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406B1 -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 Google Patents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406B1
KR100413406B1 KR10-2000-0080490A KR20000080490A KR100413406B1 KR 100413406 B1 KR100413406 B1 KR 100413406B1 KR 20000080490 A KR20000080490 A KR 20000080490A KR 100413406 B1 KR100413406 B1 KR 10041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ifugal force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power supp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023A (ko
Inventor
윤혜원
양성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to KR10-2000-008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4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7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단순한 구성으로 원심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하는 원심력 발광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전원이 공급될 때 빛을 발하는 발광 소자,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전원공급수단과 발광 소자를 연결시키는 원심력 스위치, 및 하우징을 외부 물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발광 소자를 주기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원심력 발광장치는 줄넘기에 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이용한 줄넘기는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불빛을 냄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서 발광 소자의 밝기 및 점멸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줄넘기에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다수개의 원심력 발광장치를 사용하므로, 독립적인 제어 및 개별적인 교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CENTRIFUGAL LIGHT EMITTING UNIT AND JUMP ROP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원심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하는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줄넘기용 줄은 PVC와 같은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길게 압출성형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양단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줄넘기 운동은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할 수 있는 전천후 운동으로 10분간만 뛰어도 충분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생활체육으로 오래 전부터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컴퓨터가 보급되고 각종 게임이 개발되면서 청소년들이 야외활동을 하기보다는 PC방이나 게임장과 같은 실내에서 게임이나 통신에만 골몰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줄넘기와 같은 신체적 운동을 통해서 균형 있는 성장을 할 수 있도록 개선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제 줄넘기는 단지 운동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운동과 놀이를 겸비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시도를 통해서 청소년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줄넘기가 개발되었는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1991-8308호에는 야간에 은은한 빛을 발하여 줄의 위치파악이 용이하고 또한 호기심 및 소유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축광물질을 삽입한 야광 줄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야광 줄넘기는 축광물질의 값이 비싼데다가 줄넘기 줄에서 나오는 광도가 높지 않아서 실용화에는 크게 성공하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줄넘기 줄에 삽입하여 줄넘기 줄에서 빛이 발산되도록 고안한 발광다이오드 줄넘기가 실용신안 제 99-22333호로 출원된 바 있다. 이 줄넘기는 줄넘기 줄에 40여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하고 모든 발광 다이오드를 전도성 합성수지를 이용해 전원부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상기 줄넘기는 손잡이에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매번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40여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장시간동안 점등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전원이 필요한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소형 배터리를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모든 발광 다이오드가 줄넘기 줄 내에 수용되고 손잡이 부근의 배터리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줄넘기 줄의 길이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일부의 발광 다이오드를 교체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원심력을이용하여 빛을 발할 수 있는 원심력 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러한 원심력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 발광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원심력 발광장치에 사용된 원심력 스위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원심력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 회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원심력 발광장치가 구비된 줄넘기의 여러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원심력 발광장치 12..하우징 14..전원공급장치
16..발광 소자 18..제어부 20,30..원심력 스위치
22,32..탄성부재 26..접점부 36..가변저항
