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285B1 - 복합 광학 부품 및 이를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 - Google Patents

복합 광학 부품 및 이를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285B1
KR100416285B1 KR10-2001-0062385A KR20010062385A KR100416285B1 KR 100416285 B1 KR100416285 B1 KR 100416285B1 KR 20010062385 A KR20010062385 A KR 20010062385A KR 100416285 B1 KR100416285 B1 KR 100416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rface portion
laser
composite optical
optic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837A (ko
Inventor
교야쇼이찌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반도체 레이저 등이 열상승되어 파장 변동되고, 또한 복합 광학 부품이 그 열로 선팽창되었을 때에도,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에 있어서의 수광 위치의 어긋남을 줄였다.
(해결수단) 레이저 다이오드 (53) 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L1) 이 입사되는 입사면부 (55a) 가 형성됨과 동시에, 입사면부 (55a) 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입사면부 (55a) 로 입사된 레이저 광 (L1) 을 출사하고 또한 출사된 레이저 광 (L1) 의 복귀광 (L2) 이 입사되는 입출사면부 (55d) 가 형성된 복합 광학 부품 (55) 에 있어서, 입출사면부 (55d) 에는 복귀광 (L2) 을 소정 방향으로 회절하는 회절부 (55f) 가 형성됨과 동시에, 레이저광 (L1) 의 광축을 사이에 둔 일측의 측벽에는 광축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회절부 (55f) 에서 회절된 회절광 (L3) 을 광축을 가로질러 일측의 측벽과는 반대측인 타측의 측벽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면부 (55d) 가 형성되고, 타측의 측벽에는 반사면부 (55d) 에서 반사된 반사광 (L4) 을 출사하는 출사면부 (55e) 가 형성되고, 이 출사면부 (55e) 에 대향하는 수광부 (54) 에 의해 수광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복합 광학 부품 및 이를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COMPOUND OPTICAL DEVICE AND COMPOUND OPTICAL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 디스크의 기록 또는 재생에 사용되는 광 픽업에 탑재되는 복합 광학 유닛과 이 복합 광학 유닛에 사용되는 복합 광학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복합 광학 유닛으로서, 광 디스크 장치에 탑재되는 광 디스크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광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광 디스크로부터의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발광 (受發光) 일체형 (一體型) 복합 광학 유닛이 알려져 있다.
광 디스크 장치가 다양화되고 있는 가운데, 광 디스크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용 레이저 광에, 파장이 780 ㎚ 대인 반도체 레이저에 의한 레이저 광, 파장이650 ㎚ 대인 반도체 레이저에 의한 레이저 광, 나아가 파장이 405 ㎚ 대인 반도체 레이저에 의한 청색 발광의 레이저 광 등을 사용한 다양한 광 디스크가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CD (콤팩트 디스크), CD-R (추기형(追記型) CD), DVD (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의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광 픽업이 사용되며, 이 픽업에 복합 광학 유닛이 탑재되어 있다.
최근, CD 등에 비하여 기록밀도가 높은 광 디스크인 DVD 를 기록·재생하는 DVD 장치가 제품화되어 보급되고, 이 DVD 장치에 탑재하는 광 픽업도 소형화·경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DVD 장치에서는 CD (CD-R 을 포함함) 와의 호환성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DVD 용 레이저 광원 (650 ㎚ 대) 과 CD 용 레이저 광원 (780 ㎚) 의 파장이 다른 2 파장 반도체 레이저를 1 개 구비한 것도 있다.
출원인은 광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광 디스크로부터의 복귀광을 수광하는 광 픽업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복합 광학 유닛을 제안하였다 (일본 특허출원 평11-282153 호).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광학 유닛 (150) 은 반도체 레이저 (152) 와 수광부재 (154) 로 이루어진 수발광 일체형 광학소자와, 복합 광학 부품 (155) 과, 이들 부재 (152,154,155) 가 일체로 장착 고정되는 하우징 (151) 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복합 광학 유닛 (150) 은 반도체 레이저 (152) 에서출사된 파장이 650 ㎚ 대인 레이저 광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광 디스크에 기록 또는 재생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광부재 (154) 는 PIN 포토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하는 외부 접속 단자 (154b) 를 통해 전원 전압의 공급이나 광전변환 (光電變換) 된 출력 신호의 외부 출력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복합 광학 부품 (155) 은 평행하게 배치된 입사면 (155a) 과 출사면 (155b) 을 갖는 직육면체형상부 (155c) 와, 입사면 (155a) 과 연결되도록 일체 형성된 경사면부 (155d) 와, 직육면체형상부 (155c) 의 측벽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 (155e) 로 구성되어 있다. 출사면 (155b) 에는 회절격자 (155f)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부 (155d) 의 표면은 광학 박막이 코팅된 반사면 (155d1) 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출부 (155e) 의 선단 (先端) 에는 출사면 (155e1)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사면 (155d1) 은 복합 광학 부품 (155) 의 외부와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입사면 (155a), 출사면 (155b) 및 출사면 (155e1) 도 마찬가지로 복합 광학 부품 (155) 의 외부와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51) 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로 이루어지고, 그 좌측 부분에는 반도체 레이저 (152) 를 위치 결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 (151b) 이 형성되고, 그 우측 부분에는 복합 광학 부품 (155) 의 장착용 장착구멍 (151c) 이 구멍부 (151a) 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장착구멍 (151c) 의 우측 단부에는 복합 광학 부품 (155) 을 장착하기 위한 돌출 맞닿음면 (151c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151) 외주 (外周) 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 (151d)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 (151d) 을 덮는 외벽면에는 수광부재 (154) 가 위치 결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151) 의 우단면에는 개구부 (151f)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복합 광학 유닛 (150) 을 설치한 광 픽업은, 광 디스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광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포커스 방향 및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인 트래킹 방향으로 가동하는 대물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제안된 복합 광학 유닛 (150) 의 구성에 있어서, 광 디스크를 재생할 때에는 반도체 레이저 (152) 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152a) 은 복합 광학 부품 (155) 의 입사면 (155a) 을 투과한 후, 회절격자 (155f) 를 투과하여 출사면 (155b) 에서 출사된다. 그리고, 그 레이저 광 (152a) 은 상승 미러에 의해 그 방향이 거의 90 도 변경되어 대물렌즈로 입사된다. 그리고, 대물렌즈를 통과한 레이저 광 (152a) 은 대물렌즈의 집광작용에 의해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결상된다.
