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830B1 -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830B1
KR100419830B1 KR10-2001-0025969A KR20010025969A KR100419830B1 KR 100419830 B1 KR100419830 B1 KR 100419830B1 KR 20010025969 A KR20010025969 A KR 20010025969A KR 100419830 B1 KR100419830 B1 KR 10041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solid
ozone gas
liquid separ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806A (ko
Inventor
김석구
김이호
김종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썸
Priority to KR10-2001-002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8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8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10Oxidants
    • B01D2251/104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61Addition of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92Steril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20Operation control schemes defined by a periodically repeated sequence comprising filtration cycles combined with cleaning or gas supply, e.g. 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8Use of other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그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침적형 여과막 반응조를 이용한 오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헐적인 오존처리의 막세정 방식을 도입하여 막분리를 이용한 오폐수의 처리에 있어 그 처리효율을 극대화를 도모한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방법의 해결방법 요지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 수용되며, 오염수와 슬러지를 분리하는 분리조; 상기 분리조내에 침지되어 그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수단; 상기 고액분리수단에서 분리된 투과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내부로 오존가스를 분출하는 제1 오존가스 분출수단;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의 외면을 세정하기 위하여 오존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한 제2 오존가스 분출수단; 일단이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상부에 연결되어 그를 투과한 투과수를 흡인하며 배출하는 투과수 배출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오존가스 분출수단에 연결되며, 그들에 오존가스를 소정주기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오존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하고,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여과막 모듈이 분리조내의 원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흡인펌프에 의해 상기 여과막 모듈내로 원수가 흡인되어 고액분리를 행하는 제1단계; 상기 여과막 모듈내부로 흡입된 투과수에 오존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가스를 간헐적으로 주입하여 상기 투과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오존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가스를 산기관를 통해 분출시키고 그 버블링에 의해 여과막모듈의 외부측면을 막세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방법을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막분리 방식의 오폐수 처리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METAL MEMBRANCE COMBINED WITH INTERMITTENT BACK-OZONATION}
본 발명은 침적형 여과막 반응조를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막분리를 이용한 오수 및 폐수의 처리에 있어서 간헐적인 오존처리의 막세정 방식을 도입하여 그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킨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막분리기술의 진전과 함께 막을 이용한 고액분리법에 의한 오폐수의 고도처리 또는 처리수의 수자원으로서의 재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막분리 방식은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sludge)의 침강성에 처리성능이 좌우되지 않고 안정한 처리수질을 확보하며, 최종침전지의 불필요로 인하여 처리 소요면적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막분리의 적용에 있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막의 열화현상과 내부 파울링에 의한 막투과 유속의 저하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며, 이에 따라 안정된 막투과 유속의 유지 및 막수명의 연장 등의 문제점이 오폐수처리 분야에 있어 좀더 광범위한 막분리 장치의 적용으로의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막투과 유속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막 외부로부터 공기포기 등 각종의 물리. 화학적 세정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세정하기 위해 막을 반응조로부터 도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그에 따른 장치의 운전정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약액의 보충을 위한 농도조정의 번잡성 등의 운용관리상의 문제가 있고, 화학적인 약액을 이용할 시, 막 내부의 오염으로 인한 역효과 및 세정약액의 재처리 등의 문제가 있으며, 단순한 물이나 공기에 의한 세정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정효과의 감소 등 막투과유속의 회복을 위해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정수단으로 공기나 약액에 의한 세정방법 대신 산화력이 강한 오존가스를 막모듈의 내부에 주입하여 내부 파울링현상 및 막표면에 형성된 케익층(cake layer)의 형성을 방지하여 항상 높은 막투과 유속을 유지하는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한 막의 재질로서 내오존성 소재인 여과막을 사용함으로 인해 통상의 수지막(유기성 재질막)으로의 불가능한 오존의 적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막의 수명을 거의 반영구적으로 연장시켜 경제적인 부분에 있어서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되는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적용한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적용한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의 여과막 모듈의 개략도.
