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298B1 - 전화어댑터 - Google Patents

전화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298B1
KR100420298B1 KR10-2001-0009377A KR20010009377A KR100420298B1 KR 100420298 B1 KR100420298 B1 KR 100420298B1 KR 20010009377 A KR20010009377 A KR 20010009377A KR 100420298 B1 KR100420298 B1 KR 10042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line
general
telephones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471A (ko
Inventor
송요한
이시야마히로우미
Original Assignee
송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요한 filed Critical 송요한
Priority to KR10-2001-000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29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일반전화기를 다이얼 번호에 따라 전화요금이 보다 저렴한 회선에 자동적으로 접속시킴과 동시에 일반전화기의 증가에 따른 부품수의 증가, 코스트의 증가, 필요 스페이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전화 어댑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어부 10은 회선부 1∼4가 발신상태인지 착신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과 휴대전화기 5, 6이 통화중인지의 판정을 하며 일반전화기 1a∼4a의 Off Hook상태를 회선부에서 통지할 경우, 일반전화기로부터 발신된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회선용전화번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113과 판정수단 113이 휴대전화 회선임을 판정하였을 경우에는 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하나의 휴대전화기를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 판정수단 113이 발신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회선용전화번호가 아님이 판정되었을 경우 Off Hook 된 일반전화기를 복수의 일반회선 L1∼L4중에서 대응할 수 있는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수단 114를 가진다.

Description

전화어댑터{Telephone adaptor}
본 발명은 버튼식전화기부터 일반회선 또는 휴대전화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의 통화를 가능케 한 전화어댑터(telephone adaptor)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전화기가 보급되면서 전화기의 사용기회도 증가되고, 이에 따라 전화요금 절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도 13은 일본특허2838071호의 공보에 기재되었던 종래의 어댑터를 제시한 블록도이며, 버튼식전화기를 휴대전화회선에도 사용이 가능한 경우를 표시한 것이다.
도 13에 있어서 B는 전화어댑터, 102는 휴대전화기, 103은 버튼식전화기, 105는 버튼식전화기 103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다음에 설명하는 신호전송로 107로부터 수신하여, 이것을 휴대전화기 102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이것을 신호전송로 107로 전달하는 음성신호부, 106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107은 버튼식전화기 103으로부터 다이얼신호, 음성신호 및 휴대전화기 102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로, 109는 버튼식전화기 103이 오프후크(Off Hook) 상태로 변화해서 신호전송로 107에 통화전류가 흘렀음을 검지하는 검지부, 110은 버튼식전화기 103으로부터 신호전송로 107로 송출된 다이얼신호를 인식시키는 톤 리시버(Tone Receiver)이다. 이와 같은 경우, 음성신호부 105, 제어부 106, 신호전송로 107, 검지부 109, 톤 리시버(Tone Receiver) 110은 전화 어댑터 B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화어댑터 B의 제어부 106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 106은, 우선, 버튼식전화기 103이 오프 후크(Off Hook) 상태로 되어 있음을 검지부 109로 부터 통지를 받으면, 휴대전화기 102에 통화준비동작을 개시시켜, 버튼식전화기 103에서부터 다이얼 번호를 톤 리시버(Tone Receiver) 110으로부터 통지를 받으면, 그 다이얼 번호를 휴대전화기 102에게 다이얼 발신시킨다. 그리고, 휴대전화기 102에 상대방 전화기가 접속된 후, 음성신호부 105를 제어하여, 버튼식전화기 103과 상대방 전화기 사이에 음성신호를 송신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버튼식전화기 103에서부터 휴대전화 회선을 개재하는 상대방 전화기와의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화어댑터 B는 버튼식전화기 103에서부터의 다이얼번호를 반드시 휴대전화기 102에서 다이얼발신하므로, 휴대전화번호, 예를들면「090」가 아닌「092」와 같은 시외 전화번호의 경우에도, 휴대전화회선을 경유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됨으로 전화요금이 비싸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버튼식전화기 103과 휴대전화기 102는 1대1의 관계에 있고, 접속된 버튼식전화기 103이 증가하면 여기에 상응하여, 휴대전화기 102뿐만 아니라, 음성신호부 105, 제어부 106, 신호전송로 107, 검지부 109, 톤 리시버(Tone Receiver) 110도 증가되어야 하며, 부품수의 증가, 코스트의 증가, 필요 스페이스의 증대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일반전화기를 다이얼번호에 따라 전화요금이 싼 회선에 자동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또 일반전화기의 증가에 따른 부품수의 증가 및 코스트의 증가와 필요 스페이스의 증대를 극력 억제할 수 있는 전화어댑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어댑터를 표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화 어댑터를 표시하는 회로도,
도 3은 초기화 처리 및 발착신 판별처리 및 착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 4는 다이얼 판정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 5는 NTT회선 판정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 6은 휴대전화 회선 발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 7은 인터넷 전화발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화어댑터를 구성하는 제어부를 표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초기 처리와 발착판별처리 착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10은 휴대전화 회선 착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 11은 인터넷 전화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 12는 인터넷 전화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도 13은 종래의 전화 어댑터를 표시하는 블록도,
[부호의 설명]
A : 전화어댑터,
1, 2, 3, 4 : 회선부,
1a, 2a, 3a, 4a : 버튼식전화기 (일반전화기),
L1, L2, L3, L4 : NTT회선 (일반회선),
5, 6 : 휴대전화기,
5a, 6a : 휴대전화회선,
7 : 극성 검출부,
8 : 링 검출부,
9 : 다이얼 발생부,
10 : 제어부,
11 : Switch Matrix회로,
12 : 가입자 회로,
13 : 다이얼 검출부,
14 : Hook 검출부,
15, 16 : Echo Canceller,
17 : 다이얼톤 신호발생회로,
18a, 18b, 19a, 19b :증폭회로,
20 : 외부장치,
21 : 형태 스위치,
HS : Hook Switch,
R1, R2, R3, R4, R5, R6 : 릴레이 스위치,
111 : 초기화 수단,
112 : 검출수단,
113 : 판정수단,
114 : 접속수단,