그 후,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레이저 광 (복귀광) (152a) 은, 대물렌즈, 상승 미러, 콜리메이터 렌즈의 복귀광로를 통과한 후, 회절격자 (155f) 로 입사되어 소정 회절각으로 회절된 것으로 된다. 레이저 광 (152a) 은 다시 복합 광학 부품 (155) 에 형성된 반사면 (155d1) 에 의해 반사되고, 그 반사광은 출사면 (155e1) 에서 수광부재 (154) 의 수광 위치 (P) 를 향해 출사된다. 이 때, 수광부재 (154) 로 입사된 레이저 광 (152a) 은 광전 변환됨으로써,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의 신호에 따라 광전 변환된 재생 신호가 형성되고, 수광부재 (154) 에접속된 외부 접속 단자 (154b) 에서 출력된다. 또한, 수광소자에 입사된 레이저 광 (152a) 의 일부는 포커스 및 트래킹 제어를 위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광 픽업중에 고밀도의 회절격자 (155f) 를 이용함으로써, 광 픽업 또는 복합 광학 유닛의 소형화ㆍ경량화를 더욱 도모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고밀도의 회절격자 (155f) 를 채택하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등으로 인한 반도체 레이저 (152) 의 파장 변동에 의해 회절광의 회절 각도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크게 변화할 우려가 있었다. 온도가 상승하면 반도체 레이저 (152) 의 파장이 길어지고, 도 5 중의 점선 (m1)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 (152) 측으로 수광 위치 (P) 가 상온부터 40 ℃ 의 변화로 약 8 ㎛ 위치 어긋남된다.
또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 (152) 에서 레이저 광 (532) 을 계속 출사하고 있으면, 히트 싱크에 의한 방열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레이저 (152) 가 온도 상승하고, 이 반도체 레이저 (152) 를 장착한 복합 광학 유닛 전체도 상온에서 40 ℃ 가까이 온도 상승하고, 이 때문에 복합 광학 부품 (155) 이 선팽창으로 인해 변형된다. 그 결과로서 도 6 의 점선 (nl)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면부 (155d) 는 반도체 레이저 (152) 측으로 어긋나고, 그 결과로서 레이저 광 (복귀광) (152a) 의 수광 위치 (P) 도 반도체 레이저 (152) 측으로 약 6 ㎛ 위치 어긋남된다.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 (152) 의 파장 변동으로 인한 수광 위치 (P) 의 위치어긋남과, 선팽창으로 인한 수광 위치 (P) 의 위치 어긋남이 동일한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40 ℃ 의 온도 변화에서 총 약 14 ㎛ 의 위치 어긋남으로 된다.
따라서, 수광부재 (154) 의 수광소자로 레이저 광 (복귀광) (152a) 이 충분히 입사되지 않아서, 트래킹 방향이나 포커스 방향의 광전 신호에 의한 광 픽업의 위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레이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등의 열 변동되었을 때에도,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재에 대한 수광 위치의 어긋남을 줄인 복합 광학 부품 및 이것을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복합 광학 유닛을 포함한 광 픽업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복합 광학 유닛에 있어서, 반도체 레이저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의 파장 변동에서 기인하는 광학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 은 상기 복합 광학 유닛에 있어서, 복합 광학 부품의 선팽창에 기인하는 광학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는 상기 일실시형태인 복합 광학 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광 픽업에 탑재된 복합 광학 유닛에 있어서, 반도체 레이저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의 파장 변동에서 기인하는 광학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상기 복합 광학 유닛에 있어서, 복합 광학 부품의 선팽창에 기인하는 광학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복합 광학 유닛 51, 61 : 하우징
52, 62 : 발광원 (반도체 레이저) 53, 63 : 레이저 다이오드
54, 64 : 수광부 55, 65 : 복합 광학 부품
55a, 65a : 입사면부 55b,65b : 입출사면부
55f, 65f : 회절격자 (회절부재) 55d : 반사면부
55d1 : 경사면 55e : 경사면부 (출사면부)
55e1 : 경사면 56, 66 : 수광소자
70 : 격자 패턴 D : 광 디스크
L1 : 레이저광 L2 : 복귀광
L3, L8, L9 : 회절광 L4 : 반사광
P : 수광 위치
상기 과제 중 적어도 1 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 수단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입사면부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입사면부로 입사된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또한 출사된 레이저 광의 복귀광이 입사되는 입출사면부가 형성된 복합 광학 부품이 있고, 이는 입출사면부에는 복귀광을 소정 방향으로 회절하는 회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레이저광의 광축을 사이에 둔 일측의 측벽에는 광축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회절부에서 회절된 회절광을 광축을 가로질러 일측의 측벽과는 반대측인 타측의 측벽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면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측벽에는 반사면부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부를 향해 출사하는 출사면부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발진 파장이 다르며 레이저 광의 광축이 서로 평행해지는 복수의 발광원을 구비하고, 회절부에는 각각의 발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부의 동일 위치에 결상시키는 격자 패턴이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가 있다.
