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187B1 - 발광 줄넘기 - Google Patents

발광 줄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187B1
KR100420187B1 KR10-2001-0007781A KR20010007781A KR100420187B1 KR 100420187 B1 KR100420187 B1 KR 100420187B1 KR 20010007781 A KR20010007781 A KR 20010007781A KR 100420187 B1 KR100420187 B1 KR 10042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ope
light
hand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096A (ko
Inventor
송재수
김상우
승엽 이
서종수
변경석
함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to KR10-2001-000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1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74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줄넘기 내에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줄넘기를 할 때 줄넘기의 회전주기에 따라서 발광소자의 빛이 다양한 궤적을 그리도록 구성된 발광 줄넘기는 한 쌍의 손잡이,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각 손잡이에 연결되는 한 쌍의 발광부, 및 발광부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발광부는 줄넘기 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손잡이 내에는 발광부 내의 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이 설치되며, 발광부 내에는 원심력에 의해 발광소자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탄성지지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발광줄넘기는 각 발광부 및 각 발광소자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또한 각각의 발광소자가 탄성지지부에 의해서 발광부 내에서 원심력에 따라 지속적으로 위치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발광소자에 의한 빛이 일정한 궤도가 아닌 자유곡선을 그리게 되어 줄넘기의 사용자 및 주변 사람들에게 보다 큰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줄넘기{LIGHT EMITTING JUMP LOPE}
본 발명은 줄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줄넘기 내에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줄넘기를 할 때 줄넘기의 회전주기에 따라서 발광소자의 회전반경이 변경되어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변형되도록 구성된 발광 줄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줄넘기는 PVC와 같은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길게 압출성형한 줄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양단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줄넘기를 이용한 줄넘기 운동은 줄넘기를 몸 주위로 돌릴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되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할 수 있는 전천후 운동으로서 10분간만 뛰어도 충분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생활체육으로 오래 전부터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컴퓨터가 보급되고 각종 게임이 개발되면서 청소년들은 야외활동을 하기보다는 PC방이나 게임장과 같은 실내에서 게임이나 통신에만 골몰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줄넘기와 같은 신체적 운동을 통해서 균형 있는 성장을 할 수 있도록 개선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제 줄넘기는 단지 운동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운동과 놀이를 겸비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구로 발전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시도를 통해서 청소년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줄넘기가 개발되었는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1991-8308호에는 야간에 은은한 빛을 발하여 줄의 위치파악이 용이하고 또한 호기심 및 소유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축광물질을 삽입한 야광 줄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야광 줄넘기는 축광물질의 값이 비싼데다가 줄넘기 줄에서 나오는 광도가 높지 않아서 실용화에는 크게 성공하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줄넘기 줄에 삽입하여 줄넘기 줄에서 빛이 발산되도록 고안한 발광다이오드 줄넘기가 실용신안 제 99-22333호로 출원된 바 있다. 이 줄넘기는 줄넘기 줄에 40여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하고 모든 발광 다이오드를 전도성 합성수지를 이용해 전원부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상기 줄넘기는 40여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장시간동안 점등하기 위해서 대용량의 전원이 필요한데, 이때 필요한 대용량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소형 배터리를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줄넘기는 발광 다이오드가 줄넘기 줄 내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줄넘기 운동 과정에서 줄넘기 줄이 지속적으로 지면과 충돌한다는 특성상 발광 다이오드 및 배선이 파손될 우려가 많다. 또한, 모든 발광 다이오드가 줄넘기 줄 내에 직렬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파손되면 전체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므로 줄넘기의 발광기능 자체를 상실하게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가 줄넘기 줄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의 고장 또는 특정 배선의 단선이 생길 경우 이를 수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제품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줄넘기에 다수의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각 발광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며 또한 발광소자가 줄넘기의 회전속도에 의해 위치가 변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관리가 편리하고 또한 흥미를 더욱 느낄 수 있는 발광 줄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줄넘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줄넘기의 손잡이 및 발광부 부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발광부에 광섬유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줄넘기에 설치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2의 발광 줄넘기에서 제어부의 위치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손잡이 18..줄넘기 줄 20..전원
30..발광부 32..발광부 몸체 34..발광소자
35..탄성지지부 38..무게추 40..제어부
50..광섬유 61..구동부 62..회전주기 측정부
