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314B1 -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314B1
KR100415314B1 KR10-2001-0086503A KR20010086503A KR100415314B1 KR 100415314 B1 KR100415314 B1 KR 100415314B1 KR 20010086503 A KR20010086503 A KR 20010086503A KR 100415314 B1 KR100415314 B1 KR 10041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quality
home
traf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304A (ko
Inventor
박승민
박태준
박윤경
김진구
강준석
김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8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3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에서 홈서버에 연결된 홈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응용부재가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미브(MIB) 서비스품질 정보를 차등화 서비스의 DSCP로 매핑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P 서비스품질 프록시 기능이 있다. 차등화 서비스 클래스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미브 서비스품질 정보가 인터넷 서비스제공자(ISP)와 사용자 사이에 맺은 서비스수준계약서(SLA)를 사용하여 분류하기 때문에 차등서비스를 홈네트워크 내에서부터 외부의 인터넷 망까지 승계(inherit)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 구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측정기, 표시기, 샤퍼/드롭퍼 기능을 그대로 보더게이트웨이에 적용하고,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IP 서비스품질 프록시 기능만을 추가 설계하여 홈네트워크에 적용하므로 구현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A Differentiated Service Adapting 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서 인터넷의 차등화 서비스(Differentiated Ser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서버의 미브(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정보변수를 참조하여 IP 트래픽을 분류하고 마킹하는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OSGI에서 서비스 게이트웨이와 관련된 발명이다.
현재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에서 WAN 상의 통신 서비스를 가정내의 LAN과 가전 기기 간에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개방형 게이트웨이 규격을 제정하기 위한 위원회이다. OSGI규격은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 개발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원격 제어장치 및 가전기기 개발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개발,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방형 공통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나 OSGI에서 제시한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현재 홈네트워크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없다.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의 서비스품질(QoS)는 전송류르 에러율, 그리고 측정과 개선이 가능하며, 어느 정도는 미리 보증할 수 있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의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를 사용하면, 게이트웨이 호스트를 통과하는 패킷들은 사전에 설정된 정책과 예약기준에 따라 신속히 처리될 수있다. 회사나 사용자가 서비스의 품질을 사전에 선택할 수 있도록 ATM을 사용하면, 서비스품질은 게이트웨이에서 평균지연, 셀의 그룹 내에서의 지체 변환량, 셀손실, 그리고 전송 에러율 등의 형태로 측정되고 보증될 수 있다.
선행 스웨덴특허 등록번호 EP 1 111 862 A1호 "Method and devices to provide a defined quality of service in a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는 패킷 스위칭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정의된 품질 파라미터를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방법을 목적으로 하느것으로,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들어오는 사용자 패킷을 받아서 사용자 패킷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서비스품질을 체크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내용과 점검 및 마킹을 하는 것이다. 선행특허는 패킷 스위칭 통신 시스템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선행논문 IEEE Network, April, 1999, vol 13 no.2 pp8-18 "Internet QoS: A Big Picture"는 현재 인터넷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과 전망을 논의한다. MPLS, RSVP, DiffServ와 관련된 인터넷 서비스품질 기술을 설명하였고 앞으로의 서비스품질 기술의 적용방안을 전망한다. 현재 인터넷 기술의 현황을 살펴보고 차후 인터넷 기술 전망을 살피고 있다. 선행논문은 인터넷 품질보장 방안에 큰 범주에서 설명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넷에 사용하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을 홈네트워크에 적용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원격제어 단말(10)은 노트북 또는 PDA와 같은 터미널 장비(TE; Terminal Equipment)로 사용자의 가정에 홈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더게이트웨이(Border Gateway)(12, 14)는 DS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을 연결하며 DS 코드 포인트에 기초해서 적당한 PHB를 적용하며 두 DS 도메인 사이의 TCA(Traffic Conditioning Agreement)에 따라 통신제어(traffic conditioning)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보더게이트웨이(12, 14)의 역할은 특정 패킷에 대한 트래픽 프로파일(traffic profile)에 대한 트래픽 스트림(traffic stream)을 측정하고, 그 상태에 따라 패킷이 인 프로파일(in-profile)인지 아웃 오브 프로파일(out-of-profile)인지를 결정해서 마킹(marking), 드롭핑(dropping), 쉐이핑(shaping) 하는 것이다.
