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163B1 - 랜딩도어 설치방법 및 상응하는 설치시스템 - Google Patents

랜딩도어 설치방법 및 상응하는 설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163B1
KR100424163B1 KR10-2000-7004946A KR20007004946A KR100424163B1 KR 100424163 B1 KR100424163 B1 KR 100424163B1 KR 20007004946 A KR20007004946 A KR 20007004946A KR 100424163 B1 KR100424163 B1 KR 100424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el
side posts
overhead supporter
wall
instal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1870A (ko
Inventor
케토넨아리
하그조리
안틸라하리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974158A external-priority patent/FI108294B/fi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31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랜딩도어의 설치를 위한 방법에서, 입구 모듈(2)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도어 개구부(1)의 하부에지에 장착되고, 사이드 포스트(3,4)는 개구부의 에지에 장착되고, 그리고 도어패널의 현가를 위해 오버헤드 서포터(6)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포스트를 연결하는 상인방(5)은 개구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고, 동등하게 긴 사이드 포스트(3,4)는 입구 모듈(2)의 정부에 장착되어있는 한편, 사이드 포스트는 이들의 정부에 장착된 상인방(5)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오버헤드 서포터(6)는 상인방으로 상승하고 그리고 그 끝부에 의해 벽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랜딩도어 설치방법 및 상응하는 설치시스템{PROCEDURE FOR INSTALLING A LANDING DOOR, AND A CORRESPONDING INSTALLATION SYSTEM}
통상적으로, 수평위치에서 그리고 엘리베이터카로부터 정확한 거리에 엘리베이터용 랜딩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입구 모듈이 도어개구부의 하부에지상에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능한 한 정확하게 수직위치로 그리고 입구 모듈과 맞추어져서, 사이드 포스트들은 도어 잼(jamb)을 형성하도록 도어개구부의 사이드에지에 장착되어 있다. 사이드 포스트들은 상인방(lintel)에 의해 그것들의 상부 끝부들과 함께 연결될 수 있고, 상인방은 또한 그것의 끝부들에 의해 도어개구부의 에지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오버헤드 서포터는 제위치로 들어올려져서 가능한 한 정확하게 수평위치로, 즉 입구 모듈에 평행하게 도어개구부의 에지에 볼트로 고정되므로써 도어개구부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 종래의 기술은 몇 개의 결점을 포함하고 있었다. 설치는 용접 및 비교적 정확한 치수를 준수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야만 하고, 그래서 도어개구부의 치수에 있어서 엄격한 요건을 부과한다. 설치는 특히 도어의 모든 부분이 별개로 측정되어야만 하고 그리고 도어개구부에 대해 정확한 위치로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렵고 느리다. 비교적 무거운 오버헤드 서포터는 장착 및 측정동안에 손으로 지지되어야만 한다. 게다가, 특히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샤프트에 있어서는 도어 부분들을 제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하기 위해 도어개구부는 비교적 정확하게 위치되어야만 하고 충분히 작아야 하기 때문에 공차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가능한 한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용접 및 수고스럽거나 어려운 작업없이 랜딩도어를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타입의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샤프트의 공사에 관한 공차요건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관해서는 청구항들에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두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랜딩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청구항 4의 서두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방법의 제1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설치방법의 제2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설치방법의 제3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설치방법의 제4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설치방법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랜딩도어의 설치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입구 모듈이 가능한 한 정확하게 수평위치로 그리고 도어개구부의 깊이치수에 대해 적절한 위치로 도어개구부의 하부에지 상에 장착되어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가능한 한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동등한 길이의 사이드 포스트들은 입구 모듈의 정부 상에 장착되어서 그것들의 하부 끝부에 의해 입구 모듈에 부착되어 있고, 반면에 사이드 포스트들의 정부 끝부는 그들의 정부 상에 장착된 상인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 다음에, 오버헤드 서포터는 위로 들어올려져서 상인방 상에 놓이도록 되어있다. 오버헤드 서포터는 상인방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제위치에 유지되고 있고그래서 그것의 끝부에 의해서 벽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자체 하중에 의해 상인방 상에 놓여있는 오버헤드 서포터를 단지 적절한 피팅부 및 브래킷에 의해서만 제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오버헤드 서포터가 상인방 상의 제위치에 놓여진 후에 예를 들면 적절한 볼트를 사용하여 상인방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헤드 서포터가 제위치에 들어올려지기 전에 사이드 포스트와 상인방에 의해서 형성된 도어 개구부의 크로스 측정이 이루어지고 도어개구부는 바르게 되어 벽에 부착된다. 다른 가능성은 오버헤드 서포터를 상인방상의 제위치에 올려놓고 오버헤드 서포터가 벽에 부착될 때에만 도어개구부를 크로스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주요요점은 입구 모듈이 제위치에 장착된 후에 상이한 부분의 수직 또는 수평정렬을 결정하는 정확한 측정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이들 부분은 간단하게 조립되고 단지 크로스 측정만을 한 후에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에 볼트결합된다는 것이다. 무거운 오버헤드 서포터는 측정되지 않고 제위치에 끼워지지만, 오버헤드 서포트를 상인방에 간단하게 올려지는 것은 오버헤드 서포터가 정확한 위치에 있다는것을 확신하기에 충분하다.
