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591B1 -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591B1
KR100425591B1 KR10-2000-0047445A KR20000047445A KR100425591B1 KR 100425591 B1 KR100425591 B1 KR 100425591B1 KR 20000047445 A KR20000047445 A KR 20000047445A KR 100425591 B1 KR100425591 B1 KR 10042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ed
cow
cholesterol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267A (ko
Inventor
최형석
남기택
Original Assignee
최형석
남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석, 남기택 filed Critical 최형석
Priority to KR10-2000-004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5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가 개시된다. 상기 소의 사료용 약제는 물 1ℓ에 대하여, 인동등 : 도라지 : 연초 : 호박 : 박 : 유근 : 어성초 : 당귀 : 천궁 : 대맥 : 흑대두 = 1.5중량 % : 1.5중량 % : 1.3중량 % : 31.7중량 % : 31.7중량 % : 1.5중량 % : 0.2중량 % : 0.2중량 % : 0.2중량 % : 15.1중량 % : 15.1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여 3∼4시간 중탕한 후 원액을 제거한 약제부산물 600g과 생지황 50g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일반사료와 함께 생지황 50g과 약제부산물 600g을 혼합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의 사료용 약제를 하루에 한번 소에게 급여하면 소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되고 체중이 많이 증가한다.

Description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MEDICAL COMPOUND FOR FEED OF CATTLE CAPABLE OF REDUCING CHOLESTEROL AND GAINING WEIGHT}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료를 소에게 급여하였을 때에는 소의 체중이 많이 증가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는, 물 1ℓ에 대하여 인동등 : 도라지 : 연초 : 호박 : 박 : 유근 : 어성초 : 당귀 : 천궁 : 대맥 : 흑대두 = 1.5중량 % : 1.5중량 % : 1.3중량 % : 31.7중량 % : 31.7중량 % : 1.5중량 % : 0.2중량 % : 0.2중량 % : 0.2중량 % : 15.1중량 % : 15.1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여 3∼4시간 중탕한 후 원액을 제거한 약제부산물 600g과 생지황 50g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의 사료용 약제에 사용되는 약제는 인동등, 도라지, 연초, 호박, 박, 유근, 어성초, 당귀, 천궁, 대맥 및 흑대두로써, 이들 약제의 효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동등에는 Luteol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효능은 계절성감기의 발열, 구갈 및 동통의 증상을 치료하고, 전염성 간염을 치료하며, 세균성이질 및 장염을 치료한다. 도라지에는 Saponin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효능은 가래를 삭히고, 혈당을 저하시키며, 폐 농양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연초의 주성분은 Nicotine으로서 기생충 및 어혈을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안치는 효능이 있다. 호박은 부기를 가라 안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박은 창만을 제거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며, 하혈을 막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유근은 대장의 출혈 및 수종을 치료한다.
어성초 항균, 항바이러스 및 이뇨작용을 한다. 또, 지혈작용과 장액의 분비를 억제시키며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킨다. 당귀는 만성기간지염을 치료하고 근육, 관절통 및 신경통을 치료하며, 천궁은 보혈 및 항균작용을 한다.
대맥에는 Allantoin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화를 촉진시킨다. 흑대두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카로틴, 비타민B1, 비타민B2 및 니코틴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피를 잘순환시키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풍을 제거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와 같은 약제들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의 사료용 약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물 1ℓ에 대하여 인동등 12g, 도라지 12g, 연초 10g, 호박 250g, 박 250g, 유근 12g, 어성초 2g, 당귀 2g, 천궁 2g, 대맥 120g 및 흑대두 120g을 넣는다. 물 1ℓ에 대한 상기 약제들의 중량비는 인동등 : 도라지 : 연초 : 호박 : 박 : 유근 : 어성초 : 당귀 : 천궁 : 대맥 : 흑대두 = 1.5±0.1중량 % : 1.5±0.1중량 % : 1.3±0.1중량 % : 31.6±1.0중량 % : 31.6±1.0중량 % : 1.5±0.1중량 % : 0.2±0.05중량 % : 0.2±0.05중량 % : 0.2±0.05중량 % : 15.1±0.5중량 % : 15.1±0.5중량 %이다.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상기 약제들을 넣고 약 3-4시간 정도 중탕하여 원액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원액을 추출한 후에 잔존하는 약제부산물에 생지황을 섞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의 사료용 약제가 제조된다.
지황(Rehmannia hlutinosa)이란 근경(根莖)으로 현삼과에 속한 다년생 초목으로 생지황, 건지황 및 숙지황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생지황이란 가을에 채취한 신선한 뿌리를 말한다.
