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296B1 -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296B1
KR100419296B1 KR1020030049289A KR20030049289A KR100419296B1 KR 100419296 B1 KR100419296 B1 KR 100419296B1 KR 1020030049289 A KR1020030049289 A KR 1020030049289A KR 20030049289 A KR20030049289 A KR 20030049289A KR 100419296 B1 KR100419296 B1 KR 10041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mode
failure
block diagram
cause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경훈
이이즈까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주)아이겐웍스
정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겐웍스, 정경훈 filed Critical (주)아이겐웍스
Priority to KR102003004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2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9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analyzing a failure mode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omission generated from a failure mode prediction, and define a cause and an effect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CONSTITUTION: A central failure mode, which is an analysis target, is listed(S1). A cause mechanism of the central failure mode and related component item are selected/listed(S2). A cause system tree is written by considering a combination relation between a path to the central failure mode and each listed item(S3). A failure form is classified/listed according to generation of the central failure mode(S4). The effect influencing on an upper system is traced by each listed failure state(S5). The caus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is understood by considering the viewpoint for defining the cause mechanism in an order from a factor due to a lower single part of the cause system tree to the factor due to the combination of upper parts.

Description

고장모드의 분석방법 및 기록매체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Analy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f failure mode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

본 발명은 제품(시스템)의 개발단계에 대상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장모드 예측 시에 발생하는 누락을 방지하고 예측된 고장모드의 원인 및 영향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개발 제품의 완성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해석 결과를 체계적으로 축적, 관리하여 대상 제품의 고장과 관련된 개인적 경험 및 노하우 등의 지식이 조직의 지식으로써 재활용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장모드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performed 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target product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product (system), in particular to prevent omission occurring in the failure mode prediction and to identify the cause and effect mechanism of the predicted failure mode By providing a method to effectively identify,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developed product, and also systematically accumulate and manage the analysis results, so that knowledge such as personal experience and know-how related to the failure of the target product can be recycled as the knowledge of the organization It relates to a method of analyzing a mode.

종래기술은 실제로 발생한 불량현상이나 고장현상에서 그의 발생원인을 추정하는 방법이 주였다. 다만, 제조단계에서 발생한 불량현상내용에서 불량의 원인을 추정하는 방법의 공지예로서는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1-167631호나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6-196900호가 있다. 이들은 종래의 불량실적과 그 원인의 데이터를 축적해서 불량패턴과 불량원인의 상관도를 구하고, 그것에 따라 불량원인을 추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마찬가지의 방법을 고장진단에 사용한 예로서는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7-13617호나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7-271587호가 있다.The prior art has mainly been a method of estimating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defects or failures. However, known examples of the method for estimating the cause of the defect in the defect phenomenon occurring at the manufacturing stage are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Hei 1-167631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Hei 6-196900. These are to accumulate the conventional defect performance and the data of the cause and to obt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fect pattern and the cause of the defect, and to estimate the cause of the defect accordingly. Further, examples of using the same method for diagnosing a failure include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7-13617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7-271587.

상기 공지예는 모두 불량현상이나 고장현상이 발생했을 때, 실제로 발생한 현상의 내용에 따라 그의 고침이나 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거의 사상에 따라서 직접적인 원인을 추정하는 기술이다. 이들 방법은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현상의 대부분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므로 현장에서는 검토누락에 의한 제조불량이 다수 발생하고 제품의 특성이 되는 불량한 성질을 정밀도 좋게 추정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 특허공개공보 특1998-80843호에서는 조립불량포텐셜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각종 구성부품들의 상하관계가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해석에 참여하지 않은 제 3자의 경우 그 내용을 명확하게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In the above known examples, when a defect phenomenon or a failure phenomenon occurs, it is a technique for quickly and accurately executing the repair or repair thereof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phenomenon actually occurring, and it is a technique of estimating a direct cause according to the past idea. Since these methods need to understand most of the failures that can actually occur,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estimate the poor properties that result in a large number of manufacturing defects due to a missing review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8-80843 proposes a method for estimating poor assembly potential. However, this is not only the top and bottom relationship of the various components is unclear,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the contents of the third party that does not participate in the analysis.

일반적으로 고장모드의 예측 및 해석을 위한 수법으로 FMEA(Failure Modes and Effect Analysis), FTA(Fault Tree Analysis) 등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FMEA는 1950년대 NASA에서 달로켓트 발사를 위한 아폴로계획 실시에 당면하여 신뢰성, 안전성 평가에 이용되면서 세상에 알려진 수법으로 정형화된 워크시트 양식에 해석자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여 해당 칸에 필요한 내용을 열거하는 것에 의해 예측 및 해석을 실시한다. 또한, FTA 역시 NASA에서 시작된 수법으로 시스템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함 사상을 대상으로 그 원인을 사상기호와 논리기호를 사용하여 해석자 독자적인 판단에 의해 FT도라는 그림을 그리면서 해석을 실시한다.In general, failure modes and effect analysis (FMEA) and fault tree analysis (FTA) are widely used as methods for predicting and analyzing failure modes. In the 1950s, NASA enacted the Apollo Plan for the launch of the Dalocket in the 1950s, and used the knowledge and knowledge of the analysts in the format of worksheets formulated with the world's best known methods for reliability and safety assessments. The prediction and the analysis are performed by doing. In addition, the FTA is a method initiated by NASA, and analyzes the fault defects of the system by drawing the FT diagram by the analyst's own judgment by using the mapping symbols and the logic symbols.

FMEA의 경우 해석 대상 제품의 구성요소에서 발생하는 단일 고장모드에 대한 해석은 용이하지만 구성요소 간 또는 몇 개의 구성요소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복합적인 요인의 고장모드에 대한 해석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FTA는 트러블의 발생가능성을 예측적인 사고에 의해 해석하는 사전해석 수법으로써의 활용보다는 트러블이 발생한 후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해석을 실시하는 사후해석 수법으로 활용되고 있다.In case of FMEA, it is easy to analyze the single failure mode occurring in the component of the product to be analyzed, bu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failure mode of the complex factors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or several components. In addition, the FTA is used as a post-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cause of the problem after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rather than as a pre-analysis method that interprets the possibility of the problem by predictive thinking.

