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965B1 -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965B1
KR100418965B1 KR10-2001-0066669A KR20010066669A KR100418965B1 KR 100418965 B1 KR100418965 B1 KR 100418965B1 KR 20010066669 A KR20010066669 A KR 20010066669A KR 100418965 B1 KR100418965 B1 KR 10041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oice
data
decoder
que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876A (ko
Inventor
함정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9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의하면, 데이터 풀을 메시지 큐와 분리하고 인덱스 큐를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다른 채널의 실시간 수행에 메시지 구조에 의한 지연을 일으키거나 메시지를 복잡하게 관리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호스트 프로세서가 저장 장치와 같이 음성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한번에 대량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많은 채널을 관리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채널 수에 비하여 호스트 프로세서가 상대적으로 저속이어도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Message Transfering Method For Multi-channel Realtime Speech Coder/Decoder}
본 발명은 호스트 프로세서와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간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다른 채널의 실시간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부/복호화기와 호스트 프로세서는 메시지 큐를 통하여 메시지를 교환한다. 입력과 출력을 위해서 2개의 메시지 큐가 사용된다. 상기 메시지 큐는 메시지들과, 상기 메시지의 일차원 배열과 상기 메시지의 위치를 기억하고 있는 헤드(Head) 및 테일(tail)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는 가장 나중에 도달한 메시지를 가리키며, 상기 테일은 가장 먼저 도달한 메시지를 가리킨다. 상기 헤드와 테일이 모두 동일한 영역을 가리키면 이는 상기 메시지 큐에 새로운 메시지가 없음을 나타낸다.
상기 메시지 큐의 단위인 메시지는 헤더와 데이터로 구분된다. 상기 헤더는 기능(Function), 일련 번호(Serial Number), 메시지 길이, 채널 번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능으로는 음성 부호화기의 초기화, 부호화, 복호화, 부/복호화, 멈춤 및 진단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해당 메시지의 기능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다. 상기 기능이 부호화 또는 복호화인 경우에는 부/복호화의 대상이 되는 음성의 데이터가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종래의 음성 부/복호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부 /복호화기(1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20) 및 호스트 프로세서(3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의 메모리는 상기 입력 메시지 큐와 상기 출력 메시지 큐를 갖는다. 상기 입력 메시지 큐와 상기 출력 메시지 큐는 동일 구조를 가지며, 메시지들과 헤드 및 테일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음성 부/복호화 시스템에서는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메시지 큐의 새로운 메시지가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메시지의 유무 여부는 일정한 짧은 시간 간격마다 헤드 및 테일을 통하여 확인하거나, 호스트 프로세서(30)의 메시지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처리되지 못한 입력 메시지가 있으면,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일정한 시간 간격 혹은 호스트 프로세서(30)의 인터럽트에 맞추어서 상기 메시지 큐의 메시지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가 부/복호화 기능을 의미하면,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메시지에 있는 데이터를 부/복호화하고 그 결과를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부/복호화 대상은 상기 메시지의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다.
음성 부/복호화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는 음성의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으로 메시지가 송, 수신되며 이와 별도로 임의의 시간에 다른 기능의 메시지가 송, 수신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호스트 프로세서(30)가 많은 채널을 관리하기 때문에 음성 부호화 모듈이 요구하는 정확한 시간 간격을 준수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와 같은 저속 장치와 함께 동작하게 되면, 하나의 메시지에 많은 양의 음성 데이터를 담아 교환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하나의 메시지가 여러개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게 되었는데, 이는 하나의 메시지가 처리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욱이,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채널에 대한 메시지가 다른 채널의 실시간 수행을 방해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잡한 메시지 큐 관리를 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메시지 큐를 매우 크게 잡아서 충분한 시간동안 메시지 큐가 부족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메모리의 낭비가 심해진다. 결국, 많은 메모리의 사용은 음성 부호화기가 주로 구현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부적절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에 다량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메시지 구조에 의한 지연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시지를 간단하게 관리하도록 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부호화기의 메시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부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적용된 메시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부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은
호스트 프로세서에서 입력 메시지 큐에 전송한 메시지가 음성 부/복호화 기능의 메시지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성 부/복호화 기능의 메시지로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에서 상기 메시지의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풀에 기록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메시지로 음성 부/복호화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에서 상기 전송된 메시지가 새로운 메시지이고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기능이 음성 부/복호화 기능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기능이 음성 부/복호화 기능인 지를 판단되면,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에서 상기 메시지의 페이지 인덱스를 읽어와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소정의 채널의 인덱스 큐에 푸싱한 후 상기 인덱스 큐로부터 상기 페이지 인덱스를 읽어와서 상기 데이터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데이터를 음성 프레임의 시간 간격에 맞추어서 음성 부/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부/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풀에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의 페이지 인덱스만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메시지를 출력 메시지 큐에 푸싱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부분과 동일 구성 및 동일 작용의 부분에는 동일 보호를 부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에서는 음성 부/복호화기(10)와 호스트 프로세서(30)간의 메시지 교환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40)의 메시지 큐와 데이터 풀(Data Pool)을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40)는 내부 운용에 필요한 인덱스 큐를 부가적으로 사용한다.
