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754B1 -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754B1
KR100418754B1 KR10-2001-0047044A KR20010047044A KR100418754B1 KR 100418754 B1 KR100418754 B1 KR 100418754B1 KR 20010047044 A KR20010047044 A KR 20010047044A KR 100418754 B1 KR100418754 B1 KR 10041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ual frequency
output
ton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436A (ko
Inventor
종 욱 최
Original Assignee
(주)동광알파
종 욱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알파, 종 욱 최 filed Critical (주)동광알파
Publication of KR2002004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7Sound receiving devices, e.g. microph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주파수 부호음(DTMF)을 이용한 무선 잠금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잠금 제어장치에 의하면, 피제어 잠금장치마다 특정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통상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고역 및 저역의 특정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군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다이얼 버튼음을 사용하여, 피제어 잠금장치의 일부를 전기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암호 생성 및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개폐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A wireless controlled locking device using DTMF}
본 발명은 무선 잠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통상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발생된 이중 주파수 부호음(DTMF)으로 피제어 잠금장치를 개폐 조작할 수 있는 무선 잠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회로가 내장된 무선 잠금 장치는 대부분 전파 또는 광 신호등을 매체로 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의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개별가구의 현관문 등에 설치하는 기존의 무선 잠금 장치는 고유의 암호가 저장된 별도의 리모콘 형태의 전용기기를 통해서 개폐가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열쇠 역할을 하는 이러한 리모콘 형태의 전용기기는 분실, 도난, 훼손에 대비하여 여러 개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리모콘 형태의 전용기기가 분실, 도난 및 무단 복제되었을 경우에, 사용자는 잠금장치 전체를 교체하거나 또는, 잠금장치의 제조자나 전문 취급자의 도움을 얻어 암호를 변경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리모콘 형태의 전용기기가 훼손된 경우에도 동일한 암호가 저장된 리모콘 형태의 전용기기를 다시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인간의 목소리의 특징을 암호화하여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만, 이러한 기술은 그 구성이 복잡하며 설치 사용에 번거로움이 따르므로 용도와 장소에 제한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다이얼 버튼음으로 잠금장치를 개폐 조작할 수 있는 특정의 이중 주파수음을 이용한 무선 잠금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메모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암호화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디지털 변환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각 다이얼 키(key)음에 대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상기 통신 단말기의 다이얼 키(key)음에서 일정 시간 발생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 이득만큼 증폭하는 이득 증폭기;
상기 이득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이중 주파수 부호음에서 다이얼 버튼의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필터링하는 신호검출 필터부;
상기 신호검출 필터부의 출력이 하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기준전압의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신호검출 필터부로 제공하고, 상기 신호검출 필터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다이얼 버튼의 번호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잠금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장치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개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검출 필터부는 상기 이득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의 주파수대역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이중주파수 부호음의 고주파대역과 저주파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와,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고주파 신호와 저주파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제1 및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검출 필터부는 상기 이득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의 주파수대역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주파수를 고주파대역과 저주파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와,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고주파 신호와 저주파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제1 및 제2 기준전압과의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와, 상기 전압 비교부의 각 출력 신호에서 디지털 펄스를 카운트하는 디지털 디텍터(detector)와, 상기 디지털 디텍터가 카운트한 결과를 숫자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코드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무선잠금 제어장치는, 스위치(SW), 유무선 통신 단말기(10), 마이크(20), 전압 증폭기(30), 고역통과필터(41)와 저역통과필터(42)로 이루어진 대역통과필터(40), 제1 전압비교기(COMP1), 제2 전압 비교기(COMP2), 제어부(50), 램프(60), 개폐 구동부(70) 및 메모리(80)를 포함한다.
스위치(SW)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턴 온 또는 턴 오프 신호를 발생한다.
유무선 통신 단말기(10)는 전화기, PCS 폰, 셀룰러 폰, PDA 등 일 수 있으며, 자체 형성된 다이얼 버튼(10개) 및 '*', '#' 버튼을 누를 때 서로 다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 단말기(10)의 각 버튼에 설정된 이중 주파수 보호음 즉, 다이얼톤(DTMF)은 그 주파수(고주파+저주파)값(hertz)이 표준화되어 있다.
