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688B1 - 구조식조립세트용조립요소 - Google Patents

구조식조립세트용조립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688B1
KR100423688B1 KR1019960701470A KR19960701470A KR100423688B1 KR 100423688 B1 KR100423688 B1 KR 100423688B1 KR 1019960701470 A KR1019960701470 A KR 1019960701470A KR 19960701470 A KR19960701470 A KR 19960701470A KR 100423688 B1 KR100423688 B1 KR 100423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s
assembly element
assembly
coupling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606A (ko
Inventor
신노베 바타커
Original Assignee
레고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고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레고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96070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Toy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pecial Chai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상호 모듈의 치수로서 배열된 결합 스터드들과 협력하여 한 요소를 조립 세트에 포함된 다른 조립 요소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한 구성 조립 세트용의 조립 요소로서, 상기 결합 수단들이 다른 조립 요소에 대해 조립 요소의 제1 방향에서 다른 조립 요소 상의 복수의 결합 스터드들과 맞물리기 적합한 측면들을 갖는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구성의 조립 요소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들은 조립 요소의 제2 방향에서 결합 스터드들과의 맞물림면으로서 작용하는 모서리면들을 형성하도록 섹션들로 분할된다.

Description

구조식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본 발명은 상호 모듈의 치수로 배열된 결합 스터드(stud)들과 협력하여 한 요소를 조립 세트에 포함된 다른 조립 요소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한 구조식 완구 조립 세트용의 조립 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 수단들은 다른 조립 요소에 대해 조립 요소의 제1 복수 방향에서 다른 조립 요소 상의 다수의 결합 스터드들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측면들을 갖는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립 세트들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867,784호와 덴마아크 특허 제120,627호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조립 세트들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박스들로 구성된 조립 요소들을 포함하고, 박스들의 하부면은 개방되고 상부면에는돌출된 스터드들이 제공된다. 스터드들은 다른 조립 요소의 하부로부터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터드들의 모서리면의 적어도 일부가 박스형 조립 요소의 측면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상의 측면과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 요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될지라도, 그러한 기존의 조립 세트들에서의 문제점은 스터드들 및 플랜지들의 실시예들이 제1 조립 요소가 다른 요소 상에 위치될 수 있는 방향의 수를 결국 제한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덴마아크 특허 제120,627호에 개시된 조립 요소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조립 요소 상에서 4개의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조립 요소들 중 하나가 플로어로서 작용하는 조립판과 같은 다른 조립 요소 상에 배치될 의자 또는 다른 한 점의 가구로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물들에서, 상기 한 점의 가구는 신규의 조립 요소와 공지된 조립 요소가 항상 겸용될 수 있다면, 공지된 조립 요소의 구조물에 의해 제한된 수보다 더 많은 방향으로 조립판 상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덴마아크 특허 120,627호의 조립 요소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공지된 의자 조립 요소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의자 요소에는 다른 요소 상의 위치에 따라 다른 요소의 스터드들 중 하나를 둘러싸거나 또는 상기 스터드들 중 4개의 사이에서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들이 하방으로 제공된다. 플랜지들은 먼저 설명된 위치의 의자 요소가 여전히 다른 요소의 스터드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반면에 가능한 가장 큰 지지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 요소를 스터드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요소의 기부면은 이러한 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둘러싸여진 스터드에 대해 반대 위치에 있는 2개의 스터드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치수가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지 공지된 조립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방식으로 공지된 형태의 조립 요소 상에서 지향될 수 있는 반면, 그 기부면이 공지된 의자 요소의 기부면보다 더 큰 치수를 구비할 수 있어서 요소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서두에서 설명된 형태의 조립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 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한정된 구성들을 특징으로 하는 서두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조립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조립 요소가 공지된 조립 요소들에 의해 가능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지향될 때에 결합스터드들과의 맞물림면으로 작용하는 모서리면들이 플랜지들 상에 형성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플랜지들이 섹션들로 분할되기 때문에, 이러한 플랜지들이 전술한 방향에서 결합 스터드들을 교차하는 조립 요소의 기부면에 대한 외주면을 한정하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기부면의 크기는 공지된 의자 요소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결합 스터드들의 간격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덴마아크 특허 제120,627호의 조립 요소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구 범위 제2항에서 한정되는데, 제2항에서는 조립 요소가 공지된 요소들에서 가능한 방향들에 대해 약 45°로 회전 가능함으로써, 조립 요소가 전체적으로 8개의 다른 방향들로 위치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3항에서 한정된 내용에 의하면, 요소가 모듈 방향들 중 하나의 방향에 하나의 방향성을 갖고 모듈 방향에 대해 45°각도로 모듈 거리의 절반을 부가적으로 변위될 수가 있다.