66..제어회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줄넘기는 한 쌍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구비한 한 쌍의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발광부는 줄넘기 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손잡이 내에는 상기 발광부 내의 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빛을 투과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에 설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발광소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역할을 병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한 상기 발광소자의 변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광 줄넘기는 줄넘기의 회전주기를 측정하기 위한 회전주기 측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줄넘기의 회전주기에 따라 상기 각각의 발광소자를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발광소자를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손잡이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손잡이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산된 빛을 다른 지점으로 전달하여 발산하기 위한 광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섬유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섬유로서 측면에서도 빛을 발하는 측면발광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내에는 추가의 발광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넘기 줄은 상기 한 쌍의 발광부 사이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줄넘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줄넘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10)를 구비하고, 각 손잡이(10)에는 발광부(30)가 연결되며, 각 발광부(30)는 줄넘기 줄(1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줄넘기 줄(18)은 각 발광부(30)의 단부에 연결되며, 연결을 위한 클램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다만, 줄넘기 줄(18)은 각 발광부(30) 사이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넘기 줄(18)이 발광부(30)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부(30)의 단부에는 줄넘기 줄(18)을 위한 결합부재(70)가 설치되며, 결합부재(70)에는 두 개의 걸림쇠(72, 73)가 형성된다. 또한, 줄넘기 줄(18)의 단부는 고정편(71)에 의해서 결합부재(70)에 고정되는데, 고정편(71)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후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각 걸림쇠(72, 73)를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줄넘기 줄(18)은 결합부재(70) 부근에서 삼중으로 서로 겹치게 되는데, 삼중으로 겹친 부분을 클램프(74)로 조임으로써 결합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클램프(74)의 조임 압력을 조절하면 줄넘기 줄(18)을 설치할 때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는 이러한 손잡이(10)와 발광부(30)의 내부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10)는 대략적인 외형을 이루고 한 쪽이 개방된 중공형 몸체(12)를 구비한다. 중공형 몸체(12) 내에는 발광부(30)에 설치된 발광소자(34)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20)이 설치된다. 전원(20)은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건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면서 원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중공형 몸체(12)의 개방된 단부에는 착탈 가능한 뚜껑(14)이 설치된다. 뚜껑(14)의 내측에는 전원(20)으로 사용된 건전지의 음극과 연결되는 전원용 단자(22)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뚜껑(14)에 설치된 전원용 단자(22)는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뚜껑(22)이 몸체(12)에 체결된 상태에서 전원(20)의 음극과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게 한다.
중공형 몸체(12) 내에는 또한 전원(20)을 수용하기 위한 전원 가이드(16)가 형성된다. 전원 가이드(16)는 전원(20)의 외양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가져서 전원(20)의 올바른 설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가이드(16) 내에는 또한 전원용 도선(26)이 설치된다. 전원용 도선(26)은 전원(20)의 양극으로부터 제공된 전기가 소정의 프로세스를 거쳐 다시 음극으로 순환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뚜껑(14)에 설치된 전원용 단자(22)는 뚜껑(14) 및 전원 가이드(16)의 일측에 형성된 접점(23, 24)을 통해서로 연결된다. 뚜껑(14) 및 전원 가이드(16)에 형성된 접점(23, 24)은 뚜껑(14)이 몸체(12)와 결합될 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20)의 양극에도 또한 전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단자(28)가 설치되며, 단자(28)는 제어부(40)를 통해서 발광부(30)의 발광소자(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뚜껑(14)에는 또한 스위치(17)가 형성되어, 전원(20)의 온/오프 조작 및 뚜껑(14)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17)는 다이얼 방식 또는 버튼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을 켠 상태에서도 줄넘기를 회전할 때에만 발광소자(3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전원스위치를 온 상태에 두어도 줄넘기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발광소자(34)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줄넘기 줄에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원심력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줄넘기 줄의 회전주기를 측정하여 회전주기가 일정 기준 이상일 때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발광부(30)는 대략적인 외형을 이루는 발광부 몸체(32)를 구비한다. 발광부 몸체(32)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4)를 수용하며, 손잡이(10)와 서로 연결된다. 발광부(30)는 사용자가 줄넘기 운동을 할 때, 손잡이(10) 주위로 선회하듯이 움직여야 하므로, 손잡이(10)와 서로 유연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10)의 단부에 돌출부(19)를 형성하고, 발광부 몸체(32)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19)를 감싸듯이 홈(46)을 형성한 후,돌출부(19)와 홈(46)을 미끄럼 가능한 핀(48)으로 고정하여, 발광부 몸체(32)가 손잡이(10)에 대해서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부(30) 단부에 회전운동을 위한 별도의 베어링 등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부 몸체(32)를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서, 발광부(30) 자체가 줄넘기 줄(18)의 역할을 병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발광부 몸체(32) 내에 설치된 발광소자(34)는 손잡이(10)와 발광부 몸체(32)를 통해서 이어진 도선(42)을 통해 전원(20)과 연결된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다수의 발광소자(34)는 제어부(4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발광부 몸체(32)는 또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발광소자(34)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소자(34)는 발광부 몸체(32) 내에서 원심력에 따라서 위치가 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발광부 