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096B1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096B1
KR100423096B1 KR10-2001-0036391A KR20010036391A KR100423096B1 KR 100423096 B1 KR100423096 B1 KR 100423096B1 KR 20010036391 A KR20010036391 A KR 20010036391A KR 100423096 B1 KR100423096 B1 KR 10042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ock devic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614A (ko
Inventor
김택호
Original Assignee
김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호 filed Critical 김택호
Priority to KR10-2001-003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0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으로 접속을 제공하는 무선 도어락 장치와 도어락 웹서버를 구비한다. 무선 도어락 장치는 이동 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안테나 및 무선 송수신부, 도어락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잠금 메커니즘 및,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어락 웹서버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도어락 장치와 접속되고,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무선 도어락 장치를 원격 제어한다. 무선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무선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지 후 소정 시간 동안 카메라 모듈이 동작되어 출입자를 녹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녹화된 출입자 기록은 상기 도어락 웹서버로 제공된다. 무선 도어락 장치 또는 상기 도어락 웹서버 중 어느 하나는 무선 도어락 장치의 상태 변화를 지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통지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DOOR LOCK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도어락 시스템(door lock system)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도어락 장치를 잠금/해정(locking/unlocking) 할 수 있는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door lock remote control system)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열쇠(key)와 자물쇠(lock)로 구성되는 기계적 잠금 메커니즘이 사용되어 구성된다. 이에서 진보하여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전자적 잠금 메커니즘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전자적 잠금 메커니즘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유선 제어에서 무선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으로 제어되는 도어락 장치는 패스워드가 내장된 원격제어기를 사용하거나, 고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패스워드가 내장된 원격제어기는 분실시 그것을 취득한 타인의 사용을 막을 수 없으며, 고정된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식은 주파수 노출에 따른 모방의 염려를 갖고 있다.
한편, 개인들이 소유하는 키는 주택 현관 키, 자동차 키, 사무실 키 등 그 수가 많다. 이러한 많은 수의 키들을 일일이 소유하고 관리한다는 것은 매우 불편하며 분실 우려도 많다. 그러므로 무선 제어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통신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 및 개인 이동 통신 사용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 및 이동 통신은 보편화된 생활 환경으로자리 잡아가고 있다. 만약,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보다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도어락 장치에 비해 그 편리성이 증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무선 도어락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무선 도어락 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도 1의 도어락 서버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순서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무선 도어락 장치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선 도어락 장치 11: 도어락 주몸체
12: 걸림부재 13: 안테나
14: 데드볼트 15: 카메라 모듈
16: 리셋 스위치 17: L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안테나 및 무선 송수신부, 도어락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잠금 메커니즘 및,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도어락 장치;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도어락 장치와 접속되고,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무선 도어락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도어락 웹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무선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지 후 소정 시간 동안 카메라 모듈이 동작되어 출입자를 녹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녹화된 출입자 기록은 상기 도어락 웹서버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도어락 장치 또는 상기 도어락 웹서버 중 어느 하나는 무선 도어락 장치의 상태 변화를 지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통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은 무선 도어락 장치(wireless door lock device)(10)와 도어락 웹서버(door lock web server)(40)를 구비한다.
도어락 웹서버(40)는 크게 서버 프로세서(41), 도어락 관리 프로그램(43)이 저장된 메모리(42), 출입자 기록 데이터 베이스(45)와 등록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6)가 저장된 대용량 저장 매체(44), 그리고 자동응답모듈(47)이 구비된다.서버 프로세서(41)는 도어락 관리 프로그램(43)을 실행하고, 자동 응답 모듈(47)을 제어하며 도어락 웹서버(4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무선 도어락 장치(10)는 하나의 이동 통신 수신자 번호가 할당되어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도어락 웹서버(40)와 무선으로 접속된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32)를 이용하여 도어락 웹서버(40)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무선 도어락 장치(10)의 원격 제어를 지시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도어락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10)는 크게 도어락 주몸체(11)와 걸림부재(12)로 구성된다. 도어락 주몸체(11)는 일 측에 안테나(13)가 장착되어 있고, 다른 일 측으로 데드볼트(14)가 장착되어 있다. 주몸체(11)의 전면에는 카메라 모듈(15)이 설치되어 있으며, 리셋 스위치(16)와 LED(17)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락 주몸체(11)의 내부에는 전자적 제어 회로와 잠금 메커니즘이 내장된다.
