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079B1 -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079B1
KR100426079B1 KR10-1999-0050371A KR19990050371A KR100426079B1 KR 100426079 B1 KR100426079 B1 KR 100426079B1 KR 19990050371 A KR19990050371 A KR 19990050371A KR 100426079 B1 KR100426079 B1 KR 100426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data
voice
operation contro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692A (ko
Inventor
서문환
송웅호
Original Assignee
송웅호
서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웅호, 서문환 filed Critical 송웅호
Priority to KR10-1999-005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0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는 컴퓨터로부터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부, 다운로드부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완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의 출력을 제어하는 데이터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완구제어부, 완구제어부의 출력인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동작제어코드를 출력하는 음성디코딩 처리부 및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여 동작제어코드에 따라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완구동작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동화나 동요의 음성 데이터 및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데이터를 완구장치의 저장부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여 아이들에게 새로운 동화나 동요를 들려줄 수 있고 요구되는 동작에 대해 완구가 동작하도록 하여 아이들에게 흥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Data downloading toy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또는 유선으로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이 즐겨 갖고 노는 여러가지 완구들 중 완구 자체의 내부에 동화나 동요의 음성들을 기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지고 있어 완구에 위치한 스위치의 동작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들을 들을 수 있는 완구들이 있다. 이러한 완구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음성들만을 들을 수 있을 뿐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내용들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고, 동화나 동요의 내용에 따라 완구에게 특정의 움직임을 유발시킬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완구장지는 아이들에게 기저장된 동일한 내용의 동화나 동요들을 들려주므로 아이들은 금방 완구를 가지고 노느데 실증을 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컴퓨터를 통해서 동화나 동요의 음성데이터 및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데이터를 완구장치의 저장부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여 아이들에게 새로운 동화나 동요를 들려줄 수 있고, 동시에 동화나 동요에서 요구되는 동작에 대해 완구가 동작하도록 하여 아이들에게 흥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구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에 응답하여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고, 동시에 그 메시지에 해당하는 동작을 완구가 하도록 할 수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센서 및 완구의 손에 위치한 스위치에 의해 완구 외부의 자극에 대해서 완구가 반응할 수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전지 소모 상태를 검출하여 전전지의 교체를 알려줄 수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완구장치의 다운로드부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완구장치의 외부 변화 감지부의 블록도,
도 4는 컴퓨터로부터 완구장치에 다운로드 할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성신호 압축부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완구장치가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 파일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기 위한 블록도 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는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로드 개시코드에 따라 음성데이타와 음성데이터에 동기되어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코드가 저장된 컴퓨터로부터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부, 다운로드부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완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의 출력을 제어하는 데이터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완구제어부, 완구제어부의 출력인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동작제어코드를 출력하는 음성디코딩 처리부 및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여 동작제어코드에 따라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완구동작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다운로드부는 음성데이타와 음성데이터에 동기되어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코드가 저장된 컴퓨터로부터 무선으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인터페이스부, 컴퓨터의 직렬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직렬로 수신하기 위한 직렬인터페이스부, 컴퓨터의 병렬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병렬로 수신하기 위한병렬인터페이스부 및 컴퓨터와 완구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무선인터페이스부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선택하여 데이터 저장부로 출력하고, 컴퓨터와 완구간에 직렬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직렬인터페이스부로 출력되는 직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선택하여 병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로 변환하여 병렬로 데이터 저장부로 출력하고, 컴퓨터와 완구간에 병렬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병렬인터페이스부로 출력되는 병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선택하여 데이터 저장부로 출력하는 다운로드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운로드부가 음성데이터, 동작제어코드 및 완구의 캐릭터를 구별해주는 완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와 완구 내부에 