즉, 유무선 통신 단말기(10)에서 발생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은 1100Hz - 1700Hz 대역의 고역주파수와, 500Hz - 990Hz 대역의 저역 주파수가 합성된 신호인데, 각 다이얼 버튼(10개)과 '*', '#' 버튼에 서로 다른 음이 발생되도록 상기 각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고주파와 저주파수가 서로 조합되어 설정되어 표준화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메모리(80)는 비활성 메모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 단말기(10)의 각 다이얼 버튼과 '*', '#' 버튼에 해당하는 이중주파수부호음에 대한 정보 즉, 이중주파수부호음의 고주파수와 저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해당 주소(address)(n1, n2, ..., n)에 저장하고 있으며, ID 또는 명령(COMMAND) 코드(CODE) 값(0부터 9까지의 다이얼 번호의 조합)을 해당 주소(C1, C2, C3, ...)에 저장하고 있고, 암호화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해당 주소(ADD1, ADD2, ADD3, ...)에 저장한다. 상기 ID 또는 명령 코드값은 암호화 시작을 알리는 코드와, 암호화 비교를 알리는 코드 등이 있으며, 하나의 이중 주파수 부호음에 대한 숫자 또는, 하나 이상의 이중 주파수 부호음에 대한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명령 코드 '12'는 암호화 시작을 알리는 코드이고, '22'암호 비교화 시작을 알리는 코드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50)의 주소(n1, n2, ..., n)에 저장되어 있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의 정보는 통신 단말기(10)의 다이얼 버튼(n1, n2, ..., n)의 이중 주파수 부호음에 대한 정보이다. 여기서, 다이얼 버튼과 메모리의 주소(n1, n2, n3,..., n)는 정보가 동일하다는 의미로 부호를 통일하였다.
마이크(20)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10)에서 발생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전압 증폭기(30)는 마이크(30)에서 출력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일정 이득으로 증폭시켜 대역통과필터(40)에 출력한다. 대역통과필터(40)중에서 고역통과필터(41)는 입력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1100Hz - 1700Hz의 고역 주파수 범위로 필터링하고, 저역통과필터(42)는 500Hz - 990Hz의 저역 주파수범위로 필터링한다.
제1 전압 비교기(COMP1)는 비반전 단자가 고역통과필터(4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반전 단자가 제어부(50)로부터의 제1 기준전압(VrefH)에 연결되어 있어 이들 두 전압을 비교한다. 제2 전압 비교기(COMP2)는 비반전 단자가 저역통과필터(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반전 단자가 제어부(50)로부터의 제2 기준전압(VrefL)에 연결되어 있어 이들 두 전압을 비교한다.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기준전압의 레벨을 조절하고,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의 출력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신호의 고주파수와 저주파수를 측정하고 메모리(80)에 저장된 이중부파수부호음의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이 판단에 따라 암호화 또는, 잠금 장치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개폐 구동부(70)의 동작을 제어한다.
램프(60)는 잠금 장치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점등 동작을 수행하고, 스위치는 동작하여 이중 주파수 부호음의 입력 또는 암호화의 시작을 알린다.
이하, 첨부한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 제어 잠금장치의 동작중 암호와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암호화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암호화 과정은 크게 암호화 시작을 알리는 암호화 초기과정과, 암호를 설정하는 암호 입력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암호화 초기과정)
잠금 장치가 리셋(reset)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부(50)에 연결된 스위치(SW)를 턴 온 시키면 제어부(50)는 램프(60)를 점등시킨다. 램프(60)가 점등하면, 사용자는 램프(60)의 점등을 통해 본 발명의 정상 동작을 확인하여 통상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10)의 임의의 버튼중 암호화 시작을 알리는 버튼(암호화 시작 코드)을 일정 시간이상 눌러 해당 버튼의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발생되도록 한다(S10).