보더 게이트웨이(14)는 홈게이트웨이/홈서버(16)가 속해 있는 망의 보더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며, 홈게이트웨이/홈서버(16)는 홈네트워크에 위치한 가정 내부의 각종 서비스와 외부 통신망 서비스를 연결하는 중요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 단말(10)의 응용부재는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와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를 동시에 고려하고 보더 게이트웨이(12)는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홈서버와 홈게이트웨이는 동일 장비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송신측은 원격제어단말(10)이고 수신측은 홈디바이스의 차등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홈게이트웨이/홈서버(16)이다.
먼저 원격제어단말(10)에서 홈게이트웨이/홈서버(16)로 패킷이 전송되는 업링크(uplink)에 대해 기술한다.
원격제어단말(10)에서 IP 서비스를 요청하면 홈게이트웨이/홈서버(16)에서는 사용자 가정의 가용 서비스를 탐색(30)을 시작한다.
원격제어단말(10)은 가용 서비스 탐색(30) 절차를 통해 가정내에 홈서버(16)에 연결되어있는 가정기기의 정보를 얻어올 수 있다.
가용 서비스 탐색(30)이 완료되면, 원격제어단말(10)은 IP 헤더에 클래스 마킹을 하거나 또는 원격제어단말(10)이 소형 무선 단말인 경우에는 보더게이트웨이(12)에 의해서 사용자는 ISP와 맺은 SLA에따라서 마킹을 해서 차등서비스를 지원한다.
이후 설정된 DS코드 포인트에 기초하여 모든 DS 노드는 적당한 PHB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DS 보더 라우터는 두 DS 도메인 사이의 TCA(Traffic Conditioning Agreement)에 따라 트래픽 제어(traffic conditioning)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내부 노드는 DS 코드 포인트 리마킹(Re-marking)과 같은 제한된 traffic conditioning을 제공한다.
원격제어단말(10)이 트래픽을 전송할 때,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10)기가 IP 헤더의 DS(Differentiated Service) 필드에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를 마킹(marking)한다.
DSCP가 마킹된 IP 트래픽(20)은 보더 게이트웨이(12), 보더 게이트웨이(14), 그리고 홈게이트웨이/홈서버(16)까지의 경로에 있는 모든 라우터(router)들을 거치면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그러나 원격제어단말(10)이 소형무선단말인 경우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ISP와 맺은 SLA 계약에따라 보더게이트웨이(12)에의해서 마커(marker)에 의한 차등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다음 홈게이트웨이/홈서버(16)에 연결된 홈디바이스(40)에서 원격제어단말(10)로 패킷이 전송되는 다운링크(downlink)에 대해 기술한다.
홈디바이스(40)가 차등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홈게이트웨이/홈서버(16)의 IP 서비스품질 프록시(Proxy)(110)가 홈디바이스(40)를 대신하여 IP 트래픽(20) 헤더의 DS 필드에 DSCP를 마킹하여 발신측인 원격제어단말(10)에게 전송한다.
IP 트래픽(20)은 인터넷망을 거쳐서 보더게이트웨이(12)까지 전달된다.
이때에도 IP 트래픽(20)은 경로상에 존재하는 모든 중간 라우터들에게 DSCP를 기준으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등화 서비스 방법은 결정적으로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홈디바이스는 DSCP를 마킹할 때 필요한 서비스품질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즉, 홈디바이스가 DSCP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 홈게이트웨이/홈서버의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DSCP를 마킹하여야 하는 이러한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홈디바이스의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IP 트래픽을 송신하면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게 전달되고 이를 수신한 본 발명의 홈게이트웨이/홈서버는 ISP와 SLA에 근거하여 MIB정보를 참조하여 DS 필드에 DSCP를 마킹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다.
