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309B1 -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309B1
KR100425309B1 KR10-2001-0073016A KR20010073016A KR100425309B1 KR 100425309 B1 KR100425309 B1 KR 100425309B1 KR 20010073016 A KR20010073016 A KR 20010073016A KR 100425309 B1 KR100425309 B1 KR 10042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output
control means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42499A (en
Inventor
최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309B1/en
Publication of KR2003004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3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데이터의 휘도 성분 추출 및 처리에 의해 출력을 결정짓는 LTI(Luma Transient Improvement)에서 영상의 고주파 성분의 양을 검출하여 이에 따라 LTI 출력 이득을 조절하는 화질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되는 영상의 주파수량을 검출하는 주파수 성분량 검출수단, 상기 검출된 주파수량이 소정 범위의 조건에 해당하면 복수의 이득 파라미터 값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이득 파라미터 값에 의해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평 및 수직으로 미분하는 미분수단,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이득 파라미터 값에 의해 상기 미분수단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미분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성분이 고주파에서 저주파 성분까지 다양하게 입력되어질 경우 주파수 성분량을 감지하여 수평, 수직 수직수평HF 이득을 조정하여 휘도 성분의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Artifact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휘도 성분만을 검출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LTI 뿐만 아니라 CTI(Color Transient Improvement)에도 적용하여 Y/C 경계 부분의 Artifact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n amount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an image is detected in a LTI (Luma Transient Improvement) which determines an output by extracting and processing a luminance component of input data. It relates to an image quality improving device to adjust. A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frequency amount of an input image, control means for varying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gain parameter values if the detected frequency amoun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ange of conditions, and a gain parameter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Differential means for differentiating the input video signal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compu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fferential values output from the differentiating means by gain parameter values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various components of the image data are input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components, the amount of frequency components is sensed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ertical horizontal HF gains are adjusted to reduce the artifact phenomenon occurring at the boundary of the luminance component. It can be applied to CTI (Color Transient Improvement) as well as LTI, which improves image quality by detecting only luminance components, thereby reducing the artifact of the Y / C boundary.

Description

화질 개선 장치{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데이터의 휘도 성분 추출 및 처리에 의해 출력을 결정짓는 LTI(Luma Transient Improvement)에서 영상의 고주파 성분의 양을 검출하여 이에 따라 LTI 출력 이득을 조절하는 화질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n amount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an image is detected in a LTI (Luma Transient Improvement) which determines an output by extracting and processing a luminance component of input data. It relates to an image quality improving device to adjust.

종래에는 입력 영상의 화질 종류에 무관하게 특정 이득 값을 주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 1에 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LPF(100), 라인 메모리(101), 수직 미분부(102), 수평 미분부(103), 스케일 연산부(104)로 구성된다.Conventionally, it is configured to change by giving a specific gain value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image quality of the input image. 1 includes an LPF 100, a line memory 101, a vertical differential unit 102, a horizontal differential unit 103, and a scale calculator 104.

