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242B1 -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242B1
KR100419242B1 KR10-2001-0027184A KR20010027184A KR100419242B1 KR 100419242 B1 KR100419242 B1 KR 100419242B1 KR 20010027184 A KR20010027184 A KR 20010027184A KR 100419242 B1 KR100419242 B1 KR 10041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bile phone
mobile
server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192A (ko
Inventor
안창서
김병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엔씨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엔씨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엔씨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1-002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2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전화(Mobile Phone)를 활용한 금융계좌 연결 및 입/출금 등의 결재방법과 시스템구축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시간적,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편리한 결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자금이체방법에 있어서, 모빌 뱅킹 웹서버(14)를 방화벽(13), 라우터(12)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시키고, 또한 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14)에는 사용자와 휴대전화, 패스워드를 확인하는 인증서버(15), 휴대전화와 사용자의 금융계좌번호를 매칭하는 모빌 뱅킹 매칭서버(16), 상대편 휴대전화와 연결된 금융계좌번호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그리고 거래내역 등을 보관할 DB서버(18), 인증된 금융서비스를 결제할 지불게이트웨이(17)를 접속시켜 시스템을 구성한 후,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먼저 해당 금융기관에 가서 휴대전화와 연동하고자 하는 금융계좌번호 그리고 사용자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지정한 후, 송금대상의 전화번호나 지로번호를 입력하여 결제하는 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Settling method using mobile phone number with banking accoun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즉, 휴대전화(Mobile Phone)의 번호를 이용하여 금융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계좌이체 등 금융서비스 결제 방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이용자들 사이에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쉽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 오프라인에서의 금융서비스 이용시 은행통장이나 카드의 부재에 의한 불편함이나 상대편의 계좌번호를 몰라 번거로웠던 부분을 해소시킴으로서 기 구축된 무선 인프라 내에서 무선 통신을 활성화하고, 금융서비스를 누구나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번호와 금융계좌 연동 및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더욱 인터넷 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더불어 무선통신 시장 또한 급격하게 사용자 층이 두터워지고, 증대되고 있어 무선통신 시장의 컨텐츠등 서비스 부분에 대한 요구 사항이 증가 일로에 있다. 특히, 무선통신의 경우 IMT-2000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면서 무선 인프라는 이미 많은 준비로 구축되어 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 무선통신이 제공하는 질적, 양적 서비스는 이제야 준비를 하고 있는 과정에 있으며, 여러 면에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아직까지 무선통신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부분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통화, 문자서비스, 무선인터넷 정도로 제한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금융서비스 방법에는 우선 오프라인에서 은행등의 해당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창구에서 직접 은행계좌와 연관된 계좌이체 및 입/출금 등의 결제관리를 통한 금융서비스를 하는 방법이 있고, 창구에 많은 대기인원이 있는 경우 ATM기나 CD기를 통해 빠른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두 가지 방법 모두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관련 금융기관을 찾아가거나 또는 창구보다는 좀더 수월할 수는 있지만 마찬가지로 ATM기나 CD기를 오프라인에서 찾아 이용해야 한다.
이 경우 두 가지 방법 모두 시간적, 공간적 제한 요소의 적용을 받아 정해진 시간이외에 기기나 금융기관이 있어야 이용할 수 있다는 제한 때문에 많이 불편하다.
오프라인 방법이외에 작년 7월 국내 처음 도입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인터넷 뱅킹을 통한 금융서비스 이용방법이 있으며, 이 인터넷 뱅킹은 인터넷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로 각 금융기관이 앞 다투어 구축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인터넷 뱅킹의 경우 아직은 그 사용자 층이 컴퓨터나 인터넷 환경에 익숙한 젊은 계층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 환경이 특히 여러 사람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일 때 보안과 관련하여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서 설치 등이 다소 인터넷 환경에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는 불편함이 있고, 또 전자금융사고 예방등 보안성을 기한다는 이유로 ID 및 비밀번호가 서너 개 필요한 점도 번거로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터넷 뱅킹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인증관련 번거로움 외에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이 즉시 필요할 때 사용환경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며, 사용자가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계좌번호를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도 불편함을 준다.
인터넷 뱅킹 이용시 계좌번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알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올 초부터 새롭게 대두된 것이 이메일을 이용한 금융거래 서비스인 인터넷 메일 뱅킹으로 상대편의 계좌번호를 몰라도 이메일 계정만 알고 있는 경우 전자우편으로 송금, 과금, 전자상거래 결제정보까지 전달할 수 있는 거래수단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메일 뱅킹의 경우에도 메일을 발송하기 위해 사용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야 한다는 공간적 제약을 받게 될 뿐 아니라 이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관련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은행계좌를 입력하기 때문에 여러 사람과 함께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보안 문제가 가장 걸림돌이 된다.