FMEA, FTA 모두 해석자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해 해석이 진행되기 때문에 해석자가 문제를 생각하는 관점에 따라 결과의 질적 수준에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특히 FMEA의 경우 고장의 원인 메커니즘을 워크시트의 해당 칸에 단순 열거함에 따라 메커니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의 인과관계가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해석에 참여하지 않은 제 3자의 경우 그 내용을 명확하게 판단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Since both the FMEA and the FTA are interpreted by the analyst's own judgmen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analyst's thinking. By enumerating, not on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included in the mechanism is unclear, but also the third party who does not participate in the interpretation has considerable difficulty in clearly determining its contents.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장모드 예측에서 발생되는 누락을 방지하고 고장모드의 원인 및 영향 메커니즘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In view of th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omission from failure mode prediction and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dentifying the cause and effect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또한 그 방법론을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해석을 지원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 생성된 모든 정보를 D/B화하여 조직적인 지식으로 축적,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methodology through software, it aims to provide a system that supports efficient interpretation to users and at the same time, D / Bs al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and accumulates and recycles it into organizational knowled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고장모드기구도의 형식을 나타낸 블록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ormat of a failure mode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고장모드기구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ilure mode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고장모드기구도를 작성하는 순서도이고,Figure 3 is a flow chart for creating a failure mode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시스템 기본구성 및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고,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ystem basic configuration and data flow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공정 순서를 도시한 일실시예이다.Figure 5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process sequence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중심 고장모드 20 : 영향계10: center failure mode 20: influence meter

21 : 1차 영향 22 : 2차 영향21: Primary Impact 22: Secondary Impact

30 : 원인계 31 : 1차 원인30: Cause Cause 31: Primary Cause

32 : 2차 원인 42 : 블록도 편집부32: secondary cause 42: block diagram editing unit

44 : 고장모드 예측부 46 : 고장모드기구도 편집부44: failure mode prediction unit 46: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48 : 워크시트 관리부 50 : 고장모드 라이브러리48: worksheet management unit 50: failure mode libra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고장모드를 제품의 성질, 발생부위, 발생상황, 사용환경의 예측관점별로 분류되어 축적된 고장모드라이브러리를 구축하는 단계; 계층전개를 통해 제품의 기능블록도, 구조블록도, 기능-구조 블록도 및 공정흐름도를 작성하고 편집하는 블록도 편집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도로부터 정보를 인출하고 상기 고장모드라이브러리에서 참조가능한 고장모드를 검색, 열거하여 고장모들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고장모드의 원인, 영향을 파악하는 고장모드기구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장모드의 분석방법을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building a failure mode library in which failure modes are classified and accumulat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a generation part, a occurrence situation, and a predicted viewpoint of a use environment; Completing block diagram editing for creating and editing functional block diagrams, structural block diagrams, functional-structure block diagrams, and process flow diagrams of the product through hierarchical deployment;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he block diagram and searching and enumerating fault modes referenceable in the fault mode library to predict fault models; It provides a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failure mode mechanism for identifying the cause and effect of the predicted failure mode.

또한, 본 발명의 고장모드의 분석방법은 기존의 유사고장모드를 검색하고 관점별로 정리된 상기 표준고장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연상에 의해 고장모드를 상기하는 고장모드예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method of the failure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ilure mode prediction step of retrieving the failure mode by the user associating the existing similar failure mode and the standard failure mode arranged by perspective .

또한, 본 발명의 고장모드분석방법에서는 자료의 입력, 편집 및 관리는 워크시트로 구성하는 워크시트관리부를 포함하되, 워크시트관리부는 상기 블록도편집부, 고장모드라이브러리, 고장모드기능도와 상호 입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editing and management of data includes a worksheet management unit configured as a worksheet, and the worksheet management unit is inputted to and outputted from the block diagram editing unit, the failure mode library, and the failure mode functional diagram.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고장모드분석방법에서 상기 고장모드기구도의 작성은 해석대상이 되는 중심고장모드의 열거단계; 중심고장모드의 원인과 관련된 부품의 선정 및 열거단계; 상기 열거된 부품을 대상으로 중심고장모드에 이르기까지 경로와 각 부품의 결합관계를 고려하여 원인계 트리를 작성하는 단계; 중심고장모드의 발생에 따른 고장형태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고장형태별로 상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원인계트리에 하위 단일부품에 의한 요인부터 상위 부품들의 조합에 의한 요인의 순으로 원인 기구규명을 위한 관점을 고려하여 중심고장모드의 원인을 파악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aration of the failure mode mechanism is an enumeration step of the central failure mode to be analyzed; Selecting and enumerating the parts related to the caus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Creating a cause tree in consideration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th and each part to the central failure mode for the parts listed above; Classifying the failure typ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identifying the influence on the upper system by the failure type, and the factors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parts and the factors of the upper parts in the cause tre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steps of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in consideration of the viewpoint for identifying the cause mechanism.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장모드의 분석방법은 고장등급별 고장모드 개수를 막대그래프형태로 나타내고, 고장모드에 대한 중요도 평가 결과를 2차원의 행렬형태로 도시하는 통계해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method of the failure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tistical analysis step showing the number of failure modes for each failure level in the form of a bar graph, and showing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for the failure mode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matrix.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장모드를 제품의 성질, 발생부위, 발생상황, 사용환경의 예측관점별로 분류되어 축적된 고장모드라이브러리; 계층전개를 통해 제품의 기능블록도, 구조블록도, 기능-구조 블록도 및 공정흐름도를 작성하고 편집하는 블록도 편집부; 상기 블록도로부터 정보를 인출하고 상기 고장모드라이브러리에서 참조가능한 고장모드를 검색, 열거하는 고장모드 예측부; 상기 예측된 고장모드의 원인, 영향을 파악하는 고장모드기구도편집부; 자료의 입력, 편집 및 관리는 워크시트로 행하며 상기 블록도편집부, 고장모드라이브러리, 고장모드기구도편집부와 상호 입출력되는 워크시트관리부; 상기 워크시트, 블록도, 고장모드기구도 의 모든 자료가 프로젝트단위로 관리되며 기본정보가 입력되는 프로젝트관리부;로 구성되어 고장모드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시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ilure mode library is classified by accumulating the failure mode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the site of occurrence, the occurrence situation, the predicted viewpoint of the use environment; A block diagram editing unit for creating and editing a functional block diagram, a structural block diagram, a functional-structure block diagram, and a process flow diagram of a product through hierarchical expansion; A failure mode predictor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he block diagram and searching for and listing failure modes that can be referred to in the failure mode library; A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for grasping the cause and effect of the predicted failure mode; A worksheet management unit for inputting, editing, and managing data into a worksheet and inputting / outputting the block diagram editing unit, the failure mode library, and 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All data of the worksheet, block diagram, and failure mode mechanism are managed on a project basis, and a project management unit for inputting basic information is provided.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program for analyzing a failure mode.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고장모드분석방법 및 기록매체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고장모드 예측에서 발생하는 누락을 방지하고 필요 고장모드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계층", "연상", "고장 메커니즘" 이라는 3가지 개념을 도입한다. 각각의 개념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concepts such as "layer", "association", and "failure mechanism" are introduced to prevent the omission occurring in the failure mode prediction and to effectively predict the required failure mode. An overview of each concept is as follows.