저장된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와 비교하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와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가 동일하면 다운로드부는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고,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와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가 동일하지 않으면 다운로드부는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지 못하는 캐릭터 인식처리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운로드부가 음성데이터, 동작제어코드 및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할 전송 데이터 용량을 나타내는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 잔여 메모리 용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가 잔여 메모리 용량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 다운로드부를 통해 컴퓨터에 다운로드 불가 신호를 출력하는메모리 용량 검사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1의 본 발명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는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로드 개시코드에 따라 음성데이타와 음성데이터에 동기되어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코드가 저장된 컴퓨터로부터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 (DII)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부(10), 다운로드부(10)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SD)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0), 완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SW_O)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DIO)의 출력을 제어하는 데이터 출력제어신호(OUTC)를 출력하는 완구제어부(30), 완구제어부(30)의 출력인 출력제어신호(OUTC)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DIO)를 수신하여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AD)를 출력하여 스피커(60)를 통하여 음성신호(AD)를 증폭하고, 동작제어코드(ICO1)를 출력하는 음성디코딩 처리부(40) 및 동작제어코드(ICO1)를 수신하여 동작제어코드(ICO1)에 따라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MOVE)를 출력하여 모터(70)를 구동시키는 완구동작 제어부(50)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다운로드부(10)가 음성데이터, 동작제어코드 및 완구의 캐릭터를 구별해주는 완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를 컴퓨터로부터다운로드 받는 경우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와 완구 내부에 저장된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CHR_CM)와 비교하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와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CHR_CM)가 동일하면 다운로드부(10)는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DII)를 다운로드 받고,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와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CHR_CM)가 동일하지 않으면 다운로드부(10)는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DII)를 다운로드 받지 못하는 캐릭터 인식처리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다운로드부(10)가 음성데이터, 동작제어코드 및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할 전송 데이터 용량을 나타내는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DWM)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DWM)와 현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 잔여 메모리 용량 데이터(CM)와 비교하여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DWM)가 잔여 메모리 용량 데이터(CM)를 초과하는 경우 다운로드부(10)를 통해 컴퓨터에 다운로드 불가 신호(DWDIS)를 출력하는 메모리 용량 검사부(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완구 외부에 설치된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감지하여 감지된 음성과 기저장된 음성(AD_M)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음성감지신호(AD_F)를 활성화시켜 출력하는 음성감지부(100) 및 다수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140)를 더 구비하여 음성감지부(100)의 출력인 음성감지신호 (AD_F)가 활성화되면 완구제어부(30)는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 및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SD)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완구의 손에 스위치(SW_H)를 설치하여 스위치(SW_H)의 온/오프 유무를 검출하는 스위치 검출부(110), 다수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140) 및 스위치(SW_H)가 온될때 완구의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완구움직임 명령코드가 저장된 명령 저장부(150)를 더 구비하여 스위치 검출부(110)에 의해 스위치(SW_H)가 온되면 완구제어부(30)는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하고, 명령 저장부(150)에 저장된 완구움직임 명령코드(ICO2)를 완구동작 제어부(50)로 출력하여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MOVE)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건전지 교환 메시지가 저장된 메시지 저장부(140), 완구에 내장된 건전지 전압을 검출하여 현재의 건전지 전압(CBAT)을 출력하는 전압검출부(121) 및 기준 전압(RBAT)과 전압검출부(121)의 출력인 현재의 건전지 전압 (CBAT)을 비교하여 현재의 건전지 전압(CBAT)이 기준 전압(RBAT) 보다 작으면 활성화된 건전지 교환 제어신호(BATCO)를 출력하는 전압비교부(122)를 구비하여 건전지 교환 제어신호(BATCO)가 활성화 되면 완구제어부(30)는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건전지 교환 메시지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완구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외부 변화 감지부(130), 외부 변화에 따른 다수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140) 및 외부 변화에 따라 완구의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완구움직임 명령코드가 저장된 명령 저장부(150)을 더 구비하여 외부 변화 감지부(130)에 의해 완구 외부의 환경 변화가 감지되면 완구제어부(30)는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하고, 명령 저장부(150)에 저장된 완구움직임 명령코드(ICO2)를 완구동작 제어부(50)로 출력하여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MOVE)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의 다운로드부(10)의 블록도 이다.