상기 메시지 큐는 메시지가 헤더와 정보(Information)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제외하고 종래의 메시지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정보 영역은 간단한 인자만을 전달하는 작은 크기이다. 상기 정보 영역은 음성 데이터를 담지 않고 페이지 인덱스나 기타 제어에 필요한 간단한 정보만을 기록한다. 상기 헤더 영역은 종래의 헤더 영역과 동일하다. 상기 헤더는 기능(Function), 일련 번호(Serial Number), 메시지 길이, 채널 번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능으로는 음성 부호화기의 초기화, 부호화, 복호화, 부/복호화, 멈춤 및 진단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덱스 큐는 페이지 인덱스를 단위로 하는 일차원 배열로서 메시지 큐와 같은 큐의 구조이며, 헤드와 테일을 갖는다. 상기 인덱스 큐는 다채널 음성 부/복호화기가 처리하는 채널 수만큼 음성 부/복호화기의 내부에 존재한다. 상기 인덱스 큐는 메시지 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데이터 풀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도록 할당된 공유 메모리로서 페이지로 나뉘어진다. 상기 페이지는 한 채널당 최소 2개의 페이지로 할당되며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가 기록하는 단위이다. 하나의 페이지는 복수개의 음성 프레임을 담을 수 있다.
상기 메시지 큐와 상기 데이터 풀은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와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모두 리드하고 라이트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40)의 메모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단계(S10)에서는 호스트 프로세서(30)가 메시지를 처리하고, 단계(S20)에서는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메시지를 처리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먼저, 단계(S10)의 단계(S11)에서는 호스트 프로세서(30)가 메시지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40)의 입력 메시지 큐에 푸싱(Pushing)한다. 단계(S12)에서는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가 상기 메시지의 헤더 내의 기능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가 음성 부/복호화 기능의 메시지인 지를 판단한다.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음성 부/복호화 기능의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13)에서는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가 상기 메시지 내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 풀에 기록하고, 인덱스를 메시지의 정보 영역에 담는다. 이후, 단계(S14)에서는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가 음성 데이터 메시지를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에 전송한다.
반면에, 상기 메시지가 음성 부/복호화 기능의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14)에서는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입력 데이터 풀에 기록하지 않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입력 데이터 풀에 기록하지 않는 것은 상기 메시지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 단계(20)의 단계(S21)에서는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메시지 큐의 새로운 메시지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입력 메시지 큐의 헤드와 테일이 동일한 영역을 가리키는 것은 상기 입력 메시지 큐에 새로운 메시지가 없음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새로운 메시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2)에서는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기능이 부/복호화 기능인 지를 판단한다. 반면에, 상기 새로운 메시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단계(S15)로 되돌아간다.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기능이 상기 부/복호화 기능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3)에서는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메시지의 정보 영역에 있는 페이지 인덱스를 읽고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특정 채널의 인덱스 큐에 푸싱한다. 반면에,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기능이 상기 부/복호화 기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4)에서는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메시지의 기능에 따른 적절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특정 채널에 상기 페이지 인덱스가 푸싱되고 나면, 단계(S25)에서는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특정 채널의 인덱스 큐에서 음성 데이터의 페이지 인덱스를 리드(read)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실제 위치를 파악한다. 상기 음성 데이터의 실제 위치가 파악되고 나면, 단계(S26)에서는 상기 입력 데이터 풀의 음성 데이터를 음성 프레임의 시간 간격에 맞추어서 음성 부/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음성 데이터의 음성 부/복호화가 완료되고 나면, 단계(S27)에서는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상기 음성 부/복호화 처리된 메시지를 출력 메시지 큐에 푸싱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로 전송한다. 이와 아울러,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입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 풀에 라이트(Write)하고 나서 페이지 인덱스만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30)로 전송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채널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10)가 다채널 음성 부/복호화기인 경우, 상기 한 채널에 대한 동작을 다른채널에도 동일하게 채널 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 음성 프레임의 시간 간격에 모든 채널에 대하여 한 프레임씩 처리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인덱스 큐를 초기화할 때는 인덱스 큐의 내용을 모두 비우고 초기화한다. 부/복호화기의 해당 채널의 초기화 기능이나 정기 지능의 메시지의 경우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에서는 데이터 풀을 메시지 큐와 분리하고 인덱스 큐를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다른 채널의 실시간 수행에 메시지 구조에 의한 지연을 일으키거나 메시지를 복잡하게 관리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호스트 프로세서가 저장 장치와 같이 음성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한번에 대량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많은 채널을 관리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채널 수에 비하여 호스트 프로세서가 상대적으로 저속이어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과 상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함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1)