지황은 Catapol, Phytosterol류, 당류, 아미노산, Iridoid glycosides, Inorganic elements, Chyseoriol, Leteolin 등을 함유하며, 보혈 강장의 효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빈혈, 허약, 당뇨병 치료에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의 사료용 약제인 상기 약제부산물 및 상기 생지황을 소에게 각각 급여하였을 때와 일반사료를 소에게 급여하였을 때의 증체량을 비교 분석하여 설명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소는 비거세 한우로서, 380㎏±15㎏ 전후의 소를 3두씩 한 군으로 분류하여 11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1개월에 한번씩 측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이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된 일반사료는 시판중인 배합사료(비프텍 한우스페셜, 퓨리나)를 사용하였다.
먼저, 일반사료와 약제부산물 및 지황의 성분을 살펴본다.
[표 1]표 1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일반사료, 생지황 및 약제부산물의 성분은 유사하며 성분의 조성비만 다르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대조구란 일반사료만을 급여한 소군을 말하고, 생지황급여구란 일반사료와 함께 상기의 생지황을 하루에 한마리당 50g씩 급여한 소군을 말하며, 약제부산물급여구란 일반사료와 함께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부산물을 하루에 한마리당 600g씩 급여한 소군을 말한다.
생지황급여구와 약제부산물급여구와 일반사료만을 급여한 대조구의 소들이 섭취한 하루의 사료량을 표 2에 보인다.
[표 2] 표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구의 경우에는 한 마리당 하루에 평균 8.41kg의 사료를 섭취한다. 그리고, 생지황급여구의 소는 한 마리당 하루에 8.24㎏의 사료를 섭취하고, 약제부산물급여구의 소는 한 마리당 하루에 8.33㎏의 사료를 섭취한다.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료의 섭취량은 대조구〉약제부산물급여구〉생지황급여구의 순으로 나타난다.
육성기의 소에게 표 2와 같이 사료를 급여하였을 경우 각 구에 속한 소들의 증체량을 표 3에 보인다.
[표 3]표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구의 소들은 하루에 평균 838.19g, 생지황급여구의 소들은 하루에 평균 1,059.67g, 약제부산물 급여구의 소들은 하루에 평균 911.52g씩 체중이 증가한다. 즉, 소의 증체량은 생지황급여구〉약제부산물급여구〉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난다. 생지황급여구의 소들의 증체량이 높은 것은 생지황에 함유된 Rehmannioside 성분이 혈당강하작용을 일으켜, 여분의 포도당이 생산성 합성에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실험기간동안의 사료효율을 살펴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사료효율을 "체중증가/사료섭취량=사료효율"이라고 정의한다.
[표 4]표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사료효율은 약제부산물급여구〉생지황급여구〉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난다.
다음에는 각 구들에 속한 소들의 혈중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함량변화를 살펴본다.
[표 5]표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구의 소들이 함유하는 Cholesterol량은 평균 123.28㎎/㎗로 최초상태 108.66㎎/㎗ 보다 높다. 반면, 생지황급여구 및 약제부산물 급여구의 소들이 함유하는 Cholesterol량은 각각 평균 127.57㎎/㎗ 및 124.71㎎/㎗로 최초상태 149,00㎎/㎗ 및 132.66㎎/㎗ 보다 낮다. 그러므로, 생지황급여구 및 약제부산물급여구의 소들은 성인병의 초기증상을 나타내는 동맥경화증의 발병지수인 동맥경화지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리하면, 생지황급여구 및 약제부산물급여구의 소들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의 소들의 사료섭취량보다 낮다. 그리고, 사료효율은 생지황급여구와 대조구의 소들 사이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으나, 약제부산물급여구의 소들이 대조구의 소들보다 높다. 그리고, 증체량에 있어서는 생지황급여구 및 약제부산물급여구의 소들이 대조구의 소들에 비하여 각각 22% 및 7% 증가한다. 그러므로, 생지황 50g 및 약제부산물 600g을 혼합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의 사료용 약제를 일반사료와 함께 소에 급여하면, 소들의 증체량이 더욱 증가한다.
