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831A - 아이피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 자원의 맵을 생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피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 자원의 맵을 생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831A
KR20050004831A KR10-2004-7015478A KR20047015478A KR20050004831A KR 20050004831 A KR20050004831 A KR 20050004831A KR 20047015478 A KR20047015478 A KR 20047015478A KR 20050004831 A KR20050004831 A KR 2005000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resource
information
map
r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가르드조아킴
요한슨조아킴
Original Assignee
오페락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페락스 아베 filed Critical 오페락스 아베
Publication of KR2005000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8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의 자원 맵을 제공하기 위한 자원 관리자, 이를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자원 맵은 논리적 어드레스의 식별자(identities) 및 논리적 어드레스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를 상기 IP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맵과 결합하고, 상기 IP 네트워크 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와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 사이에서 매핑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다.

Description

아이피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 자원의 맵을 생성하는 방법{METHOD FOR CREATING A MAP OF AVAILABLE RESOURCES WITHIN AN IP-NETWORK}
현재의 네트워크 경향은 유무선 장치에 "IP 올더웨이(IP all the way)"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의 목표는 인프라스트럭처를 단순화하고,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통신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IP 네트워크 내에는 서비스 차등화 및 동적 자원관리를 지원하는 확장성이 있는(scalable)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인터넷은 이제 어디에나 존재하는(ubiquitous) 멀티 서비스 네트워크가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운영자 및 장비 공급자가 IP 네트워크에서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QoS; Quality-of-Service)을 제공하는 데에는 충분한 상업적 이유가 있다.
조사 및 표준화 기관에서 QoS 지원은 인터넷을 위한 시그널링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이제 보다 상태 없는(stateless) 솔루션이 유리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쪽으로 개발되고 있다.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자원예약 프로토콜)은 경로를 따라 IntServ(통합서비스; Integrated Service)를 지원하는 라우터 내의 플로우 단위 서비스품질을 설정하도록 표준화된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경로를 따른 각 라우터는 승인제어를 수행하고 그 후 예상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흐름을 인식한다. 이 모델은 너무 복잡하고 인터넷의 백본(backbone)에 사용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다. 어떤 이들은 이 모델이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사용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고 한다.
라우터에서의 플로우 단위 QoS 관리의 확장성 문제는 차별화된 서비스 구조(DiffServ)로 알려진, 새로운 접근법을 야기했다. 이것의 목적은 라우터 내의 플로우 단위 상태를 회피함으로서 확장성 있는(scalable) QoS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착상은 패킷이 라우터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는 처리(홉 단위 동작)를 인식하는 작은 라벨(diffserv 필드로 알려짐)을 IP 패킷 헤더가 포함하는 것이다.
차별화된 서비스의 한 장점은 이 모델이 인터넷을 성공적으로 만든 유리한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는 다양한 종류의 상호 연결된 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해 확장성 있는 상태 없는 포워딩(scalable stateless forwarding)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표준 모델은 그러나 라우터 내의 차등화된 포워딩에 한정되어 있고,그러므로 최종 사용자에게 예측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도전할 만 하다.
질적 서비스(상대적으로 최선(best-effort) 서비스보다 낫지만 트래픽이 전송되는 위치 및 이때 다른 개체에 의해 발생하는 로드에 의존한다)는 단지 라우터에서의 diffserv 지원 및 준-정적인(semi-static) 승인제어 및 서비스 준비(provisioning)를 위한 자원관리 메커니즘에만 의존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양적(최소 기대값)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자원은 자원관리 메커니즘에 의해서 동적으로 관리되어야 하고 네트워크 내에 약속된 서비스를 제공할 충분한 자원이 있다는 것을 확신하기 위해 동적 승인제어를 포함해야만 한다.