즉, 홈디바이스가 DSCP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 홈게이트웨이/홈서버이트웨이의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DSCP를 마킹하여 홈네트워크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 1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홈디바이스에 탑재된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홈게이트웨이/홈서버가 ISP와 SLA계약에 따라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MIB 서비스품질 정보를 차등화 서비스의 DSCP로 매핑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 2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등화 서비스 클래스를 분류하데 있어서 홈게이트웨이/홈서버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사용하여 분류하기 때문에 홈네트워크내에서 사용하는 서비스품질 클래스를 외부의 인터넷망 까지 승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제 3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 구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측정기(Meter), 표시기(Marker), 샤퍼/드롭퍼(Sharper/Dropper) 기능을 그대로 적용하고,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IP 서비스품질 프록시(Proxy)기능만을 추가 설계하였으므로 구현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데 제 4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서비스품질 정보를 DSCP로 매핑하는 방법을 따를 경우, 서비스품질 매핑을 쉽게 이룰 수 있게 하는 데 제 5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첫째, 홈게이트웨이/홈서버의 응용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있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이를 지정한다.
둘째, DSCP를 지정하는데 있어서 홈게이트웨이/홈서버의 MIB 서비스품질 정보를 이용한다.
셋째, 서비스품질 정보 요소를 차등화 서비스의 DSCP로 매핑한다.
넷째, 구현 구조를 고려하여 인터넷의 라우터에 구현되는 차등화 서비스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고, 홈게이트웨이/홈서버의 IP 서비스품질 프록시(Proxy)의 기능만을 추가시켜 적용한다.
도 1은 종래 차등화 서비스에 홈네트워크를 적용방법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구조도.
도 3은 도 2의 홈 서버를 이용한 IP 트래픽 송신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각 요소별(원격제어 단말/PDA, IS95C, 보더게이트웨이, 정책서버/대역폭브로커, 홈서버/홈게이트웨이)에 대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홈서버/홈게이트웨이 102 : 선행표시기(Premarker)
110 : IP 서비스품질 프록시(Proxy)
112 :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
114 : 서비스품질 조회기능 116 : 쿼리 인터페이스
118 :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119 : 서비스품질 캐쉬
130 :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132 : 응용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홈디바이스로부터 IP 트래픽을 수신하면 IP 트래픽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조회하고 DSCP로 매핑하고 분류하는 IP 서비스품질 프록시, DSCP로 매핑되고 분류된 서비스품질 정보를 보더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전표시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IP 서비스품질 프록시는 홈디바이스로부터 IP 트래픽을 수신하면 IP트래픽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캐쉬부로부터 조회하는 서비스품질 조회기능부, 서비스품질 캐쉬부에 서비스품질 정보가 없으면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조회기능부로 제공하는 미브,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조회 기능부로부터 수신하여 DSCP매핑 및 분류하는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 기능부를포함하낟.
또한, 미브는 인터넷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수준 계약서에 근거한 사용자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인터넷서비스제공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브는 서비스품질 정보를 송수신 시에 서비스품다 조회기능부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쿼리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품질 캐쉬부는 서비스품질 정보와 동일한 목적지로 한 번 이상 전송되면 서비스품질 정보를 동적으로 저장하여 다음 동작시에는 미브로부터 서비스품질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홈게이트웨이/홈서버로 IP 트래픽을 송신하는 데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DSCP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의 IP 트래픽을 홈게이트웨이/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IP 트래픽을 수신한 홈서버/홈게이트웨이는 IP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품질 정보가 서비스품질 캐쉬에 있는지 조회하는 단계, IP 트랙픽의 서비스품질 정보가 서비스품질 캐쉬에 있으면 IP 트래픽과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으로 전달하는 단계, IP 트랙픽의 서비스품질 정보가 서비스품질 캐쉬에 없으면 쿼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미브를 조회하여 상기 IP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품질 정보를 가져오는 단계, IP 트래픽과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으로 전달하고,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캐쉬에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은 서비스품질 정보를 DSCP로 매핑하고 동일한 DSCP 별로 모으는 단계, IP 트래픽을 전표시기(Premarker)로 전달하는 단계, DSCP가 마킹된 IP 트래픽을 보더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의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디바이스, 홈게이트웨이/홈서버와 보더 게이트웨이와 원격제어단말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차등화 서비스 기능을 기본을 보더게이트웨이에 두고, 홈디바이스의 응용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있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네트워크에서 홈게이트웨이/홈서버는 홈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MIB 서비스품질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근거로 하여 DS 코드포인트를 마킹하는 기능을 한다.