먼저 "계층"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면, 해석 대상을 계층적으로 분해한 후 각 계층별로 고장모드를 예측하는 것으로, 상위 레벨의 구성 아이템을 대상으로 고장모드를 예측 하고 단계적으로 하위 레벨로 내려가 최종적으로는 최하위 레벨인 부품 레벨의 구성 아이템(부품)을 대상으로 고장모드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 개념을 도입하게 된 배경은 부품의 경우 부품과 부품의 사이 또는 몇 개 부품의 종합적인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모드는 부품 레벨의 구성 아이템을 대상으로 한 고장모드 예측에서는 예측 불가능하며 그 상위 레벨의 구성 아이템을 대상으로 해야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에 기인한다.First, the overview of the "layer" is explained by decomposing the analysis object hierarchically, and then predicting the failure mode for each layer. The failure mode is predicted for the configuration items of the higher level, and then lowered to the lower level step by step. For example, the failure mode is predicted for a component item (part) having the lowest level. The background to the introduction of this concept is that in case of parts, the failure mode generated by the part-to-part or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a few parts is unpredictable in the prediction of failure modes for component-level component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target of the configuration item should be predicted.

두번째 "연상"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면, 예측을 위한 몇 가지 관점을 명시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의 고장모드의 예를 준비해 두어, 예측에 즈음해서는, 대상에 대해서 각 관점별로 정리되어 있는 고장모드의 예를 적용시켜 고려하는 것에 의해 고장모드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오랜 친구의 이름이 잘 생각나지 않을 때 그 이름을 상기시키는 관점(또는 단어)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그 사람이 친구의 이름을 쉽게 생각나게 하는 것과 유사한 개념으로, 실제로는 고장모드 예측 시에 다각적인 관점별로 해당 고장모드가 정리되어 있는 고장모드 라이브러리(Failure Mode Library)를 준비하고 활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된다. 고장모드에 관하여 추출된 분류 관점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장의 성질, 고장의 발생부위, 고장의 발생상황의 3개의 관점으로 분류하고, 다시 이를 세분화하였다. 즉, 고장의 성질은 기계적 고장모드, 전기적 고장모드, 화학적 고장모드로 나뉘고, 고장의 발생부위는 물건 자체의 고장모드, 물건과 물건 사이의 고장모드로 나뉘며, 고장의 발생상황은 초기 불량 고장모드, 통상의 열화 고장모드, 돌발적 이상스트레스 고장모드로 나뉜다. 예를 들어 밸브를 대상으로 고장모드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고장모드를 예측할 경우, 고장의 성질에서 기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고착, 화학적인 측면에서 발청, 그리고 고장의 발생상황에서 초기 불량 측면에서 열림각도(치수)불량, 통상의 열화 측면에서 마모, 돌발적 이상스트레스 측면에서 변형 등등의 고장모드를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환경이라는 관점을 활용할 경우, 밸브 내부를 흘러가는 내용물의 종류, 즉 석유, 가스, 물, 공기 등등 사용중 밸브에 스트레스를 부가하는 물질에 따라 각종 스트레스 종류별로 축적되어 있는 고장모드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발생 가능한 고장모드를 예측한다.The second overview of "association" outlines several aspects of prediction and prepares examples of failure modes when viewed from that perspective, with failure modes organized by perspective on the subject. The failure mode is predicted by considering and applying the example of. This concept is similar to a person's easy reminder of a friend's name, for example, by providing a perspective (or word) that reminds him of the old friend's name. In practice, the failure mode is implemented by preparing and utilizing a failure mode library in which the failure modes are organized by various points of view. An example of the classification perspective extracted with respect to the failure mode is as follows. First, it is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of the nature of the failure,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and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That is, the nature of the failure is divided into mechanical failure mode, electrical failure mode, chemical failure mode,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is divided into failure mode of the object itself, failure mode between the object and the object, the occurrence situation of the failure is the initial failure failure mode It is divided into normal deterioration failure mode and sudden abnormal stress failure mode. For example, when predicting a failure mode by using a failure mode library for a valve, the angle of opening in terms of fixation, chemical appearance, and initial failure in the occurrence of failure ( Failure modes such as dimensions, defects, wear in terms of normal degradation, deformation in terms of sudden abnormal stresses,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using the viewpoint of the use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failure mode library accumulated for each type of stress depending on the kind of contents flowing inside the valve, that is, oil, gas, water, air, etc. Anticipate possible failure modes.

마지막으로 고장메커니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면, 상위 레벨 구성 아이템의 고장모드에 대한 원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에 의해 하위 레벨 구성 아이템의 고장모드를 예측하는 것으로, 상위 레벨 구성 아이템의 고장모드의 원인 메커니즘 내에는 하위 레벨 구성 아이템의 고장모드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고장모드중에는 하위 레벨의 구성 아이템을 대상으로 한 고장모드 예측에서는 미처 생각하지 못할 수 있는 고장모드가 포함되어 있다.Finally, the overview of the failure mechanism will be explained by estimating the failure mode of the lower level configuration item by identifying the cause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of the higher level configuration item. Contains a number of failure modes of lower level configuration items, and these failure modes include failure modes that may not be conceived in failure mode prediction for lower level configuration items.

