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666B1 -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666B1
KR100428666B1 KR20010043313A KR20010043313A KR100428666B1 KR 100428666 B1 KR100428666 B1 KR 100428666B1 KR 20010043313 A KR20010043313 A KR 20010043313A KR 20010043313 A KR20010043313 A KR 20010043313A KR 100428666 B1 KR100428666 B1 KR 100428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registration
telephone numbers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4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273A (ko
Inventor
최영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4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6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666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기지국에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가 새로운 기지국의 영역에 진입하거나 기지국과의 신규접속을 하는 기지국 변동이 있는지 판단하는 변동확인과정과; 변동확인과정에서 기지국의 변동이 있는 경우 단말기는 등록모드로 운용되며, 할당된 전화번호를 한번에 또는 여러번에 등록하는 등록절차를 판단하는 설정과정과; 설정과정에서 판단하여 할당된 전화번호를 여러번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의 개수를 계수기의 값으로 설정하고, 한번에 하나의 전화번호를 등록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과정을 계수기 값이 초기화 될 때까지 반복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여러번 등록과정과; 설정과정에서 판단하여 할당된 전화번호를 한번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모두 읽고 등록정보와 함께 한번에 기지국에 전송하는 한번 등록과정과; 여러번 등록과정과 한번 등록과정을 수행 한 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변동확인과정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하는 종료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A REGISTRATION METHOD OF MOBILE PHONE' LOCATION}
본 발명은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기지국에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BS: Base Site)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각 기지국은 해당되는 고유의 서비스 영역 또는 셀(Cell)을 형성하고,각각의 서비스영역은 서로 인접하여 있으므로, 이동용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가 기지국(BS)의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면서 통신을 계속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한 해당되는 기지국에 단말기를 등록을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등록을 단말기의 위치등록이라고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1은 일반적인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순서도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성의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된 것으로, 휴대 또는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언제 어디서나 무선통신을 하는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와 무선 접속되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각자의 고유한 서비스 영역인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BS)(20)과,
상기 기지국(20)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지국(20)을 통하여 단말기(10)의 위치등록을 하고, 발신측 단말기(10)와 수신측 단말기(10) 사이의 통신경로를 스위칭(Switching)하여 설정하는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국(30)과,
상기 교환국(30)과 접속되어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공중통신망(PSTN: PublicSwitching Telephone Network)(40)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 위치등록 방법은, 단말기(10)가 새로운 기지국(20)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이동하거나 또는 단말기(10)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단말기(10)가 상기와 같은 기지국(20) 변동이 있는 경우, 단말기(10)는 등록모드로 전환하고(S20), 단말기(10)의 해당 전자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전화번호, 운용파라미터 등과 같은 등록정보를 읽은(Load) 후(S30), 엑세스 채널(Access CH.)을 통하여 해당 기지국(20)에 무선 전송하는(S40) 제2 단계와,
상기 단말기(10)가 기지국(20)으로부터 페이징 채널(Paging CH)을 통하여 확인(ACK: Acknowledge) 응답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S50)와,
상기 단계(S50)에서 기지국(20)으로부터 단말기(10)로 응답신호가 전송된 경우, 단말기(10)는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여, 통신신호가 인가되는 경우는 통신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대기(Idle) 상태를 유지하는 제4 단계(S60)와,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계속 수행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2 단계(S20)로 궤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종료하는 제5 단계(S7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 위치등록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즉시 통신을 할 수 있는 단말기(10)는 기지국(20)을 통하여 현재의 위치를 교환국(30)에 등록을 하여야 하며, 상기와 같이 위치가 등록된 단말기만이, IS95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교환국(30)에 의하여 통신경로가 설정되고,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10)는 기지국(20) 사이를 이동하거나 또는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전원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기지국 변동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S10), 상기의 판단결과, 기지국(20)이 변동된 경우, 단말기(10)는 등록모드(Registration State)로 전환된다(S20).
상기 단말기(10)는 등록모드로 전환된 후, 단말기(10)의 등록정보, 일 예로써, 전자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단말기(10)에 할당된 전화번호(Telephone Number), 전원절약을 위한 SCI(Slot Cycle Index), 소프트웨어의 버전(Version), RF부의 전력제어 등과 같은 각종 운용파라미터를 해당 메모리로부터 읽어(Load) 온 후(S30), 엑세스 채널(Access CH)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10) 등록정보를 해당 기지국(20)에 무선 전송한다(S40).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단말기(10)가 등록정보를 기지국(20)에 전송하는 경우로는, 전원을 새로이 인가하는 경우 T5m(20초) 후에 등록하는 Powerup Registration과, 기지국의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인 SID/NID(System ID/Network ID) 항목이 바뀌는 Zone based Registration과, 일정한 시간 단위로 등록하는 Time based Registration과, 단말기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인 Power down Registration 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20) 변동을 인지한 단말기(10)는 해당 등록정보를 변경된 새로운 기지국(20)에 전송하고, 상기의 등록정보를 인지한 기지국(20)은 확인(ACK) 응답신호를 단말기(10)에 전송한다.