청구 범위 제4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모서리면들이 스터드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구비할 때, 조립 요소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마모는 감소된다.
청구 범위 제5항에서는, 마찰에 의한 접속이 제공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요소들의 예기치 않은 분리가 어렵다는 것이 기술되고 있다.
청구 범위 제6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조립 요소가 직사각형의 기부면 내에 추가 결합 수단들을 제공하게 되면, 이러한 추가 결합 수단들은 특히 플랜지 섹션들 사이의 거리가 먼 상황에서도 조립 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7항은 청구 범위 제6항에 의한 추가 결합 수단들의 특정 실시예를 한정한다.
청구 범위 제8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추가 결합 튜브들은 추가 마찰 결합물들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는 특히 대형 조립 요소들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9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조립 요소가 한 점의 가구 등을 형성하고 플랜지들이 그 가구의 다리 역할을 할 때에 특히 잇점이 있다. 그 이유는 조립 요소 및 그에 따른 상기 한 점의 가구의 위치 및 방향들의 수가 증가되면, 상기 요소 역할성(play value)이 증가되기 때문이며, 그것은 예를 들어 인형의 집의 가구류와 관련하여 인형의 집의 플로어가 결합 스터드가 제공된 조립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청구 범위 제10항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조립 요소 자체에 결합 스터드들이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상부에서 비스듬하게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의자 형상의 요소를 도시한다.
제2도는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도시한 제1도의 요소를 도시한다.
제3도는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본 제1도 및 제2도의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4도는 스터드들을 구비한 조립판 상에서의 제1도 및 제3도의 요소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5도는 조립판 상에서의 요소의 대안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6도는 조립판 상에서의 요소의 또 다른 대안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7도는 소파 형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자 형상의 요소(1)는 시트(2), 백(3) 및 4개의 의자 다리(4, 5, 6, 7)를 포함하며, 의자 다리들 중 3개의 의자 다리(4, 5, 6)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결합 스터드들에 대해 상보적인 결합 부품들을 구비한 형상체가 의자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시트에는 결합 스터드들이 제공된다.
제2도는 동일한 의자의 저면도이며, 의자 다리(4, 5, 6, 7)가 정사각형 패턴으로 위치된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의자 다리(4, 5, 6, 7)는 함께 박스 형상의 단면을 한정하는 플랜지 섹션들로 형성되고, 플랜지 섹션들이 모서리면(9)에서 종결되는 곳에서 개개의 섹션들 사이에는 갭(8)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의자 다리(4, 5, 6, 7)는 결합 수단으로서 역할을 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그 의자는 예를 들어 원통형 결합 스터드들이 제공된 조립판과 같은 다른 요소에 마찰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4도, 제5도 및 제6도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의자 요소에는 예를 들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의자 요소(1)를 도시하고 있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결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제3도에서, 의자 요소에는 원통형 결합 튜브(10)가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제4도, 제5도 및 제6도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 결합 튜브는 조립판 상의 결합 스터드들과 마찰에 의해 결합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제1도, 제2도 및 제3도의 의자 요소(1) 상의 의자 다리(4, 5, 6, 7)가 어떻게 조립판 상의 결합 스터드(11)들과 협력할 수 있는 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결합 스터드(11)들은 조립판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 튜브(11)들로 구성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방향에 평행한 제1 방향에서 의자 다리(4, 5, 6, 7)는 결합 스터드(11)들이 의자 다리(4, 5, 6, 7)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의 내측면과 맞물리도록 조립판 상의 결합 스터드(11)들을 파지한다. 이것은 일반적인 박스 형상의 조립 요소들이 결합 스터드(11)들과 맞물리는 플랜지들을 구비하는 종래의 기술과 대응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다리들을 형성하기 위해 플랜지들을 섹션들로 분할하면 실제로 요소가 이러한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제4도의 의자 요소가 제3도에 도시된 형태라면, 원통형 결합 튜브(10)는 그 외부면이 4개의 결합 스터드(11)들과 접촉하도록 결합 스터드(11)들과 맞물려진다.