또한 고장모드의 원인 및 영향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고장 메커니즘을 구조화, 도식화한 고장모드기구도(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를 해석에 활용한다. 상기 고장모드기구도는 해석자가 고장의 원인 및 영향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관점이 설정되어 있는 트리 형태의 다이어그램이다.In addition, 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which is a structure and diagram of the failure mechanism, is used to analyze the cause and effect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The failure mode kinematic diagram is a tree-shaped diagram in which several aspects of an interpreter have been set to identify the cause and effect mechanism of the fail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고장모드기구도의 형식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ormat of the failure mode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고장모드기구도는 해석 대상 고장모드인 중심 고장모드(10)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영향 메커니즘인 영향계(20)를, 하부에는 고장의 원인 메커니즘인 원인계(30)를 도식화하여 그 연쇄를 계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The failure mode kinematic diagram shows the influence system 20 as the influence mechanism at the upper part and the cause system 30 as the cause of the failure at the lower part, centering on the central failure mode 10 which is the failure mode to be analyzed. It is shown hierarchically.

상기 영향계(20)는 고장모드(10)에 의해 생긴 고장의 영향을 발생현상별 모드로 분류해서 그러한 각 모드별로 그 모드가 미친 영향을 연쇄적으로 추적한 것이다. 상기 영향계(20)에서도 중심 고장모드(10)가 발생 정도에 따라 상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경우, 발생 정도별 분류 후 상위에 미치는 영향을 1차 영향(21), 2차 영향(22) 3차 영향 등의 계층으로 나누어 열거한다.The influence meter 20 classifies the influence of the failure caused by the failure mode 10 into the occurrence-specific mode and tracks the effect of the mode for each such mode in a chain. In the influence system 20, if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10 diff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ccurrence, the influence on the upper level after the classification by the degree of occurrence may be the primary effect (21) and the secondary effect (22). Enumerate into hierarchies of tertiary impact.

상기 원인계(30)는 고장모드(10)에 이를 때까지의 고장 메카니즘을 발생부위별 모드로 분류해 그러한 각 모드별로 그 모드를 일으킨 원인을 연쇄적으로 추적한 것이다. 상기 원인계(30)에서 중심 고장모드(10)가 발생하는 부위가 여러개 존재할 경우, 발생 부위별 분류 후 중심 고장모드를 불러일으킨 원인을 1차 원인(31), 2차 원인(32), 3차 원인 등의 계층으로 나누어 열거한다.The causal system 30 classifies the failure mechanism until reaching the failure mode 10 as a mode for each generation region, and sequentially traces the cause of the mode for each such mode. When there are multiple sites in which the central failure mode 10 occurs in the causal system 30, the causes that cause the central failure mode after classification by the occurrence site are the primary cause 31, the secondary cause 32, and the third. Enumerate into hierarchical groups, such as difference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고장모드기구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ilure mode mechanism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고장모드기구도는 원인계(120)에서 단일 부품과 관련된 요인과 2개 이상 부품의 조합과 관련된 요인을 트리(Tree)의 분기를 이용해 구분한다.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divides the factors related to a single part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parts in the causal system 120 using branches of a tree.

상기 원인계(120)는 |선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나눠 좌측에는 설계상의 결함, 공정상의 문제 등과 같은 초기불량과 관련된 요인을, 우측에는 사용중 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을 열거한다.The causal system 120 divide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 line into a left side and enumerates factors related to initial defects such as design defects and process problems on the left side, and factors related to stress during use on the right si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고장모드기구도를 작성하는 순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고장모드기구도의 작성 순서를 설명한다.Fig. 3 is a flowchart for creating a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eation procedure of 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해석 대상이 되는 중심 고장모드(10)를 열거한다(S1).First, the central failure mode 10 to be analyzed is enumerated (S1).

그리고, 중심 고장모드(10)의 원인 메커니즘과 관련된 구성 아이템(부품)을 선정하고 열거한다(S2).Then, the configuration item (part) related to the cause mechanism of the central failure mode 10 is selected and listed (S2).

상기 (S2)에서 열거한 아이템을 대상으로 중심 고장모드(10)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와 각 아이템간의 조합관계(단일 부품에 의한 경우, 부품과 부품의 사이 또는 몇 개 부품의 조합에 의한 경우)를 고려하여 원인계 트리(Tree) 작성한다(S3).Paths leading to the central failure mode 10 for each item listed in the above (S2) and a combina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item (in the case of a single part, between parts and parts or a combination of several parts) In consideration of this, a cause tree is created (S3).

다음으로, 중심 고장모드(10)의 발생에 따른 고장 형태(고장의 정도)별 분류 및 열거를 한다(S4).Next, classification and enumeration by failure type (degree of failure) according to occurrenc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10 are performed (S4).

상기 (S4)에서 열거한 고장 상태별로 상위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한다(S5).The effect on the upper system for each of the failure states listed in step S4 is tracked (S5).

최종적으로 (S3)에서 작성한 트리(Tree)에 하위 단일 부품에 의한 요인부터 상위 부품들의 조합에 의한 요인의 순으로 앞서 기술한 원인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관점을 고려하여 중심 고장모드의 원인을 추적하여 원인 메커니즘을 규명한다.Finally, in the tree created in (S3), the caus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is trac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viewpoint for identifying the cause mechanism in the order of the factors caused by the lower single part and the factors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parts. Identify the mechanism.

원인계의 요인 중에 모드(상태)로 판단되는 요인은 사각형 내에 기술하고, 사각형 내에 기술된 모드를 불러일으키는 스트레스 등의 요인은 타원 내에 기술한다.Among the factors of the causal system, factors determined to be modes (states) are described in a rectangle, and factors such as stress causing the modes described in a rectangle are described in an ellipse.

