를 제어하는 신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는 플래너 코어(planar core)를 사용한 변압기를 사용함으로써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부피를 줄이고 노이즈를 잘 견디며, 배압기를 사용하여 DC-AC 인버터에 사용되는 전력 소자의 정격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동작을 한 번에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 요소의 오동작 시 최대한 빠르게 전원 투입을 끊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삭제
  2.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AC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
    상기 DC-DC 컨버터의 상기 AC 전압을 배압하여 출력하는 배압 회로 ;
    제 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교류 구형파 전압을 출력하는 DC-AC 인버터 ;
    상기 배압 회로의 출력을 수신하여 순간적인 고압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고압 이그니터(igniter) ;
    상기 고압 펄스를 수신하여 절연 파괴 후, 상기 교류 구형파 전압을 수신하여 아크 방전을 하여 빛을 발생하는 아크 고압 방전등 ;
    상기 입력 전압의 전압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승압시켜 출력하는 보조 전원 회로 ; 및
    상기 보조 전원 회로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DC-DC 컨버터와 상기 DC-AC 인버터를 제어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플래너 코어(Planar core)를 사용하는 변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전압입력 전압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제 1 스위치 ;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스위치의 출력을 전달하는 제 2 스위치 ;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을 수신하고 승압시켜 상기 AC 전압을 출력하는 상기 변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되어 상기 제 1 스위치의 출력을 상기 변압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턴 오프 되어 상기 제 1 스위치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구성 요소 중 하나라도 오동작이 있으면 비활성화 되어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고, 상기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의 구성 요소가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경우 활성화 되어 상기 제2 스위치를 턴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원 회로의 출력에 응답하여 소정의 DC 전압을 발생하며, 소정의 제어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PWM 제어 회로 ; 및
    상기 DC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PWM 제어 회로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전류를 발생하고, 상기 제 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3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안정기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 회로는,
    상기 DC-DC 컨버터의 AC 전압을 2 배 배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8. 삭제
  9. 삭제
KR10-2002-0073316A 2002-11-23 2002-11-23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KR100429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316A KR100429517B1 (ko) 2002-11-23 2002-11-23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316A KR100429517B1 (ko) 2002-11-23 2002-11-23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18A KR20020097118A (ko) 2002-12-31
KR100429517B1 true KR100429517B1 (ko) 2004-05-03

Family

ID=2772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316A KR100429517B1 (ko) 2002-11-23 2002-11-23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94B1 (ko) * 2005-11-21 2007-04-13 두영전자 주식회사 초기점등 보조회로를 갖는 전자식 안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872B1 (ko) * 1988-06-09 1998-04-28 죠셉 제이.락스 전원의 고장 검출 및 보호 장치
KR19980025220A (ko) * 1998-03-30 1998-07-06 정태우 가스방전등의 점등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872B1 (ko) * 1988-06-09 1998-04-28 죠셉 제이.락스 전원의 고장 검출 및 보호 장치
KR19980025220A (ko) * 1998-03-30 1998-07-06 정태우 가스방전등의 점등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18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4602B1 (en) High voltage discharge lamp apparatus for vehicles
KR100451928B1 (ko) 엘시디 백라이트용 인버터의 싱글 스테이지 컨버터
EP2282616A1 (en) High-voltage discharge lamp oper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instrument
EP2222140A1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US7164239B2 (en) Discharge lamp ballast circuit
EP1542513B1 (en) High-voltage discharge lamp operating device
US6670778B2 (en) AC pow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electrolytic capacitor and ceramic capacitor
JP2001006890A (ja) 放電灯点灯回路
KR100429517B1 (ko)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US614416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on of a high-pressure gas discharge lamp on alternating current
JPH02136343A (ja) 車輌用高圧放電灯の点灯回路
EP2271188A2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8093834B2 (en) Automotive HID headlamp ballast control IC
KR20040051604A (ko) 가스 방전 램프 구동 방법과 장치 및 다운컨버터 디바이스
US20070007905A1 (en) Low frequency triggered electronic ballast
JP3651399B2 (ja) 電源装置及び放電灯点灯装置
JP5476212B2 (ja) 電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WO2009111944A1 (en) Hid ballast with integrated voltage multiplier and lamp temperature compensation
JP7279511B2 (ja) 点灯装置、電源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0278049B1 (ko) 보조권선을 사용한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고압방전등 안정기의전력 변환 회로
JPH06140181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9167693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Wang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otive HID electronic ballast based microprocessor
KR20040034755A (ko) 메탈핼라이드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US20030030420A1 (en) Load driv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