115 : 선택수단.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어댑터는 복수의 일반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회선과의 접속을 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후크(Hook)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복수의 휴대전화 회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회선부를 함께 제어하는 제어부를 보유하며, 제어부는, 회선부의 발신상태, 착신상태 여부를 판정하며, 복수의 휴대전화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전화기 중 어느 일반전화기가 오프 후크(Off Hook) 되어있는 것이 회선부로부터 통지되면, 오프 후크(Off Hook) 되어있는 일반전화기에서 발신된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이, 발신된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 오프 후크(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복수의 일반회선중, 대응할 수 있는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수단과를 가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리하여, 복수의 일반전화기를 다이얼 번호에 다라, 전화요금이 싼 회선에 자동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동시에 일반전화기의 증가에 따른 부품수의 증가, 코스트의 증가, 필요 스페이스의 증대를 극력 억제할 수 있는 전화 어댑터가 얻어진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전화 어댑터는,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회선과의 접속을 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후크(Hook)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복수의 휴대전화 회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회선부를 함께 제어하는 제어부를 보유하며, 제어부는, 회선부가 발신상태 또는 착신상태 여부의 판정과, 복수의 휴대전화가 통화중 여부를 함께 판정하고, 복수의 일반전화기 중 어느 일반전화기가 오프 후크(Off Hook)되어 있음이 회선부로부터 통지되면, 오프 후크(Off Hook)되어있는 일반전화기로부터 발신된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이, 발신된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임을 판정하면, 오프 후크(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복수의 휴대전화기 중 어느 휴대전화기를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하며, 판정수단이, 발신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 오프 후크(Off Hook)된 일반 전화기를 복수의 일반회선 중 대응하는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수단을 보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라, 일반전화기, 예를들면 버튼식전화기로부터 발신된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일 경우에는, 휴대전화 회선을 개재하여 발신되며, 그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가 아닐 경우,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다이얼 발신되는 작용을 하며, 버튼식전화기의 증가는 회선부의 증가를 수반할 뿐, 부품수의 증가 및 코스트 증가, 필요 스페이스의 증대를 극력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다.
청구항 2에 기재한 전화어댑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화어댑터로서, 접속수단은 판정수단이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전부가 통화중으로 판정하였을 경우, 오프 후크(Off Hook)된 일반 전화기를 복수의 일반회선중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복수의 휴대전화기중 전부가 통화중일 경우에도,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와의 접속을 가능케 하는 작용을 가진다.
청구항 3의 기재의 전화어댑터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기재의 전화 어댑터로서, 접속수단은 판정수단이 복수의 일반회선중 어느 일반회선에 착신이 있었음을 판정하면, 착신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일반 전화기를 착신이 있는 일반회선과 접속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라서, 착신이 있는 일반회선과 일반전화기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며,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외선착신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을 가진다.
청구항 4의 기재의 전화어댑터는 청구항 1∼3에 기재한 전화어댑터에 있어서, 판정수단은, 회선부의 발신상태, 착신상태 여부를 판정하는 제 1의 판정과,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하는 제 2의 판정, 복수의 일반전화의 온 후크(On Hook) 여부를 판정하는 제 3의 판정,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하는 제 4의 판정을 거의 동시에 수행 가능케 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라서, 각 판정이 거의 동시에 수행됨으로, 일반전화기와 휴대전화기와 회선부 등이 복수의 대수인 경우에도, 각각 이들에 대해 연속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전화어댑터는 복수의 일반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접속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 전화기의 후크(Hook) 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복수의 휴대전화 회선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회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제어부는 휴대전화회선의 착신상태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로컬회선의 온 후크(On Hook) 회선수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휴대전화 회선이 착신 상태이며, 로컬회선의 온 후크(On Hook) 회선수가 복수로 판정되면, 우선순위가 앞선 로컬회선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로컬회선과 휴대전화 회선을 직접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 등을 가지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라서, 휴대전화회선의 착신시에, 로컬회선이 복수 온 후크(On Hook) 상태인 경우에는, 우선순위의 순서에 따라 회선순위에 선택되며, 효율적인 휴대전화 회선의 착신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을 가진다.
청구항 6의 기재의 전화어댑터는 복수의 일반 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회선과의 접속을 수행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전화의 후크(Hook)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복수의 휴대전화 회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회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보유하며, 제어부는 인터넷의 이용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다이얼해서, 로컬회선과 일반회선을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을 가지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라서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게 되고, 통화요금으로 더욱 싸게 할 수 있는 작용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 1∼도 12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1)
그림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전화 어댑터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며, 그림 2는 본 실시에 따른 전화어댑터를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그림 1, 2에 있어서 A는 전화어댑터, 1∼4는 일반전화기로서, 버튼식전화기 1a∼4a와, 일반회선으로서 NTT회선 L1∼L4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방향인 극성을검출하는 극성검출부, 8은 들어오는 벨소리를 검지하는 링 검출부, 9는 디지털 데이타(Digital Data)를 PB신호로 변환해서 다이얼 신호로서 송출시키는 다이얼 발생부, 10은 휴대전화기 5, 6 및 회선부 1∼4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제어부 10에 있어서, 111은 초기화를 하는 초기화수단이며, 112는 회선부 1∼4 상태 등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113은 회선부 1∼4가 발신 또는 착신 여부의 판정과 휴대전화기 5, 6이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버튼식전화기 1a∼4a 중 어느 전화가 오프 후크(Off Hook)된 것이 회선부 1∼4로부터 통지되면 오프 후크(Off Hook) 된 버튼식전화기로부터 발신된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인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114는 판정수단 113이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임을 판정했을 경우 오프 후크(Off Hook)된 버튼식전화기를 일반회선 L1∼L4 중 대응할 수 있는 일반회선을 선택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이다.