LPF(Low Pass Filter)(10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노이즈 및 고주파(High Frequency : HF) 성분을 추출한다. 라인 메모리(101)는 제1∼제5 라인 메모리(101-1∼101-5)로 구성된다. Y_IN 입력 신호를 LPF(100)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제1∼제3 라인 메모리(101-1∼101-3)에 저장하고, LPF(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직 미분에 사용하기 위해 제4 및 제5 라인 메모리(101-4, 101-5)에 저장한다. 수직 미분부(102)는 LPF(100)에서 출력되는 신호 및 원 신호를 수직 미분한다. 수직 미분 시에 미분 이득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정해진 수직 이득 값이 수직 미분부(102)로 입력된다. 수평 미분부(103)는 LPF(100)에서 출력되는 신호 및 원 신호를 수평 미분한다. 수평 미분 시에 미분 이득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정해진 수평 이득 값이 수평 미분부(103)로 입력된다. 스케일 연산부(104)는 수직 미분부(102) 및 수평 미분부(103)의 출력을 비교하여 작은 쪽을 선택하여 HF 성분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수직HF_이득을 입력으로 하여 수직 미분부(102) 및 수평 미분부(10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케일 연산하여 출력 신호 Y_OUT를 생성한다.The low pass filter (LPF) 100 extracts noise and high frequency (HF) components from an input image. The line memory 101 is composed of first to fifth line memories 101-1 to 101-5. The Y_IN input signal is stored in the first to third line memories 101-1 to 101-3 for use in the LPF 100, and the fourth and third signals are used for vertical derivative to use the signal output from the LPF 100. The data is stored in the fifth line memories 101-4 and 101-5. The vertical differential section 102 vertically differentiat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LPF 100 and the original signal. The vertical gain value is input to the vertical derivative 102 so that the differential gain can be adjusted at the time of the vertical derivative. The horizontal differential unit 103 horizontally differentiat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LPF 100 and the original signal. A horizontal gain value is input to the horizontal derivative 103 so that the differential gain can be adjusted at the time of the horizontal derivative. The scale calculator 104 compares the outputs of the vertical derivative 102 and the horizontal differential 103 and selects the smaller one to input the horizontal vertical HF_gain so that the gain of the HF component can be adjusted. An output signal Y_OUT is generated by scal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102 and the horizontal differential unit 103.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고주파 성분이 많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수직 이득, 수평 이득 및 수직수평HF_이득이 항상 곱해져서 고주파 성분이 더욱 증폭되어 영상 신호 디스플레이 시에 휘도 성분의 경계 부분에 부자연스러운 Artifact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signal having many high frequency components is input, the vertical gain, the horizontal gain, and the vertical horizontal HF_gain are always multiplied so that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further amplified, resulting in unnatural artifact at the boundary of the luminance component when displaying an image signa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henomenon occur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성분이 고주파에서 저주파 성분까지 다양하게 입력되어질 경우 주파수 성분량을 감지하여 수평, 수직 수직수평HF 이득을 조정하여 휘도 성분의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Artifact 현상을 줄이는 화질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rtifact phenomenon that occurs at the boundary of luminance components by detecting the amount of frequency components and adjus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ertical horizontal HF gains when the input image data is inputted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components.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that reduces.