랜딩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어개구부의 하부에지상에 장착되는 입구 모듈, 사이드포스트, 상인방 및 도어패널이 매달린 오버헤드 서포터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이드 포스트의 상부에 장착된 상인방은 피팅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오버헤드 서포터는 대응 브래킷을 포함하여 오버헤드 서포터는 상인방상의 제위치에 올려질 수 있으며, 오버헤드 서포트는 상인방상의 최종장착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후에 오버헤드 서포터는 장착작업중에 다른방법으로 지지되지 않고 상인방 및 벽에 고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상인방의 피팅부분이 슬롯, 개구부, 슬리브, 지지핀, 또는 동등한 요소 또는 오버헤드 서포터의 브래킷용 구역을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브래킷이 혀모양부재, 핀, 러그 또는 피팅부분에 적합한 동등한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다. 더욱이, 브래킷은 상이한 방식으로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이한 지지구조부는 상인방상에 추가될 수 있다. 물론, 피팅부분 및 브래킷이 거꾸로 상인방 및 오버헤드 서포터상에 둥굴게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의 전체구성에 있어서 명백하며 즉 주요요점은 상인방과 오버헤드 서포터가 오버헤드 서포터를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상인방상에 놓을 수 있는 상호대응요소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오버헤드 서포터의 끝부는 고정지점을 바람직하게 구비하고 있고 이 고정지점에 의해서 도어개구부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정밀하게 상인방에 놓여 있는 오버헤드 서포터는 벽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또한, 상인방은 장착브래킷을 구비하고 있고 이 장착브래킷에 의해서 사이드 포스트상에 놓여 있는 상인방은 사이드 포스트 및 상인방에 의해서 형성된 도어개구부의 크로스 측정후 벽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벽에 대한 장착브래킷 또는 그 부착부는 상인방 및 사이드 포스트에 의해서 형성된 조립체가 벽으로부터 적당한 거리까지 즉 입구 모듈위의 수직위치까지 정밀하게 이동되는 가요성 또는 슬라이딩 타입이다.
랜딩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어프레임이 용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조립되도록 한다. 따라서, 미리 도금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시에 장착지그 및 오버헤드용 지지부로서 사용하면서 사이드 포스터상의 제위치에서 쉽게 장착 및 조정되는 경량의 구조부의 상인방을 사용하여 충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헤드 서포터는 상인방에 놓여질 수 있고 그 다음 상인방의 끝부에 의해 벽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전체 도어 구조가 도어 개구의 하부 에지를 기초로 측정되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단순화한다. 따라서, 도어개구부의 정부 에지와 사이드 에지는 치수의 정확성에 관한 어떠한 엄격한 필요요건에 구애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입구 모듈(2)은 도어개구(1)의 깊이방향에 정확하게 위치되고 수평위치인 상태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도어개구(1)의 하부에지에 고정되어 있다. 입구 모듈(2)은 이 정부에서, 사이드 포스트(3, 4)의 하부끝부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는 장착구역(11)을 가지고 있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구조의 상인방(5)이 사이드포스트(3, 4)의 정부상에 수평으로 장작 되어 있다. 상인방의 각각의 끝부는 도어 개구의 에지를 걸쳐 벽으로 뻗어있는 장착브래킷(10)을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포스트(3,4)와 상인방(5)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크로스 측정은 이 개구부가 바르게 되도록 체크하고, 그 결과 상인방은 장착브래킷(10)의 끝부에 있는 구멍으로부터 벽에 임시로 고정된다. 그 다음, 입구 모듈(2)상에 사이드포스트(3,4)의 수직정렬이 체크되고 조정되어 장착 브래킷(10)은 벽상에 견고하게 위치된다.