MIB 서비스품질 정보는 ISP와 사용자간에 맺은 SLA에 근거로 하며 사용자가 홈네트워크에서 ISP로 로그인했을 경우 자동으로 MIB정보를 홈서버에 저장이된다.
이러한 MIB정보에는 각 가정에 대한 서비스품질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이 서비스품질 정보를 DSCP를 마킹하는데 이용할 경우, DSCP는 보다 근거를 가지고 적합하게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착안하여 MIB 서비스품질 정보를 DSCP를 지정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한 것으로 즉, 저장된 MIB 서비스품질 정보를 가져와서 DSCP를 마킹하는데 있어서 기준 자료로 사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홈게이트웨이/홈서버의 차등화 서비스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차등화 서비스가 가능한 홈서버/홈게이트웨이(100)의 구조는 크게 전표시기(Premarker)(102), IP 서비스품질 프록시(Proxy)(110)로 구성된다.
IP 서비스품질 프록시(110)는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 서비스품질 조회기능(114), 쿼리 인터페이스(116), MIB(118), 그리고 서비스품질 캐쉬(Cash)(119)로 구성된다.
MIB(118)는 ISP와 사용자 사이에 계약에 의해 맺은 SLA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로그인 했을 경우 ISP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서비스품질 클래스 설정에 기준이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활용한다.
서비스품질 조회기능(114)은 홈디바이스로부터 들어온 패킷 헤더의 일부를 참조하고 수신된 IP 트래픽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MIB(118)에서 조회(retrieval)하여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으로 전달하며, 조회한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캐쉬(119)에 둔다.
서비스품질 캐쉬(119)는 서비스품질 정보와 목적지 주소를 동적으로 저장한다.
따라서 동일한 목적지로 IP 트래픽이 한 번 이상 전송되면 MIB(118)를 조회하지 않고 서비스품질 캐쉬(119)에 있는 서비스품질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쿼리 인터페이스(116)는 서비스품질 조회기능(114)이 MIB(118)에서 서비스품질 정보를 쿼리(query)하는 데 필요한 인터페이스이다.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은 패킷 헤더의 일부를 참조하고, 서비스품질 조회기능(16)으로부터 서비스품질 정보를 수신받아 DSCP로 매핑하고, 매핑된 DSCP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분류된 패킷들을 전표시기(Premarker)(102)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IP 트래픽 송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홈네트워크 디바이스(130)의 응용(132)은 대부분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DSCP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의 IP 트래픽을 홈게이트웨이/홈서버(100)로 전송한다.
IP 트래픽을 수신한 홈서버/홈게이트웨이(100)에서 서비스품질 조회기능(114)은 해당 IP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품질 정보가 서비스품질 캐쉬(119)에 있는지 먼저 조회한다.
만약 서비스품질 캐쉬(119)에 있으면 IP 트래픽과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으로 전달한다.
만약 서비스품질 캐쉬(119)에 없으면 쿼리 인터페이스(116)를 이용해 미브(MIB)(118)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IP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품질 정보를 가져온다.
이후 IP 트래픽과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으로 전달하고,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캐쉬(119)에 저장한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은 서비스품질 정보를DSCP로 매핑하고 동일한 DSCP 별로 집합시킨다. 그리고 IP 트래픽을 전표시기(Premarker)로 전달한다. 이후에는 DSCP가 마킹된 IP 트래픽을 보더게이트웨이(140)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원격제어단말(150)에 추가되어야 할 기능은 IP 서비스품질 매니저(QoS Manager)(154)이다.
IP 서비스품질 매니저(154)는 DiffServ 기능으로 구성된다.
DiffServr기능은 응용으로부터 IP 플로우들을 수집하고 협약된 트래픽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클래스나 서비스 단위로 DiffServ의 DSCP를 마킹시킨다.
IS95c(156)는 원격제어단말(150)이 PDA인 경우 IS95c(156)단말기와 시리얼로 연결 한 후 원격제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보더게이트웨이(160, 180)의 IP 서비스품질 매니저(162)가 필요하며 서비스품질 PEP(Policy Enforcement Point)기능(164), 대역폭 브로커(Bandwidth Broker) 기능(166, 186), DiffServ기능(168)으로 구성된다.