그러므로, 단말기(10)는 해당 기지국(20)으로부터 페이징 채널(Paging CH)을 통하여 확인(ACK)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50), 상기의 확인(ACK)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제2 단계(S20)로 궤환하여 등록정보를 다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의 확인(ACK)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는 단말기(10)가 해당 기지국(20)을 통하여 교환국(30)에 등록된 것이므로, 단말기(10)는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여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게 되고, 사용자가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며,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한다(S70).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10)로부터 등록신호를 무선 전송 받은 기지국(20)은 이를 교환국(30)에 인가함으로써, 교환국(30)은 해당 단말기(10)의 위치를 등록하게 되고, 교환국(30)은 위치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기지국(20)을 통하여 해당 단말기(10)에 전송하며, 상기의 확인신호를 수신한 단말기(10)는 위치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함으로써,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기(Idle) 상태가 되어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말기(10) 하나에 하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고, 단말기 하나에 다수의 전화번호를 할당하는 경우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기에 다수 전화번호가 할당되고 기지국에서 다수 가입자를 위한 고주파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발신이 용이하도록 하는 위치등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새로운 기지국의 영역에 진입하거나 기지국과의 신규접속을 하는 기지국 변동이 있는지 판단하는 변동확인과정; 상기 변동확인과정에서 기지국의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등록모드로 운용되어, 할당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한번에 등록할지 또는 여러번에 나누어 등록할지를 설정하는 등록절차 설정 과정; 상기 설정 과정에 따라, 할당된 전화번호를 여러번에 나누어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의 개수를 계수기의 값으로 설정하고, 한번에 하나의 전화번호를 등록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과정을 계수기 값이 초기화 될 때까지 반복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등록과정; 상기 설정 과정에 따라, 할당된 전화번호를 한번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모두 읽고 등록정보와 함께 한번에 기지국에 전송하는 등록과정; 및 상기 등록과정을 수행 한 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변동확인과정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하는 종료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일반적인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순서도 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순서도 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여러번 등록과정의 상세 순서도 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한번 등록과정의 상세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단말기 20 : 기지국
30 : 교환국 40 : 공중통신망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등록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순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여러번 등록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한번 등록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상기 첨부된 도1 및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위치등록 방법은, 기지국(20)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이 다수 모여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에서, 단말기(10)가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10)가 새로운 기지국(20)의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거나, 동작전원 온/오프(On/Off)에 의하여 기지국과의 신규접속을 하거나, 소정의 시간 단위로 기지국과 신규 접속하거나, 단말기(10)의 동작전원이 오프(Off) 되는 것과 같은 기지국 변동이 있는지 판단하는 변동확인과정(S100)과,
상기 변동확인과정(S100)에서 기지국(20)의 변동이 있는 경우, 단말기(10)는 등록모드(Registration State)로 운용되며(S200), 단말기(10)에 할당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한번에 또는 여러번에 등록하는 등록절차 판단(S300)의 설정과정과,
상기 설정과정(S300)에서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여러번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의 개수를 계수기의 값으로 설정하고, 한번에 하나의 전화번호를 등록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과정을 계수기 값이 초기화 될 때까지 반복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으로써, 단말기(10)에 할당된 다수 전화번호의 개수대로 계수기의 값을 설정하는 계수기값 입력단계(S410); 단말기(10)가 메모리로부터 고유한 전자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와, 운용 파라미터(Parameter)를 읽는 동시에 할당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순서대로 하나만 읽고(S420), 엑세스 채널(Access CH)을 통하여 기지국(20)에 무선 전송하는(S430) 제1 위치 등록단계; 기지국(20)으로부터 페이징(Paging) 채널을 통하여 상기 신호를 전송 받았다는 확인(Ack) 응답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여 수신하지 못한 경우는 상기 제1 위치 등록단계(S420)로 궤환(Feedback)하는 제1 확인단계(S440); 상기 제1 확인단계(S440)에서 확인(Ack) 응답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설정된 계수기 값으로부터 1 의 값을 뺀(S450) 후에 계수기의 값이 0 의 값과 동일한지를 판단하는(S460) 계수기 판단단계; 상기 계수기 판단단계(S460)에서 계수기 값이 0 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1 위치 등록단계(S420)로 궤환(Feedback)하고, 계수기 값이 0 인 경우는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Paging) 채널을 감시하는 통신대기 상태의 제1 대기단계(S470)로 이루어지는 여러번 등록과정(S400)과,