  1. 호스트 프로세서에서 입력 메시지 큐에 전송한 메시지가 음성 부/복호화 기능의 메시지인 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성 부/복호화 기능의 메시지로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에서 상기 메시지의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풀에 기록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메시지로 음성 부/복호화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에서 상기 전송된 메시지가 새로운 메시지이고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기능이 음성 부/복호화 기능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기능이 음성 부/복호화 기능인 지를 판단되면, 상기 음성 부/복호화기에서 상기 메시지의 페이지 인덱스를 읽어와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소정의 채널의 인덱스 큐에 푸싱한 후 상기 인덱스 큐로부터 상기 페이지 인덱스를 읽어와서 상기 데이터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데이터를 음성 프레임의 시간 간격에 맞추어서 음성 부/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부/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풀에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의 페이지 인덱스만을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메시지를 출력 메시지 큐에 푸싱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1-0066669A 2001-10-29 2001-10-29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41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669A KR100418965B1 (ko) 2001-10-29 2001-10-29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669A KR100418965B1 (ko) 2001-10-29 2001-10-29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876A KR20030034876A (ko) 2003-05-09
KR100418965B1 true KR100418965B1 (ko) 2004-02-14

Family

ID=2956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669A KR100418965B1 (ko) 2001-10-29 2001-10-29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9591B (zh) * 2020-12-04 2024-05-14 北京百瑞互联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音频编解码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360A (ko) * 1994-12-14 1996-07-22 문정환 오디오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시스템
KR19980064056A (ko) * 1996-12-09 1998-10-07 모리시타 요모이치 오디오 복호화 장치 및 신호 처리 장치
KR20000040077A (ko) * 1998-12-17 2000-07-05 서평원 보코더용 메모리 관리 방법
JP2000242296A (ja) * 1999-02-24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データ復号装置
KR100342526B1 (ko) * 1999-09-21 2002-06-28 윤종용 암호화 및 복호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360A (ko) * 1994-12-14 1996-07-22 문정환 오디오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시스템
KR19980064056A (ko) * 1996-12-09 1998-10-07 모리시타 요모이치 오디오 복호화 장치 및 신호 처리 장치
KR20000040077A (ko) * 1998-12-17 2000-07-05 서평원 보코더용 메모리 관리 방법
JP2000242296A (ja) * 1999-02-24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データ復号装置
KR100342526B1 (ko) * 1999-09-21 2002-06-28 윤종용 암호화 및 복호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876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4413C (zh) 外存储装置及其控制装置和数据发送与接收装置
KR950704781A (ko)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장치와 데이타 복호화 장치 및 데이타 기록 매체(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data decoder, and data recording medium)
KR940023260A (ko) 데이타 다중화 장치, 데이타 다중화 방법 및 데이타 기록 매체
NO20003923L (no) Informasjonslagrings- og gjenfinningssystem for Õ lagring og gjenfinning av informasjon i visuell form fra et brukerprogram i en database
US4841513A (en) Sequential buffer device
JP2862242B2 (ja) 画像読取装置
KR100418965B1 (ko) 다채널 실시간 음성 부/복호화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EP1021046A4 (en) 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HERE A DECODING PROGRAM IS RECORDED
JPS6149870B2 (ko)
US86007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 with altered bit sequence
CN101296346B (zh) 图像数据记录/回放设备、系统和方法
JP2993455B2 (ja) 画像と音声の再生装置
TR200402357T4 (tr) Kayıt yöntemi tertibatı
US7849230B2 (en) Overtake request control apparatus and overtake request control method
SU160341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ема и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CN1728245B (zh) 光存储及记录系统及其处理方法
KR19980027486A (ko) 광디스크재생시스템의 효율적인 메모리관리장치
KR100210952B1 (ko) 프로세서와 보코더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CN115426069A (zh) 基于多媒体框架的数据传输方法、设备、存储介质及产品
EP0768799A3 (en) Method and circuit for rearranging output data in variable-length decoder
KR100192960B1 (ko) 컴퓨터시스템의 디엠에이인터페이스방법
CN1988493B (zh) 缓冲器的重置系统及其方法
JPH0132586B2 (ko)
CN103606378B (zh) 用于从存储设备读取和解码编码数据的系统和方法
KR0181486B1 (ko) 비터비 복호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