상기 일정 시간은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유효 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 즉, 입력되는 신호가 유효 신호인지 그렇지 않은지를 제어부(50)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시간이다.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이중 주파수 신호음은 마이크(20)로 입력되고, 마이크(20)로 입력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은 전압 증폭기(30)에 의해 일정 이득만큼 증폭되어 출력된다. 전압 증폭기(30)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대역통과필터(40)중 고역통과필터(41)와 저역통과필터(42)로 분기되어 입력된다. 그러면, 고역통과필터(41)와 저역통과필터(42)는 입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불필요한 잡음이 제거된 고역 및 저역 주파수를 출력한다(S20).
대역통과필터(41)에 의해 필터링되어 분리된 신호는 제1 전압 비교기(COMP1)에 입력되어 제어부(50)에서 제공하는 제1 기준전압(VrefH)과 비교되고, 저역통과필터(42)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는 제2 전압 비교기(COMP2)에 입력되어 제어부(50)에서 제공하는 제2 기준전압(VrefL)과 비교된다(S30).
여기서,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에서 출력하는 값은 하이 값이 출력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의 비반전 단자로 입력하는 전압이 제1 및 제2 기준 전압보다 커야한다(S40).
그런데,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의 비반전 단자로 입력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에 대한 전압은 필터링 및 회로적 특징에 의해 원하는 레벨보다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의 비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이 제1 또는, 제2 기준 전압(VrefH, VrefL)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에서 출력하는 값이 하이 레벨의 값이 인터럽트 입력포트(IPL, IPH)에 입력되도록, 제1 및 제2 기준 전압(VrefH, VrefL)의 레벨을 주파수의 피크치보다 낮도록 가변시켜 제공한다(S41).
상기 제어부(50)의 제1 및 제2 기준 전압(VrefH, VrefH) 조절에 의해,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는 입력하는 아날로그 신호(주파수)를 디지털 신호(펄스 신호)의 형태로 제어부(50)에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50)는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을 측정하여(S50), 입력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이라고 판단하면 유효 신호로 판단하고, 입력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이하이면 무효처리한다(S51).
제어부(50)는 입력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유효 신호라고 판단하면 펄스 신호를 카운팅하여 단말기(10)의 다이얼 버튼 중 어느 번호인지를 판단한다(S60).
제어부(50)는 상기 판단에 의해 판단된 번호가 메모리(80)에 저장된 암호화 시작 코드와 일치하면(S70), 암호화 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50)의 해당번지(ADD1, ADD2, ADD3...)를 클리어(clear)한 후, 램프(60)를 점등시킨다(S80).
상기 램프(60)의 점등은 암호화 초기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암호화 대기 상태가 되었음을 알린다.
(암호 입력과정)
상기 램프(60)의 점등을 확인한 사용자는 암호로 설정될 유무선 통신 단말기(10)의 버튼 중 하나를 일정 시간이상 동안 누른다. 그러면, 유무선 통신 단말기(10)는 해당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발생하게 되고, 이 부호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20), 전압 증폭기(30), 고역통과필터(40), 저역통과필터(42), 및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를 통해 제어부(50)에 펄스 신호로 입력된다(S90).
제어부(50)는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유효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펄스 신호를 카운팅하여 단말기(10)의 다이얼 버튼 중 어느 번호인지를 판단한다(S100).
제어부(50)로 입력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에 대한 펄스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이고, 유무선 통신 단말기(10)의 해당 버튼의 이중주파수부호음이면, 제어부(50)는 해당 버튼의 번호를 판단하고 판단한 번호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암호화된 번호와 같은지를 비교하는데, 현재 입력되는 신호는 처음 입력되는 신호이므로 비교할 이전 값이 없다. 그러므로, 제어부(50)는 메모리(50)의 암호 저장 번지(ADD1)에 저장시킨 후, 다음 번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S110, S120).
