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704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704B1
KR100418704B1 KR10-2001-0076962A KR20010076962A KR100418704B1 KR 100418704 B1 KR100418704 B1 KR 100418704B1 KR 20010076962 A KR20010076962 A KR 20010076962A KR 100418704 B1 KR100418704 B1 KR 100418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nnector
protective cap
connector
ground
en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731A (ko
Inventor
정규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7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부를 갖는 기기본체와,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적어도 일부의 노출영역에 도전부를 갖는 보호캡과; 상기 도전부를 상기 기기본체의 접지부로 접지시키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먼지 기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고정커넥터를 통하여 외부의 과도전류가 내부 회로로 유입되거나, 외부의 정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S}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커넥터를 통하여 외부의 과도전류가 내부 회로로 유입되거나, 외부의 정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는 한층 더 우리 생활에 가까워져 사용자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전자기기가 인체접촉 등에 의해 정전기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 ESD)에 노출될 위험이 증가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외부커넥터(12)를 접속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정커넥터(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전자기기는 정전기를 띠고 있는 사람이나 물체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그 때 그 고정커넥터(11)가 정전기의 도체역할을 함으로써 정전기가 전자기기 내부로 방전되고 이로 인하여 전자기기가 오동작을 하거나, 전자기기 내부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 IC)가 파괴되는 등 여러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에 마련된 고정커넥터(11)는 외부의 정전기로부터 잘 보호될 필요가 있다.
한편, 현대의 전자기기는 동작주파수도 높아지고 휴대용을 강조한 제품들이 많기 때문에 갈수록 정전기에 취약해지고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동작전압이 낮아져 작은 전압변동만 있어도 전자기기가 오동작을 하게 되어 정전기로 인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전기 방지를 위한 종래 기술적인 구성으로 회로적인 방법이나 기구적인 접지 보강 작업이 시도되어 왔다. 회로적인 해결방법은 ESD 차단용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를 삽입하거나 정전기방전 경로를 다른 쪽으로 돌리는 것이었고, 기구적인 해결방법은 접지를 보강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제품의 경량화에 의하여 회로 소자의 배치에 제한을 가져오거나, 접지면적이 작아져 접지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정전기 방지를 위하여 고정커넥터에 별도로 제작된 고무캡을 끼워두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캡은 그 고무캡을 끼우고 빼내는 과정에서 고정커넥터에 정전기가 방전되지 않은 사람의 손이 직접 접촉될 수 있어서 정전기 문제를 여전히 배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먼지 기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고정커넥터를 통하여 외부의 과도전류가 내부회로로 유입되거나, 외부의 정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폐쇄상태에서의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
도 4는 개방상태에서의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노트북 컴퓨터 21 : 기기본체
22 : 외부커넥터 23 : 고정커넥터
24 : 보호캡 25 : 도전부
31 : 접지연결부 32a,32b : 안내부
33 : 압축코일 스프링 34 : 접지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접지부를 갖는 기기본체와,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적어도 일부의 노출영역에 도전부를 갖는 보호캡과; 상기 도전부를 상기 기기본체의 접지부로 접지시키는 접지연결부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에는 상기 보호캡을 슬라이딩 이동 안내하는 안내부를 마련하여 보호캡의 개폐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에는 상기 보호캡을 슬라이딩 이동 안내하는 안내부를 마련하여 보호캡의 개폐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호캡의 복귀를 자동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보호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기본체에 결합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조립공정을 고려할 때 유리하나, 판스프링과 같은 다른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지부를 갖는 기기본체와,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에 맞물림되는 물림결합부와, 적어도 일부의 노출영역에 도전부를 갖는 보호캡과; 상기 도전부를 상기 기기본체의 접지부로 접지시키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캡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다른 도체의 접촉으로 인한 과도전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노트북 컴퓨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폐쇄상태에서의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개방상태에서의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20)는 접지부(34)를 갖는 기기본체(21)와, 외부커넥터(22)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23)와, 고정커넥터(23)의 접속단부 영역을 개폐하는 보호캡(24)을 갖는다.