도 1은 종래의 화질 개선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image quality improv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qualit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질 개선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의 주파수량을 검출하는 주파수 성분량 검출수단; 상기 검출된 주파수량이 소정 범위의 조건에 해당하면 복수의 이득 파라미터 값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이득 파라미터 값에 의해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평 및 수직으로 미분하는 미분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이득 파라미터 값에 의해 상기 미분수단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미분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comprising: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frequency amount of an input image; Control means for varying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gain parameter values when the detected frequency amount corresponds to a condition of a predetermined range; Differential means for differentiating the input video signal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y a gain parameter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And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fferential values output from the differential means by the gain parameter values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성분량 검출수단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단계별 기준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라인(Line) 또는 필드(Field) 또는 프레임(Frame) 단위로 카운트하여 그 평균값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이웃하는 픽셀의 상관 도를 이용하여 에지(Edge) 성분을 검출 및 카운트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ng means compares the input video signal with a step-by-step reference value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control means, or outputs the input video signal in a line or a field or a frame. Counting (Frame) units and outputting the average value to the control means, or detecting and counting edge components using the correlation of neighboring pixels with respect to the input im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control means. It featur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노이즈 및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LPF(200), Y_IN 입력 신호를 LPF(200)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하고, LPF(2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직 미분에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는 라인 메모리(201), LPF(200)에서 출력되는 신호 및 원 신호를 수직 미분하는 수직 미분부(202), LPF(200)에서 출력되는 신호 및 원 신호를 수평 미분하는 수평 미분부(203), 수직 미분부(202) 및 수평 미분부(20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케일 연산하여 출력 신호 Y_OUT를 생성하는 스케일 연산부(204), 입력되는 영상신호 Y_IN로부터 주파수 성분량을 검출하는 주파수 성분량 검출부(205), 검출된 주파수 성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206), 비교부(206)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결과에 따라 수직 미분부(202)의 수직 이득 파라미터, 수평 미분부(203)의 수평 이득 파라미터, 스케일 연산부(204)의 수평수직HF_이득 파라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207)로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qualit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s the LPF 200 and Y_IN input signals for extracting noise and high frequency components from an input image for use in the LPF 200. In the line memory 201 stor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LPF 200 for use in the vertical derivative, the vertical derivatives 202 and the LPF 200 vertically differentiat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LPF 200 and the original signals. A scale calculation unit 204 which scal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horizontal differential unit 203, the vertical differential unit 202, and the horizontal differential unit 203 to horizontally differentiate the output signal and the original signal,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Y_OUT, A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or 205 for detecting a frequency component amount from the input image signal Y_IN, a comparator 206 for comparing the detected frequency component amount with a reference value, and a vertical derivative part 202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utput from the comparator 206. Vertical teeth of And a control unit 207 which outputs a gain parameter, a horizontal gain parameter of the horizontal differential unit 203, and a horizontal vertical HF_gain parameter of the scale calculating unit 204.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주파수 성분량 검출부(205)는 입력 영상 Y_IM에 대해 고주파 및 저주파 성분량을 감지한다. 이 때 주파수 성분량 검출부(205)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주파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주파수 성분량 검출부(205)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 Y_IN을 단계별 기준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비교부(206)는 주파수 성분량 검출부(205)에서 감지된 주파수를 단계별로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207)로 출력한다. 주파수 성분량 검출부(205)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 Y_IN을 라인(Line) 또는 필드(Field) 또는 프레임(Frame) 단위로 카운트하여 그 평균값을 제어부(207)로 출력하거나, 입력되는 영상 신호 Y_IN에 대해 이웃하는 픽셀의 상관 도를 이용하여 에지(Edge) 성분을 검출 및 카운트하여 그 값을 제어부(207)로 출력할 수 있다.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or 205 detects high and low frequency component amounts with respect to the input image Y_IM. In this case,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or 205 may measure the frequency amount using various methods.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or 205 may compare the input image signal Y_IN with a step-by-step reference value and output the result. At this time, the comparison unit 206 compares the frequency detected by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on unit 205 with the reference value step by step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control unit 207.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on unit 205 counts the input image signal Y_IN in a line, field, or frame unit, and outputs the average value to the controller 207, or neighbors the input image signal Y_IN. An edge component may be detected and counted using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pixels, and the value may be output to the controller 207.

제어부(207)는 주파수 성분량 검출부(205)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주파수 성분량으로부터 수직 미분을 위한 수직 이득 파라미터 값, 수평 미분을 위한 수평 이득파라미터 값, 스케일 연산을 위한 수평수직HF_이득 파라미터 값을 가변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검출된 주파수 성분량 중 저주파 성분이 많으면, 제어부(207)는 수직, 수평 및 수평수직HF_이득 파라미터 값을 크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검출된 주파수 성분량 중 고주파 성분이 많으면, 제어부(207)는 수직, 수평 및 수평수직HF_이득 파라미터 값을 작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207 varies the vertical gain parameter value for the vertical derivative, the horizontal gain parameter value for the horizontal derivative, and the horizontal vertical HF_gain parameter value for the scale operation from the various frequency component amounts output from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or 205. Output For example, if there are many low frequency components of the detected frequency component amount, the control unit 207 controls a control signal for greatly adjusting the vertical, horizontal and horizontal vertical HF_gain parameter values. ) Outputs a control signal that adjusts the vertical, horizontal and horizontal vertical HF_gain parameter values small.

Y_IN 입력에 대해 LPF(200)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2 개의 라인 메모리가 필요하다. Y_IN이 현재 라인이 되고, 제1 라인 메모리(201-1)의 Y_IN(n-1)과 제2 라인 메모리(201-2)의 Y_IN(n-2)이 과거1, 과거2 라인이 된다. 이 세 개의 라인을 가지고 2차 LPF(200) 필터링을 수행하며, 노이즈 및 고주파 성분을 추출한다. LPF(200) 출력의 센터 라인은 Y_IN(n-1)이된다.Two line memories are required to obtain the LPF 200 output for the Y_IN input. Y_IN becomes the current line, and Y_IN (n-1) of the first line memory 201-1 and Y_IN (n-2) of the second line memory 201-2 become the past 1 and past 2 lines. These three lines are used to perform secondary LPF 200 filtering, and extract noise and high frequency components. The center line of the LPF 200 output is Y_IN (n-1).