그리고, 제어부(50)는 이후 설정 시간이내에 입력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판단하여 암호 저장 번지(ADD1)에 저장된 숫자와 같은 숫자 입력되면 무효 처리하고, 다른 숫자가 입력하면 유효 처리하여 암호 저장 번지(ADD2)에 저장한 후 암호화한다(S130).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메모리(80)의 암호 저장 번지(ADD1, ADD2, ...)에 2자리 이상의 유효한 숫자가 저장된 이후, 제어부(50)에 지정된 시간이내에 새로운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암호 저장 번지(ADD1, ADD2, ADD3, ...)에 저장된 숫자를 암호값으로 간주하고 암호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50)는 램프(60)를 일정시간 동안 점멸시켜 암호화 작업이 끝났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암호화 신호 비교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암호화 신호 비교 동작은 닫혀져 있는 무선잠금장치를 개폐시키는 동작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신호 비교 동작은 도 3을 참조로 한 암호화 동작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암호화 비교를 위해 사용자는 제어부(50)가 암호화 비교 시작을 판단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10)의 해당 버튼을 눌러 암호화 비교 시작을 알리는 코드를 제어부(50)에 입력시킨다.
그러면, 제어부(50)는 입력하는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코드와 비교하여 암호화 비교 시작임을 판단하고, 이후 일정 시간동안 입력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의 주파수를 판단하며, 판단한 주파수로부터 얻어지는 숫자가 암호 저장 번지(ADD1, ADD2, ADD3, ...)에 저장된 암호화된 숫자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일치하면 개폐 구동부(70)를 구동시켜 잠금 장치가 열리도록 한다.
여기서, 마이크(20), 전압 증폭기(30), 고역 및 저역통과필터(41, 42), 제1 및 제2 전압 비교기(COMP1, COMP2)의 동작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전반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고주파와 저주파의 아날로그 신호로 분리된 후, 아날로그 신호가 구형파인 펄스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가 입력하는 구형파를 카운팅하여 주파수를 판단하고, 해당 번호를 판단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고주파와 저주파로 분리한 후 아날로그 신호를 버튼의 번호를 알리는 디지털 값으로 제어부(51)에 입력시켜, 제어부(51)가 카운팅 동작없이 바로 해당 번호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잠금 제어장치는 스위치(SW), 유무선 통신 단말기(10), 마이크(20), 전압 증폭기(30), 이중주파수 리시버(90), 제어부(51), 램프(60), 개폐 구동부(70) 및 메모리(80)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중 유무선 통신 단말기(10), 마이크(20), 전압 증폭기(30), 램프(60), 개폐 구동부(70), 메모리(8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중주파수 리시버(90)와 제어부(51)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 또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중 주파수 리시버(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역통과필터(91)와 저역통과필터(92), 제1 전압비교기(COMP1), 제2 전압 비교기(COMP2), 디지털 디텍터(93), 코드 컨버터(94)와 버퍼(Q1 내지 Q4)를 포함한다.
고역통과필터(91)와 저역통과필터(92)는 입력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고주파수와 저주파수로 분리한다. 전압 비교부(COMP1, COMP2)는 각각 고주파수와 저주파수를 입력하여 제1 또는 제2 기준전압(VrefH, VrefL)과 비교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구형파의 펄스 신호로 만든다.
디지털 디텍터(detector)(93)는 각 전압 비교기(COMP1, COMP2)에서 출력된 디지털 펄스를 카운트하고, 코드 컨버터(94)는 디지털 디텍터(93)가 카운트한 결과를 숫자에 해당하는 이진(binary) 디지털 신호 예를 들면, (0000), (0100), ..., (1111)의 이진 디지털 신호로 제어부(51)에 출력한다.
제어부(51)는 카운팅 동작없이 바로 코드 컨버터(94)에서 출력하는 신호로 해당 버튼의 숫자를 판단하고, 이를 메모리(80)에 저장된 내용과 비교하여 암호화 동작, 또는 암호 비교 동작 등을 제어한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의 암호와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위치를 온시켜 램프가 점등하면, 암호화 시작을 알리는 코드에 해당하는 다이얼 버튼을 눌러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발생시킨다(S10).
그러면, 이중 주파수 부호음은 마이크(20), 전압 증폭기(30)를 거쳐 증폭되어 이중주파수 리시버(90)에 입력된다.