또, 11은 회선부 1∼4 중 어느 전화와 휴대전화기 5, 6 중 어느 것을 접속시킬 스위치 매트릭스(Switch Matrix) 회로, 12는 버튼식전화기 1a∼4a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휴대전화기 5, 6에로 출력하고, 휴대전화기 1a∼4a로 출력하는 가입자회로, 13은 버튼식전화기 1a∼4a로부터의 다이얼 신호를 검출해서 제어부 10에로 출력할 다이얼 검출부, 14는 후크(Hook) 상태를 검출해서 후크(Hook)신호를 제어부 10으로 출력하는 검출부, 15, 16은 음성의 에코(Echo)성분을 제거할 에코지우기(EchoCanceller), 17은 다이얼 톤(Dial Tone)신호를 발생하는 다이얼톤신호발생회로, 18a, 19a는 Echo Canceller 15, 16으로부터의 음성신호(상향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 18b, 19b는 휴대전화기 5, 6으로부터의 음성신호(하향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 20은 전화 어댑터 A의 메인티넌스(Maintenance)시 접속될 PC 등을 위한 외부장치, 21은 국제전화번호(001, 0041, 0061 등)의 등록 및 국내외 시외전화번호(0070, 0077, 0088등)의 등록, 외선의 통지, 통보 유무 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Config Switch), HS는 버튼식전화기 1a∼14의 후크 스위치(Hook Switch), R1∼R6은 릴레이 스위치이다.
그림 2에 있어서, 회선부 1∼4는 일반회선부와 로컬회선부로 되어 있다. 일반회선부는 극성검출부 7, 링검출부 8, 다이얼발생부 9, 트랜스 T1 및 릴레이 스위치 R1, R2, R3으로 구성되며, 로컬회선부는 가입자회로 12, 다이얼 검출부 13, 후크(Hook) 검출부 14 및 릴레이 스위치, R4, R5, R6으로 구성된다. 그림 2에서는, 일반 회선부는 NTT회선과 접속되며, 로컬 회선부는 버튼식전화기 1a∼4a가 접속된 로컬 회선과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화어댑터 A에 대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으로서, 대기상태동작, 발신준비동작, 다이얼동작 비(非)휴대전화동작, 통화동작, 통화완료동작 및 일반회선동작 등이 있다.
우선, 대기상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대기상태에 있어서 버튼식전화기 1a의 Hook Switch, HS는 해방상태이며, 가입자회로(SLIC) 12에서 직류전압 48V가 인가되어 있다. 릴레이 스위치 R1, R4, R6,은 On 상태, 릴레이 스위치 R2, R3, R5는 Off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Hook Switch HS는 해방상태에 있기 때문에, 직류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또 이 같은 상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 5, 6은 전원 On의 대기 상태로서, 제어부 10은, 휴대전화기 5, 6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출력(예, 0.1초에 1회 송출되는 펄스신호)을 단자 CTR1과 CTR2에서 수신하며, 휴대전화기 5, 6의 정상여부를 판정한다.
다음, 발신준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버튼식전화기 1a의 수신기를 들면, Hook Switch, HS는 On상태 (Off Hook상태)로 되어서, 가입자회로 12로부터 직류전류가 흐르고, 직류루프가 형성된다. 제어부 10은, 가입자회로 12의 기능인 직류루프 검출기능을 이용하여, 그 상태를 검출한 후, 휴대전화기 5, 6이 정상임이 판정되었을 때, Switch Matrix 회로 11에 대해서, 다이얼 톤신호발생회로 17로부터 다이얼톤을 출력시킨다. 이로부터 버튼식전화기 1a에는 「뚜--」와 같은 다이얼 톤이 발음하게 된다.
다음, 다이얼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버튼식전화기 1a에 있어서,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PB신호가 가입자회로 12를 통해서 다이얼검출부 13에 도달된다. 다이얼 검출부 13은, PB신호를 0∼9, *,# 등의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제어부 10은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PB신호를 판독해서, 상대방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인식한다. 이때, 전화번호의 최초 3자릿수를 해석하여, 그 전화번호가 휴대전화를 표시하는 전화번호 일 때, 휴대전화기 5, 6에 대해 전화번호가 휴대전화를 표시하는 전화번호일 때, 휴대전화기 5, 6에 대해 휴대전화기를 선택하기 위한 발신번호를 단자 CTR1 또는 CTR2를 개재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휴대전화기 5, 6의 안테나 수신레벨을 검출하며, 안테나 수신레벨이 높은 쪽의 휴대전화기(여기서는 휴대전화기 5로 정한다.)를 선택한다. 또 휴대전화기 2대가 모두 사용중일 경우, 버튼식전화기 1a에 대해서 통화중의 톤을 출력시킨다. (이 경우 버튼식전화기 1a는 일반회선 L1∼L4 중 어느 한 회선에 접속하게 된다.) 선택된 전화기 5로부터 다이얼신호수신준비완료신호(준비완료 신호)가 송출된다. 제어부 10은 이와 같은 준비완료신호를 검출하며, 이미 버튼식전화기 1a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를 휴대전화의 순서에 따라서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다이얼신호로서 송출한다. 휴대전화기 5에 대한 다이얼신호의 송출종료는 다이얼검출부 13에서 검출되는 다이얼의 간격으로 검출된다. 어느 특정시간 버튼식전화기 1a에서 PB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 10은 다이얼송출의 종료로 판정하며, 휴대전화기 5에 대해서 발신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 10은 발신신호를 출력한 휴대전화기 5로부터 CTR신호(제어신호)를 감시하며, 휴대전화기 5가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된 상태를 검출하여, Switch Matrix 회로 11에 대해서 상향, 하향의 음성신호를 통신가능 상태의 휴대전화기 5에게 변환시킨다. 휴대전화기 5로부터 링백톤(Ring Back Tone)신호(호출음신호)는, 증폭회로 18b와 Switch Matrix 회로11을 개재하여 가입자회로 12에 도달하며, 가입자회로 12는 호출음신호를 버튼식전화기 1a에게 송출한다.