또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회절부에서 회절된 회절광을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하도록 경사지게 한 반사면부가 있다.
또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반사면부에는 원통형의 면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출사면부에는 반사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부를 향해 굴절시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출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제 6 해결수단으로서, 복합 광학 유닛이 있고, 이는 양단에 제 1 과 제 2 개구부를 갖고, 측벽에 제 3 개구부를 갖는 통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제 1 개구부내에는 레이저 광을 내부로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장착하고, 제 2 개구부내에는 레이저 광을 디스크를 향해 출사하고, 그 복귀광을 수광하는 복합 광학 부품을 장착하고, 제 3 개구부내에는 복합 광학 부품의 반사면부에서 반사되며 출사면부에서 출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장착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복합 광학 유닛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복합 광학 유닛 (50) 을 포함한 광학 장치, 즉 광 픽업 (100) 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광 픽업 (100) 의 소정 위치에 복합 광학 유닛 (50) 이 고정되어 있다. 이 복합 광학 유닛 (50) 은 수발광 일체형 광학소자로서, 레이저 광에 의해 광 디스크 (D) 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거나 또는 광 디스크 (D) 에 대해 정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광 픽업 (100) 은 광 디스크 (D) 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광 디스크 (D) 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포커스 (F) 방향 및 광 디스크 (D) 의 반경방향인 트래킹 (T) 방향으로 가동 지지된 대물렌즈 (101)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 디스크 (D) 는 DVD 이다.
복합 광학 유닛 (50) 은 주로 발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 (52) 와, 수광부 (54) 와, 복합 광학 부품 (55) 과, 이들 부재가 일체로 장착 고정되는 하우징 (51) 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도체 레이저 (52) 는 금속제 원판형상의 기판부 (52a) 와, 기판부 (52a) 의 일측 평면부 (52a1) 에서 돌출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베이스 다이 (히트 싱크) (52b) 와, 베이스 다이 (52b) 의 측벽면의 단부에 위치 결정되어 고착된 발광 소자, 즉 레이저 다이오드 (53) 와, 베이스 다이 (52b) 를 포함하도록 기판부 (52a) 의 일측 평면부 (52a1) 에 장착 고정된 금속제 통형상을 띤 캡부 (52e) 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판부 (52a) 와 선단의 개구부에 유리판 (도시생략) 을 장착한 캡부 (52e) 로 둘러싸인 제 1 패키지내의 밀폐된 공간에 레이저 다이오드 (53) 가 배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 (53) 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광의 파장은 650 ㎚ 대이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 (53) 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광 (L1) 의 광축은 기판부 (52a) 의 일측 평면부 (52a1) 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한 유리판을 투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 (52a) 의 일측 평면부 (52a1) 와는 반대측인 타측 평면부 (52a2) 에서는 외부 접속 단자 (52g)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외부 접속 단자 (52g) 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 (53) 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 등을 실시하고 있다.
상기 수광부 (54) 는, PIN 포토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 수광소자 (56) 를 내장한 제 2 패키지 (54a) 와 이 패키지 (54a) 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한 외부 접속 단자 (52b) 를 갖고 있다. 외부 접속 단자 (52b) 를 통해 수광소자 (56) 용 전원 전압을 공급하거나 수광소자 (56) 에서 광전 변환된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합 광학 부품 (55) 은 높은 투과성을 갖는 수지제 등의 투명체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입사면부 (55a) 와 입출사면부 (55b) 를 갖는 기체부 (55c) 와, 입사면부 (55a) 와 연결되도록 입출사면부 (55b) 측으로 경사진 반사면부 (55d) 와, 반사면부 (55d) 의 레이저 광 (L1) 의 광축을 사이에 둔 반대측에 거의 대칭인 경사형상을 띤 경사면부 (55e) 를 갖고 있다. 또한, 기체부 (55c) 의 입출사면부 (55b) 측의 측단부에는 걸어맞춤부 (55j) 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하우징과의 장착 기준 부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출사면 (55b) 에는 소정 피치를 갖는 회절격자 (55f) 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면부 (55d) 의 표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광학 박막이 코팅됨으로써, 그 내벽면에는 반사면 (55d1)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부 (55e) 에는 출사면 (55e1)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면 (55d1) 은 복합 광학 부품 (55) 의 외부와의 경계면에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입사면부 (55a), 입출사면부 (55b) 및 출사면 (55e1) 도 복합 광학 부품 (55) 의 외부와의 경계면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의 