상기 내용을 고장모드의 예측 및 해석을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FMEA 수법에 적용하고 작업의 효율화 및 결과물의 D/B화를 위해 소프트웨어로 구현한다.The above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FMEA method which is widely used for the prediction and analysis of the failure mode, and implemented in software for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the D / B of the resul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시스템 기본구성 및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ystem basic configuration and data flow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장모드 분석방법의 시스템은 워크시트 관리부(48)와, 블록도 편집부(42)와, 고장모드기구도 편집부(46), 고장모드 예측부(44) 및 고장모드 라이브러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블록도나 워크시트, 고장모드기구도는 프로젝트단위로 관리될 수 있도록 프로젝트관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프로젝트관리부는 프로젝트아이디, 프로젝트명칭 등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설계, 공정, 설비와 같은 고장모드해석타입 및 팀원을 설정하고 워크시트양식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모든 자료는 상기 프로젝트로 관리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ystem of 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sheet management unit 48, a block diagram editing unit 42, a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46, a failure mode prediction unit 44 and a failure The mode library 50 is configured. In addition, a project management unit (not shown) is formed to manage block diagrams, worksheets, and failure mode mechanisms on a project basis. The project management unit has a function of inputting basic information such as project ID, project name, setting failure mode analysis type and team members such as design, process, and equipment, and managing the user to set worksheet form. Managed as a project.

워크시트 관리부(48)는 워크시트템플레이트 생성부(41)의 생성작업후 워크시트를 작성, 편집하고 관리하는 기능으로 통계해석 등의 결과물 출력의 데이터 베이스로 사용된다. 또한 워크시트관리부는 고장모드예측부, 블록도편집부, 권고관리자등의 모듈과 서로 연결되어 있어 각 모듈에서의 작업시 필요에 따라 워크시트관리부에서의 작업이 이루어지며 사용자 작업환경인 FMEA 워크스페이스(60)에 통합되어 있다.The worksheet management unit 48 is a function of creating, editing, and managing a worksheet after generating the worksheet template generating unit 41 and is used as a database for outputting results such as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the worksheet management unit is connected to the modules such as the failure mode prediction unit, the block diagram editing unit, and the recommendation manager so that the work is performed in the workshee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module. 60).

블록도 편집부(42)는 각종 블록도 및 공정흐름도를 작성, 편집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블록도의 종류로는 구조블록도, 기능블록도, 구조-기능블록도가 있는데, 먼저 구조블록도는 각 제품 혹은 조립품을 구성하는 부품을 최하위레벨의 부품구성요소까지 그 계층구조를 블록도로서 도시화한 것이다. 또한 기능블록도는 기능의 계층구조정보를 도시화한 것이며, 기능-구조블록도는 기능블록도의 계층구조정보를 읽어들여 그 구조를 자동으로 만든 다음, 구조블록도상의 부품들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최종완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도편집부에서 공정흐름도를 제작, 편집할 수 있는데 이는 각 공정에 대한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공정의 순서를 도시한 예로서, 조립품(A)의 조립공정이 공정1(200)과 공정2(300)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공정1은 부품a의 조립작업(210)과 부품b의 조립작업(220)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부품a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부품a를 프레임의 일정 위치에 올려놓는 작업(211)과 상기 부품a를 압입하는 작업(212), 또한 부품b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b를 a위에 올려놓는 위치결정작업(221)과 나사체결작업(222)로 구성된 공정흐름도를 작성한다. 즉, 각 공정에 필요한 동작들을 그 흐름에 따라 작성하고 편집하는 것이다. 상기 블록도편집부(42)는 고장모드 예측부(44) 및 고장모드기구도 편집부(46)의 모듈과 연계되어 있다.The block diagram editing unit 42 has a function of creating, editing, and managing various block diagrams and process flow diagrams. Types of block diagrams are structural block diagrams, functional block diagrams, and structural-functional block diagrams. First, a structural block diagram is a block diagram in which a hierarchical structure of components of each product or assembly is divided into component components at the lowest level. It is urbanized. In addition,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s the hierarchical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function, and the functional-structure block diagram reads the hierarchical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to automatically create the structure, and then selectively inserts the components on the structural block diagram to finalize it. You are done. In addition, the process diagram can be produced and edited in the block diagram editing unit, which shows the order for each process. 5 is an example showing the sequence of the process, assuming th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assembly (A) is composed of the process 1 (200) and the process 2 (300), step 1 is the assembly operation 210 and parts of the component a In order to assemble the component a, and to assemble the component a, the operation of placing the component a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rame 211 and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component a 212, and also to assemble the component b For this purpose, a process flow chart consisting of a positioning operation 221 and a screwing operation 222 that put b on a is prepared. That is, the actions required for each process are created and edited according to the flow. The block diagram editor 42 is associated with the modules of the failure mode predictor 44 and the failure mode mechanism editor 46.

고장모드기구도편집부(46)는 고장모드기구도를 작성, 편집하고 관리하는 기능으로서,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이 중심고장모드, 고장의 영향, 원인이 되는 고장모드 및 요인, 부품 및 연결선 객체의 생성, 편집의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 작업환경인 FMEA 워크스페이스(60)에 통합되어 있다. 또한 고장모드기구도편집부는 필요에 따라 확대하여 편집하는 기능, 그리드를 생성하는 기능, 스냅을 온, 오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타모듈과의 연계에 있어서는 작성된 블록도로부터 정보를가져와 관련 부품을 열거할 수 있고, 고장모드라이브러리에서 참조가능한 고장모드를 검색하여 원인에 해당하는 고장모드 및 요인 객체로 가져올 수 있는 기능이 있다.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46 is a function for creating, editing, and managing a failure mode structure diagram.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failure mode, the influence of the failure, the cause of the failure modes and factors, parts, and connection line objects are generated. It is integrated into the FMEA workspace 60, which is a user workspace. In addition, the failure mode mechanism editor may have a function of expanding and editing as needed, a function of generating a grid, and a function of turning a snap on and off. In connection with other modules, it is possible to enumerate related parts with information from the created block diagrams, and to search for the failure modes that can be referred to in the failure mode library and bring them to the failure mode and the factor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ause.