이러한 인터넷 기반의 금융서비스 이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전화선을 이용한 폰뱅킹이 있지만, 이 폰뱅킹의 경우 인터넷 뱅킹이 대체해 나가는 추세로 그 이유는 하나의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성안내와 전화번호 키폰입력으로 진행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전화요금에 대한 부담감이 있고, 사용자 확인과정 및 계좌번호 입력, 서비스 이용번호 입력 등 다수의 관련 번호를 음성안내의지시에 따라 입력하기 때문에 사용자 실수에 의해 입력이 틀린 경우에 대한 불안감이 크고, 도청문제와 기계음에 의한 음성안내로 친밀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상의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들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편리하게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필요한 경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금융권 계좌와 휴대전화(Mobile Phone) 번호를 연결시켜 사용자가 자신의 은행계좌에 입금을 하는 경우 또는 계좌이체를 하고자 하는 경우 계좌번호를 몰라도 상대편 핸드폰 번호만 알고 있으면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공과금 등의 지로요금수납도 해당 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연동되어 있는 금융 계좌에서 결제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서의 금융서비스를 지원하여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휴재전화를 이용한 금융결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방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휴대전화(Mobile Phone)를 통한 결제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지로등 금융서비스 이용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 휴대전화(Mobile Phone) (11) : 인터넷망
(12) :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 (13) : 라우터
(14) : 방화벽 (15) : 허브
(16) :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 (17) : 지불게이트웨이
(18) : 금융서비스 처리 서버 (19) : DB서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구성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14)를 방화벽(13), 라우터(12)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시키고, 또한 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14)에는 사용자와 휴대전화(Mobile Phone), 패스워드를 확인하는 인증서버(15),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사용자의 금융계좌번호를 매칭하는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16), 상대편 휴대전화와 연결된 금융계좌번호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그리고 거래내역등을 보관할 DB서버(18), 인증된 금융서비스를 결제할 지불게이트웨이(17)를 접속시켜 시스템을 구성한 후, 휴대전화(Mobile Phone)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먼저 해당 금융기관에 가서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연동하고자 하는 금융계좌번호 그리고 사용자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지정한 후,사용자 A가 자신의 휴대전화(Mobile Phone)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모빌(Mobile) 뱅킹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모빌(Mobile) 뱅킹 서비스를 신청할 때 지정하였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제 1단계와,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 정보가 암호화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금융기관 내에 있는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A,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 패스워드를 인증서버에서 인증확인 후 확인 신호를 다시 사용자 휴대전화(Mobile Phone)에 보내는 제 2단계와,확인신호를 받은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는 그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서 지원되는 금융서비스 목록을 단말기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사용자 A가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그 다음 화면에 계좌이체를 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이체 금액을 입력하고,사용자 A가 지로요금 수납을 선택하면 그 다음 화면에 지로수납을 하고자 하는 지로의 일련번호와 결제 금액을 입력하는 제 3단계와,상기 제 3단계에서의 선택에 따라,계좌이체가 선택되었을 경우, 송금하고자 하는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이체금액이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전달되고, 그 내용이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에 전달되어 매칭서버가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금융계좌번호를 DB서버로부터 확인하여 사용자 B도 이 서비스를 신청했는지 그리고 어느 계좌와 연동되어 있는지, 또 사용자 B의 이름이 맞는지 체크한 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 B의 이름과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 이체금액을 디스플레이하여 다시 한번 사용자 A에게 최종 확인하고,지로요금 수납이 선택되었을 경우, 결제하고자 하는 지로요금 수납의 번호와 결제금액이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전달되고, 그 내용이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에 전달되어 매칭서버가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금융계좌번호를 DB서버로부터 확인한 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 단말기 화면에 요금 지로 수납 번호, 결제금액을 디스플레이하여 다시 한번 사용자 A에게 확인하는 제 4단계와,사용자 A가 휴대전화(Mobile Phone)에서 최종 확인하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지불게이트웨이를 거쳐 결제시스템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제 5단계와,결제가 완전히 종료되면 완료된 사항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에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려주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고,상기 6단계가 계좌이체가 선택되어 처리되는 단계일 경우에는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계좌이체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게 되면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연결된 실제 금융계좌에 이체금액이 이체되고, 이체가 완료되면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로 SMS 서비스(문자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A가 언제 얼마의 금액을 계좌이체 했음을 알려주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계좌이체 금융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14)를 방화벽(13), 라우터(12)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시키고, 또한 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14)에는 사용자와 휴대전화(Mobile Phone), 패스워드를 확인하는 인증서버(15),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사용자의 금융계좌번호를 매칭하는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16), 상대편 휴대전화와 연결된 금융계좌번호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그리고 거래내역등을 보관할 DB서버(18), 인증된 금융서비스를 결제할 지불게이트웨이(17)를 접속시켜 구성한다.