서비스품질 PEP기능(164)은 정책 서버(170)와의 통신을 통해 정책을 반영한다.
대역폭 브로커 기능(166)는 도메인을 관장하는 대역폭 브로커와의 통신을 통해 대역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DiffServ기능(168)은 트래픽 제어(traffic conditioning)기능을 한다.
정책서버(170)는 망운영자의 정책요구에 의해 서비스품질(QoS) PDP(Policy Decision Point)(173)가 정책 규칙을 해석하여 정책 결정을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게이트웨이/홈서버(190)는 홈게이트웨이/홈서버(190)의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IP 서비스품질 프록시(Proxy)(194)가 DiffServ기능이 없는 홈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차등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정의 홈네트워크에 있는 장비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 PC 또는 PDA에 탑재된 응용부재가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망의 보더 게이트웨이가 ISP와 사용자사이에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따라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품질 정보를 차등화 서비스의 서비스품질 정보로 매핑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 구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측정기, 표시기, 샤퍼/드롭퍼(Sharper/Dropper) 기능을 그대로 보더 게이트웨이에 적용한다. 한편 홈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에게 서비스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홈서버는 단말들을 대신하여 IP 서비스품질 프록시(Proxy)역할을 하게된다. 그러나 DiffServ기능이 포함된 서비스품질 홈 디비이스는 직접 클래스를 전표시를 하여 차등서비스를 적용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더 게이트웨이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차등화 서비스 클래스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홈서버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사용하여분류하기 때문에 홈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는 서비스품질 클래스를 외부의 인터넷 망까지 승계(inherit)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홈네트워크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홈네트워크에서 홈서버에 연결된 홈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응용부재가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미브(MIB) 서비스품질 정보를 차등화 서비스의 DSCP로 매핑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P 서비스품질 프록시 기능이 있다.
셋째, 차등화 서비스 클래스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미브 서비스품질 정보가 인터넷 서비스제공자(ISP)와 사용자 사이에 맺은 서비스수준계약서(SLA)를 사용하여 분류하기 때문에 차등서비스를 홈네트워크 내에서부터 외부의 인터넷 망까지 승계(inherit)하여 적용할 수 있다.
넷째, 인터넷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 구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측정기, 표시기, 샤퍼/드롭퍼 기능을 그대로 보더게이트웨이에 적용하고,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IP 서비스품질 프록시 기능만을 추가 설계하여 홈네트워크에 적용하므로 구현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홈디바이스로부터 IP 트래픽을 수신하면, 상기 IP 트래픽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조회하고 DSCP로 매핑하고 분류하는 IP 서비스품질 프록시;
    상기 DSCP로 매핑되고 분류된 상기 서비스품질 정보를 보더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전표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P 서비스품질 프록시는,
    홈디바이스로부터 IP 트래픽을 수신하면 상기 IP트래픽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캐쉬부로부터 조회하는 서비스품질 조회기능부;
    상기 서비스품질 캐쉬부에 상기 서비스품질 정보가 없으면 상기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조회기능부로 제공하는 미브;
    상기 서비스품질 정보를 상기 서비스품질 조회 기능부로부터 수신하여 DSCP매핑 및 분류하는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 기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브는 인터넷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수준 계약서에 근거한 사용자의 서비스품질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상기 인터넷서비스제공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브는 상기 서비스품질 정보를 송수신 시에 상기 서비스품질 조회기능부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쿼리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품질 캐쉬부는 상기 서비스품질 정보와 동일한 목적지로 한 번 이상 전송되면 상기 서비스품질 정보를 동적으로 저장하여 다음 동작시에는 상기 미브로부터 상기 서비스품질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시스템.
