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51Y1 -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 Google Patents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51Y1
KR200285651Y1 KR2020020011198U KR20020011198U KR200285651Y1 KR 200285651 Y1 KR200285651 Y1 KR 200285651Y1 KR 2020020011198 U KR2020020011198 U KR 2020020011198U KR 20020011198 U KR20020011198 U KR 20020011198U KR 200285651 Y1 KR200285651 Y1 KR 200285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light emitting
electron emission
skipp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엽
변경석
함주희
서종수
최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to KR2020020011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51Y1/ko

Link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전자발광선과 같은 선형발광부재를 줄넘기 로프 내에 설치하여 줄넘기 로프 전체에서 선형의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된 발광줄넘기가 게시된다. 상기 발광줄넘기는 제1 및 제2 손잡이,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를 연결하며 중공형으로 형성된 로프, 상기 로프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빛을 발하는 전자발광선,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발광선을 구동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와 상기 로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전압 및 전류를 상기 전자발광선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발광선을 이용한 발광줄넘기는 전자발광선을 이용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도 로프를 매우 환하게 할 수 있으므로, 줄넘기 운동시 시각적 아름다움을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와 주변 사람에게 큰 즐거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LIGHT EMITTING JUMP LOPE HAVING LINEAR LIGHT EMITTING MEMBER}
본 고안은 발광줄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발광선 (Electro-Luminescent wire ; EL wire)과 같은 선형발광부재를 줄넘기 로프 내에 설치하여 줄넘기 로프 전체에서 선형의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된 발광줄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줄넘기는 PVC와 같은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길게 압출 성형한 로프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양단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줄넘기를 이용한 줄넘기 운동은 줄넘기를 몸 주위로 돌릴 수 있는공간만 확보되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할 수 있는 전천후 운동으로서 10분간만 뛰어도 충분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생활체육으로 오래 전부터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컴퓨터가 보급되고 각종 게임이 개발되면서 청소년들은 야외활동을 하기보다는 PC방이나 게임장과 같은 실내에서 게임이나 통신에 골몰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줄넘기와 같은 신체적 운동을 통해서 균형 있는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제 줄넘기는 단지 운동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운동과 놀이를 겸비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구로 발전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시도를 통해서 청소년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줄넘기가 개발되었는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1991-8308호에는 야간에 은은한 빛을 발하여 줄의 위치파악이 용이하고 또한 호기심 및 소유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축광물질을 삽입한 야광 줄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야광 줄넘기는 축광물질의 값이 비싼데다가 로프에서 나오는 광도가 높지 않아서 실용화에는 크게 성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야광 줄넘기는 주변 환경이 충분히 어두울 때에만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빛의 밝기 또는 발광 형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충분한 즐거움을 제공하지 못한다.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로프에 삽입하여 로프에서 빛이 발산되도록 고안한 발광다이오드 줄넘기가 실용신안 제 99-22333호로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줄넘기는 로프에 40여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하고 모든 발광 다이오드를 전도성 합성수지를 이용해 전원부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발광다이오드 줄넘기는 야광 줄넘기의 단점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는 있으나, 사용되는 부품이 많아서 구성이 복잡하고 이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또한, 상기 줄넘기는 발광 다이오드가 로프 내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줄넘기 운동 과정에서 로프가 지속적으로 지면과 충돌한다는 특성상 발광 다이오드 및 배선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가 로프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의 고장 또는 특정 배선의 단선이 생길 경우 이를 수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제품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줄넘기는 발광다이오드가 점발광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연속적이지 못한 형태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자발광선(EL wire)과 같은 선형발광부재를 로프 내에 삽입하여 줄넘기를 할 때 선형으로 발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전자발광선을 이용한 발광줄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줄넘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줄넘기 가운데 로프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줄넘기 가운데 제1 손잡이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줄넘기 가운데 인버터부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버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발광줄넘기 15:로프
21, 22:제1 및 제2 손잡이 25:전자발광선
30:인버터부 35:케이스
41, 42:제1 및 제2 장력보강재 45:중심전극
50:유전체층 55:반도체층 또는 EL층
60:투명전극 65:장벽층
70:PVC층 75:전원부
80:직류전원 85:스프링 단자
90:회전 단자부 95:손잡이 뚜껑
100:수용부 105:전원스위치
110:제어회로 115:모드스위치
120:직류/교류 변환회로 125:승압회로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손잡이,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를 연결하며 중공형으로 형성된 로프, 상기 로프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빛을 발하는 전자발광선,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발광선을 구동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와 상기 로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전압 및 전류를 상기 전자발광선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발광줄넘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프의 모든 길이에 대하여 함몰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프에 가해지는 장력이 상기 전자발광선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력보강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력보강재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발광선은 상기 로프의 모든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전자발광선의 일측은 상기 로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발광선의 타측은 상기 로프의 타측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발광선의 중앙부는 상기 로프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발광선의 양측은 상기 로프의 양측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발광선과 상기 로프 사이의 빈 공간에는 윤활 물질이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인버터부로 인가하여 주는 회전 단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인버터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상기 전자발광선의 점멸방식제어를 위한 제어회로 및 상기 제어회로를 조작하기 위한 모드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발광선을 이용한 발광줄넘기는 전자발광선을 이용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도 로프를 매우 환하게 할 수 있으므로, 줄넘기 운동시 시각적 아름다움을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와 주변 사람에게 큰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줄넘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줄넘기(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제1 및 제2 손잡이(21, 22), 제1 및 제2 손잡이(21, 22)를 연결하는 로프(15), 로프(15)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발광선(25)(도 2 참조), 제1 손잡이(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발광선(25)(도 2 참조)을 구동하는 전원부(도시되지 않음) 및 제1 손잡이(21)와 로프(15)의 일측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전압 및 전류를 전자발광선(25)(도 2 참조)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인버터부(30)를 포함한다.