도2는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금융 서비스중 계좌이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휴대전화(Mobile Phone)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먼저 해당 금융기관에 가서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연동하고자 하는 금융 계좌번호 그리고 사용자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지정한 후 다음의 단계로 구분되어 실행한다.
제 1단계는 사용자 A가 자신의 휴대전화(Mobile Phone)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모빌(Mobile) 뱅킹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모빌(Mobile) 뱅킹 서비스를 신청할 때 지정하였던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제 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 정보가 암호화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금융기관 내에 있는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A,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 패스워드를 인증서버에서 인증확인 후 확인 신호를 다시 사용자 휴대전화(Mobile Phone)에 보낸다.
제 3단계는 확인신호를 받은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는 그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서 지원되는 금융서비스 목록을 단말기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계좌이체를 선택한다. 사용자 A가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그 다음 화면에 계좌이체를 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이체 금액을 입력하게 된다.
제 4단계는 송금하고자 하는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이체금액이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전달되고, 그 내용이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에 전달되어 매칭서버가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금융계좌번호를 DB서버로부터 확인하여 사용자 B도 이 서비스를 신청했는지 그리고 어느 계좌와 연동되어 있는지, 또 사용자 B의 이름이 맞는지 체크한 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 B의 이름과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 이체금액을 디스플레이 하여 다시 한번 사용자 A에게 최종 확인하는 과정이다.
제 5단계는 사용자 A가 휴대전화(Mobile Phone)에서 최종 확인하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지불게이트웨이를 거쳐 결제시스템에서 결제가 이루어진다.
제 6단계는 결제가 완전히 종료되면 완료된 사항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에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려준다.
제 7단계는 계좌이체를 통해 입금 받은 사용자인 B의 경우 마찬가지로 금융기관을 통해 모빌(Mobile) 뱅킹 금융서비스를 신청해야 하며, 이 서비스를 신청해야만 사용자 A가 상기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계좌이체 등의 금융서비스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계좌이체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게 되면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연결된 실제 금융계좌에 이체금액이 이체되고, 이체가 완료되면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로 SMS 서비스(문자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A가 언제 얼마의 금액을 계좌이체 했음을 알려준다.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공과금 등 지로요금 수납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 1단계에는 사용자 A가 자신의 휴대전화(Mobile Phone)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모빌(Mobile) 뱅킹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모빌(Mobile) 뱅킹 서비스를 신청할 때 지정하였던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제 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 정보가 암호화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금융기관 내에 있는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A,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 패스워드를 인증서버에서 인증확인 후 확인 신호를 다시 사용자 휴대전화(Mobile Phone)에 보낸다.
제 3단계는 확인신호를 받은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는 그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서 지원되는 금융서비스 목록을 단말기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공과금 등 지로요금 수납을 선택한다. 사용자 A가 지로요금 수납을 선택하면 그 다음 화면에 지로수납을 하고자 하는 지로의 일련번호와 결제 금액을 입력하게 된다.
제 4단계는 결제하고자 하는 지로요금 수납의 번호와 결제금액이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전달되고, 그 내용이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에 전달되어 매칭서버가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금융계좌번호를 DB서버로부터 확인한 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 단말기 화면에 지로요금 수납 번호, 결제금액을 디스플레이 하여 다시 한번 사용자 A에게 확인하는 과정이다.
제 5단계는 사용자 A가 휴대전화(Mobile Phone)에서 최종 확인하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지불게이트웨이를 거쳐 결제시스템에서 결제가 이루어진다.
제 6단계는 결제가 완전히 종료되면 완료된 사항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에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려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은행계좌번호가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전화(MobilePhone)와 연동 가능하도록 하며 기존의 011, 016, 017, 018, 019등과 연결 가능할 뿐 아니라 앞으로 서비스될 IMT-2000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A라는 휴대전화(Mobile Phone)의 소유자가 B라는 휴대전화(Mobile Phone)의 소유자에게 송금을 하고자 할 경우 먼저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 10)로 단말기에서 휴대전화(Mobile Phone) 뱅킹을 선택하면 무선 인터넷망(11)을 통해 무선 뱅킹 웹서버(12)에 접속한 후 패스워드(Password)를 통한 인증과정을 통해 인증이 되면, 휴대전화(Mobile Phone) 뱅킹 단말기에서 계좌이체 등의 결제방법을 선택하고, 휴대전화(Mobile Phone)의 뱅킹을 통해 결제를 하고자 하는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 번호와 금액 그리고 다시 한번 결제관련 인증암호를 입력한다.