  6.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홈게이트웨이/홈서버로 IP 트래픽을 송신하는 데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DSCP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의 IP 트래픽을 홈게이트웨이/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IP 트래픽을 수신한 홈서버/홈게이트웨이는 상기 IP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품질(QoS) 정보가 서비스품질 캐쉬에 있는지 조회하는 단계;
    상기 IP 트랙픽의 서비스품질 정보가 서비스품질 캐쉬에 있으면 상기 IP 트래픽과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IP 트랙픽의 서비스품질 정보가 서비스품질 캐쉬에 없으면 쿼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미브를 조회하여 상기 IP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품질 정보를 가져오는 단계;
    상기 IP 트래픽과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으로 전달하고,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 캐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품질 매핑 및 DSCP 분류기능은 서비스품질 정보를 DSCP로 매핑하고 동일한 DSCP 별로 모으는 단계;
    상기 IP 트래픽을 전표시기(Premarker)로 전달하는 단계;
    DSCP가 마킹된 IP 트래픽을 보더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7. 인터넷의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디바이스, 홈게이트웨이/홈서버와 보더 게이트웨이와 원격제어단말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등화 서비스 기능을 기본을 보더게이트웨이에 두고,
    홈디바이스의 응용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있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차동화 서비스 적용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홈서버에 있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하는 것은 인터넷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의 서비스수준 계약서에 근거한 미브 서비스품질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브 서비스품질 정보를, 서비스품질이 제일 높은 값을 차등화 서비스의 신속형 포워딩 PHB로 분류하고, 서비스품질이 제일 낮은 값을 차등화 서비스의 디폴트 PHB로 분류하여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
KR10-2001-0086503A 2001-12-28 2001-12-28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KR10041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503A KR100415314B1 (ko) 2001-12-28 2001-12-28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503A KR100415314B1 (ko) 2001-12-28 2001-12-28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304A KR20030056304A (ko) 2003-07-04
KR100415314B1 true KR100415314B1 (ko) 2004-01-16

Family

ID=3221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503A KR100415314B1 (ko) 2001-12-28 2001-12-28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904B1 (ko) 2003-12-18 2006-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39489B1 (ko) * 2004-12-13 200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에 속하는라우터에 접속하는 대역폭 브로커 및 차등화 서비스 제공방법
KR100747100B1 (ko) * 2006-01-20 2007-08-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홈 게이트웨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8284B1 (ko) * 2006-05-09 2007-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홈서버 장치 및 그를이용한 서비스 품질 보장 방법
KR100823737B1 (ko) * 2006-09-29 2008-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로 다른 QoS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들을 위한 브리지장치
KR101048854B1 (ko) * 2009-01-19 2011-07-13 주식회사 케이티 M2m 어플리케이션의 가입자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14635B1 (ko) 2012-03-16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98807B1 (ko) * 2013-02-20 2020-05-26 주식회사 케이티 ISP 시스템의 QoS 서비스 제공방법,및 QoS 서비스 제공을 위한 ISP시스템의 IP 주소할당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304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sterinen et al. Terminology for policy-based management
US7936762B2 (en) QOS provisioning in a network having dynamic link states
Bernet et al. A framework for integrated services operation over diffserv networks
US64669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icy-based management of quality of service treatments of network data traffic flows by integrating policies with application programs
US9344348B2 (en) Managing the quality of service levels (QoS) of network traffic
US20060171315A1 (en) Resource allocation device for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and a method thereof
Marilly et al. Service level agreements: a main challenge for next generation networks
Lymberopoulos et al. An adaptive policy based management framework for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s
US7561521B2 (en) Network centric quality of service using active network technology
JP2004529550A (ja) 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プールに基づいた資源管理
US78896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QoS i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deploying mobile IP
CA245957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n ip network
JP2004530340A (ja) 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エッジに基づくフローごとのQoS許可制御
Westerinen et al. RFC3198: Terminology for Policy-Based Management
Bhatti et al. QoS-sensitive flows: Issues in IP packet handling
KR100415314B1 (ko)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Stewart et al. An architecture for automated network control of QoS over consumer broadband links
Oliveira et al. SDN‐based architecture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to high‐performance distributed applications
Mehra et al. Policy-based Diffserv on Internet servers: the AIX approach
KR100377238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및 그 시스템
Lymberopoulos An adaptive policy based framework for network management
KR20050004831A (ko) 아이피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 자원의 맵을 생성하는 방법
KR20050067322A (ko)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Ayyagari et al. DiffServ extensions to dynamic link states and bandwidths for QoS-aware mobile networking applications
Vallejo et al. Evaluation of a policy-based qos management architecture over an IPv6 diffserv test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