그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 서포터(6)는 상인방에 올려 질 수 있어서 브래킷(8)이 상인방의 핀(7)에 맞물린다. 따라서, 오버헤드 서포터(6)가 상인방에 올려진 후, 오버헤드 서포터는 최종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어떠한 추가적인 지지 없이 적소에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 오버헤드서포터는 적절한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오버헤드 서포터 끝부에 있는 고정점(9)에 의해 벽에 영구적으로 쉽게 고정된다. 게다가 벽에 부착된 후 또는 그전에, 피팅부(7)와 브래킷(8)에 의해 오버헤드서포터(6)와 상인방(5)은 서로에 대해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브래킷(8)에 구성되어 있는 러그(11)가 상인방(5)에 구성되어 있는 지지구조(12)와 서로 맞물리도록 브래킷(8)이 형성되어 있는 바람직한 설치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지지구조(12)는 예컨대 상인방(5)의 형성부, 상인방(5)에 부착된 분리부 또는 어떤 다른 지지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오버헤드 서포터(6)는 브래킷(8) 및 상인방(5)에 의해 적소에 배열되어 오버헤드 서포터(6)를 상인방(5)에 고정시키기 위해 피팅부(7)를 즉시 견고히 죌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절차는 오버헤드 서포터(6)가 수동식으로 지지됨이 없이 상인방(5)에 적소에 유지되어 보다 안전하고 보다 빠른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피팅부(7)를 보다 쉽게 고정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을 첨부하여 실례를 설명했으며, 한편, 본 발명의 변경 실시는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10)

  1. 입구 모듈(2)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도어 개구부(1)의 하부에지에 장착되어있고, 사이드 포스트(3,4)가 개구부의 에지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어 패널의 현가를 위한 오버헤드 서포터(6)와 사이드 포스트를 연결하는 상인방(5)이 개구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랜딩 도어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동일하게 긴 사이드 포스트(3,4)가 입구 모듈(2)의 정부에 장착되고,
    사이드 포스트가 사이드 포스트의 정부에 장착되는 상인방(5)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오버헤드 서포터(6)가 상인방에 놓이도록 상인방에 위치하고, 그리고
    오버헤드 서포터가 양 끝부에 의해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딩 도어의 설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인방(5)에 놓이는 오버헤드 서포터(6)는 상인방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입구 모듈(2)에 부착된 사이드 포스트(3,4)와 상인방(5)은 오버헤드 서포터(6)가 상인방에 놓이기 전에 크로스 측정되어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법.
  4.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도어 개구부(1)의 하부에지에 부착되는 입구 모듈(2), 사이드 포스트(3,4), 상인방(5), 그리고 오버헤드 서포터(6)를 포함하고 있는 랜딩 도어의 설치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드 포스트(3,4)의 정부에 장착된 상인방(5)과 오버헤드 서포터(6)는 서로 상응하는 피팅부(7)와 브래킷(8)을 구비하고 있어서 오버헤드 서포터가 도어 개구부의 에지에 고정되기 전에 상인방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인방(5)의 피팅부는 슬롯, 구멍, 슬리브, 지지핀, 또는 브래킷(8)에 결합하도록 설계된 동등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브래킷(8)은 혀모양부재, 핀, 러그, 또는 피팅부(7)에 끼워지는 동등한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브래킷(8)에 포함된 러그(11) 또는 동등한 요소는 상인방(5)에 포함된 지지요소(1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오버헤드 서포터(6)의 끝부는 고정지점(9)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인방에서 제위치에 놓여있는 오버헤드 서포터가 벽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인방은 장착 브래킷(10)을 구비하고 있고, 이 장착 브래킷에 의해 사이드 포스트와 상인방의 크로스 측정후에 사이드 포스트 상에 놓이는 상인방이 벽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장착 브래킷은 상인방과 사이드 포스트가 벽으로부터 적절한 간격을 두고 벽에 직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가요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시스템.