이 때, 제2 손잡이(22)와 로프(15)의 타측 사이에는 발광줄넘기(10) 양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인버터부(30)와 동일한 형상의 케이스(35)가 연결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줄넘기 가운데 로프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프(15)는 전자발광선(25)의 빛을 용이하게 투과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로프(15)의 내벽에는 제1 및 제2 장력보강재(41, 42)가 로프(15)의 모든 길이에 대하여 함몰되도록 삽입된다. 즉, 제1 및 제2 장력보강재(41, 42)를 로프(15)의 모든 길이에 대하여 함몰되도록 삽입함으로써 로프(15)가 회전할 때 로프(15)에 가해지는 장력이 전자발광선(25)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로프(15)는 유연성이 뛰어난 PVC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회전력 또는 온도변화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장력보강재(41, 42)는 로프(15)의 변형에 의해 전자발광선(2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제1 및 제2 장력보강재(41, 42)로는 유연성이 뛰어나면서도 변형이 거의 없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전자발광선(25)에서 발광되는 빛을 용이하게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낚싯줄 또는 섬유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15) 내부의 빈 공간에는 전자발광선(25)이 로프(25)의 모든 길이에 대하여 설치됨으로써 로프(25) 전체에서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전자발광선(25)은 중심전극(45)을 중심으로 유전체층(50), 반도체층 또는 EL층(55), 가는 실선이 내장된 투명전극(60) 및 장벽층(65)이 그 주위를 감싸고 있으며, 가장 외곽 층은 PVC층(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중심전극(45)과 투명전극(60) 내의 실선의 양극에 교류전기를 가하면, 양극 사이에 위치한 반도체층(55)이 발광하면서 선 주위로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장벽층(65)은 자외선을 차단하고 습기의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전자발광선(25)은 빛의 단절이 없이 선 전체에서 모든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며, 발광시 열을 발생하지 않아 전기적으로 안정하고 화재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발광선(25)은 내구성이 강하고 유연하며 가벼워 로프에 삽입되었을 때 로프의 고유기능을 전혀 해치지 않는다. 게다가, 전자발광선(25)은 전력소모가 작아서 일반 건전지와 같은 휴대용 전원으로도 충분히 동작하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해야 하는 줄넘기에는 매우 적합한 발광수단이 된다.
더욱이, 로프(15)의 중공은 전자발광선(25)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로프(15)의 내벽과 전자발광선(25) 사이의 빈 공간에는 윤활 물질을 주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윤활 물질에 의하여 로프(15)의 내부에서 전자발광선(25)이 마찰을 크게 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로프(15)에 가해지는 장력이 전자발광선(25)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전자발광선(25)의 일측은 인버터부(30)(도 1 참조)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전자발광선(25)의 일측 또는 중앙부는 로프(25)에 고정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줄넘기 가운데 제1 손잡이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손잡이(21)의 내부에는 전자발광선(25)(도 2 참조)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75)가 설치된다. 이 때, 전원부(75)는 직류전원(80), 스프링 단자(85) 및 회전 단자부(90)를 포함한다.