몸체(32) 내에는 발광소자(34)의 위치를 원심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지지부(35)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35)는 각 발광소자(3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줄넘기 운동을 할 때 줄넘기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서 변형함으로써 각 발광소자(34)의 위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탄성지지부(35)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발광소자(3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의 역할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탄성지지부(35)는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는 피복 내에 각 발광소자(34)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을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탄성지지부(35) 자체를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는 한 쌍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탄성지지부(35)는 제어부(40)와 연결된 도선(42)과 접점(33)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발광소자(34)는 전원공급라인의 역할을 하는 탄성지지부(35)로부터 분기된 배선(36)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광소자(34)는 네 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발광소자의 개수는 특정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취향 및 설계조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발광소자(34)로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발광다이오드가 적합한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발광소자(34)의 종류나 특성을 어느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손잡이(1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고 손잡이(10) 내에도 추가의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손잡이에서도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발광부(30)에는 또한 탄성지지부(35)에 의한 발광소자(34)의 탄성변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추(3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무게추(38)는 발광부 몸체(32) 내에서 줄넘기 줄(18)과 연결되는 쪽 단부 근처에서 무게추(38)가 원심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무게추(38)는 적절한 무게를 가져서, 줄넘기가 회전할 때 탄성지지부(35)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원심력의 증가는 탄성지지부(35)의 탄성변형 정도를 더욱 크게 해주어, 원심력에 의한 발광소자(34)의 위치변화 폭이 커지게 한다.
무게추(38)는 적절한 무게를 제공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캐릭터 상품 등을 이용하여 미적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무게추(38) 내에도 발광소자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발광소자 자체를 무게추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부(30)에는 또한 광섬유(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광섬유가 설치된 발광부의 한 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발광소자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지지부(35)에 의해서 원심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34)가 발광부 몸체(32) 내에 설치된다는 점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발광소자(34)와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다수의 광섬유(50)가 설치되며, 이 광섬유(50)는 발광소자(34)로부터 발산된 빛을 다른 위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광섬유(50)의 일단은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발광부 몸체(32)에 고정되며, 타단은 광섬유(50)를 둘러싸는 투명한 피복(52)을 통해 연장된다. 이때, 다수의 광섬유(5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져서 다양한 위치에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섬유(50)가 부가된 구조에서는, 발광소자(34)가 원심력을 많이 받을수록 광섬유(50)의 일단부 쪽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어, 광섬유(50)에 보다 강한 빛을 제공하게 된다. 광섬유(50)는 빛을 거의 또는 전혀 손실 없이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섬유(50)의 일단부에 제공된 빛은 타단부를 통해서 그대로 방출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른 광섬유(50)가 부가된 발광부는 서로 길이가 다른 다수의 광섬유(50)에 의해 다양한 지점에서 빛을 발산하게 되며, 또한 이렇게 발산되는 빛은 원심력이 클수록 더욱 강해지게 된다.
광섬유(50)를 이용한 구성은 그러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섬유와 발광소자를 하나로 묶어서 발광소자와 광섬유가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줄넘기 줄을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서 줄넘기 줄 내에 광섬유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광섬유(50)로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광섬유가 모두 가능하며, 특히 측면에서도 빛을 발하는 측면발광 광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측면발광 광섬유는 광섬유의 중간 중간에 일정한 깊이의 홈을 형성한 것으로, 이 홈을 통해서 약간의 빛이 새어나오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전원(2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부(30)에 구비된 발광소자(34)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40)에 대한 내부 구성은 도 4의 블록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전원(20)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발광소자(34)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1)를 구비한다. 발광소자(34)의 독립구동을 위해서, 구동부(61)는 다수의 발광소자(34)와 개별적으로연결된다.
제어부(40)에는 또한 줄넘기의 회전주기를 측정하기 위한 회전주기 측정부(62)가 설치된다. 회전주기 측정부(62)는 사용자가 줄넘기 운동을 하는 동안 줄넘기 줄(18)이 사용자 주위로 회전하는 시간간격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주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특정한 예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10)의 특정 지점에 고정된 접점(63)을 설치하고 제어부(40)의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가 변하는 접점(64)을 두어, 손잡이(10)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줄넘기 운동을 할 때, 줄넘기 줄을 한바퀴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손잡이를 한바퀴 돌려야 하며, 따라서 고정 접점(63)과 가변 접점(64) 사이의 접촉은 손잡이를 한바퀴 돌릴 때 1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점(63, 64) 사이의 접촉주기가 곧 줄넘기의 회전주기가 되는 것이다.