A가 입력한 내용이 무선 뱅킹 웹서버에서 금융권 에어리어(Area) 내에 있는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은행계좌번호를 매칭해주는 매칭서버(13)에서 확인과정을 거쳐 다시 무선 뱅킹 웹서버(12)를 통해 A 고객의 휴대전화(Mobile Phone) 단말기(10)에 B고객의 이름과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를 디스플레이하여 A가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그 정보가 다시 무선 뱅킹 웹서버를 통해 금융 에어리어(Area) 내에 있는 지불 게이트웨이로 전달되고, 실제 금융서비스 처리 서버(14)에 연결되어 결제 과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간 및 장소 등의 구애 없이 언제, 어디서든지 휴대전화(Mobile Phone) 번호만 알고 있으면 계좌번호 없이 계좌이체 등의 결제가 가능하고, 지로 등의 입금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무선 인터넷망과 무선 통신 특히, IMT-2000을 추진하고 있는 현재와 미래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그동안 여러 가지 불편했던 금융서비스 이용을 한 차원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층이 증가하고 있는 모빌(Mobile) 시장을 더욱 활성화 할 뿐 아니라 이미 가지고 있지만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게임 및 메일 확인 정도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의 이용이 아닌 더욱 편리하고 경제적인 분야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방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가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그동안 겪어왔던 시간적, 공간적 제한으로 개인적 관점에서 뿐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경제적 손실이 굉장히 많았던 부분을 아주 급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구축된 인프라 뿐 아니라 앞으로 도입 추진될 IMT-2000에서도 많은 활용이 기대되는 부분으로 소비적인 측면이 아닌 경제적, 생산적 효과를 가져오고, 사회 전체적으로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인터넷망을 이용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14)를 방화벽(13), 라우터(12)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시키고, 또한 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14)에는 사용자와 휴대전화(Mobile Phone), 패스워드를 확인하는 인증서버(15),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사용자의 금융계좌번호를 매칭하는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16), 상대편 휴대전화와 연결된 금융계좌번호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그리고 거래내역등을 보관할 DB서버(18), 인증된 금융서비스를 결제할 지불게이트웨이(17)를 접속시켜 시스템을 구성한 후, 휴대전화(Mobile Phone)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먼저 해당 금융기관에 가서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연동하고자 하는 금융계좌번호 그리고 사용자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지정한 후,
    사용자 A가 자신의 휴대전화(Mobile Phone)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모빌(Mobile) 뱅킹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모빌(Mobile) 뱅킹 서비스를 신청할 때 지정하였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 정보가 암호화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금융기관 내에 있는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A,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 패스워드를 인증서버에서 인증확인 후 확인 신호를 다시 사용자 휴대전화(Mobile Phone)에 보내는 제 2단계와,
    확인신호를 받은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는 그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서 지원되는 금융서비스 목록을 단말기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사용자 A가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그 다음 화면에 계좌이체를 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이체 금액을 입력하고,
    사용자 A가 지로요금 수납을 선택하면 그 다음 화면에 지로수납을 하고자 하는 지로의 일련번호와 결제 금액을 입력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의 선택에 따라,
    계좌이체가 선택되었을 경우, 송금하고자 하는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이체금액이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전달되고, 그 내용이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에 전달되어 매칭서버가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금융계좌번호를 DB서버로부터 확인하여 사용자 B도 이 서비스를 신청했는지 그리고 어느 계좌와 연동되어 있는지, 또 사용자 B의 이름이 맞는지 체크한 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 B의 이름과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 이체금액을 디스플레이하여 다시 한번 사용자 A에게 최종 확인하고,
    지로요금 수납이 선택되었을 경우, 결제하고자 하는 지로요금 수납의 번호와 결제금액이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에 전달되고, 그 내용이 모빌(Mobile) 뱅킹 매칭서버에 전달되어 매칭서버가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Mobile Phone)번호와 금융계좌번호를 DB서버로부터 확인한 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 단말기 화면에 요금 지로 수납 번호, 결제금액을 디스플레이하여 다시 한번 사용자 A에게 확인하는 제 4단계와,
    사용자 A가 휴대전화(Mobile Phone)에서 최종 확인하면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지불게이트웨이를 거쳐 결제시스템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제 5단계와,
    결제가 완전히 종료되면 완료된 사항을 다시 모빌(Mobile) 뱅킹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A의 휴대전화(Mobile Phone)에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려주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6단계가 계좌이체가 선택되어 처리되는 단계일 경우에는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계좌이체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게 되면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와 연결된 실제 금융계좌에 이체금액이 이체되고, 이체가 완료되면 사용자 B의 휴대전화(Mobile Phone)로 SMS 서비스(문자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A가 언제 얼마의 금액을 계좌이체 했음을 알려주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결제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
