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517B1 -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517B1
KR100424517B1 KR20000019699A KR20000019699A KR100424517B1 KR 100424517 B1 KR100424517 B1 KR 100424517B1 KR 20000019699 A KR20000019699 A KR 20000019699A KR 20000019699 A KR20000019699 A KR 20000019699A KR 100424517 B1 KR100424517 B1 KR 10042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empty space
space
web pag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1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250A (ko
Inventor
변대석
Original Assignee
아이디어플라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디어플라자(주) filed Critical 아이디어플라자(주)
Priority to KR2000001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5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517B1/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웹브라우저에서 수행되는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표출되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감지하고 빈공간에 맞는 배너광고 또는 문자광고, 또는 동영상광고를 출력함으로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는,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웹서버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장치가 웹브라우저의 활성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43)과, 상기 감지모듈(43)에 의하여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웹페이지의 공간을 검색하기 위한 공간검색모듈(44)과, 상기 공간검색모듈(44)에 의하여 빈공간이 감지되면 빈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크기검색모듈(45)과, 상기 크기검색모듈(45)에 의한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데이터에 적합한 이미지를 저장한 광고저장DB(46)와, 상기 광고저장DB(46)에 저장된 광고를 웹페이지의 빈공간에 삽입하기 위한 데이타삽입모듈(4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banners in empty space of web pages}
본 발명은 인터넷 웹브라우저에서 수행되는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표출되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감지하고 빈공간에 맞는 배너광고 또는 문자광고, 또는 동영상광고를 출력함으로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다수의 네티즌들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네티즌들의 구매력과 전파력으로 인하여 광고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먼저 종래 인터넷 통신망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 1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독립적인 클라이언트PC(10,20,30,..)가 인터넷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웹서버(40,50)에 연결된다. 클라이언트PC들은 내부에 인터넷 이용을 위한 웹브라우저(인터넷 익스플로러, 네비게이터)와 통신수단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것들을 통하여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인터넷은 전화선, 무선통신, 전용선, ADSL, 케이블등의 다양한 통신접속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에서의 광고방법은 주로 웹의 사용시에 웹페이지에 특정회사의 배너, 동영상, 문자데이터등을 출력시켜서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광고는 미리 HTML문법을 이용하여 내용의 배치 및 광고이미지 등이 결정된 상태에서 웹페이지출력 및 이미지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항상 같은 장소에 위치하기 때문에 네티즌의 주의력을 끄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웹페이지광고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작동되기 때문에 오프라인 작업에서는 광고가 뜨지 않는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광고효율이 저하되고 있으며 광고효과에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표출되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감지하고 빈공간에 맞는 배너광고 또는 문자광고, 또는 동영상광고를 출력함으로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는,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웹서버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장치가 웹브라우저의 활성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43)과, 상기 감지모듈(43)에 의하여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검색하기 위한 공간검색모듈(44)과, 상기 공간검색모듈(44)에 의하여 빈공간이 감지되면 빈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크기검색모듈(45)과, 상기 크기검색모듈(45)에 의한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데이터에 적합한 이미지를 저장한 광고저장DB(46)와, 상기 광고저장DB(46)에 저장된 광고를 웹페이지의 빈공간에 삽입하기 위한 데이타삽입모듈(47)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되면 이것을 감지하는 제1단계와, 웹페이지에 존재하는 빈공간을 검색하는 제2단계와, 빈공간이 존재하면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적합한 광고를선택하는 제3단계와, 상기 빈공간에 광고를 출력하기 위하여 삽입하기 위한 제4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인터넷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고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너광고가 표시된 웹페이지화면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광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클라이언트PC 20: 클라이언트PC
30: 클라이언트PC 40: 웹서버
42: 웹서버제어부 43: 감지모듈
44: 공간검색모듈 45: 크기검색모듈
46: 광고저장DB 47: 데이타삽입모듈
50: 웹서버 60: 웹페이지
62: 이미지 64: 콘텐츠
66: 빈공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고장치는 통상 사용되는 클라이언트PC(퍼스널 컴퓨터)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작동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CD롬, 디스켓을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장치는, 통신단말장치가 웹브라우저의 활성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43)과, 상기 감지모듈(43)에 의하여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검색하기 위한 공간검색모듈(44)과, 상기 공간검색모듈(44)에 의하여 빈공간이 감지되면 빈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크기검색모듈(45)과, 상기 크기검색모듈(45)에 의한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데이터에 적합한 이미지를 저장한 광고저장DB(46)와, 상기 광고저장DB(46)에 저장된 광고를 웹페이지의 빈공간에 삽입하기 위한 데이타삽입모듈(47)을 포함하는 웹서버제어모듈(42)이 된다.