이중 주파수 리시버(90)는 증폭된 신호를 고역통과필터(91)와 저역통과필터(92)를 통해 잡음 제거 및 주파수 분리를 하고(S20), 전압 비교기(COMP1, COMP2)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구형파 펄스 신호가 되도록 한다(S30, S40).
이때에도, 제어부(51)는 제1 및 제2 기준전압(VrefH, VrefL)의 레벨을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41).
이중 주파수 리시버(90)의 디지털 디텍터(93)는 전압 비교기(COMP1, COMP2)의 구형파 펄스 신호를 카운팅하여 카운팅한 결과를 코드 컨버터(94)로 전달한다. 그러면, 코드 컨버터(94)는 카운팅한 결과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16진(hexadecimal)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51)에 출력한다(S60).
이때, 코드 컨버터(94)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는 버퍼(Q1 내지 Q4)를 거치게 되는데, 버퍼(Q1 내지 Q4)를 통해 출력하는 신호의 값 변화는 제어부(51)에 의해 일정 시간 감시된다. 제어부(51)는 일정 시간 감시를 하여 버퍼(Q1 내지 Q4)의 값의 변화가 없으면 유효값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값의 변화가 있으면 무효처리한다(S60).
제어부(51)는 버퍼(Q1 내지 Q4)를 통해 입력한 값이 유효한 값이라고 판단하면 값을 판단하여 버튼의 번호를 판단하고, 이를 메모리(80)에 저장된 암호 시작 코드 즉, 암호 시작 명령 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70).
상기 판단(S70)에서 두 값이 일치하면 제어부(51)는 램프(60)를 점등시켜 암호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단말기(10)로부터 암호화되고자 하는 번호의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발생되면 상기 단계(S10 내지 S60)를 거쳐 입력하는 16진 값을 입력받아 암호화 값으로 해당 메모리(51) 번지(ADD1)에 저장시킨다(S90, S100, S110, S120).
그리고, 제어부(51)는 이후 설정 시간이내에 입력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판단하여 암호 저장 번지(ADD1)에 저장된 숫자와 같은 숫자 입력되면 무효 처리하고, 다른 숫자가 입력하면 유효 처리하여 암호 저장 번지(ADD2)에 저장한 후 암호화한다(S130).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메모리(80)의 암호 저장 번지(ADD1, ADD2, ...)에 2자리 이상의 유효한 숫자가 저장된 이후, 제어부(51)에 지정된 시간이내에 새로운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암호 저장 번지(ADD1, ADD2, ADD3, ...)에 저장된 숫자를 암호값으로 간주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51)는 램프(60)를 일정시간 동안 점멸시켜 암호화 작업이 끝났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비교 동작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암호화 비교 동작과 상기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한 암호화 동작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의 통신단말기의 다이얼버튼에서 발생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하여 잠금 장치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전파매체나 혹은 광신호를 매체로 하는 리모콘형태의 전용 제어기를 별도로 구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콘 형태의 전용기와 같이 분실, 도난, 훼손에 대비하여 수개를 보유 할 필요도 없어지며 리모콘 형태의 전용기에서의 문제점인 임의 무단복제를 막을 수 있고 분실,훼손 등에 의한 잠금장치 전체를 교환하거나 잠금장치의 제조자나 전문취급자에 의존하여 비용과 시간을 소모하여 암호를 변경 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간단히 통상의 통신단말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하여 새로운 암호를 생성하여 저장 할 수 있다.