다음, 다이얼동작에 관하여는, 전화번호의 최초 3자리수가 휴대전화를 표시하는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의 동작(비(非)휴대전화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 10은, 전화번호의 최초 3자리수가 휴대전화를 표시하는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단자 CTR4의 출력신호를 변경시켜서, 릴레이 스위치 R1을 On으로, R2를 Off로 한다. 이 경우, 릴레이 스위치 R1과 R2의 On, Off는 동시동작이 된다. 또, 릴레이 스위치 R3도 역시 Off로 되어 있어, 로컬 회선부는 NTT회선(일반회선) L1과는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릴레이 스위치 R1이 되면 NTT회선(일반회선) L1의 직류전류의 방향이 반전되어 극성반전상태가 되므로, 제어부 10은 이와 같은 극성반전상태를 극성검출부 7을 개재하여 검출해서, 제어부 10에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데이터를 다이얼발생부 9에 PB신호로 변환하여, 다이얼신호를 송출한다. 다이얼신호송출의 종료는 다이얼신호검출부 13에서 검출되는 다이얼신호의 간격으로 검출한다. 어느 일정시간 버튼식전화기 1a에서 PB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 10은, 다이얼신호송출의 종료로서 판정, 단자 CTR2의 출력신호를 변경시켜 릴레이 스위치 R5를 Off, 릴레이 스위치 R6을 On으로 하고, 릴레이 스위치 R4를 Off로 하며, 또 단자 CTR4의 출력신호를 변화시켜서, 릴레이 스위치 R1을 Off, 릴레이 스위치 R2를 On으로 한다. 이것으로, NTT 회선 L1과 버튼식전화기 1a는 서로 직접 접속하게 된다.
다음, 휴대전화회선에 있어서 통화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일반전화에 있어서 통화동작은 종전과 동일함으로 이 설명은 생략한다.
통화를 하고자 하는 상대방이 전화기를 들면 휴대전화기 5와 상향 음성신호 전송부를 하향 음성신호전송부를 개재해서, 상대방 휴대전화기와 버튼식전화기 1a가 접속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향 음성신호 전송부와는 버튼식전화기 1a로부터, 가입자 회로 12, Switch Matrix 회로 11, Echo Canceller 15, 증폭회로 18a를 개재하여, 휴대전화기 5에 이르는 전송로이며, 하향 음성신호전송부와는 휴대전화기 5에서, 증폭회로 18b, Echo Canceller 15, Switch Matrix 회로 11, 가입자 회로 12를 개재하여 버튼식전화기 1a에 이르는 전송로이다. 버튼식전화기 1a의 송화는 가입자 회로 12와Switch Matrix 회로 11을 개재하여서 증폭회로 18a로 증폭되어, 휴대전화기 5에 전달된다. 그러나, 통화동작 중, 상대방 휴대전화기와 휴대전화기 5와의 통화가 전파의 불량으로 인하여 중단되었을 경우, 휴대전화기 5에서 발생하는 통화중 신호로 통화중단을 알 수 있게 되므로, 버튼식전화기 1a의 수화기를 놓으면, Hook Switch, HS가 Off로 되어 (On Hook 상태가 된다.), 모두가 대기상태로 복귀된다.
다음 통화완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화가 완료된 후, 버튼식전화기 1a의 수화기를 놓으면, Hook Switch, HS는 해방상태가 되며, 신호전송로는 해방상태가 된다. 이때, 신호 전송로의 직류전류는 차단된다. 이 차단상태를 가입자 회로 12가 검출하면, 이와 같은 검출결과를 입력한 제어부 10은, 버튼식전화기 1a의 수화기가 놓여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 10은, 단자 CTR1과 제어신호를 개재해서, 휴대전화기 5에 대해 회선 절단신호를 보낸다. NTT회선과 접속되어 있을 경우, 버튼식전화기 1a의 수화기가 놓여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 10은, 단자 CTR1과 제어신호를 개재해서, 휴대전화기 5에 대해 회선 절단신호를 보낸다. NTT 회선과 접속되어 있을 경우, 버튼식전화기 1a의 수화기를 놓으면, Hook Switch, HS는 해방상태가 되므로, 신호전송로는 해방상태가 된다. NTT회선 L1과의 직류전류가 절단됨으로, Hook 검출부 14로 그 상태를 검출할 수가 있다. 제어부 10은, 직류전류가 절단된 상태를 Hook 검출부 14를 개재, 검출하면 릴레이 스위치를 대기상태의 위치에 복귀시킨다.
마지막으로 동작설명으로서 일반회로착신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TT회선 L1로부터 들어온 착신예고신호 (극성이 반전된 극성반전신호)를 극성검출부 7이 검출하면, 제어부 10을 개재해서, 릴레이 스위치 R2, R3, 및 R6 등이 On으로, 릴레이 스위치 R1, R4, 및 R5 등이 Off로 되어, NTT회선 L1과 버튼식전화기 1a가 서로 직접 접속된다. 착신예고신호 후, NTT 회선 L1에서는 16Hz, 75V의 벨 신호가 On 상태의 릴레이 스위치 R2, R3 및 R6 등을 영유, 버튼식전화기 1a로 온다. 벨소리에 대응하여 버튼식전화기의 수화기를 들면, Hook Switch, HS는 On상태(Off Hook상태)가 된다. 따라서 R3, HS, R6 및 R2는 On 상태가 되며, 이들은 NTT회선 L1에 대해 직류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On 상태의 R3, HS, R6 및 R2에 의해 직류회로를 구성됨으로서, NTT회선 L1은 16Hz, 75V의 벨 신호의 송출을 정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NTT회선 L1은 재차 극성을 반전시킨 신호(즉, 극성정전신호)를 송출하고, NTT회선 L1과 버튼식전화기 1a는 상호 통화 가능 상태가 된다. 통화가 완료되고 버튼식전화기 1a의 수화기를 놓으면 Hook Switch, HS는 Off상태(On Hook상태)가 되고, R3, HS, R6 및 R2로 구성되어 있는 직류회로가 차단상태로 되며, Hook 검출부 14의 다이오드에 전류는 흐르지 않고, 제어부 10에는 On Hook 상태임으로 통지된다. 제어부 10이 On Hook 상태의 통지를 받으면, 릴레이 스위치 R2, R3, 및 R6을 Off, 릴레이 스위치 R1, R4 및 R5를 On으로 해서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
다음,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화어댑터 10에 대해, 이 동작을 상세하게 그림 3∼그림 7로서 설명한다. 그림 3은 초기화 처리, 발착신판별처리 및 착신처리를 표시한 풀로 챠트( Flow chart)이며, 그림 4는 다이얼판정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그림 5는 ATT회선 발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 그림 6은 휴대전화회선발신처리를 하는 Flow chart, 그림 7은 인터넷 전화발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이다.