LPF(200)의 출력 값을 가지고 수직 2차 미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4 및 제5 라인 메모리(201-4, 201-5), 2 개의 라인 메모리가 필요하다. 이때 라인 딜레이 개념으로 생각하면, LPF_OUT은 Y_IN(n-1)과 대응되고, LPF_OUT(n-2)는 Y_IN(n-2)와 대응되며, LPF_OUT(n-3)은 Y_IN(n-3)과 대응된다.Fourth and fifth line memories 201-4 and 201-5 and two line memories are required to perform the vertical second derivative with the output value of the LPF 200. Considering the line delay concept, LPF_OUT corresponds to Y_IN (n-1), LPF_OUT (n-2) corresponds to Y_IN (n-2), and LPF_OUT (n-3) is Y_IN (n-3). Corresponds to

수직 미분부(202)는 제1∼제3 라인 메모리(201-1∼201-3) 출력값 Y_IN(n-1), Y_IN(n-2), Y_IN(n-3)과 LPF(200) 출력 값 LPF_OUT, 제4 및 제5 라인 메모리(201-4, 201-5) 출력 값 LPF_OUT(n-2), LPF_OUT(n-3)과 제어부(207)에서 입력되는 주파수 성분량에 따라 가변된 수직 이득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수직 미분을 수행하고 h, g값으로 출력한다. 2차 수직 미분을 수행할 때, LPF_OUT은 현재 라인이 되고 LPF_OUT(n-2), LPF_OUT(n-3)은 과거1, 과거2 라인이 되어 2차 수직 미분이 수행된다. 이때 2차 수직 미분 출력의 센터 라인은 LPF_OUT(n-2)가 된다. 이때 2차 수직 미분한 데이터 값이 h가 되어 출력된다. 또한, 1차 수직 미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2차 수직 미분과 동일한 시점에서 라인 딜레이된 원 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그 이유는 2차 수직 미분한 데이터 값과 1차 수직 미분한 데이터 값을 곱한 데이터가 수직 이득이 되며, 이 값을 보상하기 위하여 수직 이득 파라 미터를 곱하여 스캐일링된 g가 되어 출력된다. 그러므로 최종적인 수직 미분부(202)의 출력은 h와 g가 되고, 이때 수직 미분부(202) 출력의 센터 라인은 LPF_OUT(n-2)가 된다.The vertical derivative 202 outputs the output values Y_IN (n-1), Y_IN (n-2), Y_IN (n-3), and LPF 200 of the first to third line memories 201-1 to 201-3. Value LPF_OUT, Fourth and Fifth Line Memory 201-4, 201-5 Output Values LPF_OUT (n-2), LPF_OUT (n-3) and Vertical Gain Variable According to Frequency Component Amount Input from Control Unit 207 The vertical derivative is performed using the parameter values and output as h and g values. When performing the second vertical derivative, LPF_OUT becomes the current line and LPF_OUT (n-2) and LPF_OUT (n-3) become the past 1 and past 2 lines, and the second vertical derivative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center line of the second vertical differential output becomes LPF_OUT (n-2). At this time, the second vertical derivative data value becomes h and is output.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the first vertical derivative, an original signal that is line delayed at the same time point as the second vertical derivative is requir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data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econd vertical derivative data value and the first vertical derivative data value is the vertical gain, and to compensate for this value, the vertical gain parameter is multiplied and output as the scaled g. Therefore, the final output of the vertical derivative 202 is h and g, and the center line of the output of the vertical derivative 202 is LPF_OUT (n-2).