도 3 은 표1에 나타낸 조작인자에 따른 세정을 실시하였을 경우의 막투과유속의 시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리조 20: 금속막 모듈
30: 산기관 40: 흡인관
50: 흡인펌프 60: 오존발생장치
70a, 70b:주입관 80: 구획판
A: 유입원수 B: 투과수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 수용되며, 오염수와 슬러지를 분리하는 분리조; 상기 분리조내에 침지되어 그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수단; 상기 고액분리수단에서 분리된 투과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내부로 오존가스를 분출하는 제1 오존가스 분출수단;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의 외면을 세정하기 위하여 오존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한 제2 오존가스 분출수단; 일단이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상부에 연결되어 그를 투과한 투과수를 흡인하며 배출하는 투과수 배출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오존가스 분출수단에 연결되며, 그들에 오존가스를 소정주기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오존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분리조는 그의 내부에 저면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원활한 유동성을 가지고 하강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구획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액분리수단은, 양측면이 개방된 여과체; 상기 여과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금속막; 상기 여과체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며, 그 일단이 상기 투과수 배출수단에 연결된 흡인구; 및 상기 여과체의 하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오존발생수단의 오존가스가 여과체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막은 유효여과면적이 양면합계 0.12m2이고, 막공경은 0.2μm 이다.
상기 금속막은 스테인레스강의 금망에 스테인레스강의 분말을 도포하여 소결한 것이다.
상기 제1 오존가스 분출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여과체의 주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오존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오존가스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오존가스 분출수단은 상기 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외부막을 세정하기 위한 산기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존발생수단은 그의 내부에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플라스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투과수 배출수단은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흡인구에 연결된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상에 설치되며, 상기 고액분리수단 상부에 있는 투과수를 흡인하여 배출하고,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내부를 부압으로 유지시키는 흡인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여과막 모듈이 분리조내의 원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흡인펌프에 의해 상기 여과막 모듈내로 원수가 흡인되어 고액분리를 행하는 제1단계; 상기 여과막 모듈내부로 흡입된 투과수에 오존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가스를 간헐적으로 주입하여 상기 투과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오존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가스를 산기관를 통해 분출시키고 그 버블링에 의해 여과막모듈의 외부측면을 막세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분리조내에 유입되는 원수가 분리조내에 직립되게 구비된 구획판과 부딪혀 하강류를 형성하면서 슬러지는 침전되고, 오염수는 여과막 모듈측으로 상승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흡인펌프로부터 제공되는 부압에 의해 위치가 유지되는 여과막 모듈의 내부압력을 외부압력보다 작게 하여 고액을 분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에 사용한 실험장치를 도시한 개략모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오폐수 고도처리장치에 사용한 여과막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수(A)가 유입되어 수용하는 형태의 분리조(10)내에 유입원수를 여과시키는 고액분리수단인 여과막 모듈(20)이 침지되어 있다. 상기 여과막 모듈(20)의 하부에는 오존가스를 분출시켜 발생된 버블링(bubbling)으로 상기 여과막 모듈(20)의 측면을 세정하는 산기관(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여과막 모듈(20) 상부에 연통되고, 그 여과막 모듈(20)을 투과한 투과수(B)를 흡인하여 후술할 흡인펌프측으로 유입시키는 흡인관(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40)의 타단에는 그로부터 유입된 상기 투과수(B)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여과막 모듈(20)내부의 공기를 빼주어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게 하여 상기 여과막 모듈(20)의 내부를 부압으로 유지시키는 흡인펌프(50)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조(10)의 외측에는 상기 여과막 모듈(20)의 내부측과 산기관(30)에 오존가스를 소정주기로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오존발생장치(60)가 설치된다.
또한, 일단은 상기 산기관(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오존발생장치(60)에연결되어 상기 오존발생장치(60)에서 발생된 오존가스를 상기 산기관(30)으로 공급하는 제1주입관(70a)이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오존발생장치(6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막 모듈(20)내부측으로 연결되어 투과수(B)측에 오존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제2주입관(70b)이 설치된다.
상기 분리조(10)의 중앙부에는 공급된 원수(A)가 원활한 유동성을 갖도록 한 구획판(80)이 직립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획판(80)은 분리조(10)내부에 저면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구획판(80)에 부딪혀 하강류를 형성하면서 슬러지는 침전되고 오염수는 여과막 모듈(20)측으로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여과막 모듈(20)은, 양면 개방된 여과체(21)와, 상기 여과체(21)의 개방된 양면에 설치된 금속막(22)과, 상기 여과체(21)의 상부에 상기 흡인관(40)이 연결되는 흡인구(23)와, 상기 여과체(2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주입관(70b)이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오존가스를 여과체(21)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주입구(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금속막(22)의 유효여과면적은 양면합계 0.12m2이며, 막공경은 0.2μm이며, 상기 금속막(22)은 스테인레스강의 금망에 스테인레스강의 분말을 도포하여 소결한 것이다.