우선, 그림 3에 있어서, 초기화수단 111은, 로컬 회선부의 초기화와 일반회선부의 초기화를 실행하며(S1, S2), 검출수단 112는 휴대전화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며(S3), 접속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단자 CTR1, CTR2로부터 데이터 「1」송출하며, 접속이 되어 있는 휴대전화기의 초기화, 즉 휴대전화기가 구성하는 휴대전화회선의 초기화를 실행한다(S4). 다음, 판정수단 113은, 버튼식전화기 1a∼4a의 Off Hook 상태 여부를 판별하며(S5), Off Hook로 판정되었을 경우, 발신임을 판별하여서, 그림 4의 다이얼 판정처리로 이행시킨다. 스텝 S5에서 Off Hook상태가 아님이 판정되었을 경우, 다음의, 판정수단 113은 극성반전상태의 검출여부를 판정하고(S6), 극성반전상태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 착신상태가 아님으로 판정하여, 스텝S5로 복귀한다. 극성반전상태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착신으로 판별하여, 우선, 판정수단 113은, 로컬회선이 On Hook 상태인지의 여부(일반 전화기 1a∼4a의 On Hook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9), On Hook인 경우에는 통화종료로 판별하여, 스텝S5에 복귀한다. 즉, 스텝 S7∼S9는 NTT회선 착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이다.
다음, 다이얼 판정처리에 대해 그림 4로 설명한다.
그림 3의 스텝 S5에서 버튼식전화기가 Off Hook로 판정되고, 사용자가 다이얼을 조작하면(S11), 판정수단 113은, 다이얼신호 전부가 휴대전화회선을 사용해야할 것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 다이얼신호의 전부가 휴대전화 회선을 사용해야 할지의 여부는 형태스위치21의 설정에 따라 정해진다. 모든 휴대전화회선이 사용되고 있음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그림 6의 휴대전화회선 발신처리를 한다. 전부가 휴대전화회선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다음 판정수단 113은 전화번호 최초의 3자릿수로부터, 휴대전화 여부를 판정한다(S13). 휴대전화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그림 6의 휴대전화회선발신처리를 한다. 스텝 S13에서 휴대전화가 아님이 판정되었을 경우, 다음 판정수단 113은 조작된 다이얼 번호로부터 등록모드의 여부를 판정한다(S14). 등록모드의 경우에는 커맨드(Command)번호에 따라 휴대전화 등록번호, 삭제 및 극성반전타이머의 설정 등을 하며(S14a), 스텝 S5에 복귀한다.
스텝 S14로서 등록모드가 아닐 경우, 다음, 판정수단 113은 국제전화의 여부를 판정하여(S15), 국제전화가 아님이 판정되었을 경우, 국내의 인터넷 전화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S16), 국내의 인터넷 전화가 아님이 판정되면, 고속전화통신의 사용여부를 판정하고(S17), 만약 사용 해야할 경우에는 고속통신회사 전화의 국내다이얼 처리를 하고, 만약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림 5의 NTT회선발신 처리에게로 이행한다. 스텝 S16에서 국내의 인터넷 전화로 판정되었을 경우, 그림 7의 인터넷 전화로 판정되었을 경우, 그림 7의 인터넷 전화회선 발신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5에서 국제전화임이 판정되었을 경우, 다음 판정수단 113은 국제 인터넷 전화의 여부를 판정하며(S18), 국제 인터넷 전화가 아님이 판정되면 고속통신회사의 사용 여부를 판정하며(S19), 만약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고속통신회사로 국제 다이얼 처리를 하며, 만약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속통신회사로 국제 다이얼 처리를 하며, 만약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림 5의 NTT회선발신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8에서 국제 인터넷 전화로 판정되었을 때, 그림 7의 인터넷 전화회선발신처리로 이행한다.
다음, NTT회선 발신처리에 대해 그림 5로 설명한다.
우선, 그림 4의 스텝 S17 또는 S19에서 고속통신회사가 아님으로 판정되면, 로컬회선의 다이얼신호(버튼식전화기 1a∼4a의 다이얼신호)를 일반회선으로하여 NTT회선에 출력한다(S21). 이것은, 검출수단 112가 가입자 회로 12, 다이얼 검출부 13을 개재해서 다이얼신호를 검출, 이것을 제어부 10에게 통지함으로 시작된다. 즉, 판정수단 113은 다이얼 신호의 검출을 검출수단 112로부터 통지되었을 경우, 그 다이얼 신호가 휴대전화번호를 표시하지 않을 경우 NTT회선에 출력한다. 다음, 판정수단 113은 검출수단 112에서 검출된 다이얼 시간의 타임아웃 여부를 판정해서(S22), 타임아웃의 경우, 로컬회선과 NTT회선을 직접 접속시켜(S23), 통화상태로 이행한다.(S24). 다음, 판정수단 113은 로컬회선의 On Hook 여부를 판정(S25), 로컬회선의 On Hook임이 판정되면, 통화종료 상태로서 스텝 S5로 복귀한다.
다음, 휴대전화회선 발신처리에 대해서 그림 6으로 설명한다.
우선, 그림 4의 스텝 S12 또는 S13에서 휴대전화임이 판정되면, 로컬회선의 다이얼 신호(버튼식전화기 1a∼4a의 다이얼 신호)를 휴대전화 회선에 출력한다.(S31) 이것은, 검출수단 112가 가입자회로 12, 다이얼검출부 13을 개재하여, 이것을 검출부 10에 통지함으로 시작된다. 즉, 판정수단 113은 다이얼 신호를 검출이 검출수단 112로부터 통지되고, 그 다이얼 신호가 휴대전화번호를 표시할 경우, 휴대전화 회선에로 출력한다. 다음, 판정수단 113은, 검출수단 112로 검출된 다이얼 시간의 타임아웃 여부를 판정하여(S32), 타임 아웃된 경우에는 로컬회선과 휴대전화회선을 직접 접속하여(S33), 통화 상태로 이행한다.(S34) 다음, 판정수단 113은 로컬회선의 On Hook 여부를 판정하여(S35), 로컬회선이 On Hook 상태임으로 판정되면, 통화종료로 판별, 휴대전화 회선을 On Hook하여 스텝 S5에 복귀한다.(S36).
