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572B1 -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572B1
KR100424572B1 KR10-2001-0051555A KR20010051555A KR100424572B1 KR 100424572 B1 KR100424572 B1 KR 100424572B1 KR 20010051555 A KR20010051555 A KR 20010051555A KR 100424572 B1 KR100424572 B1 KR 10042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signal
square wave
circuit
runa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922A (ko
Inventor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5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5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1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the presence of processing resources, peripherals, I/O links, software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이상시 발생하는 폭주를 방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컴퓨터가 폭주상태인지 여부를 폭주감지 회로가 감지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구비되어 있는 스캐닝 포트에서 발생하는 구형파 신호가 폭주감지 회로에 전송되고, 상기 신호를 전송받은 폭주감지 회로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가 정상상태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가 폭주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마이크로컴퓨터로 리셋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 구형파를 발생하던 별도의 포트 대신에 가스레인지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닝 포트에서 구형파를 발생하여, 포트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회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회로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congestion protect circuit of micro-computer}
본 발명은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이상동작시 발생하는 폭주를 방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에는 구형파를 발생하는 한 개의 포트(3)와 리셋신호를 전달받아 마이크로컴퓨터(1)를 리셋시키는 리셋포트(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형파가 발생되는 포트(3)와 마이크로컴퓨터(1)가 폭주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폭주감지 회로(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폭주감지 회로(2)와 리셋포트(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폭주감지 회로(2)는 마이크로컴퓨터(1)의 상태가 폭주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회로이다. 상기 포트(3)에서 로우(LOW) 신호나 하이(HIGH) 신호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폭주감지 회로(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가 폭주상태라고 판단한다.
즉, 상기 포트(3)에서는 구형파가 발생하면, 상기 구형파는 폭주감지 회로(2)에 전달된다.상기 신호를 감지한 폭주감지 회로(2)는 마이크로컴퓨터(1)가 안정적인 제어를 구현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리셋을 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크로컴퓨터(1)는 리셋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상기 포트(3)에서 구형파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를 폭주 감지 회로(2)가 감지하고, 리셋을 시키기 위한 신호를 리셋 포트(4)에 전송한다. 이에따라 상기 리셋 포트(4)에서 마이크로컴퓨터(1)를 리셋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폭주방지 회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구형파를 발생하는 별도의 포트를 구비하여야만 했다. 이에 따라 상기 포트에서 발생하는 구형파의 전송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이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가 폭주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마이크로컴퓨터에 별도의 포트가 구비됨에 따라 포트의 수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는 곧 제품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형파를 발생하는 별도의 포트를 구비하지 않고,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를 방지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에 구비된 스캐닝 포트에서 발생하는 구형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되는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이크로컴퓨터 20 : 폭주감지 회로
30 : 스캐닝 포트 40 : 리셋 포트
D1,D2,D3 : 다이오드 LED1,LED2,LED3 : 발광소자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는,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레인지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되어, 가스레인지의 디스플레이부가 발광되도록 구형펄스신호를 전송하는 스캐닝포트와; 상기 스캐닝포트와 연결되어, 마이크로컴퓨터의 스캐닝포트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펄스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상태여부를 감지하는 폭주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스캐닝포트로부터 구형펄스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가 폭주상태라고 판단하고 리셋신호를 전달하는 리셋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0)의 일측에 구형파를 발생하는 스캐닝 포트1,2,3(30)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를 리셋시키는 신호를 전달받는 리셋 포트(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캐닝 포트1,2,3(30)에서는 구형파 펄스신호가 발생하며, 상기 스캐닝 포트1,2,3(30)에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신호는 가스레인지의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구형파 펄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발광소자 1,2,3(LED1, LED2, LED3)으로 전송되어 상기 발광소자1,2,3(LED1, LED2, LED3)이 점등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의 스캐닝포트1,2,3(30)에서 각각의 신호전송선(a,b,c)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1,2,3(LED1, LED2, LED3)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구형파 펄스가 스캐닝 포트1,2,3(30)로부터 다이오드 1,2,3(D1,D2,D3)을 통해서 폭주감지 회로(30)에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구형파 펄스로 인해서 상기 폭주감지 회로(30)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의 상태가 안정화 상태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10)의 리셋포트(40)에 전송한다. 상기 신호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는 리셋되지 않는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의 이상상태 유무는 상기 구형파 펄스에 의해서 판단된다. 만약 마이크로컴퓨터(10)가 이상동작을 하거나 폭주상태이면, 구형파 펄스신호가 발생되지 않고, 소정시간 이상동안 계속해서 하이신호(HIGH)로 출력되어 지거나, 로우(LOW) 신호가 상기 스캐닝 포트1,2,3(30)을 통해서 출력되어 진다.따라서 상기 신호를 감지한 폭주감지 회로(20)는 마이크로컴퓨터(10)가 폭주상태라고 판단하여, 마이크로컴퓨터(10)에 리셋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스캐닝 포트로부터 발생하는 구형파 신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스캐닝 포트로부터 발생하는 구형파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가스레인지의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기 위해 스캐닝 포트1,2,3(30)에서 발생하는 상기 구형파 신호를 이용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스캐닝 포트1,2,3(30)에서 구형파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출력되는 구형파 신호는 각 스캔 파형에서 출력된 파형을 조합한 파형으로서, 상기 각 스캔 파형 중에서 구형파가 일정하게 발생하도록 상기 스캔 파형을 조합하여, 상기 구형파를 각 스캐닝 포트1,2,3(30)으로부터 상기 각각 신호선a,b,c를 통해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조합한 파형을 연속적으로 출력함으로서 상기 발광소자1,2,3(LED1,LED2,LED3)가 계속 발광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가 제어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기 구형 펄스 파형을 조합한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1,2,3(LED1,LED2,LED3)가 발광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가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1,2,3(LED1,LED2,LED3)가 발광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되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0)에 전원이 입력되고(제 100 단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에 구비되어진 스캐닝 포트1,2,3(30)에서 신호가 발생한다(제 110 단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의 스캐닝 포트1,2,3(30)에서 발생된 신호는 폭주감지 회로(20)에 전송되고, 상기 폭주감지 회로(20)는 상기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인지한다(제 120 단계).