상기 오존발생장치(60)는 플라스마 장치를 내장하여, 그 플라스마에 의해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폐수 고도처리장치는, 여과막 모듈(20)이 분리조(10)내의 원수(A)내에 침지된 상태에서, 원수가 유입되면, 상기 원수는 구획판(80)에 부딪히면서 하강류를 형성하고 다시 구획판(80)의 하부를 거슬러 여과막 모듈(20)로 상승 유입된다.
이 때, 상기 흡인펌프(50)로부터 제공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여과막 모듈(20)이 수중에 뜬 상태에서 여과막 모듈(20)의 내부압력을 외부압력보다 작게 하여 흡인하는 방식으로 상기 원수(A)의 고액분리를 행하고, 그 후에 원수로부터 분리된 잉여슬러지는 분리조(10)의 하부를 통하여 드레인된다.
그리고, 상기 흡인된 투과수(B)가 있는 여과막 모듈(20)내부에는 오존발생장치(60)에 의해 발생된 오존가스가 제2주입관(70b)과 주입구(24)를 통해 간헐적으로 주입하여 여과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오존발생장치(60)에 의해 발생된 오존가스는 제1주입관(70a)을 통해 산기관(30)으로 제공되어, 상기 산기관(30)에서 제공되는 오존가스 버블링에 의해 여과막모듈(20)의 측면을 막세정한다.
여기에서, 금속막 여과압력은 60 ∼ 90(kPa)의 범위로 운전하며 주입오존농도는 20(mgO3/Lcm3/cycle)이상, 동시에 주입하는 오존양은 금속막 내부체적의 1cm3당 0.27(mgO3/Lcm3/cycle)이상으로 한다.
또한, 오존가스를 막의 투과수측으로부터 유입원수측으로 분출시킴으로써 막투과 유속의 회복이 현저하게 되고, 특히 주입오존량이 0.53(mgO3/Lcm3/cycle)이상일 경우 그 회복효과가 보다 월등하다.
이와 같은 동작은, 산화력이 강한 오존가스를 금속막 모듈(20)의 내외부에 주입하여 내부 파울링 현상 및 막표면에 형성되어 케익층(Cake layer)의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항시 높은 막투과유속이 유지되며, 오존의 적용이 통상의 수지막(유기성재질막)으로는 불가능하나 내오존성 소재인 금속막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금속막 모듈을 사용한 분리조에서의 여과실험 및 세정실험을 행한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1]은 세정에 의한 막투과 유속의 회복상황을 비교하기 위하여 여과실험을 행하였을 때의 실험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Run 1 ∼ Run 3는 금속막 모듈(20)의 하부의 산기관(30)으로부터 공기 또는 오존가스를 분출시킨 것이며, Run 4 ∼ Run 11은 오존발생장치(60)로부터 공기 또는 오존가스를 금속막 모듈(20)의 투과수(B)측(내측)에 주입하여 금속막 모듈(20)의 원수(A)측(외측)으로 분출시킨 것이다. 이 경우 오존가스가 흡입관(40)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은 아니다.
[표1]에서 오존농도(mg/L)는 오존가스 1리터당 오존량을 나타내며, 주입유량(L/min)는 오존가스의 공급유량을 의미한다.
또한, Run 1 ∼ Run 3의 주입사이클은 20분동안 5분간 주입(15분간 여과, 5분간 세정)하는 경우이고, Run 4 ∼ Run 11의 주입사이클은 30분 동안 2분간 주입(28분간 여과, 2분간 세정)으로 하는 경우로, 이것은 1 사이클로서 각각 1시간에 3사이클, 2사이클의오존세정을 행한 것이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1 사이클의 의미는 여과조작과 세정조작을 각각 1회 조합한 것으로 한다.