40..줄넘기 42..손잡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 발광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소정의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원심력 스위치 및 상기 원심력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발광소자로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발광소자를 주기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력 발광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외부 물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원심력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원심력 값에 따라서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 및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력 스위치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원심력이 가해질 때 원심력에 의해 변형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연결된 접점부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원심력이 가해질 때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접점부는 원심력이 강할수록 보다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가변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원심력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원심력 발광장치는 상기 손잡이 및 상기 줄넘기 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력 발광장치는 상기 줄넘기 줄의 중간 중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줄넘기 줄의 중간에 연이어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력 발광장치 사이에 캐릭터 상품이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원심력 발광장치는 캐릭터 상품에 삽입된 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력 발광장치는 상기 손잡이 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 발광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심력 발광장치(10)는 하우징(12) 및 하우징(12) 내에 수용된 다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의 형상은 어떠한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인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우징(12)의 단부에는 분리 가능한 뚜껑(13)을 설치하여 내부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2) 내에 설치되는 부품은 대략적으로 전원공급부(14), 발광 소자(16) 및 원심력 스위치(20)를 포함하며, 이러한 부품들은 동일한 기판(11)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는 소정의 고정수단(15)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원공급부(14)로는 일반적인 일회용 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재충전 가능한 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위해서 소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고 수명이 긴 수은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16)는 전원공급부(14)에 연결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전원이 공급될 때 빛을 발하게 된다. 발광 소자(16)로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데, 반드시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발광 소자(16)의 종류나 특성 또한 어느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원심력 스위치(20)는 전원공급부(14)와 발광 소자(16)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전원공급부(14)와 발광 소자(16)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원심력 스위치(20)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원심력 스위치(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원심력 스위치(20)는 한 예로서 전원공급부(14)에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탄성부재(2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2)는 원통형 케이스(21) 내에 수용되어 외부에서 원심력이 가해질 때 원심력 방향으로 변형되며, 외부의 원심력이 제거되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탄성부재(22)의 단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24)를 설치하여 원심력에 따른 탄성부재(22)의 변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탄성부재(22) 부근에는 발광 소자(16)에 연결되는 접점부(26)가 설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변형된 탄성부재(22)가 접촉할 때 탄성부재(22)와 서로 도통된다. 또한, 무게추(24)가 설치될 경우, 무게추(24)를 전도체로 제작하여 원심력이 가해질 때 무게추(24)와 접점부(26)가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접점부(26)는 원심력 스위치(20)의 케이스(21)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원심력이 일정한 방향으로 가해질 때에만 발광 소자(16)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케이스(21) 내주면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접점부(16)를 케이스(21) 내주면의 전후측에만 형성하여, 원심력 발광장치(10)가 전후방향으로 원심력을 받을 때에만 발광 소자(16)가 빛을 내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21) 내주면 전체에 접점부(16)를 형성하여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든 원심력만 가해지면 발광 소자(16)가 빛을 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 자체를 전도체로 제작하여 케이스(21) 전체가 접점부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23은 전원공급부(14)와 탄성부재(22)를 연결하는 도선이며, 미설명부호 27은 접점부(26)와 발광 소자(16)를 연결하는 도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 발광장치(10)에 사용되는 원심력 스위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의 도시된 원심력 스위치(20)에서는 탄성부재(22)를 원심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하였으나, 도 3의 변형예에 따른 원심력 스위치(30)에서는 원심력과 수평한 방향으로 탄성부재(32)를 설치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원심력 스위치(30)는 케이스(31) 내에 도선(33)을 통해서 전원공급부(14)와 연결되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하며, 탄성부재(32)의 단부에는 전도성 이동추(34)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전도성 이동추(32)는 도면에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외부로부터 원심력이 가해지면 전도성 이동추(34)는 바깥쪽, 즉 탄성부재(32) 반대쪽으로 힘을 받아 이동하게 되며, 원심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2)의 복원력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때,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추(34)의 일측에는 도 2의 접점부(26)에 해당하는 접점부(36)가 설치되는데, 이때 도 3의 접점부(36)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있거나 가변저항 자체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접점부(36)는 그 특성을 고려하여 가변저항이라고 명명한다.