복합 광학 부품 (55) 은 성형형틀을 사용한 성형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복합 광학 부품 (55) 의 출사면 (55b) 에는 회절격자 (55f) 가 되는 연속한 복수의 요철 부분이 복합 광학 부품 (55) 의 성형과 동시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51) 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 등의 금속제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그 도면중에서 좌측 단부에는 반도체 레이저 (52) 를 배치하기 위한 제 1 장착구멍 (51a) 이 형성되고, 여기에 반도체 레이저 (52) 를 위치 결정하여 장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 (51) 의 우단면에는 개구부 (51f) 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51) 의 우측 단부에는 복합 광학 부품 (55) 을 장착하기 위한 제 2 장착구멍 (51c) 이 제 1 장착구멍 (51a) 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51) 의 제 2 장착구멍 (51c) 의 내벽에는 상기 복합 광학 부품 (55) 의 걸어맞춤부 (55j) 를 장착하기 위한 돌출 맞닿음면 (51c2)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51) 의 길이방향 (도면중 가로방향) 의 측벽 중앙부분에는 관통구멍 (51d)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 (51d) 을 덮는 외벽에는 수광부 (54) 를 위치 결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51e) 가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제 블록은 원기둥형상, 직육면체형상 또는 다른 다각형의 기둥형상의 것 등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금속제 블록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로 한정되지 않고, 아연 다이캐스트, 마그네슘 합금 또는 다른 금속 등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어서, 하우징 (51) 에 대한 반도체 레이저 (52), 수광부재 (54) 및 복합 광학 부품 (55) 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복합 광학 부품 (55) 은 그 기체부 (55c) 가 하우징 (51) 의 제 2 장착구멍 (51c) 에 삽입되어 하우징 (51) 에 위치 결정되고, 접착제 등을 통해 그 걸어맞춤부 (55j) 가 하우징 (51) 의 돌출 맞닿음면 (51c2) 에 고착된다. 이 때, 복합 광학 부품 (55) 에 설치된 회절격자 (55f) 를 형성한 출사면 (55b) 이 하우징 (51) 의 제 1 장착구멍 (51c) 에서 노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반도체 레이저 (52) 는 캡부 (52e) 측이 하우징 (51) 의 제 1 장착구멍 (51a)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기판부 (52a) 에 있어서의 일측 평면부 (52a1) 측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하우징 (51) 에 위치 결정되며 접착제 등으로 고착된다.
또한, 수광부재 (54) 는 그 수광소자 (56) 가 하우징 (51) 의 관통구멍 (51d) 에 대향하도록 소정 위치에서 하우징 (51) 에 형성된 장착부 (51e) 에 위치 결정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착된다.
그리고, 수광부재 (54) 는 반도체 레이저 (52) 에 대해 90 도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광부재 (54) 는 미리 소정 기준 광학계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 (53) 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광 (L1) 의 복귀광 (L2) 이 회절격자 (55f) 에서 소정 회절각 (θ1) 으로 회절되고, 반사면부 (55) 의 반사면 (55d1) 에서 반사되었을 때에 수광소자 (56) 의 수광 위치 (P) 로 안내되도록 조정된 후, 장착부 (51e) 에 고착되는 것이다.
광 픽업 (100) 에는 반도체 레이저 (52) 의 레이저 광 (L1) 의 광축상에, 그 광축을 일치시켜 배치된 콜리메이터 렌즈 (102) 와, 레이저 광 (L1) 의 광축과 거의 45 도 기울여서 배치한 상승 미러 (103) 가 고착되어 있다.
이어서, 광 디스크 (D) 의 재생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광 디스크 (D) 를 재생할 때에는, 반도체 레이저 (52) 의 레이저 다이오드 (53) 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L1) 은, 복합 광학 부품 (55) 의 입사면부 (55a) 를 투과한 후, 입출사면부 (55b) 에서 출사된다. 그리고, 이 레이저 광 (L1) 은 콜리메이터 렌즈 (102) 에 의해 평행광으로 되고, 이 평행광으로 된 레이저 광 (L1) 은 상승 미러 (103) 에 의해 그 방향이 거의 90 도 변경되어 대물렌즈 (101) 로 입사된다. 대물렌즈 (101) 를 통과한 레이저 광 (L1) 은 대물렌즈 (101) 의 집광 작용에 의해 광 디스크 (D) 의 정보 기록면에 결상된다.
그 후, 광 디스크 (D) 에서 반사된 레이저 광 (복귀광) (L2) 은 다시 대물렌즈 (101) 를 투과하고, 상승 미러 (103) 로 반사되어 콜리메이터 렌즈 (102) 를 투과한 후, 복합 광학 부품 (55) 의 회절격자 (55f) 로 입사된다. 그리고, 소정 회절각 (θ1) 으로 회절된 회절광 (L3) 이 된다. 회절광 (L3) 은 다시 복합 광학 부품 (55) 의 반사면 (55d1) 에 의해 반사되고, 이 반사광 (L4) 은 출사면 (55e1) 에서 수광부재 (54) 의 수광소자 (56) 의 수광 위치 (P) 를 향해 출사된다.이 때, 수광소자 (56) 로 입사된 레이저 광 (반사광 (L4)) 이 광전 변환됨으로써 광 디스크 (D) 의 정보 기록면의 신호에 따른 전류 출력을 전압 신호로 변환시킨 재생 신호가 형성되고, 수광부 (54) 의 외부 접속 단자 (54b) 에서 출력된다. 또한, 수광소자 (56) 로 입사된 반사광 (L4) 의 일부는 포커스 및 트래킹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이어서, 광 픽업 (100) 의 복합 광학 유닛 (50) 에 있어서, 온도 상승되었을 때의 광 디스크 (D) 로부터의 복귀광의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 (52) 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L1) 은 반도체 레이저 (52) 자신이 열상승하면, 그 발진 파장이 약 658 ㎚ 내지 약 664 ㎚ 로 장파장 방향으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D) 에 반사되어 광 픽업 (100) 의 복합 광학 유닛 (50) 으로 되돌아 온 복귀광 (L2) 은, 회절격자 (55f) 에서의 회절각 (θ1) 이 복귀광 (L2) 의 파장 (λ) 과 회절격자 (55f) 의 피치 (t) 와의 관계를 나타내면, t = λ/sinθ1 이 된다.