마지막으로, 인터넷 전화회선 발신처리에 대해서 그림 7로 설명한다.
우선, 그림 4의 스텝 S16 또는 S18에서 인터넷 전화임이 판정되면, Access Point에 다이얼 한다(S41). 여기서 판정수단 113이 인터넷 전화회선 종별이 아날로그임으로 판정하면(S42), 발신처 다이얼 번호를 Access Point에 송출하고(S43), 판정수단 113이 디지털임을 판정하면(S42), 발신처 다이얼 번호를 Access Point에 송출한다.(S44). 다음, 판정수단 113은 검출수단 112로 검출된 다이얼 시간의 타임아웃 여부를 판정하여(S45), 타임아웃 되었을 경우에는, 로컬회선과 NTT통화회선을 직접 접속해서(S46), 통화상태로 이행한다.(S47). 다음, 판정수단 113은 로컬회선의 On Hook 여부를 판정하여(S48), 로컬회선이 On Hook임이 판정되었을 경우, 통화종료상태로 판별하여 스텝 S5에 복귀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일반전화기 1a∼4a와 복수의 일반회선 L1∼L4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 회선 5a, 6a와의 접속을 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전화기 1a∼4a의 Hook 상태를 검지 할 회선부 1∼4와, 복수의 휴대전화 회선 5a, 6a를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 5, 6과 회선부 1∼4를 제어할 제어부 10을 설정하여, 제어부 10은, 회선부 1∼4의 발신상태, 착신상태 여부 판정과 복수의 휴대전화기 5a, 6a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과, 복수의 일반전화기 1a∼4a 중 어느 한 개의 일반전화기가 Off Hook된 일반전화기로부터 발신된 다일링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전화번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113과, 판정수단 113이 발신된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회선임을 판정하였을 경우, 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복수의 휴대전화기 5a, 6a중 어느 휴대전화기를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하고, 판정수단 113이 발신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회선용 전화번호가 아님으로 판정하였을 경우, 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복수의 일반회선 L1∼L4 중 대응할 수 있는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수단 114를 구비함으로서, 일반전화기 예를 들어, 버튼식전화기로부터 접속수단 114를 구비함으로서, 일반전화기 예를 들어, 버튼식전화기로부터 발신된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전화번호일 경우, 휴대전화 회선용 번호가 아닐 경우, 일반회선을 개재해서, 다이얼 발신되므로, 싼값의 회선 쪽에 다이얼 발신할 수 있어, 전화요금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고, 버튼식전화기의 증가는 회선부의 증가만을 수반하므로, 부품수의 증가 및 코스트의 증가와 필요 스페이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접속수단 114는, 판정수단 113이 복수의 휴대전화기 5, 6 모두가 통화중임을 판정하면, 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복수의 일반회선 L1∼L4 중 하나를 일반회선에 개재해서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복수의 전화기 5, 6 어느 쪽이 통화중에 있을 때에도, 일반 전화기와 상대방 전화기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접속수단 114는, 판정수단 113이 복수의 일반회선 L1∼L4 중 어느 일반회선에 착신이 있었다고 판정할 때, 착신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일반전화기에 착신이 있는 일반회선을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외선착신이 가능하게 한다.
또, 판정수단 113은, 회선부 1∼4의 발신상태인, 착신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 1의 판정과, 복수의 휴대전화기 5, 6의 통화중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의 판정, 복수의 일반전화기 1a∼4a의 On Hook 여부를 판정하는 제 3의 판정, 복수의 일반전화기 1a∼4a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하는 제 4의 판정 등을 거의 동시에 판정 가능케 함으로서, 일반전화기와 휴대전화기, 회선부가 복수대수라고 하여도, 각기 여기에 대한 연속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화어댑터의 구성은, 제어부 10을 제외하고 그림 1 및 그림 2와 같은 구성이다.
그림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화어댑터 A를 구성하는 제어부 10을 제시한 블록도이다.
그림 8에 있어서 초기화 수단 111, 검출수단 112, 판정수단 113, 접속수단 114는 각각 그림 2와 같은 것으로서,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115는 휴대전화 회선 착신동작시에 로컬회선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화어댑터 A에 대해서, 그 휴대전화회선 착신동작에 관해서 그림 9, 그림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림 9는, 초기화 처리와 발신상태와 착신상태의 판별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이며, 그림 10은, 착신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이다.
우선 그림 9에 있어서, 스텝 S51∼S59는 그림 3의 스텝 S1∼S9와 동일하므로, 이 설명은 생략한다. 초기화가 종료된 후, 스텝 S54a에 있어서, 초기수단 113은, 휴대전화회선착신 여부를 판정하고, 휴대전화회선착신으로 판정되었을 때, 그림 10으로 이행한다.
그림 10에 있어, 판정수단 113은, 로컬회선이 On Hook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S61), 2회선이상 On Hook인 경우에는, 선택수단 115가 우선 순위가 우선되는 로컬회선을 선택한다(S62). 예를 들어, 스텝 S62에 표시한 4번의 로컬회선 A4의 우선 순위가 가장 빠를 경우, 로컬회선 A4를 선택하며, 그 회선에 다이얼톤신호 발생회로 17에서 착신 벨 음을 송출시킨다(S63). 스텝 S61에서 1회선만 On Hook로 판정되었을 경우, 다이얼톤신호 발생회로 17에서 그 회로에 착신 벨음을 송출시킨다(S63). 다음, 판정수단 113은, 로컬회선의 On Hook의 여부를 판정하여(S64), On Hook 상태가 아님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착신벨음의 송출을 정지시키고(S65), 접속수단 114는, 로컬회선과 휴대전화 회선을 직접 접속한다(S66). 이상으로 통화상태가 되는 것이다(S67). 다음, 판정수단 113이 로컬회선이 On hook 상태임을 판정하면(S68), 통화종료로 스텝 S54a에 복귀한다.
다음, 인터넷 전화처리에 대해서 그림 11 및 그림 12로 설명한다.
