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959B1 - 가로수 보호지지대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959B1
KR100425959B1 KR10-2001-0048365A KR20010048365A KR100425959B1 KR 100425959 B1 KR100425959 B1 KR 100425959B1 KR 20010048365 A KR20010048365 A KR 20010048365A KR 100425959 B1 KR100425959 B1 KR 10042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roadside
support plat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035A (ko
Inventor
신여주
Original Assignee
신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여주 filed Critical 신여주
Priority to KR10-2001-004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9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가로수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자유자재로 변형되는 가로수 보호지지대는 가로수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각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가로수를 밀착 지지하는 지지판, 및 지지판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나선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깊이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로수 보호지지대{DEVICE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ROADSIDE TREE}
본 발명은 가로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가로수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자유자재로 변형되는 가로수 보호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가로수 지지대는 가로수가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한 버팀목 형태로 출발하여 현재는 매우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1997년 7월 28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97-53096호를 보면, 가로수를 감싸는 홀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로수 지지대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가로수가 성장할 때 가로수가 홀더에 방해받지 않고 자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1998년 9월 11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8-68807호에는 가로수를 감싸는 밴드를 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에 스프링간을 설치하여 바람 등에 의해 가로수가 움직일 때 지지대가 본래의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탄력적으로 가로수를 지지할 수 있는 "가로수 지주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로수 지지대는 가로수를 감싸는 홀더 또는 밴드가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로수의 다양한 종류나 크기에 모두 적합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규격제품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일단 홀더나 밴드가 설치된 후에 가로수가 성장하게 되면, 가로수의 둘레가 늘어나는데 비해 홀더 또는 밴드는 일정한 크기를 계속 유지하므로, 가로수 성장에 방해가 된다.
결국, 종래의 가로수 지지대는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서 홀더 또는 밴드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주거나, 처음 설치할 때 가로수의 직경보다 더 큰 규격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가로수 지지대는 가로수 성장에 방해가 됨은 물론, 잦은 교체로 인해 불필요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가로수를 감싸는 프레임의 간격이 자유자재로 조절되어 가로수의 종류 및 성장에 관계없이 다양한 가로수에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로수 보호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의 지지판 및 깊이조절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지지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의 지지대 각도조절부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에 설치된 지지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2..간격조절부 14..너트형 회전부
16..제1 나선구멍 18..제2 나선구멍 20..지지판
22..깊이조절부 28..드라이버 홈 30..지지대
31..고정편 32..지지대 결합부 38..걸림턱
40..각도조절부 42.돌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는 가로수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각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 및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로수 보호지지대는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가로수를 밀착 지지하는 지지판, 및 지지판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나선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깊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나선구멍은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깊이조절부의 외측 단부에는 깊이조절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홈이 형성된다.
또한, 간격조절부의 양단부는 프레임의 측부에 형성된 제2 나선구멍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간격조절부에는 간격조절부의 회전을 돕기 위한 너트형 회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대와 프레임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각도조절부는 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턱, 및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어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녹이 슬지 않는 재질의 고정편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를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러한 가로수 보호지지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로수 보호지지대는 가로수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10)을 구비한다. 각 프레임(10)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 프레임(10) 사이에는 간격조절부(12)가 설치되어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프레임(10)은 대략적으로 외주면이 각지고 내주면이 내측으로 굴곡진 라운드로 형성되며, 모든 프레임이 가로수 둘레에 배치되면 외부는 대략적인 팔각형을 이루고 내부는 대략적인 원형을 이룬다. 그러나, 프레임(1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로수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간격조절부(12)는 프레임(10)의 측부에 형성된 나선구멍(18)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프레임(10)은 양측부에 모두 나선구멍(18)을 구비하여, 간격조절부(12)의 양단부가 인접한 프레임(10)의 나선구멍(18)에 모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레임(10)의 나선구멍(18)에 나사결합된 간격조절부(12)는 회전에 의해서 인접한 프레임(10)의 간격을 넓히기도 하고 좁히기도 한다.