즉, 상기 신호가 구형파 펄스신호인지 판단하여(제 130 단계), 상기 신호가 구형파 신호이면, 상기 전송된 구형파 펄스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10)가 정상동작상태라고 판단한다(제 140 단계).
그러나, 상기 폭주감지 회로(20)에 전송된 신호가 구형파 펄스신호가 아닌 로우(LOW) 신호거나 하이(HIGH) 신호이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의 상태가 이상상태 즉, 폭주상태라고 판단한다(제 150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10)의 리셋 포트(40)로 마이크로컴퓨터(10)의 폭주상태신호를 전송한다(제 160 단계). 따라서 상기 신호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가 리셋된다(제 170 단계).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캐닝 포트에서 구형파 펄스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신호를 감지한 폭주감지 회로가 마이크로컴퓨터가 정상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서 구형파 펄스 신호가 발생하는 별도의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를 감지할 수 있어, 포트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회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회로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레인지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되어, 가스레인지의 디스플레이부가 발광되도록 구형펄스신호를 전송하는 스캐닝포트와;
    상기 스캐닝포트와 연결되어, 마이크로컴퓨터의 스캐닝포트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펄스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상태여부를 감지하는 폭주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스캐닝포트로부터 구형펄스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가 폭주상태라고 판단하고 리셋신호를 전달하는 리셋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KR10-2001-0051555A 2001-08-25 2001-08-25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KR100424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555A KR100424572B1 (ko) 2001-08-25 2001-08-25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555A KR100424572B1 (ko) 2001-08-25 2001-08-25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922A KR20030017922A (ko) 2003-03-04
KR100424572B1 true KR100424572B1 (ko) 2004-03-27

Family

ID=2772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555A KR100424572B1 (ko) 2001-08-25 2001-08-25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5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77Y1 (ko) * 1991-03-07 1993-06-23 주식회사 대성빅스타 진공식품 용기 및 진공용 공기 압출기구
KR940012091A (ko) * 1992-11-24 1994-06-22 윤종용 마이콤의 리세트회로
KR19980049993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전자렌지의 자동 리셋회로
KR20000056201A (ko)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마이크로 컴퓨터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초기화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77Y1 (ko) * 1991-03-07 1993-06-23 주식회사 대성빅스타 진공식품 용기 및 진공용 공기 압출기구
KR940012091A (ko) * 1992-11-24 1994-06-22 윤종용 마이콤의 리세트회로
KR19980049993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전자렌지의 자동 리셋회로
KR20000056201A (ko)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마이크로 컴퓨터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초기화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922A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2472A (en) Photoelectric switch monitoring the duration of pulsed light to prevent false signals due to ambient conditions
US7183533B2 (en) Optical multi-axis optoelectronic sensor
US20070222721A1 (en) Light emission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drive control device, and control device
US6252893B1 (en) Optical transmitting device
US7053786B2 (en) Photoelectric switch
KR100424572B1 (ko) 마이크로컴퓨터의 폭주방지 회로
EP0396386A2 (en) Fire alarm system
KR20090102360A (ko)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012827A (ja) 光送受信装置
CN110657458B (zh) 电子控制装置、电子控制用半导体集成电路装置及燃气灶
US20040008986A1 (en) Optical transmitter module and optical transmitter apparatus
JP2008153027A (ja) 調光装置
EP0453957B1 (en) Remote-control home electronics device
JP2005049172A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
KR100481500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의 마이콤 인터페이스
WO2019187556A1 (ja) 光電センサ及び多光軸光電センサ
US11211925B2 (en) Module including an indicator for indicating a physical state of a sensor connected to the module
KR0146751B1 (ko) 냉.온수기의 물의 유무 감지장치
JP3661961B2 (ja) 光空間伝送装置
KR100481501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의 마이콤 인터페이스
KR20050053275A (ko) 통합형 알람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0229036B1 (ko) 텔레비젼 수신기의 고압 안정회로
KR0118760B1 (ko) 절연에 의한 데이타 전송회로
KR940002729Y1 (ko) 공통 키매트릭스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JP2000013210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