도 2의 본 발명의 다운로드부(10)는 음성데이타와 음성데이터에 동기되어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코드가 저장된 컴퓨터로부터 무선으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COLESS_DI)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인터페이스부(1), 컴퓨터의 직렬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S_DI)를 직렬로 수신하기 위한 직렬인터페이스부(2), 컴퓨터의 병렬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P_DI)를 병렬로 수신하기 위한 병렬인터페이스부(3) 및 컴퓨터와 완구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무선인터페이스부(1)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COLESS_DO)를 선택하여 데이터 저장부(20)로 출력하고, 컴퓨터와 완구간에 직렬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직렬인터페이스부(2)로 출력되는 직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S_DO)를 선택하여 병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로 변환하여 병렬로 데이터 저장부(20)로 출력하고, 컴퓨터와 완구간에 병렬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병렬인터페이스부(3)로 출력되는 병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P_DO)를 선택하여 데이터 저장부(20)로 출력하는 다운로드 처리부(4)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완구장치의 외부 변화 감지부의 블록도 이다.
도 3의 외부 변화 감지부(130)는 완구 외부의 광량을 검출하는 광센서 및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외부 광량과 기준 광량(RL)과 비교하는 광비교부(131)로 구성될 수 있고, 완구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외부 온도(OT)와 기준 온도(RT)와 비교하는 온도비교부(132)로 구성될 수 있고, 완구 외부의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센서 및 적외선센서로부터 검출된 외부 물체의 움직임 신호(MS)와 기설정된 물체의 움직임 신호(RMS)을 비교하는 물체 움직임 비교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컴퓨터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컴퓨터로부터 완구장치에 다운로드 할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성신호 압축부의 블록도 이다.
도 4의 음성신호 압축부는 동화나 동요의 아날로그 음성신호(A_AD)를 수신하여 이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음성데이터(D-AD)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_디지털 변환부(210), 디지털 음성데이터(D-AD)를 수신하여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지털 음성데이터(D-AD)를 압축시켜 압축음성 데이터(PD)를 발생시키는 음성압축부(220), 컴퓨터의 키보드나 전용 키패드(Key PAD)의 입력에 의해 동화나 동요의 아날로그 음성신호(A_AD)를 청취하면서 특정 부분에서 완구의 특정 부위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동작제어코드를 발생시켜 주는 동작코드 발생부(230), 압축음성 데이터(PD)와 동작제어코드(MC)를 수신하여 일정한 데이터 길이 단위인 프레임 패켓(Frame Packet)을 만들고 이것을 기본 구조로 하는 다수의 프레임 패켓들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을 발생시키는 데이터 파일 발생부(240) 및 데이터 파일 발생부(240)에 발생된 다수의 프레임 패켓들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서버(250)로 구성된다.
파일서버(250)는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를 사용하며, 동작코드 발생부(230)에 발생되는 동작제어코드(MC)는 압축음성 데이터(PD)와 동기가 된다. 즉, 완구를 가지고 노는 아이들은 완구장치의 스피커를 통해서 동화를 청취하고, 동시에 그 청취하고 있는 동화의 내용 중 손을 움직이는 동작이 있는 경우 완구는 손을 움직일 수 있다.
컴퓨터의 파일서버(250)는 파일서버(250)에 저장된 다수의 프레임 패켓들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을 완구장치로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 다운로드 개시 코드, 특정 완구에 대해서만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하기 위한 완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 및 다운로드할 데이터 파일의 용량을 나타내는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DWM)들이 저장된다.
