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542B1 -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표현방법 - Google Patents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표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542B1
KR100428542B1 KR10-2002-0012210A KR20020012210A KR100428542B1 KR 100428542 B1 KR100428542 B1 KR 100428542B1 KR 20020012210 A KR20020012210 A KR 20020012210A KR 100428542 B1 KR100428542 B1 KR 10042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coordinates
local
image
wave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918A (ko
Inventor
김윤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5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48Transform domain processing
    • G06T2207/20064Wavelet transform [DW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이 개시된다. 주어진 3차원 메쉬영상의 중심을 새로운 좌표계의 원점으로 설정하고, 주어진 3차원 메쉬영상의 각좌표를 새로운 좌표계로 변환한다. 좌표변환된 3차원 메쉬영상은 복수의 로컬메쉬로 분할되며, 분할된 로컬메쉬에 대해 경계좌표 및 내부좌표의 매핑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기본메쉬에 대한 분할레벨을 결정하고 기본메쉬를 분할한다. 분할된 기본메쉬에 대해 분할된 로컬메쉬의 매개변수를 결정한다. 재구성된 로컬메쉬의 경계부분을 합성함으로써, 초기에 주어진 3차원 객체의 효과적인 재구성으로 웨이블릿을 적용시킬 수 있는 객체로 변환시키며 이 변환된 객체는 다양한 해상도에서 계수와 함께 표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Method for expressing multiresolution scheme of three-dimensional image object based on wavelets}
본 발명은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규칙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원 메쉬에 대하여 웨이블릿 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재배열하여 3차원 영상객체의 압축, 저장, 점진적인 전송 및 효과적인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과 인터넷 활용의 확산, 3차원 영상 기기들의 출현으로 인해 3차원 영상객체는 전반적인 산업분야에 결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3차원 영상객체는 많은 저장 용량을 차지한다. 또한, 3차원 영상객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데 있어서 많은 부하를 야기시킨다. 나아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표현하는데 있어서 속도 및 시간 문제를 불러 올 수 있다. 웨이블릿 기법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은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다.
3차원 공간에서 웨이블릿(Wavelet)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객체를 다해상도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기저함수(basis function)가 정의되어야 한다.그 함수는 스케일링함수(scaling function)라고 하는와 웨이블릿이라고 하는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는 j라는 해상도에 있는 3차원 메쉬의 i라는 좌표에서 1의 값을 가지며 그외의 좌표에서는 0의 값을 가진다. 웨이블릿은와 같이 표현되며 스케일링함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함수들은 다해상도원리에 의해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시키는 두개의 행렬이 존재한다.
또한 역으로 필터뱅크(filter bank) 알고리즘에 의해 다음과 같은 식이 구해진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통해서 분석필터(analysis filter),와 합성필터(systhesis filter),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됨을 알 수 있다.
3차원 공간에서 기저함수들간의 직교(orthogonal)관계를 증명하고 웨이블릿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함수들간의 내적(inner product)이 새롭게 정의되어야 한다. 론스베리(Lounsbery)가 정의한 두 함수 f, g 사이의 내적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주어진 초기의 메쉬를 구성하는 삼각형들의 집합이며,를 구성하는 하나의 삼각형을 표현한다. 이 정의는 3차원 메쉬를 구성하는 모든 삼각형들이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5]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해상도 j에서 두개의 기저함수들간의 내적이다.
3차원 영상 객체 표면의 분할은 웨이블릿기법을 응용해서 접목시킬 수 있다. 3차원 공간에서 다해상도 표현을 위해 정의된 함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3차원 메쉬를 1:4 로 분할을 하면서 행렬로 표현되는 필터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상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삼각형은 순차적으로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도 1에서 M의 지수 0, 1, 2 등은 분할횟수를 나타내며, P 및 Q의 지수 1, 2 등은 각각의 분할단계에서의 합성필터를 의미한다.