가변저항(36)은 도선(37)을 통해서 발광 소자(16)와 연결되며, 이동추(34)와의 접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원심력이 전무하거나 거의 없을 때 이동추(34)와 접촉하는 가변저항(36)의 일부분(38)은 비도체로 구성되어 원심력이 없거나 기준 이하일 때 발광 소자(16)로 흐르는 전류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저항(36)은 원심력 크기에 따라서 이동추(34)의 위치가 변할 때마다 서로 다른 저항값을 제공하게 되는데, 원심력이 강할수록 낮은 저항값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원심력이 강할수록 발광 소자(16)에 인가되는 전원이 커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발광 소자(16)의 밝기를 원심력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 발광장치(10)는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빛을 발한다는 고유한 특징 때문에, 그 자체로 기능하기보다는 원심력을 가하는 다른 물체와 연결됨으로써 보다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원심력 발광장치의 하우징(12)의 외측에는 하우징(12)을 외부 물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19a)가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9a)는 고리와 같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리 형태로 된 연결부(19a)가 잘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19a)는 하나만을 사용하여 다른 물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19a)에 대응하는 별도의 연결부(19b)를 두어 다수의 원심력 발광장치(1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원심력 발광장치(10)는 전원공급부(14)로부터 발광 소자(16)로 전원이 공급될 때 발광 소자(16)의 점멸을 주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전원공급부(14)와 발광 소자(16) 사이에 연결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력 스위치(20)와 발광 소자(16) 사이에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18)로서는 전원공급부(1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주기적으로 차단하는 타이머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공지의 점멸회로를 사용하여 발광 소자(16)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대안으로는, 제어부(18)에 원심력을 측정하는 센서(28)를 부착하고, 센서(28)에서 측정된 원심력 값에 따라서 발광 소자(16)의 밝기 및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어부(18)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는 구성의 일례가 도 4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제어부(18)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원심력 스위치(20)는 소정 기준 이상의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전원을 전원공급부(14)로부터 제어부(18)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8)에는 원심력 값에 따른 발광 소자(16)의 밝기 및 점멸 주기에 관한 기준 데이터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일단 원심력에 의해 원심력 스위치(20)가 제어부(18)로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하면, 제어부(18)는 센서(28)로부터 지속적으로 원심력 값을 전달받고, 매 순간의 원심력 값에 해당하는 기준 데이터에 의해서 발광 소자(16)의 밝기 및 점멸 주기를 제어하게 된다.
도 5a는 이와 같이 구성된 원심력 발광장치(10)가 줄넘기(40)에 응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한 예로써 한 쌍의 손잡이(42)에 다수의 원심력 발광장치(10)를 연이어 연결하고, 마지막 원심력 발광장치는 서로 줄넘기 줄(44)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줄넘기(40)는 사용자가 줄넘기를 하는 동안에 빛을 낼 수있어 보다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에 설명한 것처럼 각 원심력 발광장치(10)가 원심력에 따라서 다양한 밝기 및 점멸 주기로 빛을 냄으로써, 줄넘기를 하는 사람과 구경하는 사람에게 모두 독특한 재미를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a에서는 각 손잡이(42)에 일례로서 다섯 개씩의 원심력 발광장치(10)를 사용한 것을 도시되었으나, 원심력 발광장치(10)의 개수는 하우징(12)에 설치된 연결부(19a, 19b)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원심력 발광장치(10)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은 줄넘기(4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원심력 발광장치(10)를 연이어 연결하지 않고 줄넘기 줄(44)의 중간 중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원심력 발광장치(10)를 직접 손잡이(42)에 연결하지 않고, 줄넘기 줄(44)의 중간에 연이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예는 도 5b 및 도 5c에 잘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력 발광장치(10)의 사이사이에 캐릭터 상품을 연결할 수 있다. 원심력 발광장치(10) 사이에 캐릭터 상품을 연결하게 되면 원심력 발광장치(10)에서 나오는 빛이 캐릭터 상품에 반사되어 보다 현란한 시각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기호를 가진 많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캐릭터 상품에 원심력 발광장치(10)를 삽입하여 원심력이 가해질 때 캐릭터 상품 자체에서 빛이 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42) 내에도 원심력 발광장치(10)를 삽입하여 빛이 나도록 변형할 수 있으며, 또는 원심력 발광장치(10)를 손잡이(42)로 대체하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이용한 줄넘기는 일정 수준 이상의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불빛을 냄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서 발광 소자의 밝기 및 점멸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줄넘기에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다수개의 원심력 발광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원심력 발광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쉬우며, 또한 고장시에는 각 원심력 발광장치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소정의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원심력 스위치; 및
    상기 원심력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발광소자로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발광소자를 주기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심력 발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외부 물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발광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심력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원심력 값에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의 밝기 및 점멸 주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발광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스위치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원심력이 가해질 때 원심력에 의해 변형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연결된 접점부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발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원심력이 가해질 때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접점부는 원심력이 강할수록 보다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가변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발광장치.