따라서, 이 복귀광 (L2) 의 변화 ( Δλ) 에 의한 회절각 (θ1) 의 변화 ( Δθ1) 는,
Δθ1 = Δλ·tanθ1/λ가 되기 때문에, 출사되는 복귀광 (L2) 의 회절각 (θ1) 이 커진다.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 (52) 의 파장 변동에 의해 레이저 광 (회절광 (L3)) 은 도면중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광로로 반사면부 (55d) 에 입사된다.
그리고, 반사면부 (55d) 에서 반사된 반사광 (L4) 이 출사면부 (55e) 를 통과하여 수광부재 (54) 의 수광소자 (56) 에 도면중의 점선으로 나타낸 광로로 입사된다.
한편,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복합 광학 유닛 (50) 에 있어서, 온도 상승되었을 때의 복합 광학 부품 (55) 의 상태를 설명하면, 복합 광학 부품 (55) 은 하우징 (51) 의 걸어맞춤부 (55j) 를 기준으로 하여 선팽창에 의해 팽창 변형된다.
따라서, 도면중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면부 (55d) 가 외측으로 팽창됨으로써 반사광 (L4) 은 통상보다 입사면부 (55a) 측으로 위치가 어긋난 광로를 통과하고, 마찬가지로 선팽창된 출사면부 (55e) 를 통과하여 수광부 (54) 의 수광소자 (56) 에 도달한다.
따라서, 온도 상승되었을 때의 복합 광학 유닛 (50) 의 광학계에서는, 기체부 (55c) 가 열로 인해 선팽창됨에 따른 수광 위치 (P) 의 어긋남과, 레이저 광 (L1) 의 발진 파장의 변동에 따른 수광 위치 (P) 의 어긋남이 상대적으로 캔슬되는 방향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 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복합 광학 부품에 의하면, 열로 인해 반도체 레이저 (52) 의 레이저 광 (L1) 의 발진 파장이 변동된 경우, 종래 회절부 (55b) 에 의한 회절각이 변화되어 수광 위치 (P) 가 어긋났으나, 복합 광학 부품 (55) 의 광축 (기체부 (55c) 의 중심축) 을 사이에 둔 일측의 측벽에 반사면부 (55d) 가 형성되고, 회절부 (55f) 에서 회절된 회절광 (L3) 이 광축을사이에 둔 반대측에서 수광부 (54) 로 출사되고, 기체부 (55c) 가 열로 인해 선팽창됨에 따른 수광 위치 (P) 의 어긋남과, 레이저 광 (l1) 의 발진 파장의 변동에 따른 수광 위치 (P) 의 어긋남이 상대적으로 캔슬 방향에 있기 때문에, 열 변동으로 인한 수광 위치 (P) 의 어긋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반사면부 (55d) 는 회절부 (55f) 에서 회절되어 입사된 복귀광 (L2) 에 대해 회절광 (L3) 으로서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그 경계면에서 전반사되어 회절광 (L3) 을 광 손실 없이 출사할 수 있다.
또한, 반사면부 (55d) 에는 원통형의 면을 형성함으로써, 광 픽업에 있어서의 복합 광학 유닛 (50) 의 포커스 방향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점수차 (非点收差) 를 발생시키는 광학부품, 예컨대 원통 렌즈를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위치 조정의 필요성이 없고, 부품점수 (部品点數) 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복합 광학 부품 (55) 에는 반도체 레이저 (52) 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L1) 이 입사되는 입사면부 (55a) 및 출사되는 입출사면부 (55b) 를 갖고, 입출사면부 (55b) 에는 광 디스크 (D) 에서 반사된 복귀광 (L2) 을 회절시키는 회절격자 (55f) 를 설치하고, 회절격자 (55f) 에서 회절된 회절광 (L3) 을 반사시키는 반사면 (55d1) 을 설치하고, 또한 반사면 (55d1) 에서 반사된 반사광 (L4) 을 수광부재 (54) 로 출사하는 출사면 (55e1) 을 설치하고, 그리고 레이저 광 (L4) 을 다시 반도체 레이저 (52) 와 거의 90 도가 되도록 배치한 수광부 (54) 의 수광 위치 (P) 로 안내함으로써, 반도체 레이저 (52) 와 수광부 (54) 를 하우징 (51) 에 대해 90 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복합 광학 유닛 (50) 을 실용적인 크기까지 소형화ㆍ박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52) 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53) 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광 (L1) 의 파장이 DVD 용인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CD 용 레이저 다이오드를 갖는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CD 대응의 복합 광학 유닛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DVD, CD 용 이외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반도체 레이저, 예컨대 청색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도 4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발진 파장이 다른 레이저 다이오드를 각각 갖는 2 파장 반도체 레이저를 구비하고, DVD 와 CD 의 쌍방을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 픽업용 복합 광학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복합 광학 유닛 (60) 은 주로 발광원으로서의 2 파장 반도체 레이저 (62) 와, 이에 대응한 수광부 (64) 와, 복합 광학 부품 (65) 과, 이들 부재 (62,64,65) 가 일체로 장착 고정되는 하우징 (51) 을 갖고 있다.