수평 미분부(203)는 제1 라인 메모리(201-13) 출력값 Y_IN(n-1), 제4 라인 메모리(201-4) 출력 값 LPF_OUT(n-2)과 제어부(207)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성분량에 따라 가변된 수평 이득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수평 미분을 수행하고 h', g'값으로 출력한다. 수평 미분부(203)는 2차 수평 미분을 수행하여 h'을 출력하고, 마찬가지로 2차 수평 미분한 데이터 값과 1차 수평 미분한 값을 곱한 데이터가 수평 이득이 되기 때문에, 이 값을 보상하기 위하여 수평 이득 파라 미터를 곱하여 스캐일링된 g'가 되어 출력된다.The horizontal derivative 203 is the frequency output from the first line memory 201-13 output value Y_IN (n-1), the fourth line memory 201-4 output value LPF_OUT (n-2), and the control unit 207. The horizontal derivative is performed by using horizontal gain parameter values that var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mponents and output as h 'and g' values. The horizontal differential unit 203 performs the second horizontal differential to output h ', and similarly, since the data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econd horizontal differential data value and the first horizontal differential value becomes a horizontal gain, this value is compensated for. In order to multiply the horizontal gain parameter, it is output as a scaled g '.

스케일 연산부(204)는 수직 미분부(202) 및 수평 미분부(203)의 출력을 비교하여 작은 쪽을 선택하여 HF 성분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수직HF_이득을 입력으로 하여 수직 미분부(202) 및 수평 미분부(20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케일 연산함으로써 원 신호에 대한 Y 성분의 경계 부분을 예리하게 만들어 주는 출력 신호 Y_OUT를 생성한다. HF 성분은 원 신호에 LPF(200)의 출력을 뺀 신호가 HP 성분이 되는데 이 성분을 2차 수평 미분한 값과 2차 수직 미분한 값 중 작은 값을 선택하여 수평수직HF_이득과 곱하여 이득을 스케일링하고, 그 결과 데이터 값이 HF 성분과 곱해져서 스케일링된다. 이 신호를 B라고 한다. 스케일 연산부(204)는 2차 수평 미분한 데이터 값 h'와 2차 수평 이득 값 g'를 곱한 결과와, 2차 수직 미분한 데이터 값 h와 2차 수평 이득 값 g를 곱한 결과를 더하고 이 것을 다시 B와 더하여 스케일링 해주며, 최종적으로 원 신호를 더해줌으로써 원 신호에 대한 Y 성분의 경계 부분을 예리(Sharpened)하게 만들어 준다.The scale operation unit 204 compares the outputs of the vertical differential unit 202 and the horizontal differential unit 203 and selects the smaller one to input a horizontal vertical HF_gain that allows the gain of the HF component to be adjusted as the vertical differential unit. A scale operatio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202 and the horizontal derivative 203 generates the output signal Y_OUT which sharpens the boundary of the Y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signal. The HF component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output of the LPF 200 from the original signal and becomes the HP component. The HF component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horizontal vertical HF_gain by selecting a smaller value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derivative and the second vertical derivative. Is scaled as a result of which the data value is multiplied by the HF component to scale. This signal is called B. The scale operator 204 adds the result of multiplying the second horizontal derivative data value h 'and the second horizontal gain value g' and the result of multiplying the second vertical derivative data value h and the second horizontal gain value g and adds the result. Scale again with B, and finally add the original signal to sharpen the boundary of the Y component relative to the original signal.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성분이 고주파에서 저주파 성분까지 다양하게 입력되어질 경우 주파수 성분량을 감지하여 수평, 수직 수직수평HF 이득을 조정하여 휘도 성분의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Artifact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휘도 성분만을 검출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LTI 뿐만 아니라 CTI(Color Transient Improvement)에도 적용하여 Y/C 경계 부분의 Artifact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various components of the image data are inputted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components, the artifact phenomenon generated at the boundary of the luminance component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and adjus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ertical horizontal HF gai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tifact phenomenon at the Y / C boundary by applying to CTI (Color Transient Improvement) as well as LTI which improves image quality by detecting only luminance components.