IP 네트워크 내의 라우팅
IP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 패킷은 OSPF, IS-IS 또는 RIP와 같은 공지된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사용하여 라우팅된다(즉,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운반되는 전송경로). OSPF 및 IS-IS는 링크상태 프로토콜(link-state protocol)로 분류되고 RIP는 거리 벡터 프로토콜(distance vector protocol)로 분류된다. 이 프로토콜들은 라우팅 정보의 분배 및 라우팅 계산을 위해 자신이 사용하는 알고리즘에 의존한다.
도메인 내의 링크상태 프로토콜을 작동시키는 모든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완전히 라우팅하는 관점을 갖는데, 도메인 내의 모든 네트워크와 라우터를 알고 있다. 이 정보에 근거하여, 루트(route)는 일반적으로 최단 경로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거리 벡터 라우터는 단지 직접 연결되는 바로 주변에 있는 라우터 및 네트워크만을 알고 있다. 각 거리 벡터 라우터는 어떤 네트워크에 자신이 도달할 수 있으며 비용이 얼마인지를 알려준다. 비용은 웨이트(weight)이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속도 및 다른 파라미터와 결합된다. 이 통지는 직접 연결된 이웃에게만 전파되고, 이들은 교대로 접근 가능성을 계속 알려준다. 이 통지는 단지 네트워크에 도달하기 위한 "최상의" 경로만을 포함하고, 모든 가능한 경로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자원 관리자(The resource manager)
자원 관리자는 이전에 Olov Schelen에 의한 "인터넷에서의 품질서비스 에이전트(Quality of Service Agents in the Internet: Doctoral Thesis, 컴퓨터과학 및 전기공학과, 컴퓨터통신부, 룰레아 과학대학교, Lulea, 1998)"에 설명된 것처럼 QoS 에이전트로 소개되었다.
자원 관리자는 사용 가능한 자원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물리적 자원을 예약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물리적 자원에 대한 요청이 들어올 때 승인 제어를 수행하는 주체이다. 자원 관리자는 서버 또는 라우터 내에 구현된다.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자원 관리자는 또한 이전에 승인된 자원 예약의 이력을 저장한다. 자원 관리자는 사용 가능한 자원의 총량, 이전 예약에 의해 현재 예약된 양, 및 요청된 자원의 양에 기초하여 새로운 자원 요청을 승인하도록 결정을 내린다. 자원예약은 시간에 따라 계획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하나의 요청은 서로다른 종류의 자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자원 보관소에 대한 승인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종류의 관리 자원은 대역폭이다. 자원 관리 메커니즘을 위해서는 특별한 요구조건이 있다.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메커니즘은 네트워크 자원을 알고 있어야 하고, 임의 세분성(granularity)(예를 들어, 한 쌍의 서브네트 사이의 집합 트래픽을 위한 포트 범위 등)으로 약속된 서비스를 위한 계획을 짤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핵심 도메인 및 이에 연결된 나뭇잎 도메인 모두에서 정확한 자원 제어를 제공해야 한다. 나뭇잎 도메인에서, 특히 대역폭이 너무 비싸서 스펙트럼 효율이 궁극적인 목표인 승인 대역의 무선 접속에서, 극미립상 자원 제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단위 데이터 흐름)를 위한 필요조건이 있을 수 있다. 성능은 또한 이동성 및 잦은 핸드오버(hand-over)를 다루기에 충분해야 한다. 핵심 도메인에서, 동적으로 집합된 자원 관리(예를 들어, 목적지 단위 도메인, IP 전화를 위한 포트 단위 범위 등)는 확장성(scalability)을 이유로 제공될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선약 및 시간-의존 예약(예를 들어, 하루 중 시간, 한주 중 날자 등)을 사용하여 서로 벌크 대역폭을 협의하기 위한 지원을 필요로 한다. 기업 네트워크에서, 사이트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병목 전용선 및 잘 준비된 랜이 종종 있다. 이들은 특정 양의 자원을 필요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와 같은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를 배치하기 위한 지원을 필요로 하고, 제어를 위해서 이들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자원 요구사항은 다른 트래픽에 과도한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위에서 논의된 자원 관리자는 또한 네트워크를 위한 동적 토폴로지 맵을 제공하도록 개조된다. 상기 자원 관리자는 또한 토폴로지 인식 자원 관리자로 언급된다. 맵은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어떻게 연결되고 따라서 어떻게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정확한 라우팅 및 자원 정보의 입수 가능성이 자원 관리 및 승인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매우 중요하다.