그림 11 및 그림 12는 인터넷 전화처리를 표시하는 Flow Chart이다.
우선, 그림 3의 스텝 S5 또는 그림 9의 스텝 S55에 있어서, 어느 버튼식전화기가 On Hook 상태임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그림 11로 이행된다.
그림 11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이얼 조작 후(S71), 판정수단 113은, 다이얼신호의 전부가 휴대전화 회선을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2). 다이얼 신호의 전부가 휴대전화 회선을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형태 스위치 21의 설정에 따라서 정해진다. 모든 휴대전화 회선이 사용중에 있음이 판정되었을 경우, 그림 6의 휴대전화회선발신처리를 한다. 전부가 휴대전화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 않음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다음 판정수단 113은, 전화번호의 최초 3자릿수로서 휴대전화용 전화번호의 여부를 판정한다(S73). 휴대전화임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그림 6의 휴대전화 회선 발신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73에서 휴대전화 번호가 아님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다음 판정수단 113은, 조작된 다이얼 번호로부터 등록모드 여부를 판정한다.(S74) 등록모드의 경우 Command 번호에 따라서 휴대전화번호 등록, 삭제, 극성반전타이머 등의 설정을 하며(S74a), 스텝S5 또는 스텝 S54a에 복귀한다.
스텝 S74에서 등록모드가 아님으로 판정되었을 때, 다음 판정수단 113은, 국제전화번호의 여부를 판정하고(S75), 국제전화번호가 아님으로 판정되었을 때, 고속통신회사 여부를 판정하며(S76), 고속통신회사가 아님으로 판정되었을 때, 국내의 인터넷전화 여부를 판정하며(S77), 국내의 인터넷 전화가 아님으로 판정되었을 때, 그림 5에 이행하며, 국내의 인터넷 전화임으로 판정되면, 고속통신회사와의 다이얼처리를 한다.(S76a). 스텝 S75에서 국제전화로 판정되었을 때, 고속통신회사의 여부를 판정하여(S79) 고속통신회사가 아님으로 판정되었을 때, 국제인터넷 다이얼 처리를 하며(S80), Access Point에 다이얼 한다(S78). 스텝 S78의 처리 후에는 그림 12로 이행한다.
그림 12에 있어서, 판정수단 113은, Pass Word 등록유무를 판단해서(s81), 등록되어 있음으로 판정되면 패스워드를 다이얼 출력(S81a), 발신처 번호를 다이얼 출력시킨다.(S82). Pass Word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음으로 판정되면 즉시 발신처 번호를 다이얼 출력한다. (S82) 다음, 판정수단 113은, 다이얼이 타임아웃 될 때까지 남은 다이얼 번호를 송출하며(S83, S83a), 타임아웃 후, 접속수단 114는, 로컬회선과 일반회선을 직접 접속해서(S84), 통화상태로 이행시킨다. 다음, 판정수단 113이 로컬회선의 On Hook 상태임을 판정하면 스텝S5 또는 S54a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제어부 10은, 휴대전화 회선의 착신상태 여부를 판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컬회선의 On Hook 회선수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113과, 휴대전화 회선이 착신상태에 있고, 또 로컬회선의 On Hook 회선수가 복수로 판정되면, 우선순위가 앞선 로컬회선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115와 선택한 로컬회선과 휴대전화 회선을 직접 접속하는 접속수단 114를 보유함으로서, 휴대전화 회선의 착신 시, 로컬회선이 복수 On Hook 상태인 경우, 우선순위가 앞선 순서로 선택되며, 효율적인 휴대전화 회선의 착신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어부 10은 인터넷의 이용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113과, 인터넷을 이용할 때, Access Point에 다이얼 해서 로컬회선과 일반회선을 접속시키는 접속수단 114를 보유함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게 되며, 통화요금을 더욱 저렴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한 전화어댑터에 의하면, 복수의 일반 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회선과 접속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후크(Hook) 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복수의 휴대전화 회선을 구성하는 휴대전화기와 회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공유하며, 제어부는 회선부의 발신상태, 착신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통화중 여부의 판단과, 복수의 일반전화기 중 어느 일반전화기가 호프 후크(Off Hook) 상태임이 회선부로부터 통지되었을 때, Off Hook된 일반전화기에서 발신된 다이얼 번호의 휴대전화 회선용전화번호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이 발신된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회선용전화번호로 판정하였을 때, 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복수의 휴대전화기 중 하나를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하고, 판정수단이 발신된 다이얼 번호가 휴대전화 회선용 번호가 아님으로 판정하였을 때, Off Hook 된 전화기를 복수의 일반회선 중 대응되는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보유함으로서, 일반전화기 예를 들어 버튼식전화기로부터 발신된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회선용전화번호일 경우는 휴대전화회선을 개재하여 다이얼발신되고, 그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회선용전화번호가 아닐 경우 일반회선으로 개재하여 다이얼 발신되므로, 일반 전화기로부터의 다이얼발신을 자동적으로 보다 저렴한 쪽의 회선에 접속할 수 있어, 일반전화기의 요금을 대폭 절감시키며, 버튼식전화기의 증가는 회선부의 증가만을 수반할 뿐, 부품수의 증가, 코스트의 증가, 필요 스페이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2에 기재한 전화어댑터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전화어댑터에서, 접속수단은, 판정수단이 복수의 휴대전화기가 모두 통화중임을 판정할 때, 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복수의 일반회선 중 어느 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시킴으로서 복수의 휴대전화기 모두가 통화중일 때에도, 일반회선을 개재해서, 일반전화기와 상대방 전화기를 접속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3의 기재의 전화어댑터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전화 어댑터에 있어서, 접속수단은 판정수단이 복수의 일반회선 중 어느 회선에 착신이 있었음을 판정하면, 착신의 전화번호에 대응할 일반전화기를 선택하여 착신이 있는 일반회선과 일반전화기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일반 회선을 개재하여 외선착신이 가능케 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4의 기재의 전화어댑터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화어댑터의 판정수단은, 회선부의 발신상태, 착신상태 여부를 판정하는 제 1의 판정과,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하는 제 2의 판정과,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On Hook 상태 여부를 판정하는 제 3의 판정, 복수의 일반 전화기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하는 제 4의 판정 등이, 거의 동시에 판정 가능하여서 일반전화기, 휴대전화기 및 회선부가 몇 대가 되어도, 서로의 연속적인 제어가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전화 어댑터에 의하면, 복수의 일반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접속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Hook 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복수의 휴대전화회선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회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보유하고, 제어부는 휴대전화회선의 착신상태 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로컬회선의 On Hook 회선수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휴대전화회선이
착신상태이고, 동시에 로컬회선의 On Hook 회선수가 복수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우선 순위가 앞선 로컬회선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로컬회선과 휴대전화회선을 직접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을 보유함으로써, 휴대전화회선의 착신시에, 로컬회선이 복수 On Hook상태인 경우, 우선순위가 빠른 순위로 선택되며, 효율적인 휴대전화 회선의 착신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6의 기재의 전화어댑터에 의하면, 복수의 일반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회선과의 접속을 수행함과 동시에, 복수의 일반전화의 Hook 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복수의 휴대전화회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회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보유하며, 제어부는 인터넷의 이용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다이얼해서, 로컬회선과 일반회선을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을 보유함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게 되고, 통화요금을 더욱 싸게 살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6)