KR10-2000-7004946A 1997-11-06 1998-10-15 랜딩도어 설치방법 및 상응하는 설치시스템 KR100424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74158 1997-11-06
FI974158A FI108294B (fi) 1997-11-06 1997-11-06 Tason oven asennusmenetelmä ja vastaava asennusjärjestelmä
FI981992A FI981992A0 (fi) 1997-11-06 1998-09-15 Tason oven asennusmenetelmä ja vastaava asennusjärjestelmä
FI981992 1998-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870A KR20010031870A (ko) 2001-04-16
KR100424163B1 true KR100424163B1 (ko) 2004-03-24

Family

ID=2616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946A KR100424163B1 (ko) 1997-11-06 1998-10-15 랜딩도어 설치방법 및 상응하는 설치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94001B1 (ko)
EP (1) EP1027276B1 (ko)
JP (1) JP2001522771A (ko)
KR (1) KR100424163B1 (ko)
CN (1) CN1176004C (ko)
AU (1) AU737268B2 (ko)
BR (1) BR9814953A (ko)
DE (1) DE69825773T2 (ko)
FI (1) FI981992A0 (ko)
HK (1) HK1030766A1 (ko)
WO (1) WO19990243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G20060012U1 (it) * 2006-04-21 2007-10-22 Sematic Italia Spa Pannello perfezionato per porte di ascensori
US9561934B2 (en) 2009-03-13 2017-02-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guide rail bracket
ES2684136T3 (es) 2009-03-13 2018-10-01 Otis Elevator Company Marco de puerta de sistema de ascensor que soporta las guías
CN102285574A (zh) * 2011-08-29 2011-12-21 希姆斯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层门的安装结构
CN106395588A (zh) * 2016-10-20 2017-02-15 钟立朋 一种电梯层门的安装架
CN111683890B (zh) * 2018-02-28 2023-04-04 通力股份公司 电梯层站门组件及其安装方法
CN112173932B (zh) * 2020-10-20 2021-07-30 苏州美嘉智选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门机安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7789A (ja) * 1990-04-13 1991-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H04133990A (ja) * 1990-09-27 1992-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乗場装置
JPH101275A (ja) * 1996-06-13 1998-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乗場出入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1610A (en) * 1919-11-11 Metallic frame
GB826175A (en) 1956-02-29 1959-12-31 Otis Elevator Co Elevator entrance sills
US3741351A (en) * 1971-03-05 1973-06-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grated elevator construction
US4561210A (en) * 1984-02-21 1985-12-31 Kvas Peter J Sliding door
DE59309501D1 (de) * 1993-01-14 1999-05-12 Inventio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für den Schachttüreinbau bei Aufzügen
FI94160C (fi) * 1993-04-23 1995-07-25 Kone Oy Järjestelmä hissin tasonovien pielien muodostamiseksi
US5458828A (en) * 1994-01-11 1995-10-17 Chuang; Yung-Chuan Method for constructing one-step grout fixed window frames in a concrete-structured building
IT235086Y1 (it) 1994-05-31 2000-03-31 Selcom Spa Elemento di collegamento e supporto polifunzionale in meccanismo di movimentazione di porta automatica per ascensori ed elevator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7789A (ja) * 1990-04-13 1991-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H04133990A (ja) * 1990-09-27 1992-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乗場装置
JPH101275A (ja) * 1996-06-13 1998-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乗場出入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870A (ko) 2001-04-16
BR9814953A (pt) 2000-10-03
US6494001B1 (en) 2002-12-17
HK1030766A1 (en) 2001-05-18
DE69825773D1 (de) 2004-09-23
AU9543298A (en) 1999-05-31
EP1027276B1 (en) 2004-08-18
EP1027276A1 (en) 2000-08-16
CN1176004C (zh) 2004-11-17
DE69825773T2 (de) 2005-01-13
CN1281416A (zh) 2001-01-24
AU737268B2 (en) 2001-08-16
JP2001522771A (ja) 2001-11-20
WO1999024347A1 (en) 1999-05-20
FI981992A0 (fi)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352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US4406347A (en) Modular staircase assembly
AU2009335005B2 (en) Elevator hoistway installation guide systems, methods and templates
KR100424163B1 (ko) 랜딩도어 설치방법 및 상응하는 설치시스템
RU2414411C2 (ru) Система домкратов для направляющих
US6681536B1 (e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viscosity system damping wall
EP1111163A1 (en) Viscosity system damping wall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GB2194984A (en)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doors
KR20100017966A (ko) 엘리베이터칸 및 그 설치방법
CA1250533A (en) Elevator rail system
FI92313C (fi) Hissien johdejärjestelmä
EP3782945B1 (en) Guide rail bracket assembly
JP6579591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の据え付け方法
JP4648543B2 (ja) エレベータ階扉構体
US6151846A (en) Pin and slide method to install and affix cladding
FI86625C (fi) Foerfarande foer montering av stannplansdoerrar till hiss.
KR101414834B1 (ko) 소켓 매립형 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FI108294B (fi) Tason oven asennusmenetelmä ja vastaava asennusjärjestelmä
KR101795673B1 (ko) 보 거푸집 조립체 연결장치
KR0151867B1 (ko) 판넬의 조립식 설치방법
KR102394778B1 (ko) 창호 시공방법
JPS59153782A (ja) エレベ−タ−のガイドレ−ル固定金具
RU2761677C1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поворотной платформы испыта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авариестойкой топливной системы вертолета
CN114104926A (zh) 层站组件定位工装及电梯层门组件安装方法
WO2019083218A1 (ko)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