접지부(34)는 노트북 컴퓨터(20)의 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그라운드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기기본체(21)의 샤시가 접지부(34)가 된다.
고정커넥터(23)는 기기본체(21)의 일단에 마련되어 외부커넥터(22)와 접속된다. 고정커넥터(23)는 기기본체(21)와 주변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하거나, 전원을 공급받게 한다.
보호캡(24)은 기기본체(21)에 마련되며 고정커넥터(23)의 접속단부 영역을 개폐한다. 보호캡(24)은 고정커넥터(23)가 외부커넥터(22)와 접속하지 않을 때에는 먼지 기타 이물질로부터 고정커넥터(23)를 보호하고, 외부의 도전체로부터 고정커넥터(23)를 통하여 과도한 써지(surge) 전류가 흘러 내부 회로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캡(24)은 플라스틱성형물이나, 고무 기타 절연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보호캡(24)의 일부의 노출영역에는 도전부(25)가 마련되어 있다. 도전부(25)는 외부커넥터(22)를 고정커넥터(23)에 접속시킬 때 손으로 보호캡(24)을 약간 옆으로 밀어주어야 하는 바, 이 때 인체의 정전기가 고정커넥터(23)로 방전되어 전자기기의 내부에 있는 회로가 정전기로 인해 파괴되거나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기를 내부 회로가 아닌 기기본체(21)의 접지부(34)로 유도한다. 도전부(25)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접지연결부(31)는 기기본체(21)의 접지부(34)와 도전부(25)사이에 마련된다. 접지연결부(31)는 도전부(25)와 기기본체(21)의 접지부(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도전부(25)로 유입된 인체의 정전기를 기기본체(21)의 접지부(34)로 방전시키는 통로를 제공한다. 접지연결부(31)는 도선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후술할 안내부(32a, 32b)가 도전체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기기본체(21)의 접지부(34)와 연결되게 하면안내부(32a,32b)가 접지연결부(31)를 대신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는 도전부(25)가 마련된 보호캡(24)이 이동함으로써 저항값을 가져 도선구조에 비하여 정전기 방전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안내부(32a,32b)는 고정커넥터(23)의 접속단부 영역에 마련된다. 안내부(32a,32b)는 보호캡(24)이 용이하게 고정커넥터(23)의 접속단부 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보호캡(24)을 슬라이딩 이동 안내한다.
탄성부재인 압축코일 스프링(33)은 일단이 보호캡(24)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기본체(21)에 연결된다. 압축코일 스프링(33)은 외부커넥터(22)가 고정커넥터(23)에 접속되어 있는 개방상태에서 외부커넥터(22)가 분리될 때 보호캡(24)을 복원력에 의하여 폐쇄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보호캡(24)이 개폐되는 것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서의 보호캡(54)에는 고정커넥터(23)의 접속단부 영역에 맞물릴 수 있는 물림결합부(56)가 마련되어 있어, 착탈식으로 보호캡(24)이 개폐된다. 그리고 도전부(25)와 접지연결부(31) 사이에 금속구조물(61)이 삽입되어 있어 도전부(25)와 접지연결부(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상의 점을 제외하면 상술한 슬라이딩 방식과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부커넥터가 접속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호캡이 닫혀 있어 먼지 기타 이물질로부터고정커넥터를 보호하고, 외부의 도전체로부터 고정커넥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외부커넥터를 전자기기에 접속시키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인체에 있는 정전기를 보호캡에 마련된 도전부를 통하여 접지연결부를 거쳐 기기본체의 접지부로 방전시키게 된다. 또한, 외부커넥터가 분리될 경우 압축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호캡이 닫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호캡이 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고정커넥터에 맞물림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보호캡이 회동개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먼지 기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고정커넥터를 통하여 외부의 과도전류가 내부회로로 유입되거나, 외부의 정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Claims (6)

  1. 접지부를 갖는 기기본체와,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적어도 일부의 노출영역에 도전부를 갖는 보호캡과;
    상기 도전부를 상기 기기본체의 접지부로 접지시키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에는 상기 보호캡을 슬라이딩 이동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을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보호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기본체에 결합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접지부를 갖는 기기본체와, 외부커넥터가 접속되는 고정커넥터를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커넥터의 접속단부 영역에 맞물림되는 물림결합부와, 적어도 일부의 노출영역에 도전부를 갖는 보호캡과;
    상기 도전부를 상기 기기본체의 접지부로 접지시키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1-0076962A 2001-12-06 2001-12-06 전자기기 KR100418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62A KR100418704B1 (ko) 2001-12-06 2001-12-06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62A KR100418704B1 (ko) 2001-12-06 2001-12-06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731A KR20030046731A (ko) 2003-06-18