제5도는 제4도의 조립판과 대응되는 조립판 상의 의자 요소의 대안 위치를 도시한다. 의자 요소는 여기서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 대해 45°로 회전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방향에서, 결합 스터드(11)들은 의자 다리(4, 5, 6, 7)의 모서리면(9)에 의해 수용되고 보유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위치는 오직 의자 다리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들이 섹션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제5도의 의자 요소가 제3도에 도시된 형태라면, 제4도에서와 같이 결합 튜브(10)는 그 외부면이 4개의 결합 스터드(11)들과 맞물려진다.
제5도에서는 의자 요소(1)가 어떻게 조립판 상에 제3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있는 지가 부가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의자 요소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나, 결합 스터드(11)들의 열들에 의해 표시된 방향들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모듈 치수의 반만큼 오프셋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의자 다리(4, 5, 6, 7)의 모서리면(9)은 상호 대각선으로 배열된 결합 스터드(11)들과 맞물림으로써, 이들을 수용하고 보유한다.
의자 다리(4, 5, 6, 7)의 플랜지들은 외측면이 추가 결합 스터드(11)들과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조립판 상에서의 요소의 마찰에 의한 보유에 기여한다.
제6도의 의자 요소가 제3도에 도시된 형태라면, 결합 튜브(10)는 결합 스터드(11)들 중의 하나를 둘러싸게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즉 제1도, 제2도 및 제3도의 의자 요소(1)상의 의자 다리(4, 5, 6, 7)와 기능적으로 대응되는 소파 다리(4a, 5a, 6a, 7a)를 구비한 소파(12)를 도시한다. 이러한 요소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은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요소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요소들에 관해서도 유용하다.
전술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응용 가능성을 제한하지 않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들에 의해 형성된 다리들 또는 플랜지들의 수는 목적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다수의 상이한 위치들을 제공한다는 기본 원리는 도시된 가구 요소들 이외에, 예를 들어 동물 등과 같은 일반적인 모듈 조립 블록들 및 형상들과 같이, 다른 형태의 요소들과 관련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결합 스터드들과 협력하여 조립 세트에 포함된 다른 조립 요소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한 구조식 조립 세트용의 조립 요소(1, 12)로서, 상기 다른 조립 요소에 대한 조립 요소(1)의 제1 방향들에서 상기 결합 수단들이 상기 다른 조립 요소 상의 복수의 결합 스터드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측면들을 갖는 플랜지(4, 5, 6, 7)들을 포함하는 조립 요소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 5, 6, 7)들은 조립 요소(1)의 제2 방향들에서 결합 스터드들과의 맞물림면으로서 작용하는 모서리면(9)들을 형성하도록 섹션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조립 요소 상의 결합 스터드들은 정사각형 패턴으로 배열된 원통형 스터드(11)들을 포함하고, 플랜지(4, 5, 6, 7)들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이루는 패턴으로 배치되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측면들이 모듈의 방향들과 평행할 때는 각 코너의 내부 측면이 스터드(11)들 중 하나와 맞물리며 모듈의 방향들에 대해 약 45°의 방향일 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스터드(11)들이 모서리면(9)들과 맞물리도록 섹션들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코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직사각형 패턴 내의 2개의 평행한 플랜지(4, 5, 6, 7)들 사이의 상호 거리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측면들이 모듈 방향들과 평행할 때 그리고 직사각형 패턴이 각 모듈 방향에서 모듈 거리의 절반으로 오프셋될 때에 모서리면(9)들이 하나 또는 두 개의 스터드(11)들과 맞물리도록, 모듈 거리에 대한 소정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서리면(9)들은 스터드(11)들의 측면들과 상호 대향하여 맞물리도록 스터드들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조립 요소 상의 위치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플랜지(4, 5, 6, 7)들이 마찰 접속을 제공할 정도의 힘으로 스터드(11)들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추가 결합 수단(10)들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기부면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7. 