초기에 주어진 3차원 영상 메쉬는 각각의 좌표들이 불규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좌표는 4개의 삼각형, 선분, 좌표에 연결되어 있고 어떤 좌표는 2개의 삼각형, 3개의 선분, 좌표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메쉬들은 어떠한 규칙적인 배열로 재구성되지 않는 한 웨이블릿 기법을 기반으로 한 다해상도 표현이 불가능 하다. '재메쉬(remeshing)' 알고리즘은 초기에 주어진 불규칙적인 연결성을 갖고 있는 메쉬들의 좌표들을 재비치함으로써 웨이블릿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Remeshing 알고리즘은 매핑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를 2차원 공간의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수결정법(parameterization)을 사용하여 웨이블릿을 적용할 수 있는 어떠한 규칙성을 갖는 이미지로 재구성한 후 다시 역으로 3차원 공간으로 재변환한다. 이러한 영상은 다해상도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에크(Eck)는 하모닉매핑(harmonic mapping)을 기반으로 하는 remeshing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하모닉매핑은 3차원 영상 표면에 대한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2차원 공간의 영상으로의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학적 도구들을 제공한다.
3차원 영상 패치(patch)의 경계부분을 볼록한 2차원 영상으로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가 존재할때 함수 b를 만족시키는 하모닉맵를 찾을 수 있다. 이것은 하모닉맵의 다음과 같은 에너지 함수를 최소화 시킬 때 해를 찾을 수 있다.
여기서,,는 초기에 주어진 3차원 영상 (D)의 좌표,의 하모닉맵을 통해 얻어진 2차원 이미지의 좌표들이고는 D의 에지(edge)를 따라 존재하는 탄성계수(spring constants) 이다.
론스베리와 에크가 제시한 방법은 3차원 영상 메쉬를 구성하는 모든 삼각형의 면적이 같다고 전제함으로써 기하학적인 복잡성이나 굴곡이 심한 부분에 대해서 효과적인 표현이 불가능하다. 또한 에크가 제시한 remeshing 기법은 주어진 메쉬의 패치를 얻는 과정에서 상당한 계산시간이 필요하며, 여러단계의 변수결정을 거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기에 주어진 3차원 영상 객체의 효과적인 저장 및 네트워크를 통한 신속한 전송, 그리고 표현의 다양함과 처리시간의 감소가 가능한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3차원 공간에서 규칙적인 비율로 분할되는 사면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의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는 초기에 주어진 3차원 메쉬영상 M 및 좌표가 변환된 3차원 메쉬영상 M'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매핑전의 로컬메쉬 및 컨포멀 매핑을 통해 얻어진 경계 매핑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심장 및 폐의 주어진 메쉬영상에 대한 하모닉매핑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2차원의 메쉬로 매핑된 주어진 3차원 메쉬영상 및 다양한 레벨로 분할된 후 2차원 공간으로 투영된 기본메쉬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다양한 분할레벨을 갖는 메쉬의 웨이블릿을 이용한 다해상도 표현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g 및 도 9a 내지 도 9e는 초기영상 및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해상도에 따른 결과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은, 3차원 메쉬영상의 좌표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메쉬영상을 복수의 로컬메쉬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로컬메쉬의 경계좌표 및 내부좌표를 매핑하는 단계; 기본메쉬에 대한 분할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기본메쉬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메쉬에 대해 분할된 상기 로컬메쉬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표변환단계는 상기 3차원 메쉬영상의 중심이 되는 좌표를 상기 3차원메쉬영상이 위치하는 좌표계의 원점으로 변환한다.