2 파장 반도체 레이저 (62) 는, DVD 용 레이저 파장을 발진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53) 외에, CD 용 레이저 파장 (780 ㎚ 대) 을 발진하는 제 2 레이저 다이오드 (63) 를 구비하고 있으며, 형상적으로는 상술한 반도체 레이저 (52) 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2 파장 반도체 레이저 (62) 는 2 개의 레이저 다이오드 (53,63) 가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 다이 (히트 싱크) 에 탑재되고,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53,63) 에서 각각 출사되는 각각의 레이저 광 (L5,L6) 의 광축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합 광학 부품 (65) 은 높은 투과성을 갖는 수지제 등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입사면부 (65a) 와 입출사면부 (65b) 를 갖는 기체부 (基體部) (65c) 와, 입사면부 (65a) 와 연결되도록 입출사면부 (65b) 측으로 경사진 반사면부 (65d) 와, 반사면부 (65d) 의 각각의 레이저 광 (L5,L6) 의 광축을 사이에 둔 반대측에 거의 대칭인 경사형상을 띤 경사면부 (65e) 를 갖고 있다. 또한, 기체부 (65c) 의 입출사면부 (65b) 측의 측단부에는 걸어맞춤부 (65j) 가 형성되며, 하우징 (51) 과의 장착 기준 부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입출사면부 (65b) 에는 각각의 레이저 광 (L5,L6) 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부 (64) 의 동일 수광 위치에 결상시키는 격자 패턴 (70) 이 형성되어 있다.
복합 광학 부품 (65) 의 반사면부 (65d) 는 그 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광학 박막이 코팅됨으로써, 그 내벽면에 반사면 (65d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면 (65d1) 에 2 개의 다른 레이저 광에 의한 각각의 회절광 (L8,L9) 이라도 수광부 (64) 의 수광소자 (66) 의 동일한 수광 위치 (P) 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부 (65e) 에는 출사면 (65e1)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자 패턴 (70) 은 수광부 (64) 의 수광 위치 (P) 에서 DVD 용 레이저 광 (L5) 과 CD 용 레이저 광 (L6) 을 격자 패턴 (70) 을 향해 출사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회절격자의 특성에 의해 파장이 긴 광일수록 회절격자에서 회절된 광은 회절각이 커져서 외측으로 넓어지고, 회절각 (θ3) 이 큰 측의 광인 CD 용 레이저광의 광축을 복합 광학 부품 (65) 의 격자 패턴 (70) 에서 회절되는 레이저 광 (L6) 의 광축과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회절각 (θ4) 이 작은 측의 광인 DVD 용 레이저 광 (L5) 의 광축을 복합 광학 부품 (55) 의 격자 패턴 (70) 에서 회절되는 레이저 광 (L5) 의 광축과 일치시키도록, 그 격자 패턴 (70) 을 복합 광학 부품 (55) 상에 형성하고 있다.
사용되는 수광부 (64) 도 상기 수광부 (54) 와 거의 구조가 동일하여, PIN 포토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DVD 용 및 CD 용의 2 파장 반도체 레이저에서 출사되는 각각 파장이 다른 레이저 광의 쌍방을 광전 변환시킬 수 있는 수광소자 (66) 를 내장하고 있다.
이어서, DVD (도시생략) 및 CD 의 재생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DVD 를 재생할 때에는, 상술한 일실시형태의 재생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CD 를 재생할 때에는, 2 파장 반도체 레이저 (62) 의 레이저 다이오드 (63) 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L6) 은 복합 광학 부품 (65) 의 입사면부 (65a) 를 투과한 후, 입출사면부 (65b) 에서 광 디스크 (CD) 로 출사된다.
이 레이저 광 (L6) 은 대물렌즈 (101) 로 입사되어 대물렌즈 (101) 의 집광 작용에 의해 CD 의 정보 기록면에 결상된다 (도 1 참조).
그 후 광 디스크 (CD) 에서 반사된 레이저 광 (복귀광) 은, 다시 대물렌즈 (101) 를 투과한 후, 격자 패턴 (70) 으로 입사되어 소정 회절각으로 회절된 회절광 (L9) 이 된다. 그리고, 회절광 (L9) 은 복합 광학 부품 (65) 에 형성된 반사면 (65d) 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 (64) 의 수광소자 (66) 에 있어서의 수광 위치 (P) 로 입사된다.
이 때, 수광소자 (56) 로 입사된 레이저 광은 광전 변환됨으로써 CD 의 정보 기록면의 신호에 따른 전류 출력을 전압 신호로 변환한 재생 신호가 형성되어 수광부 (64) 의 외부 접속 단자에서 출력된다. 또한, 수광부 (64) 로 입사된 레이저 광의 일부는 포커스 및 트래킹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이어서,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복합 광학 유닛에 있어서, 2 파장 반도체 레이저 (62) 가 열에 의해 온도 상승되었을 때의 광 디스크 (D) 로부터의 복귀광의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2 파장 반도체 레이저 (62) 에서 CD 용 레이저 광 (L6) 이 출사된 경우, 복합 광학 부품 (65) 의 입출사면부 (65d) 에서 광 디스크 (CD) 를 향해 출사되고, 그 디스크 면에서 반사된 복귀광이 다시 복합 광학 부품 (65) 으로 입사되는데, 파장 변동 (발진 파장이 약 785 ㎚ 내지 약 794 ㎚) 에 의해 장파장 방향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격자 패턴 (70) 으로 통상보다 큰 회절각으로 반사면부 (65d) 를 향한다.