이때, 간격조절부(12)는 충분한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조절부(12)가 지나치게 가늘 경우,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레임(10)도 상하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나선구멍(18) 주변에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볼록한 형상은 프레임(10)의 좌우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절부(1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간격조절부(12)의 대략 중심위치에 너트형 회전부(14)를 형성할 수 있다. 너트형 회전부(14)는 대략 육각기둥 형태의 너트모양으로 된 강체를 간격조절부(12)의 중심부에 설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너트형 회전부(14)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서 간격조절부(12)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러한 간격조절부(12) 및 너트형 회전부(14)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간격조절부(12)의 간격조절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격조절부(12)는 인접한 양측 프레임에 모두 나사결합되는데, 이때 나사결합의 나선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즉, 간격조절부(12)를 한쪽으로 돌리면 양측 프레임과의 나사결합은 모두 풀리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양측 프레임이 동시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간격조절부(12)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양측 프레임과의 나사결합은 모두 조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양측 프레임이 동시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간격조절부(12)를 한 번 회전시키면 양측 프레임은 나선 피치의 두 배 길이만큼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프레임(10)의 내측에는 또한 프레임(10) 내에 배치되는 가로수에 밀착되어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0)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20)은 깊이조절부(22)에 의해서 프레임(10)에 깊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깊이조절부(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프레임(10)의 내측에도 또한 이에 대응하는 나선구멍(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판(20)은 깊이조절부(22)를 회전시킬 때 나선구멍(16)을 따라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지지판(20)과 깊이조절부(22)는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판(20)은 좌우의 폭이 점차 넓어지며 앞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데, 이러한 형상은 가로수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한다. 또한, 지지판(20)은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서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판(20)은 탄성력에 의해서 가로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지지판(20)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지지판(20)은 세로방향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설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깊이조절부(22)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나선구멍(16)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러한 깊이조절부(22)는 단부에 삽입돌기(24)가 형성되는데, 삽입돌기(24)는 지지판(20)에 형성된 삽입구(26)에 삽입되어, 깊이조절부(22)와 지지판(20)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삽입구(26)는 지지판(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판(20)은 삽입구(26)가 설치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어, 삽입구(26)가 가로수 표면에 직접 닿는것을 방지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돌기(24)는 삽입구(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어떠한 형태의 것도 가능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끝부분이 갈라진 형태를 적용하였다. 끝부분이 갈라진 삽입돌기(24)는 갈라진 틈을 좁힌 상태로 삽입구(26)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일단 삽입된 후에는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틈이 벌어지게 되어 삽입구(26)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깊이조절부(22)의 외측 단부에는 깊이조절부(2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드라이버 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 홈(28)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스크루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깊이조절부(22)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판(20) 이동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경우 드라이버 홈(28)에 스크루드라이버를 접근시키기 위해서 나선구멍(16)은 프레임(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의 하부에는 프레임(10)을 지면과 떨어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30)가 설치된다. 지지대(30)는 일반적으로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이 외에 다른 변형도 충분히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대(30)의 하단에는 별도의 고정편(31)이 설치된다. 고정편(31)은 지지대(30)의 하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단부가 뽀족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쉽게 박힐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로수 주변의 지표면은 빗물과 같은 외부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지면에 박히는 고정편(31)은 녹슬지 않으면서도 강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지지대(30)는 프레임(10)과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지면에 고정되는데, 이때 지지대(30)와 프레임(10) 사이의 각도는 최초 설치된 상태에서 변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지지대(30)와 프레임(10) 사이의 각도가 쉽게 변경된다면, 가로수를 지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대(30)와 프레임(10)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의 하단에는 지지대(30)를 프레임(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대 결합부(32)가 형성된다. 지지대 결합부(32)는 내부에 지지대(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격 내에는 지지대(30)의 상단부에 설치된 각도조절부(40)가 삽입된다.
이때, 지지대 결합부(32)에는 소정 위치에 걸림턱(38)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38)에는 각도조절부(40)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42)가 걸려서 고정되게 된다. 이 돌출부(42)는 각도조절부(4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걸림턱(38)은 각 돌출부(42)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30)를 일정한 각도로 조절한 상태에서 볼트(36)와 너트(37)를 결합하면, 해당하는 돌출부(42) 사이에 걸림턱(38)이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대(30)의 설치각도가 고정되게 된다.
돌출부(42)가 형성된 각도조절부(40)는 지지대(30)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대(30)와 각도조절부(40)를 별도로 제작한 후, 각도조절부(40)를 지지대(30)에 끼움으로써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각도조절부(40)가 마모되거나 파손된 경우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4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 등의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각도조절부(40)는 볼트(36)와 너트(37)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변형할 수도 있다. 즉, 볼트(36)와 너트(37)의 결합위치에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게 되면, 각도조절부(40)와 지지대 결합부(3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소정의 힘을 가하면 걸림턱(38)으로부터 돌출부(42)를 탈거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네 개의 프레임(10)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지지대(30) 또한 네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대(30)의 개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지지대 결합부(32)에 하나의 지지대(30')를 결합시킴으로써, 세 개의 지지대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지지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되는 하나의 연장파이프가 상부에서는 둘로 분기되어 각각의 지지대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 밑에는 주물판을 설치할 수 있는데, 지지대(30)가 네 개로 구성된 경우에는 사각형 주물판을, 지지대가 세 개로 구성된 경우에는 반원형 주물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 가로수 보호지지대는 네 개의 프레임(1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된 프레임(10)의 개수는단지 바람직한 한 예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개수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가로수를 중간에 둔 상태로 간격조절부(12)를 프레임(10)의 나선구멍(18)에 나사결합하여 다수의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한다. 이때, 프레임(10)은 가로수를 완전히 밀착하지 않은 상태이며, 또한 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된 지지판(20)은 내부에 최대한 넓은 공간을 두도록 프레임(10)에 밀착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너트형 회전부(14)를 이용하여 간격조절부(12)를 돌림으로써 각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가로수의 둘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한다.