도 1의 본 발명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다운로드부(10)는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로드 개시코드에 따라 도 4의 파일서버(250)에 저장된 음성데이타와 음성데이터에 동기되어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코드가 저장된 프레임 패켓의 데이터 파일을 컴퓨터로부터 완구장치로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구장치는 무선인터페이스부(1)에 의해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 파일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컴퓨터의 직렬포트나 병렬포트를 사용하여 완구장치의 직렬인터페이스부(2)나 병렬인터페이스부(3)를 통해 유선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5는 완구장치가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 파일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기 위한 블록도로, 컴퓨터의 직렬포트나 병렬포트로 연결된 무선송신부(260) 및 완구장치의 무선인터페이스부(1)에 연결된 무선수신부(270)로 구성되어, 무선송신부 (260)는 컴퓨터의 직렬포트나 병렬포트로 다운로드 개시코드를 무선으로 무선수신부(270)로 송신하면 무선수신부(270)에 연결된 무선인터페이스부(1)를 통해 다운로드 처리부(4)는 다운로드 가능 여부를 검출하여 다운로드가 가능하면 역으로 컴퓨터에 다운로드가 가능하다는 것을 무선으로 알려주고, 컴퓨터는 이에 응답하여 컴퓨터의 파일서버(250)에 저장된 음성데이타와 동작제어코드가 저장된 프레임 패켓의 데이터 파일을 무선송신부(260) 및 무선수신부(270)를 통해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COLESS_DI)를 무선인터페이스부(1)로 보내준다.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운로드 처리부(4)는 완구장치가 컴퓨터와 무선으로 다운로드를 하는지, 또는 직렬포트나 병렬포트를 사용하여 다운로드를 하는지를 판단하고, 무선으로 다운로드 하는 경우 무선인터페이스부(1)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COLESS_DO)를 선택하여 데이터 저장부(20)로 출력하고, 컴퓨터와 완구간에 직렬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직렬인터페이스부(2)로 출력되는 직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S_DO)를 선택하여 병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로 변환하여 병렬로 데이터 저장부(20)로 출력하고, 컴퓨터와 완구간에 병렬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병렬인터페이스부(3)로 출력되는 병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P_DO)를 선택하여 데이터 저장부(20)로 출력한다.
다운로드 처리부(4)는 다운로드 되는 데이터들이 올바르게 전송되었는 지의 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완구제어부(30)는 완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SW_O)가 온되면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DIO)를 읽어들이기 위해서 데이터 출력제어신호(OUTC)를 출력한다. 음성디코딩 처리부(40)는 출력제어신호 (OUTC)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DIO)를 읽어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분리하여 음성데이터는 디코딩하여 아날로그인 음성신호(AD)를 출력하여 스피커(60)를 통하여 음성신호(AD)를 증폭하여 출력하여 아이들에게 동화나 동요를 들려주고, 동작제어코드(ICO1)는 완구동작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완구동작 제어부(50)는 동작제어코드(ICO1)를 수신하여 동작제어코드 (ICO1)에 따라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MOVE)를 출력하여 모터(70)를 구동시켜 동화나 동요의 내용에 맞도록 완구의 특정 부위를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 외에 특정 완구의 캐릭터를 구별해주는 완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 캐릭터 인식처리부(80)는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와 완구 내부에 저장된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CHR_CM)와 비교하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와캐릭터 인식 비교코드(CHR_CM)가 동일하면, 즉 컴퓨터가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완구와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완구가 동일한 캐릭터를 갖는 경우 다운로드부(10)는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DII)를 다운로드 받고,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CHRC)와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CHR_CM)가 동일하지 않으면, 다운로드부(10)는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DII)를 다운로드 받지 못하도록 해준다.
예를들어 둘리의 형상을 한 완구장치에는 만화 주인공 둘리의 음성을 내는 성우의 음성데이터만을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시키고, 그 이외의 성우의 음성데이터는 다운로드 받지 못하게 하여 둘리 완구의 경우 아이들은 항상 만화 주인공 둘리의 음성으로 동화나 동요를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 외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할 전송 데이터 용량을 나타내는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DWM)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 메모리 용량 검사부(90)는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DWM)와 현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 잔여 메모리 용량 데이터(CM)와 비교하여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DWM)가 잔여 메모리 용량 데이터(CM)를 초과하는 경우 다운로드부(10)를 통해 컴퓨터에 다운로드 불가 신호(DWDIS)를 출력한다. 따라서 컴퓨터는 완구장치에 다운로드가 가능한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에서 음성감지부(100)는 완구 외부에 설치된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감지하여 감지된 음성과 기저장된 음성(AD_M)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음성감지신호(AD_F)를 활성화시켜 출력한다. 예를들어 기저장된 음성(AD_M)은 박수 소리나 휘파람 소리 등을 샘플링한 디지털 데이터로서 완구장치에 내부에 저장시키고, 완구 외부에 설치된 마이크(MIC)를 통하여 기저장된 음성(AD_M)과 동일한 박수 소리나 휘파람 소리가 감지된 경우 활성화된 음성감지신호(AD_F)를 출력한다. 활성화된 음성감지신호(AD_F)에 의해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한다. 예를들어 메시지 저장부(140)에 "안녕하세요", "지금부터 즐거운 시간을 가지세요" 등의 메시지의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여 활성화된 음성감지신호(AD_F)에 의해 메시지의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하여 스피커(60)를 통해 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를 다 들은 후에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SD)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하여 동화나 동요 등을 스피커(60)를 통해 들을 수 있다.