회전주기 측정부(62)에서 회전주기를 측정하면, 구동부(61)는 회전주기에 따라서 각 발광소자(34)의 구동방식을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주기가 느릴 때에는 발광소자(34)로 공급되는 전원을 낮추어 적은 빛을 발산하게 하고, 회전주기가 빠를 때에는 전원 공급량을 늘려서 발광소자(34)에서 보다 강한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에는 또한 제어회로(66)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제어회로(66)는 각각의 발광소자(34)로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한 간격으로 차단 및 연결하는 방식으로, 발광소자(34)를 소정 시간 주기로 점멸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 때에도 회전주기 측정부(62)에서 측정된 회전주기를 이용하여 각 발광소자(34)의 점멸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서 구동부(61)를 포함한 제어부(40)는 손잡이(10) 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어부(40)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변형도 충분히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를 발광부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발광부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40)가 손잡이와 발광부 사이에 설치된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광 줄넘기는 양측의 손잡이에 각각 설치된 전원을 통해서 각 발광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또한 각 발광부에 설치된 다수의 발광소자가 구동부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특정 부품의 고장으로 인해 모든 제품의 사용이 불가능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각각의 발광소자가 탄성지지부에 의해서 발광부 내에서 원심력에 따라 지속적으로 위치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발광소자에 의한 빛이 일정한 궤도가 아닌 자유곡선을 그리게 되며, 또한 회전주기에 따라서 발광소자의 발광조도 및 점멸주기를 조절하게 되기 때문에, 줄넘기의 사용자 및 주변 사람들에게 보다 큰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손잡이와 이 손잡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줄로 이루어진 줄넘기에 있어서,
    (1) 상기 손잡이와 줄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손잡이와 줄을 서로 연결하고, 전원의 공급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2)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3)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주기와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원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중공을 갖는 투명재질의 몸체와, 이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조절수단은 줄넘기의 회전주기를 측정하기 위한 회전주기 측정수단과, 상기 회전주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줄넘기의 회전주기에 따라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주기적으로 온/오프하거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원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원조절수단은 상기 손잡이 내부에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발광소자들 각각은 외력에 의해 늘어났다가 복원되는 전기전도성의 탄성부재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발광소자의 무게 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 무게추를 상기 발광소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외력에 의해 늘어났다가 복원되는 전기전도성의 탄성부재에 연결된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의 길이를 각기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가 측면 발광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원공급수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한쪽이 개방되는 중공몸체와;
    상기 중공몸체의 개방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손잡이와 발광부의 연결부위에는 발광부 몸체가 손잡이에 대하여 좌, 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몸체의 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발광부 몸체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홈을 형성하며, 이 돌출부와 홈을 미끄럼이 가능한 핀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줄넘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1-0007781A 2001-02-16 2001-02-16 발광 줄넘기 KR10042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781A KR100420187B1 (ko) 2001-02-16 2001-02-16 발광 줄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781A KR100420187B1 (ko) 2001-02-16 2001-02-16 발광 줄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096A KR20010074096A (ko) 2001-08-04
KR100420187B1 true KR100420187B1 (ko) 2004-03-04

Family

ID=1970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781A KR100420187B1 (ko) 2001-02-16 2001-02-16 발광 줄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856A (ko) * 2002-01-21 2003-07-28 주식회사 비에스텍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KR20040017059A (ko) * 2002-08-20 2004-02-26 홍승돈 엘이디 램프가 내장된 줄넘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096A (ko) 200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621Y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핸드 피젯 스피너
EP1517730B1 (en) Illuminated flying disc
US7179149B2 (en) Spring supported illuminated novelty device with spinning light sources
US8864333B2 (en) Golf lighting system
US20050113214A1 (en) Wrist exerciser having display and transmission device
KR100420187B1 (ko) 발광 줄넘기
US10253935B2 (en) Imitation candle lamp
US8292484B2 (en) Illumination poi
US7429123B2 (en) Personal illumination and safety device
US20060094327A1 (en) Waving illuminated novelty device with spinning light sources
KR20130078861A (ko) 발광하는 줄넘기
KR200250287Y1 (ko) 선형 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KR100413406B1 (ko)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KR20010044616A (ko)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KR200265384Y1 (ko) 발광체를 이용한 줄넘기
US20050255972A1 (en) Motion responding electrically blinking jump rope (II)
KR20030062856A (ko)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US20090291615A1 (en) Artificial eye
US20050068789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Handheld Remote Control Keypads]
US11412587B2 (en) Animated firefly novelty device
KR200285651Y1 (ko)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CN217287027U (zh) 一种可充电发光绳及跳绳机
KR100529413B1 (ko) 골프 스윙 가이드 장치
KR200327702Y1 (ko) 발광원반
KR910008362Y1 (ko) 비행접시 유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