상기 통신단말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PDA 등과 같은통신장치가 될 수 있으며,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신단말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인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감지모듈(43)은 클라이언트PC에서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되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연결한 상태에서 또는 오프라인 사용을 위하여 웹브라우저 활성메뉴 또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활성화시키면 이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이 확인신호는 웹브라우저에 표시되어 있는 현재 적재된 웹페이지내용을 검색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웹페이지의 내용을 구성하는 *.htm(html), 또는 *.asp(마이크로소프트의 ASP확장자) 파일의 내용을 검색하여 현재 웹페이지에 빈공간이 있는가를 감지한다. 이러한 빈공간검색은 웹페이지 공간검색모듈(44)에 의하여 수행된다.
공간검색모듈(44)에 의하여 빈공간의 존재가 확인되면 그 후에 빈공간의 정확한 크기 및 위치를 검색하기 위하여 크기검색모듈(45)에 의하여 크기 및 위치가 정해진다. 이러한 빈공간검색 및 크기와 위치의 확인은 프로그램적으로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웹페이지(60)에서 확인된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웹페이지의 일실시예이다.
빈공간(66)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미지(62)는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배너광고 또는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또한 부호 64는 문자 또는 이미지데이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빈공간(66)을 광고장치에서 인식하고 이 빈공간(66)에 적당한 크기의 배너광고, 동영상광고, 또는 문자광고등을 삽입할 수 있다.
공간검색모듈(44)에 의하여 빈공간(66)이 확인된 후에, 크기검색모듈(45)은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이것은 웹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htm(html) 파일을 크기검색모듈(45)에서 분석한 후에 결정된다. 분석방법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htm(html) 파일에 기재된 수치를 분석하고 그것에 따른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빈공간(66)에 대한 정확한 크기 및 위치가 확인되면 빈공간(66)에 적합한 크기의 배너광고를 선택하게 된다. 이것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적합한 크기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결정되면 이것을 웹페이지에 삽입하기 위하여 데이타삽입모듈(47)에서 htm(html)문법에 맞는 텍스트데이터를 결정한 후에 웹페이지에 삽입한다. 따라서 웹페이지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너광고가 삽입, 표시된다.
광고에 필요한 이미지는 광고저장DB(46)에 저장된다. 상기 광고저장DB(46)는 컴퓨터의 경우에는 HDD, 광자기 디스크가 사용될 수 있으며, PDA와 같은 휴대형장치에서는 비휘발성메모리 등과 같은 데이타저장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고장치에 웹브라우저의 활성화에 따른 광고를 시청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것을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것은 광고를 제작, 배포하는 광고회사가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는 경우에 이에 상응하는 돈을 지불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광고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광고방법은 : 웹브라우저가활성화되면 이것을 감지하는 제1단계와, 웹페이지에 존재하는 빈공간을 검색하는 제2단계와, 빈공간이 존재하면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는 제3단계와, 상기 빈공간에 광고를 출력하기 위하여 삽입하기 위한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을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PC에서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구동시키면 웹브라우저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43)에서 이것을 감지하게 된다. 활성화가 감지되면 공간검색모듈(44)에서 웹페이지의 빈공간이 존재하는가를 감지하고 이것이 감지되면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를 크기검색모듈(45)에서 확인한다.다음에 데이타 삽입모듈(47)은 상기 광고 저장DB(46)에 저장된 광고를 웹페이지의 빈공간에 삽입함으로써 웹페이지에 배너광고를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웹브라우저 감지모듈(43)은 사용자가 다른 웹페이지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웹페이지가 변경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결과, 웹페이지가 변경되지 않았다고 상기 웹브라우저 감지모듈(43)이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아니오인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배너 광고 출력을 그대로 유지시킨다.한편, 상기 웹페이지가 변경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웹페이지가 변경되었다고 상기 웹브라우저 감지모듈(43)이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예인 경우에는), 상기 웹브라우저의 활성화를 감지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웹페이지의 빈공간이 존재하는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만일 빈공간(66)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거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크기검색모듈(45)에서는 배너광고의 출력을 포기하게 된다. 이것은 광고저장DB(46)에 저장되어 있는 배너광고 또는 동영상의 화면크기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광고저장DB(46)에는 동일한 이미지를 다양한 크기의 파일로 제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원본이미지파일을 이용하여 빈공간(66)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종래 그래픽처리, 그래픽뷰어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되는 썸네일(thumnail) 기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PC가 인터넷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웹브라우저를 활성화시킬 때마다 웹브라우저의 빈공간에 광고가 출력되기 때문에 광고효과가 높아진다.