고장모드 예측부(44)는 고장모드를 예측하고 관리하는 기능으로서, 과거 예측했던 유사 아이템의 고장모드 및 표준 고장모드를 검색 참조하여 새로운 고장모드의 예측이 가능하다. 유사 아이템의 고장모드 검색은 아이템 명칭이나 기능을 검색어로 찾아내어 기존 프로젝트로부터 유사한 고장모드를 찾아내고, 표준고장모드를 검색하고 참조할 때는 예측을 위한 관점별로 정리되어 고장모드라이브러리에 축적된 표준고장모드를 통해 예측자가 연상에 의해 필요한 고장모드를 상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The failure mode predicting unit 44 is a function for predicting and managing a failure mode. The failure mode prediction unit 44 may search for a failure mode and a standard failure mode of a similar item previously predicted and predict a new failure mode. The failure mode search of similar items finds the similar failure mode from the existing project by searching the item name or function as a search term, and the standard failure accumulated in the failure mode library by arranging by the viewpoint for prediction when searching and referring to the standard failure mode. Mode allows the predictor to recall the failure mode required by the association.

고장모드 라이브러리(50)는 고장모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기능으로서, 고장모드를 관점별(고장의 성질, 발생부위, 발생상황, 사용환경)로 분류하여 사용자 고유의 고장모드 라이브러리를 제작할 수 있다. 표준고장모드의 등록, 개정은 새로운 관점을 정의하여 그 관점별로 고장모드를 새롭게 분류하여 표준고장모드를 등록하거나 개정할 수 있도록 한다. 타모듈과의 연계에 있어서는 표준고장모드를 검색하고 추출하는 기능이 고장모드예측부(14)에 내장되어 있으며 고장모드기구도편집부(46) 및 워크시트관리부(48)와 연계되어 있다.The failure mode library 50 is a function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a failure mode library, and can classify failure modes into perspectives (failures, occurrences, occurrences, and use environments) to produce a user-specific failure mode library. . The registration and revision of the standard failure mode defines a new point of view so that the failure modes can be newly classified and registered or revised. In connection with other modules, a function for searching and extracting the standard failure mode is built in the failure mode prediction unit 14, and is linked with 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46 and the worksheet management unit 48.

한편, 권고사항관리부(43)는 권고사항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워크시트관리부(48)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상기 권고사항관리부(43)는 검색조건등을 입력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모든 워크시트에 들어 있는 권고사항 및 관련정보를 검색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갖고 조치내용과 조치완료일자의 입력과 편집을 할 수 있다. 통계해석부(47)는 중요도 평가(재평가 포함) 결과를 그래프 형태(막대 그래프, 2D Matrix)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기능이다. 막대그래프는 고장등급별 고장모드갯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검색조건에 따라 고장등급별 고장모드 개수를 막대그래프형태로 나타내게 된다. 또한 검색조건에 따라 고장모드별 중요도 평가결과를 2차원 행렬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ommendation management unit 43 has a function of managing the recommendation and is organically associated with the worksheet management unit 48. The recommendation management unit 43 has a function of searching and inquiring recommendations and related information contained in all worksheets of the project by inputting search conditions, etc., and can input and edit the contents of the action and the completion date of the action. . Statistical analysis unit 47 is a function that can check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including re-evaluation) in the form of a graph (bar graph, 2D Matrix). The bar graph shows the number of failure modes by failure class and shows the number of failure modes by failure class in the form of a bar grap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arch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for each failure mode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matrix.

본 시스템에는 상기의 고장모드 예측에서 발생하는 누락을 방지하고 필요 고장모드의 효과적 예측을 지원하기 위한 3가지 개념, 즉 "계층", "연상", "고장 메커니즘" 개념이 FMEA 실시 과정 중에 구현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In this system, three concepts, namely, "layer", "association", and "failure mechanism" concept, to prevent the omission occurring in the failure mode prediction and support the effective prediction of the required failure mode are implemented. This includes the following features:

블록도 편집부(42)를 활용하여 해석 대상의 계층 전개 및 레벨링(Leveling) 기능에 의한 계층 구조의 정의를 통해 계층별 FMEA 실시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여러 레벨의 구성 아이템을 대상으로 고장모드를 예측/열거할 수 있다.By using the block diagram editor 42, it is designed to perform FMEA for each layer by defin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by the hierarchical expansion and leveling function of the analysis target, and thus predicts the failure mode for various levels of configuration items. Can enumerate.

또한, 다각적인 예측 관점별로 고장모드를 축적/관리할 수 있는 고장모드 라이브러리(50)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작업자는 고장모드 예측(44) 창에서 고장모드 라이브러리(50)의 예측 관점과 축적된 고장모드를 활용하여 필요한 고장모드를 용이하게 예측/열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 failure mode library 50 function is included to accumulate / manage failure modes according to various prediction points, so that the operator can predict failure modes and the accumulated failures of the failure mode library 50 in the failure mode prediction 44 window. The modes can be used to easily predict / enumerate the required failure mode.

고장 메커니즘의 구조화, 도식화를 통해 고장 메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는 고장모드기구도 편집부(46)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상위 레벨 구성 아이템의 고장모드에 대한 고장모드기구도를 활용하여 하위 레벨 구성 아이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모드를 추출할 수 있다.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46 is provided to analyze the failure mechanism through the structure and schematic of the failure mechanism. Therefore, 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for the failure mode of the higher level configuration item is utilized to generate the failure mode mechanism. The failure mode can be extracted.

또한, 본 시스템의 고장모드기구도 편집부(46)는 앞서 기술한 고장모드기구도를 작성하기 위한 도구로 고장모드의 영향 및 원인 해석 과정에 고장모드기구도를 작성함으로써 고장의 영향 메커니즘과 원인 메커니즘을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해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46 of the present system is a tool for creating a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as described above, and a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is generated during the influence and cause analysis process of the failure mode. Can be interpreted systematically and precisely.