KR100418704B1 true KR100418704B1 (ko) 2004-02-14

Family

ID=2957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962A KR100418704B1 (ko) 2001-12-06 2001-12-06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22541A2 (pt) * 2008-07-25 2015-06-2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ispositivo de computação, computador portátil e dispositivo de dissipação de corrente de fuga para utilização com um computador portáti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369A (en) * 1990-05-09 1992-02-04 Lin Spencer B Static discharging device
JPH05152025A (ja) * 1991-11-29 1993-06-18 Sony Corp コネクタ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US5372515A (en) * 1993-06-10 1994-12-13 Martin Marietta Corporation Mechanical ESD protector
JPH07263042A (ja) * 1994-03-17 1995-10-13 Alpine Electron Inc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H097706A (ja) * 1995-06-23 1997-01-10 Oki Electric Ind Co Ltd ヘッドセット用ジャックの構造
KR19990003023U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용 오디오/비디오 신호 입.출력 잭의 접지구조
KR20000016611U (ko) * 1999-02-04 2000-09-25 구자홍 휴대용정보기기의 정전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369A (en) * 1990-05-09 1992-02-04 Lin Spencer B Static discharging device
JPH05152025A (ja) * 1991-11-29 1993-06-18 Sony Corp コネクタ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US5372515A (en) * 1993-06-10 1994-12-13 Martin Marietta Corporation Mechanical ESD protector
JPH07263042A (ja) * 1994-03-17 1995-10-13 Alpine Electron Inc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H097706A (ja) * 1995-06-23 1997-01-10 Oki Electric Ind Co Ltd ヘッドセット用ジャックの構造
KR19990003023U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용 오디오/비디오 신호 입.출력 잭의 접지구조
KR20000016611U (ko) * 1999-02-04 2000-09-25 구자홍 휴대용정보기기의 정전기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731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222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4531176A (en) Cartridge having improve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5947773A (en) Connector with ESD protection
US4791524A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electronic packages
US6648661B1 (en) Electrostatic discharge countermeasure for docking cradles with exposed pins that connect to an active interface
GB2274030A (en) Surge suppresion device
KR19990000132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과전압 및 서어지 보호회로
US20100124847A1 (en) Usb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60268489A1 (en) Static electricity and electric shock protection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1007135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전기 및 감전 보호 장치
US8602801B2 (en) Electrical jack
KR100418704B1 (ko) 전자기기
US20050186833A1 (en) Receptacle
JP4864140B2 (ja) Esd保護付きコネクタ
US7227734B2 (en) ESD protection device, and pushbutt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US75975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vity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ground element
US7758382B2 (en) Connector with isolating end face and side connection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connector
JP4005794B2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WO2004088716A3 (en) Esd system for grounding electronics within an enclosure
CN101379452B (zh) 具有静电放电保护的数据盒式磁带
KR100630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전 보호 장치
US20040090730A1 (en) Active elecrostatic discharge event prediction and countermeasure using charge proximity sensing
US6398565B1 (en) Connector with an insulation shield
AU1460197A (en) Protection for electromagnetic connection and electrostatical discharge
TW200906233A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