  1. 복수의 일반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휴대전화회선을 접속을 행함과 함께,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후크(Hook) 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전기(前記) 휴대전화회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전기(前記) 회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가지며,
    전기(前記) 제어부는, 전기(前記) 회선부의 발신상태, 착신상태 여부의 판정과, 전기(前記)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통화중 여부의 판정을 행함과 함께,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전화기 중 어느 일반전화가 오프 후크(Off Hook) 되어 있음을 전기(前記) 회선부에서 통지되면, 전기(前記) 오프 후크(Off Hook)된 일반 전화기에서 발신된 다이얼번호의 휴대전화회선용 전화번호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전기(前記) 판정수단이 전기(前記) 발신된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회선용전화번호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전기(前記) 오프 후크(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전기(前記) 복수의 휴대전화기 중 어느 휴대전화를 개재하여 상대방전화기에 접속하고, 전기(前記) 판정수단이, 전기(前記) 발신된 다이얼번호가 휴대전화회선용전화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전기(前記) 오프 후크(Off Hook)된 전화기를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회선 중 대응되는 일반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전기(前記) 접속수단은, 전기(前記) 판정수단이, 전기(前記) 복수의 휴대전화기 전부가 통화중임을 판정하면, 전기(前記) 오프 후크(Off Hook)된 일반전화기를,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회선 중 1개 회선을 개재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어댑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기(前記) 접속수단은, 전기(前記) 판정수단이,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회선 중 어느 하나의 일반회선에 착신이 있었음을 판정하면, 전기(前記) 착신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일반전화기를 전기(前記) 착신이 있는 일반회선과 접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어댑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기(前記) 판정수단은 전기(前記) 회선부의 발신상태, 착신상태 여부를 판정하는 제 1의 판정과, 전기(前記)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하는 제 2의 판정과,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On Hook상태 여부를 판정하는 제 3의 판정과,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통화중 여부를 판정하는 제 4의 판정을 거의 동시에 판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어댑터.
  5. 복수의 일반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의 접속을 행함과 동시에,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후크(Hook)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전기(前記) 복수의 휴대전화회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전기(前記) 회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전기(前記) 제어부는 휴대전화회선의 착신상태 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로컬회선의 온 후크(On Hook) 상태의 회선수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휴대전화회선이 착신 상태이며, 또한 로컬회선의 온 후크(On Hook)회선수가 복수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우선 순위가 앞선 로컬회선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과, 전기(前記) 선택된 로컬회선과 휴대전화회선을 직접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어댑터.
  6. 복수의 일반전화기와 복수의 일반회선 또는 복수의 휴대전화회선과의 접속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기(前記)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후크(Hook) 상태를 검지하는 회선부와, 전기(前記) 복수의 휴대전화회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와 전기(前記) 회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전기(前記) 제어부는 인터넷의 이용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에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다이얼해서, 로컬회선과 일반회선을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어댑터.
KR10-2001-0009377A 2001-02-23 2001-02-23 전화어댑터 KR10042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377A KR100420298B1 (ko) 2001-02-23 2001-02-23 전화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377A KR100420298B1 (ko) 2001-02-23 2001-02-23 전화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471A KR20010044471A (ko) 2001-06-05
KR100420298B1 true KR100420298B1 (ko) 2004-03-04

Family

ID=1970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377A KR100420298B1 (ko) 2001-02-23 2001-02-23 전화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2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471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1462B1 (en) Premises telephonic interface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a hand-held wireless device
US7359702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gateway between a wired telephone and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US20120220303A1 (en) Stationary wireless terminal and switching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 lines
US20040235518A1 (en) Hybrid telephone network utilizing wireless link and landline services
KR100420298B1 (ko) 전화어댑터
KR100361362B1 (ko) 피에스티엔과 브오아이피 정합회로를 내장한 인터넷폰게이트웨이 시스템
US20040005909A1 (en) Method for originating and terminating mobile (aka cellular) telephone calls on an analog phone line system utilizing the mobile handset as a gateway
JP2002084369A (ja) 電話アダプタ
KR100684015B1 (ko) 휴대 전화기를 이용한 콜백 서비스 방법
KR100935231B1 (ko) 덱트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일반 전화 연동 어댑터
KR100779797B1 (ko)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200188705Y1 (ko)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전화통화 장치
US64872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communication
JP3156371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338550B1 (ko) 전화번호 자동선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화도킹시스템
JP3440787B2 (ja) 電話端末装置
KR20010111655A (ko) 휴대형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통화장치 및 방법
KR100260220B1 (ko) 팩시밀리장치
JPS61177038A (ja) 移動通信方式
KR101282475B1 (ko) 전화 인터페이스 방법
KR20010069174A (ko)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전화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30069525A (ko)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 접속 다이얼 전화기의 선로설정 방법
KR19990030907A (ko) 유무선 전화기의 연계 운영 장치
JPH11220777A (ja) 携帯電話端末用有線電話機アダプタ
JPS63110864A (ja) 端末機器選択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