상기 설정과정(S300)에서 단말기(1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한번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1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모두 읽고 등록정보와 함께 한번에 해당 기지국(2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가 해당 메모리로부터 고유한 전자일련번호(ESN)와, 운용 파라미터를 읽는(S510) 동시에 단말기(10)에 할당된 모든 전화번호를 읽고(S520), 엑세스(Access) 채널을 통하여 해당 기지국(20)에 무선 전송하는(S530) 제2 위치등록단계; 기지국(20)으로부터 페이징(Paging)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았다는 확인(Ack) 응답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여 수신하지 못한 경우는 상기 제2 위치 등록단계(S510)로 궤환(Feedback)하는 제2 확인단계(S540); 상기 제2 확인단계(S540)에서 기지국(20)으로부터 확인(Ack)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Paging) 채널을 감시하는 통신대기 상태의 제2 대기단계(S550)로 이루어지는 한번 등록과정(S500)과,
상기 여러번 등록과정(S400)과 한번 등록과정(S500)을 수행 한 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변동확인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하는 종료과정(S600)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위치등록 방법을 상기 첨부된 도1 및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10)는 하나의 전자일련번호(ESN)가 고유하게 주어지지만, 할당되는 전화번호는 하나(1)가 주어질 수도 있고, 필요에 의하여 다수가 주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는 기지국(20)의 유효한 통신 거리 이내인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에서 등록 또는 위치 등록된 상태이어야 만이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는 이동성이 있는 것으로, 다수의 기지국(20)이 형성하는 다수의 셀(Cell) 또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동하면서 통신을 계속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각 기지국의 셀 사이를 이동하면서 통신을 계속하기 위하여서는 각각의 셀에 진입하는 경우마다, 해당 기지국에 등록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허여를 받는 위치등록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하나의 단말기(10)가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할당받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할당받은 단말기(10)가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상기와 같이 위치 등록하여 통신을 하기 위한 위치등록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상기 단말기(10)는 기지국(20)이 형성하는 셀 사이를 이동하는지, 단말기가 전원을 온(On) 함으로써 기지국(20)에 새로이 등록하여야 하는지, 일정한 주기의 시간 단위로 단말기(10)가 기지국(20)에 위치등록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는지, 또는 단말기(10)가 전원을 오프(Off) 하여 기지국(20)에 해당 사항을 등록하여야 하는지와 같은 기지국(20) 변동이 있는지를 계속 판단한다(S100).
상기와 같은 판단의 결과, 기지국(20) 변동이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10)는 등록모드(Registration State)로 운용되고(S200), 상기 다수의 전화번호를 한번에 등록할 것인지 또는 여러번에 걸쳐서 순차적으로 등록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300).
상기의 설정과정(S300)에 의한 판단결과, 여러번에 걸쳐서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10)는 할당된 전화번호의 개수를 계수기(Counter)의 값으로 설정하고(S410), 전자일련번호(ESN)와 각종 운용파라미터를 읽는 동시에 다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순서대로 하나의 전화번호만을 읽는다(S420).
상기와 같이 읽은(S420) 단말기(10)의 등록정보를 엑세스 채널(Access CH)을 통하여 기지국(20)에 전송하고(S430), 단말기(10)는 기지국(20)의 페이징 채널(Paging CH)을 통하여 기지국(20)이 전송하는 확인(Ack)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440).
상기의 확인(Ack) 응답신호는 단말기(10)가 무선 송신한 상기의 등록정보를 기지국(20)이 수신하고, 교환국(30)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교환국(30)이 해당 단말기(10)의 위치를 인식 또는 등록한 확인(Ack) 신호로서, 다시 해당 기지국(20)을 통하여 해당 단말기(10)로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단말기(10)는 상기와 같은 확인(Ack)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수기의 값으로부터 '1'의 값을 빼고(S450), 계수기의 값이 '0'의 값과 같은지 판단한다.
단말기(10)는 상기의 판단결과(S460), 계수기의 값이 0 의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위치 등록단계(S420)로 궤환(Feedback)하고, 상기 계수기(Counter)의 값이 0의 값인 경우는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Paging) 채널을 감시함으로써, 통신신호가 오는 것을 대기하는 감시(Idle)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여러번 등록과정(S400)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고(S600), 상기의 판단결과(S600) 계속하는 경우는 변동확인과정(S100)으로 궤환하며,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를 한다.
또한, 상기의 설정과정(S300)에서 한번에 등록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기(10)는 전자일련번호(ESN), 운용 파라미터를 읽고(S510), 단말기(10)에 할당된 모든 전화번호를 읽는(S520) 동시에 엑세스(Access) 채널을 통하여 상기의 읽은 등록정보를 해당 기지국(20)에 전송한다(S530).