기존의 FMEA에서는 열거된 고장모드의 영향과 원인 해석을 위해 워크시트 상에 영향과 원인으로 생각되는 내용을 해당 칸에 열거하는 수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 고장 메커니즘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열거된 내용 또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정보가 담겨져 있었다. 고장모드 영향해석의 경우, 고장의 발생 정도에 따라 최종적인 영향에 이르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아이템의 상위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유니트, 대상 부품을 공유하는 유니트, 상위 시스템에 병렬적으로 입력되는 유니트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고장모드 원인해석의 경우, 원인 메커니즘에는 해석 대상 고장모드의 원인이 되는 고장모드, 스트레스, 조건의 변동, 휴먼 에러 등 다양하고 수많은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고장모드의 원인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이들 요소와 각 요소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 고장모드기구도 편집부(46)는 FMEA 작업자에게 이러한 검토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In existing FMEAs, it is common to work at the level that lists the effects and causes on the worksheet in the relevant columns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and causes of the listed failure modes, which leads to an in-depth analysis of the failure mechanism. This unenumerated content also contained very insufficient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mechanism. In the case of failure mode effect analysis, there may be various phenomena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final effect depending on the degree of failure, and the unit sharing the other parts, the target parts, as well as the effect on the upper system of the item,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n units inputted in parallel to the host system. In case of failure mode cause analysis, there are many factors such as failure mode, stress, condition variation, human error, etc. that cause the failure mode to be analyzed.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each element is necessary. The failure mode mechanism editor 46 assists FMEA workers to perform this review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고장모드기구도 편집부(46)는 사용자에게 단지 고장모드기구도의 작성을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장모드기구도의 작성과 동시에 기구도 내에 기술된 모든 요소와 각 요소간의 인과관계 등의 속성 정보가 D/B(70)에 저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연동된 워크시트 관리부(48)를 통해 기구도로 표현되어 있는 고장 메커니즘 정보를 손쉽게 워크시트 상에 정리할 수 있으며, 고장모드 예측에서도 고장모드 예측(44) 창의 검색 기능을 통해 이들 정보는 유용하게 활용된다.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46 not only assists the user in creating a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but also provides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all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mechanism diagram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element as well as the creation of the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It is designed to be stored in the D / B 70. Therefore, through the linked worksheet management unit 48, the failure mechanism information expressed in the instrument diagram can be easily arranged on the worksheet, and the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sed through the search function of the failure mode prediction window in the failure mode prediction.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개발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 내용에 대해 실시하는 고장모드의 예측 및 해석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법이다. 정성적인 예측 및 해석에 있어서 그 결과는 실시자가 보유하고 있는 경험 및 노하우 등의 지적 수준에 상당부분 의존할 뿐만 아니라 문제의 접근 방법에 따라서도 결과의 질적 수준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고장모드의 예측 및 해석 방법을 체계화함으로써 실시자의 접근 방법에 따른 편차를 최소화하면서 예측 및 해석 능력을 향상시켜 보다 양질의 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원 소프트웨어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예측 및 해석을 진행할 수 있으며, 진행 과정에 도출된 모든 정보를 D/B를 통해 관리함으로써 지금까지 개개인의 머리 속에 담겨져 있었던 해석 대상의 고장에 관한 지식, 특히 구조화된 표현으로 정리하기 어려웠던 고장 메커니즘 관련 지식을 조직의 재산으로 체계적으로 축적,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effectively performing prediction and analysis of a failure mode performed on design contents in order to secure quality and reliability of a developed product during a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n qualitative prediction and interpretation, the result depends not only on the intellectual level of the experience and know-how of the practitioner, but also on the approach of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prediction and analysis ability while minimizing the deviation according to the practitioner's approach by systematically predicting and analyzing the failure mode, thereby obtaining a better analysis result. In addition, the support software enables more efficient prediction and interpretation, and all information derived during the process is managed through D / B, so that the knowledge of the failure of the analysis object, which has been contained in the individual's head, especially structured It has the advantage of systematically accumulating and recycling knowledge about failure mechanisms that was difficult to organize by expression into organizational asset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6)

고장모드를 제품의 성질, 발생부위, 발생상황, 사용환경의 예측관점별로 분류하여 축적한 고장모드라이브러리 구축 단계;A failure mode library building step of accumulating failure modes by classifying the product properties, occurrence sites, occurrence conditions, and predictive viewpoints of the use environment; 계층 전개를 통해 제품의 기능블록도, 구조블록도, 기능-구조 블록도 및 공정흐름도를 작성하고 편집하는 블록도 편집 완성 단계;A block diagram editing completion step of creating and editing a functional block diagram, a structural block diagram, a functional-structure block diagram, and a process flow diagram of a product through hierarchical development; 상기 블록도 및 흐름도로부터 정보를 인출하고 상기 고장모드라이브러리에서 참조가능한 고장모드를 검색, 열거하는 고장모드 예측 단계;A failure mode prediction step of retrieving information from the block diagram and a flowchart and searching for and listing a failure mode referenceable in the failure mode library; 상기 고장모드 예측 단계로부터 예측된 고장모드를 중심 고장모드로 하여 고장의 원인, 영향을 파악하는 고장모드 기구도 생성 단계;A failure mode mechanism generation step of identifying the cause and effect of the failure by using the failure mode predicted from the failure mode prediction step as a central failure mode; 상기 고장모드 예측 단계는 기존의 유사 고장모드를 검색하고 관점별로 정리된 상기 표준 고장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고장모드를 연상하는 연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모드의 분석방법.The failure mode predic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n associating step in which a user associates the failure mode with the standard failure mode by searching for an existing similar failure mode and arranged by perspectiv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자료의 입력, 편집 및 관리는 워크시트로 구성하는 워크시트관리부를 포함하되, 워크시트관리부는 상기 블록도편집부, 고장모드라이브러리, 고장모드기구도와 상호 입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모드의 분석방법.The input, editing and management of data includes a worksheet management unit configured as a worksheet, wherein the worksheet management unit is inputted to and outputted from the block diagram editing unit, the failure mode library, and the failure mode mechanis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고장모드기구도의 작성은 해석대상이 되는 중심고장모드의 열거단계;The preparation of the failure mode mechanism is an enumeration step of the central failure mode to be analyzed; 중심고장모드의 원인과 관련된 부품의 선정 및 열거단계;Selecting and enumerating the parts related to the caus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상기 열거된 부품을 대상으로 중심고장모드에 이르기까지 경로와 각 부품의 조합관계를 고려하여 원인계 트리를 작성하는 단계;Creating a cause tree in consideration of the combination of the path and each component to the central failure mode for the components listed above; 중심고장모드의 발생에 따른 고장형태를 분류하는 단계;Classifying a failure type according to occurrenc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상기 고장형태별로 상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단계;Identifying an effect on a higher system for each failure type; 상기 원인계트리에 하위 단일부품에 의한 요인부터 상위 부품들의 조합에 의한 요인의 순으로 원인 기구규명을 위한 관점을 고려하여 중심고장모드의 원인을 파악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모드의 분석방법.Analysis of the failure mode comprising the steps of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central failure mode in consideration of the viewpoint for identifying the cause mechanism in the order of the factors due to the lower single component to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components in the cause tree Wa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고장모드의 분석방법은 고장등급별 고장모드 개수를 막대그래프형태로 나타내고, 고장모드에 대한 중요도 평가 결과를 2차원의 행렬형태로 도시하는 통계해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모드의 분석방법.The failure mode analysis method includes a statistical analysis step of displaying the number of failure modes for each failure class in the form of a bar graph and showing a result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for the failure modes in a two-dimensional matrix form. . 고장모드를 제품의 성질, 발생부위, 발생상황, 사용환경의 예측관점별로 분류하여 축적한 고장모드라이브러리;Failure mode library that accumulates failure modes by classifying them into product properties, occurrence areas, occurrence conditions, and predictive viewpoints of usage environment; 계층전개를 통해 제품의 기능블록도, 구조블록도, 기능-구조 블록도 및 공정흐름도를 작성하고 편집하는 블록도 편집부;A block diagram editing unit for creating and editing a functional block diagram, a structural block diagram, a functional-structure block diagram, and a process flow diagram of a product through hierarchical expansion; 상기 블록도 및 흐름도로부터 정보를 인출하고 상기 고장모드라이브러리에서 참조가능한 고장모드를 검색, 열거하는 고장모드 예측부;A failure mode prediction unit for retrieving information from the block diagram and a flowchart and searching for and listing failure modes that can be referred to in the failure mode library; 상기 예측된 고장모드를 중심고장모드로 하여 고장의 원인, 영향을 파악하는 고장모드기구도편집부;A failure mode mechanism diagram editing unit for identifying the cause and effect of the failure by using the predicted failure mode as a central failure mode; 자료의 입력, 편집 및 관리는 워크시트로 행하며 상기 블록도편집부, 고장모드라이브러리, 고장모드예측부, 고장모드기구도편집부와 상호 입출력되는 워크시트관리부;A worksheet management unit for inputting, editing, and managing data in a worksheet and inputting / outputting the block diagram editing unit, the failure mode library, the failure mode prediction unit, and the failure mode instrument diagram editing unit; 상기 워크시트, 블록도, 고장모드기구도의 모든 자료가 프로젝트단위로 관리되며 기본정보가 입력되는 프로젝트관리부;로 구성된 고장모드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And a project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manage all data of the worksheet, block diagram, and failure mode mechanism in a project unit, and input basic information. Th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program for analyzing a failure mode.
KR1020030049289A 2003-07-18 2003-07-18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 KR100419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289A KR100419296B1 (en) 2003-07-18 2003-07-18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289A KR100419296B1 (en) 2003-07-18 2003-07-18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9296B1 true KR100419296B1 (en) 2004-02-19