제6항에 있어서, 추가 결합 수단(10)들은 모듈 방향들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된 두 개의 스터드(11)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한 외측 직경과 스터드(11)들의 직경보다 크거나 동일한 내측 직경을 구비한 결합 튜브(10)들을 포함하고, 그들 각각이 다른 조립 요소 상의 조립 요소의 위치들 중 제1 위치에서 4개의 인접한 스터드(11)들 사이를 하방으로 신장하고 상기 위치들 중 제2 위치에서 스터드(11)를 둘러싸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8. 제7항에 있어서, 결합 튜브(10)들은 스터드(11)들과 마찰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1, 12)는 한 점의 가구로서 형성되고, 플랜지(4, 5, 6, 7)들은 상기 한 점의 가구의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1, 12)는 적어도 결합수단들로부터 이격되어 대면하는 측면 상에 결합 스터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요소.
KR1019960701470A 1993-09-22 1994-09-21 구조식조립세트용조립요소 KR100423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068/93 1993-09-22
DK106893A DK172406B1 (da) 1993-09-22 1993-09-22 Byggeelement til et konstruktionsbyggesæ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606A KR960704606A (ko) 1996-10-09
KR100423688B1 true KR100423688B1 (ko) 2004-06-05

Family

ID=810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470A KR100423688B1 (ko) 1993-09-22 1994-09-21 구조식조립세트용조립요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661941A (ko)
EP (1) EP0720502B1 (ko)
JP (1) JP3426604B2 (ko)
KR (1) KR100423688B1 (ko)
AT (1) ATE152928T1 (ko)
DE (1) DE69403223T2 (ko)
DK (1) DK172406B1 (ko)
ES (1) ES2102883T3 (ko)
GR (1) GR3024278T3 (ko)
HK (1) HK1005430A1 (ko)
SG (1) SG43979A1 (ko)
WO (1) WO1995008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73517U (en) * 1994-09-29 1999-11-01 Interlego Ag Stackable block system
TW328526B (en) * 1996-09-17 1998-03-21 Interlego Ag A toy building set
US5899420A (en) * 1997-05-29 1999-05-04 Gerardi; Karen L. Mountable storage bin
DK173697B1 (da) * 1999-01-15 2001-07-02 Lego As Byggeelement til et legetøjsbyggesæt
JP3927069B2 (ja) * 2002-05-08 2007-06-0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組立要素玩具セット、組立要素
DE10300449A1 (de) * 2003-01-07 2004-07-29 Koala Design Gmbh Kindermöbelbausystem
US7140944B2 (en) * 2005-01-24 2006-11-28 Mattel, Inc. Connecting toy
AU2007345989B2 (en) * 2007-02-01 2012-02-09 Robosynthesis Limited Construction set
US8459410B2 (en) * 2009-09-11 2013-06-11 Kinder Pal, Llc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step stool
FR2979251B1 (fr) * 2011-08-29 2014-04-11 Stephane Benoit Montero Systeme de socles orientables et jeu de societe
US9345981B1 (en) * 2014-02-24 2016-05-24 Hasbro, Inc. Multidimensional alignment spacing for toy building elements
US10898821B2 (en) * 2015-06-02 2021-01-26 Moose Creative Management Pty Limited Adhesive toy beads
US20180318726A1 (en) * 2017-05-04 2018-11-08 Dustin A. Barwald Grippable Building Brick Assembly
US11577661B2 (en) * 2020-10-26 2023-02-14 Thermoflex Corp. Storage organizing article and system
USD995390S1 (en) 2021-11-24 2023-08-15 Thermoflex Corp. Vehicle floor ma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6732A (en) * 1984-06-15 1986-08-19 Ronald Lyman Interlocking toy building blocks with interconnecting, releasable hinges
KR870003592Y1 (ko) * 1984-11-30 1987-10-17 임병덕 개스식 공기소총에 있어서 개스충진량이 약할 때 실탄장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975A (en) * 1916-08-08 beardsley
US294607A (en) * 1884-03-04 Toy building-block
US879455A (en) * 1907-05-29 1908-02-18 Charles W Frost Toy building-block.