무선 도어락 장치(10)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외측에 위치한 방문객은 도어락 장치(10)의 설치 상태나 위치를 확인키 어렵다. 카메라 모듈(12)은 도어락 주몸체(1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출입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유연한 장착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도 1의 무선 도어락 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무선 도어락 장치(10)는 안테나(13)에 접속되는 무선 송수신부(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 도어락 장치(10)의 전반적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 출입자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15),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잠금 메커니즘(23), 동작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24), 도어락 장치(10)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 스위치(16), 그리고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20)는 이동 통신망에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구비하며, 하나의 수신자 번호가 할당되어 이동 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제어부(22)는 무선 송수신부(20)를 제어하여 이동 통신망(30)으로부터 전송되는 호(call)에 응답하고, 도어락 웹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도어락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잠금 메커니즘(23)을 제어한다.
잠금 메커니즘(23)은 전자적으로 제어되며,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동작된다. 카메라 모듈(15)은 도어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가 열린 후 대략 5초 동안 작동하여 도어 주변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출입자 기록 데이터로 메모리(21)에 임시 저장되고 동작 수순에 따라 도어락 웹서버(40)로 전송된다.
리셋 스위치(16)는 도어락 장치(10)를 초기화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리셋 스위치(16)가 입력되면 제어부(22)는 이에 응답하여 도어락 장치(10)를 초기화시킨다. LED(17)는 도어락 장치(10)의 동작 상태 및 전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 상태 표시부로서 예를 들어, 배터리(24)의 잔류 용량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해 적색으로 점등된다. 배터리(24)가 일정치 이하로 방전이 된 경우에는 무선 도어락 장치(10)가 자동으로 해정 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도어락 서버(40)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32)를 사용하여 이동통신망(30)을 통해 도어락 서버(40)에 전화를 걸면, 단계 S10에서 도어락 서버(40)는 호(call)를 접수한다.
단계 S12에서 접수된 호에 응답하여 이동통신단말(32)로 사용자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자동응답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응답해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32)를 이용해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단계 S14에서 도어락 서버(40)는 패스워드를 수신한다. 단계 S16에서 수신된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고,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8로 진행하여 패스워드가 일치되지 않았음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고 단계 S24로 진행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단계 S16에서 패스워드가 일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0에서 도어락 서버(40)는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무선 도어락 장치(10)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도어락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무선 도어락 장치(10)는 이에 응답하여 잠금 메커니즘(23)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도어락 웹서버(40)로 제공한다. 단계 S22에서 도어락 웹서버(40)는 도어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32)로 전송하고 단계 S24에서 통화를 종료한다.
도 5는 도 1의 무선 도어락 장치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도어락 웹서버(40)로부터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무선 도어락 장치(10)로 전화가 걸리게되면, 단계 S30에서 무선 도어락 장치(10)는 호를 접수하고, 단계 S32에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34에서는 도어락 제어 신호에 따라 잠금 메커니즘(23)을 제어한다.
단계 S36에서는 카메라 모듈(15)을 대략 4~5초간 동작시켜 출입자를 녹화하여 메모리(21)에 저장한다. 단계 S36에서 메모리(21)에 녹화된 출입자 기록 데이터는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도어락 웹서버(40)로 송신한다. 녹화된 출입자 기록 데이터는 매번 녹화시마다 도어락 웹서버(40)로 송신될 수 도 있고, 또는 4~5회 출입자 기록 데이터를 축적하여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웹서버(40)는 도어락 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출입자 기록 데이터를 출입자 기록 데이터 베이스(45)에 저장하며, 사용자는 인터넷(34)을 통해 도어락 웹서버(40)에 접속하여 출입자 기록 정보를 열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자 기록 정보를 도어락 웹서버(40)로 제공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출입자 기록 정보를 도어락 웹서버(40)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직접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로 녹화된 출입자 기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웹서버(40)는 도어의 잠김 상태 확인, 비밀 번호 변경 등의 도어락 관련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32)를 이용하여 웹서버(40)에 접속하여 이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은 무선 도어락 장치(40)가 해정 되며 그 상태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32)로 자동으로 알리도록 되어 있다. 