그 후, 사용자는 가로수 주변의 지형 등을 고려하여 지지대(30)가 설치될 위치를 정하고, 그 위치에 맞게 지지대(30)의 각도를 조절한다. 지지대(30)의 각도를 결정하게 되면, 그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돌출부(42)를 걸림턱(38)으로 밀어 설치각도가 고정되게 한다. 그 후, 사용자는 볼트(36)와 너트(37)를 이용하여 각도조절부(4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프레임(10)에 설치된 깊이조절부(22)를 회전시킴으로서 지지판(20)이 가로수에 밀착할 수 있도록 안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깊이조절부(22)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스크루드라이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가로수 보호지지대는 가로수와 주변 지형에 꼭 맞는 형태로 변형되므로, 가로수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게 된다.
또한, 일단 가로수 보호지지대를 설치한 후,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가로수 보호지지대가 적합하지 않게 될 경우, 단지 스크루드라이버 등으로 깊이조절부(22)를 회전시켜 지지판(20)을 뒤로 약간 후퇴시키기만 하면, 가로수가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프레임(10)의 간격이 자유자재로 조절되기 때문에, 가로수 보호지지대를 정사각형 형태는 물론 직사각형 형태로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지지대는 가로수의 종류 및 주변지형에 관계없이 가로수를 효율적으로 보호 및 지지할 뿐만 아니라,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필요 없이 동일한 지지대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지지대는 가로수 둘레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간격 및 프레임 내에서 가로수와 밀착하는 지지판의 설치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굵기가 다른 가로수를 모두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대를 가로수 주변의 지형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설치각도 조절은 단순히 볼트와 너트를 풀어 지지대의 각도를 바꾼 다음, 다시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단순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지지대의 개수를 세 개 또는 네 개로 변형할 수 있으므로, 가로수 주변의 환경에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로수가 성장함에 따라 지지판을 이동시켜줌으로써, 설비 자체를 교환하지 않고도 동일한 가로수 보호지지대를 영구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이에 따른 부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가로수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각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의 양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 형성된 제2 나선구멍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간격조절부에는 상기 간격조절부의 회전을 돕기 위한 너트형 회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가로수를 밀착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나선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깊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지지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나선구멍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깊이조절부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깊이조절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지지대.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지지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녹이 슬지 않는 재질의 고정편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지지대.
KR10-2001-0048365A 2001-08-10 2001-08-10 가로수 보호지지대 KR10042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365A KR100425959B1 (ko) 2001-08-10 2001-08-10 가로수 보호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365A KR100425959B1 (ko) 2001-08-10 2001-08-10 가로수 보호지지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806U Division KR200253393Y1 (ko) 2001-08-24 2001-08-24 가로수 보호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035A KR20030014035A (ko) 2003-02-15
KR100425959B1 true KR100425959B1 (ko) 2004-04-08

Family

ID=2771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365A KR100425959B1 (ko) 2001-08-10 2001-08-10 가로수 보호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930B1 (ko) 2008-04-23 2010-12-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목 보호 지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2846U (ko) * 1975-09-22 1977-03-26
KR910002258A (ko) * 1989-06-30 1991-01-31 이헌조 Tv 안테나 방향 자동 절환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2846U (ko) * 1975-09-22 1977-03-26
KR910002258A (ko) * 1989-06-30 1991-01-31 이헌조 Tv 안테나 방향 자동 절환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930B1 (ko) 2008-04-23 2010-12-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목 보호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035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0045A (en) Flower saddle for tombstones
ES2289988T3 (es) Placa para huesos.
KR100666089B1 (ko)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
US20170127621A1 (en) Plant trellis base for a bucket
US5440834A (en) Single fastener plant support ring for use with a t-shaped upright post
KR100730703B1 (ko) 수목성장보호대
KR100425959B1 (ko) 가로수 보호지지대
KR200253393Y1 (ko) 가로수 보호지지대
KR20090033984A (ko) 지지대가 구비된 가로수 보호 덮개
KR20110003724U (ko) 크기조절용 화분
US7438274B2 (en) Adjustable foot for setting up equipment in alignment
KR100630808B1 (ko) 건축단지 내 가로수 보호대 구조
KR20100050189A (ko) 가로수 보호기구
GB2274571A (en) Plant support
EP0705535B1 (en) Modular support for transplanted plants
US5782597A (en) Stud retention device
JPS63120908A (ja) クリツプ
KR200395960Y1 (ko) 각도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수목 보호용 지지구
US4454681A (en) Method and means of securing a plant pot to a shelf
CN213153209U (zh) 一种绿化用支架
ES2178934B2 (es) Dispositivo para incorporacion en un perno roscado.
US5964057A (en) Plant holder
KR200268446Y1 (ko) 나무지지대
US20060150483A1 (en) Tree support assembly
JP2011065867A (ja) ソーラーランプ用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