집합된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부정확한 정보가 승인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면, 불확실성을 가진 엘리먼트가 항상 포함되고, 이는 네트워크의 활용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집합된 정보는 서로 다른 소스로부터 공통 노드, 즉 집합 노드로 들어오는 일련의 정보 플로우이며, 일련의 정보는 또한 후속하는 노드로 또 전달된다. 집적된 정보는 종종 개별적인 정보 플로우보다는 더 큰 세분성(granularity)에 의해 정의되며, 결국 독립된 정보 플로우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집합된 정보 플로우에 대해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세한 정보를 항상 사용할 수 있게 가지고 있으면 불확실성을 제거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장점이 된다. 불확실성과 관련된 위험은 많은 우선순위가 매겨진 트래픽을 승인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는 모든 이전에 승인된 트래픽에 대해 패킷을 상실하게 할 수 있다.
입구 노드, 또는 소스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목적지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주어진다면, 상술한 불확실성에 의존하지 않는 자원 관리자는 영향을 받은 자원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 자신의 도메인을 통한 정확한 경로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자원 관리자가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즉 자신의 도메인 내의 각 라우터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숙지할 것을 요구한다. 링크 상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원 관리자는 라우팅에 참여할 수 있으며,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자신의 루트를 알리지 않으면서도 링크 상태 라우터로 기능할 수 있다. 링크 상태 프로토콜이 구축되는 기본적인 원리는 모든 라우터가 토폴로지 인식 자원 관리자에 의해 요구되는 동일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게 한다.
도메인이 거리 벡터 프로토콜, 또는 심지어 정적 라우팅을 사용하여 라우팅될 때, 단순한 대등 접속(peering) 방법(즉 정보를 교환하는 두 개의 네트워크 엘리먼트)은 모든 라우터가 자신에게 직접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대한 정보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될 수 없다. 이 경우,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트레이스루트 프로토콜(traceroute protocol) 또는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얻어진다.
자원 맵(Resource map)
물리적 자원의 맵은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 내의 라우팅 정보를 물리적 자원 정보와 결합함으로써 제공된다. 이 맵은 자원 맵이라 불리며, 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자원 맵(200)은 소스로부터 목적지까지 자원에 대한 요청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맵(200)은 각 링크에서의 사용 가능한 모든 물리적 자원 및 네트워크의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자원 맵은 라우팅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되고, 자원 관리자는 그 후 자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형태 및 인터페이스 속도는 수집되는 또한 자원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자원의 두 중요한 부분의 예이다. 처음으로 수집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한 패킷 경로를 설명하며, 두 번째로 수집된 정보는 사용 가능한 자원의 양을 설명한다. 이러한 종류의 자원 맵은 Olov Schelen의 논문(예를 들어, 26쪽, 41쪽 및 86쪽)에 설명되어 있다. 이 자원 맵의 단점은 정보가 항상 올바르지 않아서 자원이 요청된 자원양을 보증하기 위해 과도 예약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의 가용 네트워크 자원의 맵을 제공하는 IP 네트워크 내의 자원 관리자, 이를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용-효과적인 네트워크 디자인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자원 맵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논리적 어드레스가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 관리자를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P 네트워크의 올바른 자원 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방법, 자원 관리자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논리적 어드레스의 식별자(identities) 및 논리적 어드레스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와 상기 IP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맵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IP 네트워크 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 사이에서 매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정확한 자원 맵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정확한 자원 맵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P 네트워크 내의 서버 