상기 매핑단계는, 상기 로컬메쉬의 중심좌표와 경계부위에 있는 좌표들을 복수의 선분이 이루는 각도와 길이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2차원 공간으로 변환하는 경계매핑단계; 및 하모닉맵을 이용하여 상기 로컬메쉬의 내부좌표들을 볼록한 이미지로 매핑하는 내부매핑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계매핑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는 상기 로컬메쉬의 중심좌표이고,를 둘러싸고 있는 경계부위의 좌표이며,는 상기 로컬메쉬의 중심좌표와 상기 경계부위의 좌표사이의 평균최단거리로서을 만족하고,이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매핑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의 1-이웃좌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메쉬분할단계는 상기 로컬메쉬의 각 좌표에서 계산된 굴곡도(curvature)와 분할된 8면체로 구성된 상기 기본메쉬의 각 삼각형에 존재하는 좌표들의 밀도를 기초로 상기 기본메쉬에 대한 상기 분할레벨을 결정하여 분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메쉬분할단계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메쉬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결정단계는 다음의 식에 의해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상기 메쉬간의 내적을 구함으로써 상기 필터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변수결정단계는 상기 로컬메쉬의 무게중심좌표를 산출하여 다양한 레벨로 분할된 후 2차원 공간에 투영된 상기 기본메쉬에 대해 2차원 공간내에서 매핑된 상기 로컬메쉬의 경계 및 내부의 매개변수를 결정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의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주어진 초기의 3차원 메쉬영상 M의 중심이 되는 좌표를 찾아 그 좌표가 초기의 3차원 메쉬영상 M이 위치하는 좌표계의 원점으로 설정하고 초기의 3차원 메쉬영상 M의 각 좌표를 변환한다(S200). 도 3에는 초기에 주어진 3차원 메쉬영상 M 및 좌표가 변환된 3차원 메쉬영상 M'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3차원 메쉬영상 M'를 근사적으로 비슷한 삼각형을 갖도록 하면서 2개의 로컬메쉬(local mesh) M1, M2로 분할한다(S210). 본 실시예에서는 메쉬영상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지만 메쉬영상은 2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된 각각의 로컬메쉬 M1, M2에 대해 경계좌표의 매핑과 내부좌표의 매핑을 수행한다(S220). 경계 매핑은 2개의 선분이 이루는 각도와 길이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2차원 공간으로 변환시키는 컨포멀 매핑(conformal mapping)을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로컬메쉬의 중심좌표와 경계부위에 있는 좌표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적용한다.
여기서,는 로컬메쉬의 중심좌표이고를 둘러싸고 있는 경계부위의 좌표이다.
로컬메쉬의 경계 매핑은 다음의 식을 적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도 4에는 매핑전의 로컬메쉬 및 컨포멀 매핑을 통해 얻어진 경계 매핑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좌표들의 매핑은 [수학식 7]의 에너지 함수를 다음과 같이 최소화시키면서 얻을 수 있다. 즉, [수학식 7]을 이용하면, 각 에지들을 스프링으로 간주하고 이들의 에너지를 최소가 되게 하는 매핑을 찾을 수 있다.
심장 및 폐의 메쉬에 대해 위와 같은 매핑을 통해 얻은 주어진 메쉬영상에 대한 하모닉매핑의 결과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좌표 및 내부좌표에 대한 매핑결과에 의해서 얻어지는 이미지는 분할된 영역을 가진 원이며, 초기의 3차원 메쉬영상 M과 동일한 연결을 가진다.
다음으로, 매개변수결정을 위한 기본메쉬를 구성한다(S230). 기본메쉬는 8면체로 구성된다. 다해상도 모델링을 위해서는 분할연결성(subdivision conectivity)이 있는 메쉬가 필요하다. 그러나 임의의 메쉬는 분할연결성을 갖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리메쉬과정을 통하여 원래 메쉬에 근접한 분할연결성을 가진 메쉬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리메쉬과정은 분할연결성이 있는 기본메쉬를 이용하여 원래 메쉬를 샘플링하는 작업이다. 이 때 원래 메쉬와 샘플링 도메인 메쉬와의 관계를 생성하는 방법이 변수결정이다.
기본메쉬는 로컬메쉬의 수와 동일한 수의 하위메쉬를 가지도록 분할된다(S240). 기본메쉬의 분할레벨은 원좌표의 국부적 굴곡 및 분할된 기본메쉬의 각 삼각형에 뿌려진 좌표들의 밀도를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립적으로 분할되거나 분할되지 않는 삼각형이 존재하지 않도록 분할레벨을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본메쉬의 분할과정은 일부영역에 대한 분할레벨을 결정하는 지역분할 및 전체영역에 대한 분할레벨을 결정하는 전역분할의 두과정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분할과정을 거친 기본메쉬는 2차원공간에 투영된 후 원을 형성하도록 변형된다(S250).