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무선 도어락 장치(10)에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32)로 전화를 걸어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어락 웹서버(40)에서 무선 도어락 장치(10)의 해정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32)로전화를 걸어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보고 방법으로는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문자 메시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도어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을 원격으로 청취하는 기능, 도어락 장치(10)의 카메라 모듈(15)을 통해 주변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등의 기능, 주기적으로 무선 도어락 장치(10)의 상태를 보고하는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도어락 장치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함으로서 사용자는 어느 곳에서나 원격으로 무선 도어락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종래의 도어락 장치에 비해 그 편리성이 증대되며, 도어락 장치의 상태를 외부에서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이동 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안테나 및 무선 송수신부, 도어락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잠금 메커니즘 및,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도어락 장치;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도어락 장치와 접속되고,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무선 도어락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도어락 웹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무선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지 후 소정 시간 동안 카메라 모듈이 동작되어 출입자를 녹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녹화된 출입자 기록은 상기 도어락 웹서버로 제공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도어락 장치 또는 상기 도어락 웹서버 중 어느 하나는 무선 도어락 장치의 상태 변화를 지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통지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01-0036391A 2001-06-25 2001-06-25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42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391A KR100423096B1 (ko) 2001-06-25 2001-06-25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391A KR100423096B1 (ko) 2001-06-25 2001-06-25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614A KR20030001614A (ko) 2003-01-08
KR100423096B1 true KR100423096B1 (ko) 2004-03-16

Family

ID=2771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391A KR100423096B1 (ko) 2001-06-25 2001-06-25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083B1 (ko) * 2003-02-10 2006-01-24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KR100974792B1 (ko) * 2004-01-20 2010-08-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킹 출입문 점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63090B1 (ko) * 2005-11-24 2007-01-02 주식회사 에스원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그 출입문 제어 방법
KR100872963B1 (ko) * 2006-12-27 2008-12-08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단말을 이용한 가정 자동화(homeautomation)제어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451374A (zh) * 2018-12-12 2019-03-08 武汉职业技术学院 一种家用门锁远程控制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876A (ko) * 1995-12-06 1997-07-31 구자홍 무선 핸드폰을 이용한 도어(door)의 개·폐와 위치확인 감지 장치 및 방법
JPH10292688A (ja) * 1997-02-20 1998-11-04 Kouji Kagetani 扉の施解錠方法
US6161005A (en) * 1998-08-10 2000-12-12 Pinzon; Brian W.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utilizing direct and network communications
KR20010048228A (ko) * 1999-11-25 2001-06-15 이충식 도어 자동 개방장치 및 개방방법
KR200238784Y1 (ko) * 2001-04-10 2001-10-11 박용덕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JP2001295526A (ja) * 2000-04-17 2001-10-26 Okuto Sangyo Kk 携帯電話機に付けて用いるワイヤレスドアロック開閉用送信機
KR20010096651A (ko) * 2001-06-04 2001-11-08 이상문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876A (ko) * 1995-12-06 1997-07-31 구자홍 무선 핸드폰을 이용한 도어(door)의 개·폐와 위치확인 감지 장치 및 방법
JPH10292688A (ja) * 1997-02-20 1998-11-04 Kouji Kagetani 扉の施解錠方法
US6161005A (en) * 1998-08-10 2000-12-12 Pinzon; Brian W.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utilizing direct and network communications
KR20010048228A (ko) * 1999-11-25 2001-06-15 이충식 도어 자동 개방장치 및 개방방법
JP2001295526A (ja) * 2000-04-17 2001-10-26 Okuto Sangyo Kk 携帯電話機に付けて用いるワイヤレスドアロック開閉用送信機
KR200238784Y1 (ko) * 2001-04-10 2001-10-11 박용덕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KR20010096651A (ko) * 2001-06-04 2001-11-08 이상문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614A (ko)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6879B2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s for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KR102659972B1 (ko) 물리적 공간으로의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8653969B2 (en) Home security system
CN201681427U (zh) 一种电子信息锁
CN108412315A (zh) 一种智能门锁警示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093243A (zh) 一种门锁验证报警方法及系统、终端
CN107610394A (zh) 一种可进行实时监控的高安全性能新型储物柜及监控方法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N104933794B (zh) 一种智能锁具系统
KR100423096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154405B1 (ko) 스마트 도어락
KR101935547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도어록 잠금해지 및 사용자 기록장치
US20210067747A1 (en) Smart Visual Lock System
CN104916025B (zh) 一种门控装置
JP2002364224A (ja) 電気錠施錠/解錠機能付きテレビドアホン
CN105264483A (zh) 用于管理场所安全的门户网站
US9761105B1 (en) Control system providing a real-time remote alarm
JP3974350B2 (ja) 情報発行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3003470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571876B1 (ko) 컴퓨터용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CN217562077U (zh) 智能门禁系统
KR10061459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 시스템
CN211974786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家用防盗门
JP2007077692A (ja) 電子錠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10100587A (ko) 지능형 보안체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