Claims (10)

  1.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무선잠금 제어장치에 있어서,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각 다이얼 버튼과 "*" "#" 버튼에 설정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의 정보와, ID 또는 명령 코드값을 해당 주소에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상기 통신 단말기의 다이얼 음에 대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취득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일정 이득만큼 증폭하는 이득 증폭기;
    상기 이득증폭기를 통하여 출력된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고주파수 대역과 저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분리된 고주파 신호와 저주파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 상기 전압비교부의 각 출력신호에서 디지털 펄스를 카운트하는 디지털 디텍터와, 상기 디지털 디텍터가 카운트한 결과를 숫자에 해당하는 16진의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코드 컨버터를 포함하는 신호검출 필터부;
    상기 전압 비교부의 출력이 디지털 펄스의 형태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준전압의 레벨을 조절하고, 상기 디지털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16진의 디지털 신호로 다이얼 버튼의 숫자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잠금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장치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암호화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코드이면, 이후 입력하는 유효한 이중 주파수 부호음에 해당하는 번호를 암호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며, 메모리에 저장되는 암호가 두 자리 이상일 때, 이중 주파수 부호음이 설정 시간이상 입력되지 않으면 암호화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1-0047044A 2000-12-02 2001-08-03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KR100418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632 2000-12-02
KR1020000072632A KR20010025276A (ko) 2000-12-02 2000-12-02 이중주파수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436A KR20020043436A (ko) 2002-06-10
KR100418754B1 true KR100418754B1 (ko) 2004-02-18

Family

ID=197025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632A KR20010025276A (ko) 2000-12-02 2000-12-02 이중주파수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KR10-2001-0047044A KR100418754B1 (ko) 2000-12-02 2001-08-03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632A KR20010025276A (ko) 2000-12-02 2000-12-02 이중주파수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2527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1423A1 (en) * 1989-03-28 1990-10-04 Uniqey (Hk) Limited Electronic locking devices
KR950032960A (ko) * 1994-05-04 1995-12-22 이종수 전화기를 이용한 자물쇠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8101A (ko) * 1996-11-23 1998-08-05 유기범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개폐시스템
KR19990083847A (ko) * 1999-08-19 1999-12-06 정지운 도어록 장치
JP2000226956A (ja) * 1999-02-05 2000-08-15 Aiphone Co Ltd 電気錠暗証解錠装置
KR200200330Y1 (ko) * 2000-04-29 2000-10-16 스타텔데이타통신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록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1423A1 (en) * 1989-03-28 1990-10-04 Uniqey (Hk) Limited Electronic locking devices
KR950032960A (ko) * 1994-05-04 1995-12-22 이종수 전화기를 이용한 자물쇠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8101A (ko) * 1996-11-23 1998-08-05 유기범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개폐시스템
JP2000226956A (ja) * 1999-02-05 2000-08-15 Aiphone Co Ltd 電気錠暗証解錠装置
KR19990083847A (ko) * 1999-08-19 1999-12-06 정지운 도어록 장치
KR200200330Y1 (ko) * 2000-04-29 2000-10-16 스타텔데이타통신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436A (ko) 2002-06-10
KR2001002527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67552B1 (da) Programmerbart hoereapparat
KR960014230B1 (ko) 무선전화장치에서의 데이터소거방식
JP2845130B2 (ja) 通信装置
WO1993006682A1 (en) Battery saver for wireless telephone
US7020292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cognizing an audio input and muting an audio device
KR100418754B1 (ko) 이중 주파수 부호음을 이용한 무선잠금 제어장치
JPS639711B2 (ko)
KR100648047B1 (ko) 휴대폰을 키패드로 사용하는 전자식 도어록 및 그 방법
KR100205604B1 (ko) 스위칭시스템
KR10047075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방범 도어 시스템
KR100365271B1 (ko) 자동차의전화기를이용한음성인식장치및그제어방법
JP2002359894A (ja) ワイヤレスマイ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294297B1 (ko) 다이얼키음을이용한조명등무선제어장치
KR101166189B1 (ko)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알람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동작방법
JPH03117257A (ja) ハンズフリー回路
KR200273664Y1 (ko) 리모콘을 이용한 방범 도어 시스템
JPH06350477A (ja) 送信電力制御方式
JPH01259635A (ja) 移動局装置
JPH03177124A (ja) 無線電話装置
KR10061779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251937Y1 (ko) 이중 음성 다주파 신호를 사용한 무선 도어락 장치
JPH04200157A (ja) Dtmf信号受信回路
KR19990081246A (ko) 음성 인식 기능을 내장한 가정 자동화 장치제어 방법
JPH09326712A (ja) スケルチ回路とその方法、無線機
KR100191196B1 (ko) 잡음 필터를 구비한 음성인식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