[표1] 실험조건
구분조작인자 Run1 Run2 Run3 Run4 Run5 Run6 Run7 Run8 Run9 Run10 Run11
막외부로부터의버블링 막내부로부터의버블링
오존폭기
오존농도(mgO3/L) 0 50 50 0 40 40 40 20 10 40 40
주입유량(L/min) 5 5 10 4 4 2 1 4 4 4 4
주입사이클 5min/20min(3 사이클/1hr) 20min/30min(2 사이클/1hr)
총주입오존량(mgO3/사이클) 0 1250 2500 0 320 160 80 160 80 320 320
금속막내부단위체적당오존주입율(mgO3/cm3/사이클) - - - 0 0.53 0.27 0.13 0.27 0.13 0.53 0.53
막모듈
여과압력(kPa) 75 75 75 75 75 75 75 75 75 50 100
여과 사이클 10min On, 2min Off 24min On, 6min Off
분리조
평균유입SS농도(mg/L) 83 ∼ 95
도 3 은 [표1]에 나타낸 조작인자에 따른 세정을 실시하였을 경우의 막투과 유속의 시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중의 Run 1 은 [표1]에 나타낸 조작조건으로 여과/세정을 3시간 걸쳐 실시하고, 그 동안의 막투과 유속의 변화를측정한 것이다. 도 3 에 나타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표1]의 Run 1 ∼ Run 4의 조작조건에 따른 세정효과는 3시간동안의 평균 막투과 유속이 여과초기단계의 막투과 유속의 50%에도 미치지 못하였고, 이러한 조작조건으로써는 실제 적용성의 희박한 것으로 판명된다.
그러나, Run 5 ∼ Run 11의 경우에는 평균 막투과 유속이 여과초기단계의 막투과 유속에 비교적 근접한 값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고, Run 5의 경우에는 평균 막투과 유속이 2.0(m3/m2·day)로 실험조건 중 가장 높은 막투과 유속이 얻어졌다.
조작인자에 따른 처리특성으로서, 오존주입량이 많을수록 평균막 투과유속과 초기막 투과유속의 비(Ja/Ji)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Ja/Ji)가 90%이상을 보인 조작조건으로서는 오존농도가 40(mg/L)의 경우 오존가스유량이 2(L/min)이상이고, 오존농도가 20(mg/L)의 경우에는 오존가스유량이 4(L/min)이상일 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금속막 내부의 단위체적을 기준으로 정리하면 주입한 오존량은 0.27(mgO3/cm3/cycle)이상, 그리고 주입한 오존농도가 20(mg/L)의 요건을 갖출 때 평균막 투과유속과 초기막 투과유속의 비(Ja/Ji)는 실용적 한계인 90%이상을 만족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다.
여과압력과 평균막 투과유속과 초기막 투과유속의 비(Ja/Ji)의 관계에서는 여과압력이 높을 수록 평균막 투과유속과 초기막 투과유속의 비(Ja/Ji)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과압력은 실용적인 막투와 유속이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는 가능한 한 저압으로 운전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의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과압력은 실험결과로부터 65 ∼ 85(kPa)의 범위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 [표2]는 실험기간동안의 유입하수와 막투과액의 평균수질 및 제거율을 나타낸다.
[표2] 유입하수와 막투과액의 평균수질 및 제거율
조작인자 유입하수 막투과액 제거율(%)
PH 6.5 6.9 -
SS(mg/L) 83 0 100
탁도(degree) 42 1.7 96
색도(degree) 182 58 68
TOC(mgC/L) 61 27 56
T-N(mgN/L) 33 14 58
NH4 +-N(mgN/L) 15 14 7
T-P(mgP/L) 7.5 4.2 44
일반세균수(개/mL) 3*108 ND 100
ND: 검출되지 않음
[표2]는 실험기간동안의 유입하수와 막투과액의 평균수질 및 제거율을 나타낸다. 막투과액의 수질에서 유입하수중의 부유성 고형물질이 완전히 제거됨을 알 수 있고, 크립토스포리디움등 원생동물을 포함한 일반세균도 본 발명에서 사용한금속막의 공경인 0.2μm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탁도는 거의 100% 에 가까운 제거율이 얻어졌지만 색도의 제거율은 평균 68%를 보여 탁도보다 제거율이 낮았다. 총 질소(TN), 총 인(TP) 및 총 유기탄소(TOC) 농도는 금속막에 의한 고형물 제거에 동반하여 50% 전후의 제거율을 보였지만 암모니아성 질소와 같은 용해성 물질의 제거율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이 종료된 시점에서 금속막의 외관을 관찰한 결과, 일반적으로 유기재질의 막에서는 흔히 관찰되는 막재질의 산화 파손 현상은 일체 나타나지 않아 사용된 금속막은 오존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지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여과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은, 막분리 장치의 적용에 있어 간헐적 오존 역세정이라는 새로운 막세정 방법을 도입하여 기존의 방법들이 지니고 있던 막세정의 번잡성을 해결함으로서 장치 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비교적 저렴한 금속막을 사용하여 오폐수의 고액분리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헐적 오존 역세정을 이용한 막세정 방법에 있어 조작인자의 변화에 따른 세정효과를 파악하여 실제 적용에 있어서 각각의 상황에 맞는 조작인자의 최적치를 산정하여 운전설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원수가 유입 수용되며, 오염수와 슬러지를 분리하는 분리조;
    상기 분리조내에 침지되어 그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수단;
    상기 고액분리수단에서 분리된 투과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내부로 오존가스를 분출하는 제1 오존가스 분출수단;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의 외면을 세정하기 위하여 오존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한 제2 오존가스 분출수단;
    일단이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상부에 연결되어 그를 투과한 투과수를 흡인하며 배출하는 투과수 배출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오존가스 분출수단에 연결되며, 그들에 오존가스를 소정주기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오존발생수단
    을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는 그의 내부에 저면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원활한 유동성을 가지고 하강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구획부재
    를 더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수단은