US1660119A (en) * 1925-10-24 1928-02-21 Albert K Decker Nesting furniture
GB294560A (en) * 1927-07-26 1928-08-16 Martin Lasse Improvements relating to boxes for toys
US3074203A (en) * 1959-04-27 1963-01-22 Paksy Jeno Toy constructional outfit
US3220141A (en) * 1962-07-02 1965-11-30 Halsam Products Company Building blocks connectable in slideable or non-slideable relationship
US4744780A (en) * 1986-02-06 1988-05-17 Tyco Industries, Inc. Adapter block
US4919635A (en) * 1988-12-19 1990-04-24 The Ritvik Group Inc. Toy construction assembly
DE69027740D1 (de) * 1989-10-10 1996-08-14 Ronald L Lyman Spielzeug-Baukasten, bestehend aus einer Vielzahl von Bausteinen
US5061218A (en) * 1990-07-09 1991-10-29 Real Blocks, Inc. Toy building blocks
US5259803A (en) * 1991-04-09 1993-11-09 Lyman Ronald L Toy construction set featuring gears and radiant conne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6732A (en) * 1984-06-15 1986-08-19 Ronald Lyman Interlocking toy building blocks with interconnecting, releasable hinges
KR870003592Y1 (ko) * 1984-11-30 1987-10-17 임병덕 개스식 공기소총에 있어서 개스충진량이 약할 때 실탄장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2406B1 (da) 1998-05-25
DK106893D0 (da) 1993-09-22
EP0720502A1 (en) 1996-07-10
HK1005430A1 (en) 1999-01-08
DE69403223D1 (de) 1997-06-19
WO1995008378A1 (en) 1995-03-30
DE69403223T2 (de) 1997-10-30
JP3426604B2 (ja) 2003-07-14
KR960704606A (ko) 1996-10-09
EP0720502B1 (en) 1997-05-14
SG43979A1 (en) 1997-11-14
DK106893A (da) 1995-03-23
JPH09504712A (ja) 1997-05-13
US5661941A (en) 1997-09-02
ES2102883T3 (es) 1997-08-01
GR3024278T3 (en) 1997-10-31
ATE152928T1 (de) 199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688B1 (ko) 구조식조립세트용조립요소
EP0379389B1 (en) Building blocks
KR100785119B1 (ko) 장난감 조립 세트
CA2266001C (en) A toy building set
US5795210A (en) Toy building set and building elements therefor
US9345981B1 (en) Multidimensional alignment spacing for toy building elements
KR20010101537A (ko) 완구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CA1148505A (en) Clamp members
CZ95997A3 (en) System of bricks
US3405479A (en) Toy building block
JP2016521584A (ja) 組立部材セットの構成部材の変形
KR200232691Y1 (ko) 짜맞추어 울타리를 조성할 수 있는 유니트
KR100285973B1 (ko) 상호 결합 가능 요소들을 갖는 조립 세트
KR100906699B1 (ko) 다기능 연결구
WO1996020033A1 (fr) Jeu de construction
JPH0541193Y2 (ko)
JP2007275431A (ja) 連結ブロック
JP3176721B2 (ja) ファスナ
JPS6144002B2 (ko)
JPH0356641Y2 (ko)
JPS5942074Y2 (ja) ブロツク玩具
JPH04336089A (ja) 基本キューブから幾何学体を構築することからなるゲーム
KR101758781B1 (ko) 조립식 블록 기초판 및 조립식 블록 기초판 조립체
JP3206227U (ja) 積み木
KR101622875B1 (ko) 조립식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