Claims (4)

입력되는 영상의 주파수량을 검출하는 주파수 성분량 검출수단;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frequency amount of an input image; 상기 검출된 주파수량이 소정 범위의 조건에 해당하면 복수의 이득 파라미터 값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Control means for varying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gain parameter values when the detected frequency amount corresponds to a condition of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이득 파라미터 값에 의해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평 및 수직으로 미분하는 미분수단; 및Differential means for differentiating the input video signal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y a gain parameter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And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이득 파라미터 값에 의해 상기 미분수단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미분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는 화질 개선 장치And a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horizontal and vertical differential values outputted from the differentiating means based on gain parameter values outputted from the control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성분량 검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ng means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단계별 기준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개선 장치.And comparing the input video signal with a reference value for each step and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control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성분량 검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ng means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라인(Line) 또는 필드(Field) 또는 프레임(Frame) 단위로 카운트하여 그 평균값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개선 장치.And counting the input video signal in units of a line, a field, or a frame, and outputting the average value to the control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성분량 검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component amount detecting means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이웃하는 픽셀의 상관 도를 이용하여 에지(Edge) 성분을 검출 및 카운트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개선 장치.And an edge component is detected and counted using the degree of correlation of neighboring pixels with respect to the input image signal, and output to the control means.
KR10-2001-0073016A 2001-11-22 2001-11-22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KR1004253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016A KR100425309B1 (en) 2001-11-22 2001-11-22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016A KR100425309B1 (en) 2001-11-22 2001-11-22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499A KR20030042499A (en) 2003-06-02
KR100425309B1 true KR100425309B1 (en) 2004-03-30

Family

ID=2957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016A KR100425309B1 (en) 2001-11-22 2001-11-22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3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892B1 (en) 2004-10-08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Contrast Enhanc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2853B (en) 2005-09-21 2007-02-01 Quanta Comp Inc Image edge enhanc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757731B1 (en) * 2006-02-1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daptive image signal transient improvement, and image quality improvement device for the same
KR100745982B1 (en) 2006-06-19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ed on self-emitting type displa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278A (en) * 1984-07-19 1986-02-07 Nippon Hoso Kyokai <Nhk> Picture quality compensating device
KR890013928A (en) * 1988-02-29 1989-09-26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Image quality adjustment circuit
KR930003566A (en) * 1991-07-18 1993-02-24 문정환 A / D conversion circuit with error detection
KR930011639A (en) * 1991-11-28 1993-06-24 정용문 Image Enhancement Circuit
JPH06303462A (en) * 1993-04-16 1994-10-28 Victor Co Of Japan Ltd Picture quality corrector
JPH06326893A (en) * 1993-05-17 1994-11-25 Toshiba Corp Horizontal detail emphasis circui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278A (en) * 1984-07-19 1986-02-07 Nippon Hoso Kyokai <Nhk> Picture quality compensating device
KR890013928A (en) * 1988-02-29 1989-09-26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Image quality adjustment circuit
KR930003566A (en) * 1991-07-18 1993-02-24 문정환 A / D conversion circuit with error detection
KR930011639A (en) * 1991-11-28 1993-06-24 정용문 Image Enhancement Circuit
JPH06303462A (en) * 1993-04-16 1994-10-28 Victor Co Of Japan Ltd Picture quality corrector
JPH06326893A (en) * 1993-05-17 1994-11-25 Toshiba Corp Horizontal detail emphasis circu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892B1 (en) 2004-10-08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Contrast Enhanc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499A (en)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7818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1847957A2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of frame recursive type
KR950006053B1 (en) Image signal moving domain emphasis apparatus and method
KR100206319B1 (en) Local contrast improving method and apparatus of a video signal
EP170849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controlling intensity of noise removal in a screen,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camera
US8139890B2 (en) System for applying multi-direction and multi-slope region detection to image edge enhancement
US661809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our detecting circuit provided therein
US7907215B2 (en) Video enhanc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0425309B1 (en)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KR950011528B1 (en) Video signal edge-enhan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020135702A1 (en) Image emphasizing apparatus and image emphasizing program
US834516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0400147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requency characterization
WO2007074964A1 (en) Device for removing noise in image data
US20070070248A1 (en) Pre-compens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 in a video scaler
US20040201722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eliminating ringing signal and method thereof, record medium, and program
JP441944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457787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20100283799A1 (en) Content adaptive scaler based on a farrow structure
JPH07131758A (en) Noise reduction method of video signal
CN107580159B (en) Signal correction method, device and terminal
EP1387319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6315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or transition improvement by using nonlinear laplacian
JP3401832B2 (en) Contour compensator
KR20050011241A (en) Noise diminish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