또, 생지황급여구 및 약제부산물급여구의 소들이 함유하는 Cholesterol의 량은 생지황 및 약제부산물이 급여되지 않았을 경우보다 현저하게 감소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생지황 및 약제부산물을 혼합한 사료용 약제를 일반사료와 함께 소에 급여하면, 소들의 Cholesterol량이 더욱 감소한다.또, 소(성우 및 송아지를 포함한다)의 축산에 있어서는 호흡기 질환 및 설사로 인해 많은 소가 패사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의 사료용 약제에는 호흡기 질환 및 설사를 치료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소의 호흡기 질환 및 설사로 인한 패사율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일반사료와 함께 생지황 50g과 약제부산물 600g을 혼합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의 사료용 약제를 하루에 한번 소에게 급여하면 소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되고 체중이 많이 증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3)

  1. 삭제
  2. 물 1ℓ에 대하여,
    인동등 : 도라지 : 연초 : 호박 : 박 : 유근 : 어성초 : 당귀 : 천궁 : 대맥 : 흑대두 = 1.5중량 % : 1.5중량 % : 1.3중량 % : 31.7중량 % : 31.7중량 % : 1.5중량 % : 0.2중량 % : 0.2중량 % : 0.2중량 % : 15.1중량 % : 15.1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여 3∼4시간 중탕한 후 원액을 제거한 약제부산물 600g과 생지황 50g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3. 삭제
KR10-2000-0047445A 2000-08-17 2000-08-17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KR10042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445A KR100425591B1 (ko) 2000-08-17 2000-08-17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445A KR100425591B1 (ko) 2000-08-17 2000-08-17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267A KR20020014267A (ko) 2002-02-25
KR100425591B1 true KR100425591B1 (ko) 2004-04-03

Family

ID=1968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445A KR100425591B1 (ko) 2000-08-17 2000-08-17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488B1 (ko) * 2008-02-05 2010-06-30 이규주 퍼즐기능 컵뚜껑
CN102716297B (zh) * 2012-05-31 2013-08-21 蒋保珍 一种治疗疫毒型牛痢疾的中药组合物及应用
CN112501026B (zh) * 2020-11-26 2024-03-12 山西透云生物科技有限公司 莱茵衣藻粉及其在面制、米制食品中的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2198A (ja) * 1992-12-09 1994-06-21 Sana Seiyaku Kk 動物の下痢予防・抑制剤及び予防・抑制方法
KR950028630A (ko) * 1994-04-06 1995-11-22 정을권 가축용 한방첨가제 사료의 제조방법
KR960012396A (ko) * 1994-09-30 1996-04-20 가네꼬 히사시 필름 캐리어 반도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2198A (ja) * 1992-12-09 1994-06-21 Sana Seiyaku Kk 動物の下痢予防・抑制剤及び予防・抑制方法
KR950028630A (ko) * 1994-04-06 1995-11-22 정을권 가축용 한방첨가제 사료의 제조방법
KR960012396A (ko) * 1994-09-30 1996-04-20 가네꼬 히사시 필름 캐리어 반도체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향약대사전(인용2; 영림사 1990.01.10.;pp.218, pp.529, pp.682-3, pp.812-3, pp.829-830, pp.93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267A (ko)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4584B (zh) 一种有效防治猪水肿的复合猪饲料添加剂
CN105614099A (zh) 一种改善怀孕母猪健康和提高怀孕母猪繁殖性能的功能性清洁日粮
CN104206354A (zh) 一种蛋鸡的养殖方法
Nourmohammadi et al. Effect of dietary acidification on some blood parameters and weekly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CN1985619A (zh) 刺五加饲料添加剂和制备方法
KR100730291B1 (ko) 양파와 생약제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7484926A (zh) 一种预防生鱼烂身的成鱼配合饲料及其应用
CN107691794A (zh) 一种蝴蝶犬幼犬狗粮及其制备方法
CN107898955B (zh) 一种促进猪生长发育的药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04012764A (zh) 一种含蚕沙颗粒的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425591B1 (ko)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CN106729332A (zh) 一种防治牛瘤胃酸中毒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329602A (zh) 一种断奶羔羊养殖用全价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
CN109275806A (zh) 一种罗非鱼饲料
CN104222525A (zh) 一种降低蛋鸡白冠病发病率的养殖方法
CN104222508A (zh) 一种母猪饲料及其生产方法
CN109043177A (zh) 一种中草药猪饲料
CN104286535A (zh) 一种提高鸡禽抗病性的养殖方法
CN105995177A (zh) 一种家禽产蛋期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06183A (ko) 한약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87708A (zh) 一种提高肉狗繁殖性能的添加剂
CN106135694A (zh) 一种育肥期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336388A (zh) 一种避免蛋鸡白冠病的养鸡方法
CN110269150A (zh) 一种竹鼠饲料及其制备方法
CN109221786A (zh) 一种无公害肉鸡饲料配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