및/또는 라우터가 상기 방법의 단계 실행을 제어하게하기 위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정확한 자원 맵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IP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맵을 활용하는 수단, 논리적 어드레스의 식별자(identities) 및 논리적 어드레스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와 상기 맵을 결합하는 수단, 및 상기 IP 네트워크 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 사이에서 매핑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원 관리자는 정확한 자원 맵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사용 가능한 자원이 과대평가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필요한 것보다 많은 자원이 예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지나는 모든 플로우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IP 네트워크(205)를 도시한다. 이 네트워크는 다수의 라우터(a-d)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도메인(201-204)을 포함한다. 이 네트워크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또는 서로 다른 도메인에 위치한 두 개 이상의 라우터는 각각 자원 관리자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자원 맵의 자원 정보는 종종 부정확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라우터 인터페이스 및 라우터 포트가 고가의 네트워크 엘리먼트인지에 달려 있고, 그러므로 몇몇 논리적 어드레스(100)는 종종 덜 비싼 링크 층 스위치(104)를 경유한 연결에 의해 라우터의 하나의 물리적 인터페이스(102)로 할당된다. 자원 맵은 각 논리적 어드레스를 위한 논리적 자원이 그 양이 실제로 동일한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모든 논리적 어드레스 사이에서 공유된 경우 존재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자원 맵은 물리적 자원이 과대평가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자원의 정확한 표현을 제공하지 못한다.
정확한 자원 맵은 물리적 자원 정보에 물리적 자원이 네트워크 층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추가함으로써, 즉 논리적 어드레스로부터 물리적 자원으로 맵핑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물리적 자원은 또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로 언급되고 논리적 어드레스는 또한 가상 어드레스로 언급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물리적 자원 정보는 링크 층의 물리적 자원의 식별자(identities) 및 양을 포함한다. 물리적 자원 정보는 토폴로지 인식 자원 관리자로부터 얻어진토폴로지 정보와 결합된다. 토폴로지 인식 기능은 수동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구현된다. 토폴로지 정보는 네트워크 층을 가로지르는 패킷의 루트를 설명하는 라우팅 정보이며, 따라서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의 논리적 맵이 제공된다.
논리적 어드레스(예를 들어, IP 어드레스)로부터 물리적 자원으로의 매핑은 물리적 자원이 본 발명에 따라서 다수의 논리적 어드레스 사이에서 공유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자원 관리자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매핑을 위해서 유사한 기능성을 갖는 다른 객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핑 정보는 새로운 라우터가 발견되거나 수동으로 구성될 때 서로 다른 MIB 테이블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SNMP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정확하게 어떤 SNMP가 MIB 테이블에 정보를 요청하는지는 어떤 RFC가 라우터 지원을 표준화하는지에 달려있다. RFC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성에 대한 규격이다. RFC(Request For Comments)는 인터넷 상에서 www.ietf.org에서 입수 가능하며,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관리된다.
다음은 물리적 인터페이스가 SNMP를 경유하여 IP 어드레스에 기반하여 어떻게 위치하는지를 설명한다. 초기(early) RFC에서, 이는 다양한 테이블에서 발견되고, 후발(later) RFC에서, 스택(stack)의 루트(root)가 발견되어야 한다. RFC는 새로운 기능성이 네트워크에 도입될 때 규칙적으로 대체되고, 수정사항은 새로운 RFC에 기술된다.
다음은 논리적 어드레스로부터 물리적 자원으로의 매핑의 예가 지원되는 RFC가 무엇인지에 따른 다양한 대안에 대해서 설명된다.
라우터가 RFC1158[Rose M. T., TCP/IP-기반 인터넷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관리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network management of TCP/IP-based internets): MIB-II, RFC1158] 및 RFC1213[McCloghrie K. et Al, TCP/IP-기반 인터넷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관리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Network Management of TCP/IP-based internets): MIB-II, IEFT, RFC1213]을 지원하는 경우, 물리적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테이블 ifTable에 기술된다. IP 어드레스 테이블과 물리적 인터페이스 사이의 실제 매핑은 어드레싱 정보 테이블 ipAddrTable의 인터페이스 인덱스 ipAdEntIfIndex 필드에 의해 기술된다.