  2. 삭제
KR10-2001-0027184A 2001-05-18 2001-05-18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 KR10041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184A KR100419242B1 (ko) 2001-05-18 2001-05-18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184A KR100419242B1 (ko) 2001-05-18 2001-05-18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192A KR20020088192A (ko) 2002-11-27
KR100419242B1 true KR100419242B1 (ko) 2004-03-03

Family

ID=2770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84A KR100419242B1 (ko) 2001-05-18 2001-05-18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641A (ko) * 2004-07-23 2006-01-27 조배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인증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818793B1 (ko) * 2006-05-04 2008-04-02 (주)씽크에이티 전화를 이용한 오토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금융거래방법
KR100963784B1 (ko) * 2008-01-30 2010-06-14 이현석 개인 전자금고를 이용한 지불 서비스 방법
KR100977028B1 (ko) * 2009-07-17 2010-08-19 이성우 인터넷에 통장의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노출 없이 송금하는 시스템 및 송금 방법
KR20130047338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옐로페이 수취인의 이름과 휴대전화번호만을 이용하여 송금할 수 있는 송금방법 및 송금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216A (ko) * 1999-04-26 2000-11-15 김용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계좌 이체방법
KR20010000363A (ko) * 2000-09-22 2001-01-05 신현길 상호간 휴대전화 단말기와 문자메시지를 통한 2차확인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결제방식
KR20010044830A (ko) * 2001-03-30 2001-06-05 김원혁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방법
KR20020008648A (ko) * 2000-07-24 2002-01-31 송근섭 휴대전화를 이용한 예금이체 및 송금 방법
KR100355013B1 (ko) * 2000-11-20 2002-10-11 삼정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216A (ko) * 1999-04-26 2000-11-15 김용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계좌 이체방법
KR20020008648A (ko) * 2000-07-24 2002-01-31 송근섭 휴대전화를 이용한 예금이체 및 송금 방법
KR20010000363A (ko) * 2000-09-22 2001-01-05 신현길 상호간 휴대전화 단말기와 문자메시지를 통한 2차확인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결제방식
KR100355013B1 (ko) * 2000-11-20 2002-10-11 삼정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44830A (ko) * 2001-03-30 2001-06-05 김원혁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192A (ko) 200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888B2 (ja) モバイル環境における金融取引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48906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on of a mobile wallet for a mobile device
US7461010B2 (en) Computer network method for conducting payment over a network by debiting and crediting telecommunication accounts
EP2866180B1 (en) Electronic settlement method, system, server, and program thereof
US200302208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al transactions
US20020147685A1 (en) Computer network method for conducting payment over a network by debiting and crediting utilities accounts
US2008000668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al Time Account Balances in a Mobile Environment
US200800402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a Payment Via A Stored Value Card in a Mobile Environment
US20020198849A1 (en) Advanced method and arrangement for performing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s
JP2004523021A (ja) 預金メモリから電子マネーを送金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476578B (zh) 用于经金融数据网络接入点购买商品和服务的系统和方法
KR100862098B1 (ko) 금융상품 가입 처리방법
WO2009107102A2 (en) Near-real-time payment transaction facilitation system
KR100419242B1 (ko) 휴대전화 번호로 금융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법
KR1005281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인증 및 결제방법
US20020116285A1 (en) Performing a purchasing transaction
CN104574691B (zh) 一种基于银行柜员机的业务处理方法和系统
RU2371877C2 (ru) Система, позволяющая оператору связи предоставлять услуги финансовых транзакций, и способы реализации таких транзакций
WO2005109998A2 (en) Billing system according to ordering by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20002938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 지불 방법
JP6151234B2 (ja) モバイル環境における金融取引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235171A1 (en) Performing a purchasing transaction
RO123631B1 (ro) Metodă şi sistem de furnizare de servicii de comerţ mobil printr-o multitudine de comunicaţii convergente
JP2003058704A (ja) 決済認証方法、決済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
KR20010067514A (ko) 휴대전화로 ars전화시스템을 통한 현금자동지급기이용 및휴대전화를 지불수단으로 한 금융결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