    양측면이 개방된 여과체;
    상기 여과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금속막;
    상기 여과체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며, 그 일단이 상기 투과수 배출수단에 연결된 흡인구; 및
    상기 여과체의 하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오존발생수단의 오존가스가 여과체 내부로 주입되기 위한 주입구
    를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유효여과면적이 양면합계 0.12m2이고, 막공경은 0.2μm인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스테인레스강의 금속망에 스테인레스강의 분말을 도포하여 소결하여 형성된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존가스 분출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여과체의 주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오존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오존가스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오존가스 분출수단은 상기 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외부막을 세정하기 위한 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수단은 그의 내부에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플라스마 장치를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수 배출수단은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흡인구에 연결된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상에 설치되며, 상기 고액분리수단 상부에 있는 투과수를 흡인하여 배출하고, 상기 고액분리수단의 내부를 부압으로 유지시키는 흡인펌프
    를 포함하는 금속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2001-0025969A 2001-05-12 2001-05-12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041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969A KR100419830B1 (ko) 2001-05-12 2001-05-12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969A KR100419830B1 (ko) 2001-05-12 2001-05-12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882U Division KR200241581Y1 (ko) 2001-05-12 2001-05-12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806A KR20020086806A (ko) 2002-11-20
KR100419830B1 true KR100419830B1 (ko) 2004-02-25

Family

ID=2770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969A KR100419830B1 (ko) 2001-05-12 2001-05-12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871B1 (ko) * 2010-02-05 2012-03-23 금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플라즈마 방전조를 구비한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CN108408908B (zh) * 2018-05-23 2024-03-29 泓天(大连)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一体化小型污水处理装置和污水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750A (ja) * 2000-07-27 2002-02-05 Hitachi Metals Ltd 汚水の濾過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750A (ja) * 2000-07-27 2002-02-05 Hitachi Metals Ltd 汚水の濾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806A (ko)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3854B1 (ja) 被処理水の濾過膜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並びに水処理システム
CN106132518B (zh) 使用膜的水处理方法以及水处理装置
JP2011088053A (ja) 淡水化処理設備及び方法
CN103249472B (zh) 浸没式膜元件的化学清洗方法
KR20090121833A (ko)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JP2007289847A (ja) 水道原水の浄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006209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5001923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JP2009273973A (ja) 膜処理による海水淡水化システム
JP3380114B2 (ja) 膜分離装置の逆洗方法
KR100419830B1 (ko)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 이용한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JP5105608B2 (ja) 廃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208762364U (zh) 印染废水深度处理系统
JPWO2017135162A1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100538126B1 (ko) 침지형 막분리를 이용한 유기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241581Y1 (ko) 간헐적 오존주입 역세정 방법을 결합시킨 금속막을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KR200389747Y1 (ko) 오존주입 방법을 결합시킨 막분리를 이용한 우수 처리장치
JP3700932B2 (ja) オゾンを用いたろ過体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2006081979A (ja) 膜洗浄方法
KR100506193B1 (ko) 용존오존수 주입 역세정 방법을 이용한 오·폐수정밀여과장치
KR20040101850A (ko) 오존주입 방법을 결합시킨 막분리를 이용한 우수 처리장치및 방법
JP2006035138A (ja) 活性汚泥処理装置
KR101288003B1 (ko) 멤브레인 모듈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200321444Y1 (ko) 용존오존수 주입 역세정 방법을 이용한 오·폐수정밀여과장치
JPH11244893A (ja) 有機性汚水処理装置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