광고저장DB(46)에 저장되는 이미지 또는 광고내용은 인터넷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광고를 보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광고장치에 별도의 통신모듈을 설치하여 광고를 본 횟수를 카운트하여 광고프로그램을 제공한 광고회사에 전송할 수 있다. 광고회사에서는 특정개인에 대한 광고시청횟수에 따라서 광고시청료를 지불하는 등의 방법으로 광고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효과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표출되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감지하고 빈공간에 맞는 배너광고 또는 문자광고, 또는 동영상광고를 출력함으로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1)

  1.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웹서버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장치가 웹브라우저의 활성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43)과, 상기 감지모듈(43)에 의하여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검색하기 위한 공간검색모듈(44)과, 상기 공간검색모듈(44)에 의하여 빈공간이 감지되면 빈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크기검색모듈(45)과, 상기 크기검색모듈(45)에 의한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데이터에 적합한 이미지를 저장한 광고저장DB(46)와, 상기 광고저장DB(46)에 저장된 광고를 웹페이지의 빈공간에 삽입하기 위한 데이타삽입모듈(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검색모듈(44)이 웹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자가htm(html) 또는 asp인 파일의 내용을 검색하여 빈공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저장DB(46)에 저장되는 이미지가 하나의 원본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것을 썸네일기능을 이용하여 빈공간(66)의 크기에 맞추어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인터넷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되면 이것을 감지하여 광고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웹브라우저가 활성화되면 이것을 감지하는 제1단계와, 웹페이지에 존재하는 빈공간을 검색하는 제2단계와, 빈공간이 존재하면 빈공간의 크기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는 제3단계와, 상기 빈공간에 광고를 출력하기 위하여 삽입하기 위한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방법.
  10. 삭제
  11. 삭제
KR20000019699A 2000-04-14 2000-04-14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 KR100424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9699A KR100424517B1 (ko) 2000-04-14 2000-04-14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9699A KR100424517B1 (ko) 2000-04-14 2000-04-14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250A KR20000037250A (ko) 2000-07-05
KR100424517B1 true KR100424517B1 (ko) 2004-03-27

Family

ID=1966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19699A KR100424517B1 (ko) 2000-04-14 2000-04-14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635A (ko) * 2000-12-30 2001-03-05 유석호 컨텐츠 빈공간을 활용한 인터넷 광고기법
KR20020077634A (ko) * 2001-04-02 2002-10-12 심종칠 사이버 문서의 여백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20030037129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코웬 인터넷 배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0830369B1 (ko) * 2006-01-02 2008-05-20 주식회사 이사칠리얼미디어 광고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702667B1 (ko) * 2006-05-19 2007-04-02 주식회사 데이타웨이브 시스템 삽입 모듈을 이용한 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85511B1 (ko) * 2007-11-16 2014-04-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을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1100643B1 (ko) * 2008-09-03 2012-01-03 주식회사 케이티 풀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EP2409251A4 (en) 2009-03-20 2015-03-18 Ad Vantage Networks Llc METHOD AND SYSTEMS FOR SCANNING, SELECTION AND DISPLAY OF CONTENT
US8579442B2 (en) * 2009-05-27 2013-11-12 Transpacific Image, Llc Advertisement content selection and presentation
KR101444238B1 (ko) * 2012-02-28 2014-09-30 최병진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WO2014150073A2 (en) * 2013-03-15 2014-09-25 Ad-Vantage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questing, processing, and displaying content
WO2016003487A1 (en) * 2014-07-02 2016-01-07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sponsored media in a document object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250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7042B2 (ja) コンテンツレンダリング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11971937B2 (en) Internet search results annotation, filtering, and advertising with respect to search term elements
US8131767B2 (en) Intelligent augmentation of media content
US8959104B2 (en) Presenting query suggestions based upon content items
US62790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ctual viewing or electronic advertisements
US8689117B1 (en) Webpages with conditional content
US721629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isplaying, managing, tracking and transferring access to content of web pages and other sources
US70037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displaying images including pop-up images on a visual display
US20080071881A1 (en) Advertising on Idle Web Browser Windows
KR100424517B1 (ko) 웹페이지의 빈공간을 이용한 광고장치 및 방법
US20080243906A1 (en) Onlin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 presentations of localities that are pertinent to a text item
WO2008123745A1 (en) System of providing advertising date using advertisement widget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JP6345911B2 (ja) コンテンツ表示時間検知システム、コンテンツ表示時間検知方法、ユーザ端末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89839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trieval and display of supplemental content
US20030002070A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nverting content relative to a space used as an advertising medium into a printable object
WO2001039024A2 (en) Dynamic internet advertising
KR102359004B1 (ko) 스크롤 기반 인터렉티브 광고 배너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429760B1 (ko) 인터넷 웹페이지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0832841B1 (ko)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73179A (ko) 검색페이지에서의 검색어를 추출하여 하이퍼링크된 웹페이지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KR20020037411A (ko)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광고 서비스 장치 및 그 구현방법
US87935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eat viewing components of digital documents and determining viewer context
JP6698721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及び配信装置
CN102375812A (zh) 影像的资讯搜寻系统及方法
JP2001331727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広告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