따라서, 반사면부 (65d) 에 도달한 복귀광의 회절광은, 통상의 반사위치보다 측벽측으로 위치가 어긋난다. 그러나, 선팽창된 기체부 (65c) 는 그 장착 기준면 부분이 되는 걸어맞춤부 (65j) 에 대해 외측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상기 복귀광이 기체부 (65c) 내를 출사부 (65e) 를 향해 투광하고, 수광부 (64) 에서 수광하였을 때에는, 거의 통상의 수광 위치 (P) 에 도달하여 그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들은 2 파장 반도체 레이저에서 상기한 바와 다른 발진 파장의 레이저 광 (DVD 등) 이 각각 출사된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DVD 용 및 CD 용의 파장이 다른 레이저 다이오드 (53 및 63) 를 각각 갖는 2 파장 반도체 레이저 (62) 를 설치하고, 또한 2 파장 반도체 레이저 (62) 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L5,L6) 을 평행한 광로가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구조도 간소화할 수 있고, 복합 광학 유닛 (60) 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빔 스플리터와 같은 광로를 합파(合波)하는 새로운 광학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변형예인 복합 광학 부품에 의하면, 2 파장 레이저는 발진 파장이 다르고 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2 개의 발광원을 구비하고, 회절부에는 각각의 발광원에서 출사된 광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부의 동일 위치에 결상시키는 격자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1 개의 복합 광학 부품으로 복수개의 발진 파장을 사용하는 광학장치에 대응할 수 있고, 1 개의 수광부 (64) 만을 조정하여 위치 결정하면 되므로 작업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광학 유닛은, 광 픽업으로의 적용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 (광원) 에서 광을 출사하고,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발광 일체형 광학소자로서 다른 광학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복합 광학 부품에 의하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입사면부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입사면부로 입사된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또한 출사된 레이저 광의 복귀광이 입사되는 입출사면부가 형성된 복합 광학 부품에 있어서, 입출사면부에는 복귀광을 소정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회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레이저광의 광축을 사이에 둔 일측의 측벽에는 그 광축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회절부에서 회절된 회절광을 광축을 가로질러 일측의 측벽과는 반대측인 타측의 측벽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면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측벽에는 반사면부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부를 향해 출사하는 출사면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열의 영향으로 레이저 광의 발진 파장이 변동되고 또한 선팽창으로 복합 광학 부품이 변형되어도 장착 위치에 대해 출사광의 수광 위치의 변화를 줄일 수 있고, 열 변동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는 발진 파장이 다르며 레이저 광의 광축이 서로 평행해지는 복수의 발광원을 구비하고, 회절부에는 각각의 발광원에서 출사된 광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사광을 수광부의 동일 위치에 결상시키는 격자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1 개의 복합 광학 부품으로 복수개의 발진 파장을 사용하는 광학 장치에 대응할 수 있고, 1 개의 수광부만을 조정하여 위치 결정하면 되므로 작업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반사면부는, 회절부재에서 회절된 회절광을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하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복귀광에 대한 광 손실을 줄여 복귀광의 대부분을 반사할수 있다.
또한, 반사면부에는 원통형의 면을 형성함으로써, 비점수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원통형 렌즈를 새로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출사면부에는 반사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부를 향해 굴절시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출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 및 수광부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 광학 유닛의 소형화와 설계 변경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광학 유닛에 있어서는, 양단에 제 1 과 제 2 개구부를 갖고, 측벽에 제 3 개구부를 갖는 통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제 1 개구부내에는 레이저 광을 내부로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장착하고, 제 2 개구부내에는 레이저 광을 디스크를 향해 출사하고, 그 복귀광을 수광하는 복합 광학 부품을 장착하고, 제 3 개구부내에는 복합 광학 부품의 반사면부에서 반사되며 출사면부에서 출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장착함으로써, 회절부에 의한 복귀광의 수광 위치가 전방으로 어긋나지만, 반사면부는 선팽창에 의해 후방으로 어긋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캔슬된 수광 위치가 되므로, 열에 의한 영향이 있어도 수광 부분의 위치 어긋남을 줄일 수 있는 복합 광학 유닛으로 할 수 있다.