완구와 악수 등의 행위가 이루어지는 경우 스위치 검출부(110)는 완구의 손에 위치한 스위치(SW-H)가 온 된 것을 검출하며, 상기와 동일하게 메시지 저장부 (140)는 다수의 메시지, 예를들어 "만나서 반가워요" 등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여 스위치(SW-H)가 온 되면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하여 스피커(60)를 통해 메시지를 들을 수 있고, 동시에 명령 저장부(150)에 저장된 완구움직임 명령코드(ICO2)를 완구동작 제어부(50)로 출력하여 손 등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즉, 스피커(60)를 통해 "만나서 반가워요" 등의 메시지를 출력하고 동시에 손을 움직여서 완구가 마치 악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구장치는 건전지 교환 메시지가 저장된 메시지 저장부(140), 전압검출부(121) 및 전압비교부(122)에 의하여 완구장치에 내장된 건전지의 소모 상태를 검출하여 현재의 건전지 전압(CBAT)이 기설정한 기준 전압(RBAT) 보다 작으면 활성화된 건전지 교환 제어신호(BATCO)를 완구제어부(30)로 출력시켜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건전지 교환 메시지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 및 스피커(60)를 통해 들려줄 수 있다.
외부 변화 감지부(130)는 광센서 및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외부 광량과 기준광량(RL)과 비교하는 광비교부(131)로 구성되어 완구 외부의 광량을 검출하거나 온도센서 및 온도비교부(132)로 구성되어 완구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거나 적외선센서 및 물체 움직임 비교부(133)로 구성되어 완구 외부의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등의 완구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그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메시지 저장부(140)에 다수의 메시지를 저장하고, 동시에 완구가 외부환경에 따라 반응하도록 명령 저장부(150)에 완구움직임 명령코드를 저장하여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완구제어부(30)는 메시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디코딩 처리부(40)로 출력하고, 명령 저장부(150)에 저장된 완구움직임 명령코드(ICO2)를 완구동작 제어부(50)로 출력하여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메시지 저장부(140)는 컴퓨터로부터 특정의 메시지를 다운로드부(10)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예를들어 광센서에 의해 외부 환경이 어둡거나 밝은 경우 메시지 저장부(140)에 "이제 밤이구나", 이제 해가 떴구나" 등의 메시지를 저장하여 스피커(60)를 통해 완구는 그러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에 의해 온도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적외선센서에 의해 완구 가까이서 손을 흔드는 것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60)를 통해 메시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함과 동시에 명령 저장부(150)에 외부 환경에 따라 완구가 특정 행위를 하도록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컴퓨터를 통해서 동화나 동요의 음성 데이터 및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데이터를 완구장치의 저장부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여 아이들에게 새로운 동화나 동요를 들려줄 수 있고, 동시에 동화나 동요에서 요구되는 동작에 대해 완구가 동작 하도록 하여 아이들에게 흥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완구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에 응답하여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고, 동시에 그 메시지에 해당하는 동작을 완구가 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2)

  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켜 출력하는 스피커 및 완구를 움직이는 모터를 구비한 완구장치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로드 개시코드에 따라 음성데이타와 음성데이터에 동기되어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코드가 저장된 컴퓨터로부터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 수단;
    상기의 다운로드 수단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수단;
    완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상기의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의 출력을 제어하는 데이터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완구제어수단;
    상기의 완구제어수단의 출력인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의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상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동작제어코드를 출력하는 음성디코딩 처리수단;
    상기의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여 동작제어코드에 따라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상기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완구동작 제어수단;
    완구의 손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유무를 검출하는 스위치 검출수단;
    완구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외부 변환 감지수단;
    다수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수단; 및