다양한 레벨로 분할된 후 2차원 공간에 투영된 기본메쉬에 대해 2차원 공간내에서 매핑된 로컬메쉬의 매개변수를 결정한다(S260). 매개변수결정은 각 로컬메쉬의 무게중심좌표를 산출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6에는 2차원의 메쉬로 매핑된 로컬메쉬 및 다양한 레벨로 분할된 후 2차원 공간으로 투영된 기본메쉬가 도시되어 있다.
경계변수결정에 의해 서로 다른 하위레벨로 재배열된 메쉬에 대한 통합이 가능하다. 즉, 이상의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어진 재배열된 메쉬로 구성된 3차원 영상은 다양한 레벨로 분할된 기본메쉬로부터 얻어진 분해, 통합필터를 통해서 다해상도로 표현될 수 있다.
3차원 영상표면에서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부분이나 굴곡이 심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좀더 세분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해상도 표현은 필터결정과정에서 해상도가 다른 두 함수들간의 내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다음과 같은 식을 필터결정시 내적을 구하는 과정에 추가하면 해상도가 다른 두 함수들간의 내적이 가능해진다.
한편, 직교관계에 있는 웨이블릿은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다양한 분할레벨을 갖는 메쉬의 웨이블릿을 이용한 다해상도 표현이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g 및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이 초기에 주어진 영상에 대하여 어떻게 작용하여 동작하는가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에 따르면, 초기에 주어진 3차원 객체의 효과적인 재구성으로 웨이블릿을 적용시킬 수 있는 객체로 변환시키며 이 변환된 객체는 다양한 해상도에서 계수와 함께 표현될 수 있다. 즉 가장 낮은 해상도의 3차원 객체와 중간과정에서 얻어진 계수를 함께 코딩하면 5배정도의 압축효과로 저장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가장 낮은 해상도에서부터 계수를 통해 점진적인 표현이 가능하며 원하는 해상도에서 편집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에서 이용되는 3차원 카탈로그, 엠펙동영상 압축기술에서 메쉬표현 등에 대한 표준화에 응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3차원 메쉬영상의 좌표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메쉬영상을 복수의 로컬메쉬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로컬메쉬의 경계좌표 및 내부좌표를 매핑하는 단계;
    기본메쉬에 대한 분할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기본메쉬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메쉬에 대해 분할된 상기 로컬메쉬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변환단계는 상기 3차원 메쉬영상의 중심이 되는 좌표를 상기 3차원메쉬영상이 위치하는 좌표계의 원점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단계는,
    상기 로컬메쉬의 중심좌표와 경계부위에 있는 좌표들을 복수의 선분이 이루는 각도와 길이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2차원 공간으로 변환하는 경계매핑단계; 및
    하모닉맵을 이용하여 상기 로컬메쉬의 내부좌표들을 볼록한 이미지로 매핑하는 내부매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매핑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여기서,는 상기 로컬메쉬의 중심좌표이고,를 둘러싸고 있는 경계부위의 좌표이며,는 상기 로컬메쉬의 중심좌표와 상기 경계부위의 좌표사이의 평균최단거리로서을 만족하고,이며,이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매핑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여기서,의 1-이웃좌표이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메쉬분할단계는 상기 로컬메쉬의 각 좌표에서 계산된 굴곡도와 분할된 8면체로 구성된 상기 기본메쉬의 각 삼각형에 존재하는 좌표들의 밀도를 기초로 상기 기본메쉬에 대한 상기 분할레벨을 결정하여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메위분할단계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메쉬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결정단계는 다음의 식에 의해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상기 메쉬간의 내적을 구함으로써 상기 필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결정단계는 상기 로컬메쉬의 무게중심좌표를 산출하여 다양한 레벨로 분할된 후 2차원 공간에 투영된 상기 기본메쉬에 대해 2차원 공간내에서 매핑된 상기 로컬메쉬의 경계 및 내부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 표현방법.