Family

ID=3732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289A KR100419296B1 (en) 2003-07-18 2003-07-18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29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081B1 (en) 2005-07-15 2007-07-13 (주)지디엔피솔루션 Method for analyzing a failure mechanism
KR20140049060A (en) * 2011-10-19 2014-04-24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t diagram creation assistance device and ft diagram creation assistance method
KR101435505B1 (en) 2012-12-27 2014-09-02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for Failure test
KR101941279B1 (en) * 2017-08-29 2019-01-2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ethod for Verificating quality of mechanical governor of emergency diesel generator
KR20200005105A (en) 2018-07-05 2020-01-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ethod for Verificating quality of Turbine Driven Pump Hydraulic Amplifier
KR20210129816A (en) 2020-04-21 2021-10-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ethod for Verificating quaility of engine oil
KR20220120156A (en)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한화 Equipment parts management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081B1 (en) 2005-07-15 2007-07-13 (주)지디엔피솔루션 Method for analyzing a failure mechanism
KR20140049060A (en) * 2011-10-19 2014-04-24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t diagram creation assistance device and ft diagram creation assistance method
KR101599160B1 (en) 2011-10-19 2016-03-02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t diagram creation assistance device and ft diagram creation assistance method
KR101435505B1 (en) 2012-12-27 2014-09-02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for Failure test
KR101941279B1 (en) * 2017-08-29 2019-01-2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ethod for Verificating quality of mechanical governor of emergency diesel generator
KR20200005105A (en) 2018-07-05 2020-01-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ethod for Verificating quality of Turbine Driven Pump Hydraulic Amplifier
KR20210129816A (en) 2020-04-21 2021-10-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ethod for Verificating quaility of engine oil
KR20220120156A (en)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한화 Equipment parts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issenboeck et al. Software quality models: Purposes, usage scenarios and requirements
Turver et al. An early impact analysis technique for software maintenance
US6993456B2 (en) Mechanical-electrical template based method and apparatus
Koru et al. Comparing high-change modules and modules with the highest measurement values in two large-scale open-source products
Brundage et al. Smart manufacturing through a framework for a knowledge-based diagnosis system
Kim A change analysis process to characterize software maintenance projects
US6535775B1 (en) Processor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computerized quality design tools
Yang et al. Online application of a risk management system for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at NPPs
Hill et al. Creating safety requirements traceability for assuring and recertifying legacy safety-critical systems
JP4326731B2 (en) Process management system having risk monitor and process management method having risk display function
Thornton Variation risk management using modeling and simulation
Čepin Importance of human contribution within the human reliability analysis (IJS-HRA)
KR100419296B1 (en) A Method and Program for Analyzing Failure Modes
Rehse et al. Process mining meets visual analytics: the case of conformance checking
CN100428243C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action on model
Reed Methodology for real time systems
Tariq et al. Approaches for non-functional requirement modeling: a literature survey
KR100739081B1 (en) Method for analyzing a failure mechanism
Rapos et al. SimPact: Impact analysis for simulink models
JP4649290B2 (en)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management method
Ruiz et al. An integrated framework for simulation‐based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KR100604074B1 (en) Failure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ahraman et al. Modeling Relationships Between Feature Model Views
Hostos et al. A Literature Review of Evaluation Approaches for 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Jantke et al. Flexible simulation scenarios for real-time planning in dynamic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