    상기 스위치 검출수단의 스위치가 온될 때 완구의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완구움직임 명령코드와 외부 변화에 따라 완구의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완구움직임 명령코드가 저장된 명령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스위치 검출수단에 의해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완구제어수단은 상기 메시지 저장수단에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음성디코딩 처리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명령저장수단에 저장된 완구움직임 명령코드를 상기 완구동작 제어수단으로 출력하여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 변화 감지수단에 의해 완구 외부의 환경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완구제어수단은 상기 메시지 저장수단에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음성디코딩 처리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명령저장수단에 저장된 완구움직임 명령코드를 상기 완구동작 제어수단으로 출력하여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완구동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운로드 수단은
    음성데이타와 음성데이터에 동기되어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코드가 저장된 컴퓨터로부터 무선으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인터페이스수단;
    컴퓨터의 직렬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직렬로 수신하기 위한 직렬인터페이스수단;
    컴퓨터의 병렬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병렬로 수신하기 위한 병렬인터페이스수단; 및
    컴퓨터와 완구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상기의 무선인터페이스수단으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선택하여 상기의 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출력하고, 컴퓨터와 완구간에 직렬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상기의 직렬인터페이스수단으로 출력되는 직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선택하여 병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로 변환하여 병렬로 상기의 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출력하고, 컴퓨터와 완구간에 병렬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 상기의 병렬인터페이스수단으로 출력되는 병렬의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선택하여 상기의 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출력하는 다운로드 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완구장치는 상기의 다운로드 수단이 음성데이터, 동작제어코드 및 완구의 캐릭터를 구별해주는 완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 상기의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와 완구 내부에 저장된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와 비교하여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와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가 동일하면 상기의 다운로드 수단은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고, 캐릭터 인식 입력코드와 캐릭터 인식 비교코드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의 다운로드 수단은 컴퓨터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및 동작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지 못하는 캐릭터 인식처리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완구장치는 상기의 다운로드 수단이 음성데이터, 동작제어코드 및 상기의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할 전송 데이터 용량을 나타내는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 상기의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될 수 있는 잔여 메모리 용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의 다운로드 용량 정보 데이터가 잔여 메모리 용량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의 다운로드 수단을 통해 컴퓨터에 다운로드 불가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용량 검사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완구장치는
    완구 외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감지하여 감지된 음성과 기저장된 음성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음성감지신호를 활성화시켜 출력하는 음성감지수단; 및
    다수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의 음성감지수단의 출력인 음성감지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완구제어수단은 상기의 메시지 저장수단에 저장된 메시지 및 상기의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상기의 음성디코딩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외부 변화 감지수단은 완구 외부의 광량을 검출하는 광센서; 및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외부 광량과 기준 광량과 비교하는 광비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외부 변화 감지수단은 완구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외부 온도와 기준 온도와 비교하는 온도비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외부 변화 감지수단은 완구 외부의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센서; 및
    적외선센서로부터 검출된 외부 물체의 움직임과 기설정된 물체의 움직임을 비교하는 물체 움직임 비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완구장치는
    건전지 교환 메시지가 저장된 메시지 저장수단;
    완구에 내장된 건전지 전압을 검출하여 현재의 건전지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검출수단; 및
    기준 전압과 상기의 전압검출수단의 출력인 현재의 건전지 전압을 비교하여 현재의 건전지 전압이 기준 전압 보다 작으면 활성화된 건전지 교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비교수단을 구비하여 건전지 교환 제어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의 완구 제어수단은 상기의 메시지 저장수단에 저장된 건전지 교환 메시지를 상기의 음성디코딩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운로드 수단이 음성데이터와 음성데이터에 동기되어 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코드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상기의 컴퓨터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_디지털 변환수단;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압축시켜 압축음성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음성압축수단;