Claims (9)

  1.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입사면부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입사면부로 입사된 상기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또한 출사된 상기 레이저 광의 복귀광이 입사되는 입출사면부가 형성된 복합 광학 부품에 있어서,
    상기 입출사면부에는 상기 복귀광을 소정 방향으로 회절하는 회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레이저광의 광축을 사이에 둔 일측의 측벽에는 상기 광축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상기 회절부에서 회절된 회절광을 상기 광축을 가로질러 상기 일측의 측벽과는 반대측인 타측의 측벽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의 측벽에는 상기 반사면부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부를 향해 출사하는 출사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발진 파장이 다르며 상기 레이저 광의 광축이 서로 평행해지는 복수의 발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절부에는 상기 각각의 발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에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반사광을 상기 수광부의 동일 위치에 결상시키는 격자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부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부는, 상기 회절부에서 회절된회절광을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하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부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부에는 원통형의 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부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부에는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수광부를 향해 굴절시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출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부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복합 광학 부품을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으로서,
    양단에 제 1 과 제 2 개구부를 갖고, 측벽에 제 3 개구부를 갖는 통(筒)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구부내에는 레이저 광을 내부로 출사하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개구부내에는 상기 레이저 광을 디스크를 향해 출사하고, 그 복귀광을 수광하는 상기 복합 광학 부품을 장착하고, 상기 제 3 개구부내에는 상기 복합광학부품의 상기 반사면부에서 반사되며 상기 출사면부에서 출사된 광을 수광하는 상기 수광부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유닛.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부에는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수광부를 향해 굴절시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출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부품.
  8. 제 3 항에 기재된 복합 광학 부품을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으로서,
    양단에 제 1 과 제 2 개구부를 갖고, 측벽에 제 3 개구부를 갖는 통(筒)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구부내에는 레이저 광을 내부로 출사하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개구부내에는 상기 레이저 광을 디스크를 향해 출사하고, 그 복귀광을 수광하는 상기 복합 광학 부품을 장착하고, 상기 제 3 개구부내에는 상기 복합광학부품의 상기 반사면부에서 반사되며 상기 출사면부에서 출사된 광을 수광하는 상기 수광부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유닛.
  9. 제 5 항에 기재된 복합 광학 부품을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으로서,
    양단에 제 1 과 제 2 개구부를 갖고, 측벽에 제 3 개구부를 갖는 통(筒)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구부내에는 레이저 광을 내부로 출사하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개구부내에는 상기 레이저 광을 디스크를 향해 출사하고, 그 복귀광을 수광하는 상기 복합광학부품을 장착하고, 상기 제 3 개구부내에는 상기 복합광학부품의 상기 반사면부에서 반사되며 상기 출사면부에서 출사된 광을 수광하는 상기 수광부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학 유닛.
KR10-2001-0062385A 2000-10-10 2001-10-10 복합 광학 부품 및 이를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 KR100416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4445A JP3696496B2 (ja) 2000-10-10 2000-10-10 複合光学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光学ユニット
JPJP-P-2000-00314445 2000-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837A KR20020028837A (ko) 2002-04-17
KR100416285B1 true KR100416285B1 (ko) 2004-01-31

Family

ID=1879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385A KR100416285B1 (ko) 2000-10-10 2001-10-10 복합 광학 부품 및 이를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96496B2 (ko)
KR (1) KR100416285B1 (ko)
CN (1) CN1169134C (ko)
TW (1) TW559802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674A (en) * 1986-07-31 1988-12-2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tical head assembly and element holder with positional adjustment
KR970017279A (ko) * 1995-09-29 1997-04-30 배순훈 광 픽-업장치
KR970071552A (ko) * 1996-04-26 1997-11-07 배순훈 광 픽-업 장치
JP2001101701A (ja) * 1999-10-01 2001-04-13 Alps Electric Co Ltd 複合光学ユニット
KR20010050724A (ko) * 1999-10-01 2001-06-15 가타오카 마사타카 복합광학부재 및 이것을 구비한 복합광학유닛 및 이광학유닛을 구비한 광픽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674A (en) * 1986-07-31 1988-12-2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tical head assembly and element holder with positional adjustment
KR970017279A (ko) * 1995-09-29 1997-04-30 배순훈 광 픽-업장치
KR970071552A (ko) * 1996-04-26 1997-11-07 배순훈 광 픽-업 장치
JP2001101701A (ja) * 1999-10-01 2001-04-13 Alps Electric Co Ltd 複合光学ユニット
KR20010050724A (ko) * 1999-10-01 2001-06-15 가타오카 마사타카 복합광학부재 및 이것을 구비한 복합광학유닛 및 이광학유닛을 구비한 광픽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16310A (ja) 2002-04-19
JP3696496B2 (ja) 2005-09-21
TW559802B (en) 2003-11-01
CN1347105A (zh) 2002-05-01
CN1169134C (zh) 2004-09-29
KR20020028837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7939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US6560188B1 (en) Compound optical unit mounted on optical device
KR100480615B1 (ko) 2파장 광원 모듈을 채용한 광픽업
US6912234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laser diode chip
KR100384674B1 (ko) 광 헤드 및 이를 이용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 장치
KR20030095018A (ko) 2파장 광원 모듈을 채용한 광픽업 및 위치 공차 보정방법
KR100416285B1 (ko) 복합 광학 부품 및 이를 사용한 복합 광학 유닛
US7283433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ptical head device and optical head device
JP2572828B2 (ja) 光ヘッド
JP3333819B2 (ja) 複合光学ユニット
KR100427828B1 (ko) 광학부재 및 이를 사용한 광픽업
JP2003151170A (ja) 光集積ユニット
JP2002304761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497380B1 (ko) 광출력 모듈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장치
JP2000222766A (ja) 光学装置
JPH1011794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4227680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014390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50008767A (ko) 2파장 광소자
JP2001167467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9990084524A (ko) 삼파장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JPH11144284A (ja) 光学ピックアップ
JPH1186315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1266398A (ja) 複合光学部材およびその検査方法
JP2572828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