KR10-2002-0012210A 2002-03-07 2002-03-07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표현방법 KR100428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10A KR100428542B1 (ko) 2002-03-07 2002-03-07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표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10A KR100428542B1 (ko) 2002-03-07 2002-03-07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표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918A KR20030072918A (ko) 2003-09-19
KR100428542B1 true KR100428542B1 (ko) 2004-04-29

Family

ID=3222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210A KR100428542B1 (ko) 2002-03-07 2002-03-07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표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766B1 (ko) * 2021-01-07 2023-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세 단계 생성을 위한 밀도 값 기반 사면체 모델 분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281A (ja) * 1997-06-30 1999-01-29 Seiren Syst Service:Kk テクスチャマッピング方法
US5963209A (en) * 1996-01-11 1999-10-05 Microsoft Corporation Encoding and progressive transmission of progressive meshes
KR20000037731A (ko) * 1998-12-02 2000-07-05 윤덕용 웨이블릿 계수를 이용한 2차원 데이터의 삼각형 메쉬 근사 방법
JP2001350802A (ja) * 1994-11-18 2001-12-21 Hitachi Ltd 有限要素モデル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802A (ja) * 1994-11-18 2001-12-21 Hitachi Ltd 有限要素モデル生成装置
US5963209A (en) * 1996-01-11 1999-10-05 Microsoft Corporation Encoding and progressive transmission of progressive meshes
JPH1125281A (ja) * 1997-06-30 1999-01-29 Seiren Syst Service:Kk テクスチャマッピング方法
KR20000037731A (ko) * 1998-12-02 2000-07-05 윤덕용 웨이블릿 계수를 이용한 2차원 데이터의 삼각형 메쉬 근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918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9135B2 (en) Method of wavelets-based multiresolution representa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 object
Bulow Spherical diffusion for 3D surface smoothing
CN104616345B (zh) 一种基于八叉树森林压缩的三维体素存取方法
JP4398257B2 (ja) テクスチャ・イメージが使用する空間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Sheffer et al. Smoothing an overlay grid to minimize linear distortion in texture mapping
Mémoli et al. Distance Functions and Geodesics on Submanifolds of \R^d and Point Clouds
JP4216477B2 (ja) 選択的メッシュ細分化方法
CN110599535A (zh) 基于哈希表的高分辨率人体实时动态重建方法及装置
JPH11339063A (ja) 2進コード化データとして記憶されているオブジェクトの表面の滑らかな表面表現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Zhao et al. Visualization, analysis and shape reconstruction of sparse data
KR100428542B1 (ko) 웨이블릿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객체의 다해상도표현방법
JP4398785B2 (ja) 多次元データ符号化方法、多次元データ復号方法、テクスチャ画像作成方法及びそれら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それら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229398B2 (ja) 3次元モデリング・プログラム、3次元モデリング制御プログラム、3次元モデリング・データ伝送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3次元モデリング方法
Berjón et al.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static 3D mesh compression
Raffo et al. Data-driven quasi-interpolant spline surfaces for point cloud approximation
KR20030016477A (ko) 3차원 다각형 표면의 리메슁 최적화 방법 및 장치
CN114092625B (zh) 基于法线贴图的实时多尺度高频材质渲染方法及系统
Roerdink et al. Wavelet-based volume visualization
Hormann et al. Triangulating point clouds with spherical topology
Plonka et al. Easy path wavelet transform on triangulations of the sphere
Hormann From scattered samples to smooth surfaces
Mousa et al. Toward an efficient triangle-based spherical harmonics representation of 3D objects
KR100400608B1 (ko) 골격화를 이용한 3차원 체적소의 부호화 방법
Tang Application of non-parametric texture synthesis to image inpainting
Michikawa et al. Sparse grid distance trans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