상기의 단말기(10)는 해당 기지국(20)의 페이징(Paging) 채널을 통하여, 상기의 확인(Ack)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540), 상기의 판단결과(S540) 해당 기지국(20)으로부터 확인(Ack)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2 위치등록단계(S510)로 궤환하며, 상기의 확인(Ack)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는, 단말기(10)가 상기 교환국(30)에 의하여 위치등록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통신을 위한 준비 상태(즉, Idle 상태)로서, 기지국(20)으로부터 송신되는 페이징 채널을 감시한다(S550).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기(10)에 할당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정보를 해당 기지국(20)을 통하여 교환국(3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기에 할당된 다수의 전화 번호를 해당 기지국에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국에 해당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단말기가 새로운 기지국의 영역에 진입하거나 기지국과의 신규접속을 하는 기지국 변동이 있는지 판단하는 변동확인과정;
    상기 변동확인과정에서 기지국의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등록모드로 운용되어, 할당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한번에 등록할지 또는 여러번에 나누어 등록할지를 설정하는 등록절차 설정 과정;
    상기 설정 과정에 따라, 할당된 전화번호를 여러번에 나누어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의 개수를 계수기의 값으로 설정하고, 한번에 하나의 전화번호를 등록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과정을 계수기 값이 초기화 될 때까지 반복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등록과정;
    상기 설정 과정에 따라, 할당된 전화번호를 한번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모두 읽고 등록정보와 함께 한번에 기지국에 전송하는 등록과정; 및
    상기 등록과정을 수행 한 후,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변동확인과정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하는 종료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확인과정은,
    단말기가 기지국과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와,
    기지국의 영역에서 동작전원의 온 오프에 의하여 기지국과 신규 접속하는 경우와,
    일정한 시간 주기로 단말기가 기지국과 신규 접속을 반복하는 경우와,
    단말기의 동작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 변동에 의한 등록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번 등록과정은,
    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의 개수대로 계수기의 값을 설정하는 계수기값 입력단계와,
    단말기는 해당 메모리로부터 고유한 전자일련번호와, 운용파라미터를 읽는 동시에 할당된 다수의 전화 번호를 순서대로 하나만 읽고 엑세스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제1 위치 등록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상기 신호를 전송 받았다는 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여 수신하지 못한 경우는 상기 제1 위치 등록단계로 궤환하는 제1 확인단계와,
    상기 제1 확인단계에서 판단하여 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계수기 값으로부터 1 의 값을 뺀 후에 계수기의 값이 0 의 값과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계수기 판단단계와,
    상기 계수기 판단단계에서 계수기 값이 0 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1 위치 등록단계로 궤환하고, 계수기 값이 0 인 경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는 통신대기 상태의 제1 대기단계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번 등록과정은,
    단말기는 해당 메모리로부터 고유 전자일련번호와, 운용파라미터를 읽는 동시에 단말기에 할당된 모든 전화번호를 읽고, 엑세스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제2 위치등록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상기 신호를 전송 받았다는 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여 수신하지 못한 경우는 상기 제2 위치 등록단계로 궤환하는 제2 확인단계와,
    상기 제2 확인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확인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는 통신대기 상태의 제2 대기단계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KR20010043313A 2001-07-19 2001-07-19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KR100428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3313A KR100428666B1 (ko) 2001-07-19 2001-07-19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3313A KR100428666B1 (ko) 2001-07-19 2001-07-19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273A KR20030008273A (ko) 2003-01-25
KR100428666B1 true KR100428666B1 (ko) 2004-04-28

Family

ID=2771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43313A KR100428666B1 (ko) 2001-07-19 2001-07-19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6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273A (ko) 200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99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ode terminals
US7848750B2 (en) System for changing location registration
KR100703505B1 (ko)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GB2329303A (en)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0605828B1 (ko)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 방법
CN100531466C (zh) 多模移动通信终端及其操作方法
CN100557996C (zh) 蓝牙网络结构及蓝牙终端在不同蓝牙接入点切换的方法
CA2035306C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WO20050966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two networks during an ongoing communication
KR100428666B1 (ko)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KR1008370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KR1004080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CN105101329A (zh) 移动通信装置及其通信管理方法
KR100335141B1 (ko)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감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차단 등록 방법
KR10058432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02934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시스템 및 방법
KR100233096B1 (ko) 무선단말기의 가입자 신원 확인카드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JPH07303077A (ja) 無線電話装置
KR101102240B1 (ko)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3002156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방법
KR200300327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롯모드 전환 방법
KR100240290B1 (ko)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KR100273968B1 (ko) 차세대 무선 전화기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전화기의 위치 추적방법
JP2900721B2 (ja) 無線基地局の群制御方式
KR20000027205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