휴대하여 운동하는 줄넘기의 특성상 직류전원(80)으로는 일반적인 건전지가이용되며, 상기 건전지를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하기 위하여 제1 손잡이(21)의 상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손잡이 뚜껑(95)이 설치된다. 또한, 직류전원(80)의 하부에는 스프링 단자(85)를 설치하여 직류전원(80)의 음극 접점 역할을 하도록 하며, 제1 손잡이(21)의 내부에는 상기 건전지의 형상에 대응하는 별도의 수용부(100)를 형성하여 상기 건전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손잡이(21)의 일측에는 회전 단자부(9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회전 단자부(90)의 일측은 직류전원(80)의 양극 접점 역할을 하며, 회전 단자부(90) 하부는 스프링 단자(85)의 일측과 연결된다. 또한, 회전 단자부(90)의 타측은 인버터부(30)와 연결되어 직류전원(80)을 인버터부(30)에 인가하게 된다. 즉, 회전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촉이 가능한 회전 단자부(90)를 이용함으로써 줄넘기 운동시에 로프(15)가 꼬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손잡이(21)와 인버터부(3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줄넘기 가운데 인버터부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버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버터부(30)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05), 전자발광선(25)의 점멸방식제어를 위한 제어회로(110) 및 제어회로(110)를 조작하기 위한 모드스위치(115)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부(30)는 제1 손잡이(21)에서 공급된 전압을 전자발광선(25)에 적합하도록 맞추고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전자발광선(25)은 일종의 콘덴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교류에서만 발광하며 또한 발광을 위해서 적절한 전압을 요구하므로, 인버터부(30)는 전자발광선(25)을 사용할 때 필수적으로 함께 설치되어야 한다. 즉, 인버터부(30)는 전자발광선(25)의 중심전극(45) 및 투명전극(60)에 적절히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자발광선(25)은 교류에서만 발광하며, 단일선(Single Wire)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대략 80 내지 120V, 복수선(Double Wire)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대략 150 내지 220V의 전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버터부(30)는 전원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변환회로(120) 및 전원의 전압을 적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회로(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회로(110)는 전자발광선(25)의 점멸방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회로(110)는 연속발광 및 점멸과 같은 다양한 발광모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모드스위치(115)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모드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발광모드를 임의로 조절하면서 줄넘기 운동을 하게 되므로, 싫증내지 않으면서 오랫동안 줄넘기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로프(15)에는 줄넘기 운동시 로프(15)에 인가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완충부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로프(15) 주위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것도 가능하며, 또는 로프(15)가 지면과 자주 부딪히는 부위에 가죽 등을 덧대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그 외의 다른 변형도 충분히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발광선을 이용한 발광줄넘기는 전자발광선을 이용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도 로프를 매우 환하게 할 수 있으므로, 줄넘기 운동시 시각적 아름다움을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와 주변 사람에게 큰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에 대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줄넘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손잡이;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를 연결하며, 중공형으로 형성된 로프;
    상기 로프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빛을 발하는 전자발광선;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발광선을 구동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와 상기 로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전압 및 전류를 상기 전자발광선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로프의 모든 길이에 대하여 함몰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프에 가해지는 장력이 상기 전자발광선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력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3. 제 2 항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력보강재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발광선은 상기 로프의 모든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발광선의 일측은 상기 로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발광선의 타측은 상기 로프의 타측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발광선의 중앙부는 상기 로프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발광선의 양측은 상기 로프의 양측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발광선과 상기 로프 사이의 빈 공간에는 윤활 물질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손잡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인버터부로 인가하여 주는 회전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9. 제 1 항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인버터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상기 전자발광선의 점멸방식제어를 위한 제어회로; 및
    상기 제어회로를 조작하기 위한 모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줄넘기.
KR2020020011198U 2002-04-13 2002-04-13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KR200285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98U KR200285651Y1 (ko) 2002-04-13 2002-04-13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98U KR200285651Y1 (ko) 2002-04-13 2002-04-13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51Y1 true KR200285651Y1 (ko) 2002-08-13

Family

ID=7312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98U KR200285651Y1 (ko) 2002-04-13 2002-04-13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9424B2 (en) User configurable mosaic light emitting apparatus
US7785215B2 (en) Golf ball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and a light source
US20070236915A1 (en) Led flickering shoes
US20120040785A1 (en) Night Light Balls
US10857428B2 (en) Luminous ball with remote activation capability
US20080185785A1 (en) Harness for lighted sports article
US8466619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50261083A1 (en) Modified ball structure
US20070087861A1 (en) Golf ball with light-emitting control mechanism
KR200285651Y1 (ko)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KR200250287Y1 (ko) 선형 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US8810433B1 (en) Garage door opener and parking guide combination
KR20010044616A (ko)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KR20030062856A (ko) 선형발광부재를 구비한 발광줄넘기
CN1814329A (zh) 一种夜光皮球
KR20070077001A (ko) 발광 줄넘기
CN201227503Y (zh) 具发光效果的球
KR100420187B1 (ko) 발광 줄넘기
KR200414292Y1 (ko) 발광 줄넘기
KR200354118Y1 (ko) 배드민턴용 발광셔틀콕
CN205814960U (zh) 一种发光跳绳
KR100413199B1 (ko) 네온형광이 발광되는 운동기구
CN201105130Y (zh) 一种具有发光功能的击球玩具
CN2699955Y (zh) 带发光体的羽毛球
CN211383715U (zh) 一种发光羽毛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