  7. 손잡이, 줄넘기 줄 및 다수의 원심력 발광장치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발광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소정의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만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원심력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외부 물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원심력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심력 발광장치는 상기 손잡이 및 상기 줄넘기 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심력 발광장치는 상기 줄넘기 줄의 중간 중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심력 발광장치는 상기 줄넘기 줄의 중간에 연이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11. 삭제
  12. 삭제
  13. 제 7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발광장치는 상기 손잡이 내에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KR10-2000-0080490A 2000-12-22 2000-12-22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KR100413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90A KR100413406B1 (ko) 2000-12-22 2000-12-22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90A KR100413406B1 (ko) 2000-12-22 2000-12-22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023A KR20010074023A (ko) 2001-08-04
KR100413406B1 true KR100413406B1 (ko) 2003-12-31

Family

ID=1970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490A KR100413406B1 (ko) 2000-12-22 2000-12-22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659A (ko) * 2001-11-14 2003-05-22 임희빈 다색발광 줄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303A (en) * 1984-04-27 1986-02-04 Brown Paul L Toy for electronically playing rhythmical melody upon rotation or revolution thereof
US4867727A (en) * 1988-11-10 1989-09-19 Flambeau Corporation Toy including centrifugal switch
US5087034A (en) * 1991-01-24 1992-02-11 Solis Kenneth M Illuminated jump rope
KR200175987Y1 (ko) * 1999-10-16 2000-03-15 이성열 발광다이오드 줄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303A (en) * 1984-04-27 1986-02-04 Brown Paul L Toy for electronically playing rhythmical melody upon rotation or revolution thereof
US4867727A (en) * 1988-11-10 1989-09-19 Flambeau Corporation Toy including centrifugal switch
US5087034A (en) * 1991-01-24 1992-02-11 Solis Kenneth M Illuminated jump rope
KR200175987Y1 (ko) * 1999-10-16 2000-03-15 이성열 발광다이오드 줄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023A (ko) 200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0651A (en) Illuminated non-motor powered flying device
US7101315B2 (en) Wrist exerciser having display and transmission device
KR200483621Y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핸드 피젯 스피너
US20080242190A1 (en) Novelty LED-projection message balloon
US7125142B2 (en) Flame simulating device
US6623405B2 (en) Wrist exerciser with message display
US6897622B2 (en) Incremental color blending illumination system using LEDs
US20060197474A1 (en) Modular lighting system
US20070283612A1 (en) Lighted fishing rod
US20080151530A1 (en) Lighted article manufacturer
US7179149B2 (en) Spring supported illuminated novelty device with spinning light sources
KR200411675Y1 (ko) 엘이디가 장착된 줄넘기
US5813928A (en) Ball basket
KR100413406B1 (ko) 원심력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구비한 줄넘기
US7121697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computer fan
US20170333761A1 (en) Touch activated lighted sports ball
US20060094327A1 (en) Waving illuminated novelty device with spinning light sources
CN112788809A (zh) 灯光亮度调节装置
US6527607B1 (en) Luminescent kite apparatus
US20060135320A1 (en) Illuminated trampoline
KR100420187B1 (ko) 발광 줄넘기
US20170016602A1 (en) Luminous shoe
KR200413532Y1 (ko) 발광 골프공
US20060063466A1 (en) Wearable toy and method
KR200265384Y1 (ko) 발광체를 이용한 줄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