    상기의 컴퓨터의 키패드의 입력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청취하면서 완구의 동작을 제어해 주는 동작제어코드를 발생시켜 주는 동작코드 발생수단;
    압축음성 데이터와 동작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일정한 데이터 길이 단위인 프레임 패켓을 만들고, 프레임 패켓을 기본 구조로 하는 다수의 프레임 패켓들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을 발생시키는 데이터 파일 발생수단; 및
    상기의 데이터 파일 발생수단에 발생된 다수의 프레임 패켓들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KR10-1999-0050371A 1999-11-12 1999-11-12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KR100426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371A KR100426079B1 (ko) 1999-11-12 1999-11-12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371A KR100426079B1 (ko) 1999-11-12 1999-11-12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692A KR20000053692A (ko) 2000-09-05
KR100426079B1 true KR100426079B1 (ko) 2004-04-03

Family

ID=1961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371A KR100426079B1 (ko) 1999-11-12 1999-11-12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14B1 (ko) 2017-12-04 2019-04-08 주식회사 로시 코딩 교육을 위한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174A (ko) * 2000-01-13 2001-08-11 신요식 장난감의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96754B1 (ko) * 2000-08-18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우편을 이용한 완구형 로봇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734652B1 (ko) * 2001-02-09 2007-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완구의 광고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30024152A (ko) * 2001-09-17 2003-03-26 앳폰 주식회사 무선환경 장난감의 인터넷을 통한 컨텐츠 제공방법
KR20030087811A (ko) * 2002-05-10 2003-11-15 로보랜드(주) 인공지능형 로봇완구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93257B1 (ko) * 2002-06-01 2005-06-03 (주)중인아이줄 학습을 위한 전자 완구 시스템 및 그 학습 결과 모니터링방법
KR100497436B1 (ko) * 2002-11-19 2005-07-01 주식회사 인성전자 리모트 컨트롤 카의 엔진보호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994A (en) * 1995-11-09 1997-06-10 Tong; Vincent M. K. Interactive computer controlled doll
US5873765A (en) * 1997-01-07 1999-02-23 Mattel, Inc. Toy having data downloading s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994A (en) * 1995-11-09 1997-06-10 Tong; Vincent M. K. Interactive computer controlled doll
US5873765A (en) * 1997-01-07 1999-02-23 Mattel, Inc. Toy having data downloading s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14B1 (ko) 2017-12-04 2019-04-08 주식회사 로시 코딩 교육을 위한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692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3466B (zh) 数字采样重放门铃系统
JP3855653B2 (ja) 電子玩具
KR100360722B1 (ko)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KR100426079B1 (ko)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WO2007050582A2 (en) Sampling playback doorbell system
US20130143482A1 (en) Media Delivery System and a Portable Communications Module for Audio and Remote Control of Interactive Toys or Devices
KR101196249B1 (ko)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WO2010031233A1 (zh) 一种智能玩具及其使用方法
EP3827601A1 (en) Throwable microphone lighting with light indication
KR100375699B1 (ko) 토이와 연계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0352028B1 (ko)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JP4337167B2 (ja) 情報着信通知装置、情報送信方法および情報着信通知システム
KR100351334B1 (ko)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한 음성 인식 완구장치
KR100342654B1 (ko) 제어 신호 및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는 대화형 인형
KR100273104B1 (ko) 상호반응하는완구및작동방법
KR20000058291A (ko) 인터넷 인형 및 이의 구동 시스템
KR200269231Y1 (ko) 유아용 모빌
KR100359272B1 (ko) 캐릭터용 핸드폰
JP2003337591A (ja) 子守りシステム
US11461068B2 (en) Display device
JP4517751B2 (ja) マルチメディア実行システム及び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の実行方法
KR100606262B1 (ko) 양방향 원격시동경보기
WO2004094016A2 (en) Interactive system for generating local and remote responses
KR200263159Y1 (ko) 유아용 모빌
KR200205545Y1 (ko) 캐릭터용 핸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