IP 어드레스로부터 라우팅 테이블 내의 발신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로의 매핑은 RFC1158을 위한 RS1158 ipRoutingTable 내의 또는 RFC1213을 위한 ipRouteTable 내의 ipRouteEntIfindex 필드에 의해 기술된다.
결국, 논리적 어드레스(ipNetToMediaNetAddres)를 그것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인덱스로 매핑하는 IP 어드레스 번역 테이블 ipNetToMedia 내의 ipNetToMediaIfIndex 필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RFC1158보다 더 이른 RFC에서 사용되는 선행(earlier) atTable을 폐기한다.
RFC1354[Baker F., IP Forwarding Table MIB, RFC1354]가 지원되는 경우, RFC1354 내의 IP 포워딩 테이블 ipForwardTable은 RFC1213 내의 ipRouteTable을 대체한다(iproutetable은 RFC1158 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RFC1213 내에 도입된다). IP 포워딩 테이블 ipForwardTable에서, 매핑은 ipForwardIfIndex 필드에 의해 기술된다. RFC2096[Baker F., IP Forwarding Table MIB, RFC2096]이 지원되는 경우, RFC2096은 RFC1354를 대체하지만 ipForwardIfIndex는 그 변경동안 내내 변화가 없다. RFC2096에서, IP CIDR 경로 테이블 ipCidrRouteTable은 인터페이스 필드 ipCidrRouteIfIndex와 함께 추가된다.
RFC2011[McCloghrie K., SMIv2를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위한 SNMPv2 관리 정보 베이스(SNMPv2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the Internet Protocol using SMIv2), RFC2011]에서, 어드레스 번역 테이블은 ipNetToMediaTable 테이블에 기술되고, 인터페이스 필드는 ipNetToMediaIfIndex 필드에 기술된다. 이 필드(ipNetToMediaIfIndex)는 atTable 필드와 동일한 매핑을 포함한다.
RFC1573[McCloghrie K. et Al, MIB-II의 인터페이스 그룹의 진화(Evolution of the Interfaces Group of MIB-II), RFC1573]에서, 인터페이스 스택의 개념이 인터페이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는 인터페이스 테이블 내의 인터페이스가 반드시 물리적 인터페이스는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는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서브-인터페이스 또는 서브-서브-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물리적 자원이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어떻게 매핑되는지 또한 물리적 자원이 다수의 가상 인터페이스에 의해 공유되는 경우 물리적 자원이 어떻게 할당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스택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야만 한다. RFC2233[McCloghrie K. et Al, SMIv2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그룹 MIB(The Interfaces Group MIB using SMIv2), RFC2233]이 지원되는 경우, RFC2233은 RFC1573을 대체하며, RFC2863[McCloghrie K. et Al, 인터페이스 그룹 MIB(TheInterfaces Group MIB), RFC2]가 지원되는 경우, RFC2863은 RFC2233을 대체하지만 인터페이스 스택은 이 변경동안 내내 변화하지 않는다(더 높은 번호를 갖는 RFC는 더 낮은 번호를 갖는 RFC에 비해 우선순위를 갖는다. 유효한 기능성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RFC 내에 기술된다). 그러나, 오래된 라우터는 여전히 RFC1573 및 RFC2233과 같은 대체된 RFC에 따라서 작동될 수 있다.
라우터가 이 표준 중 어떤 것을 따르지 않고 논리적 인터페이스가 또한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표시된 경우, 인터페이스의 테이블 interface.ifTable 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 ifDescr 및 형태 ifType를 수집해야 한다. 이 인터페이스 형태 및 설명을 사용함으로써, 어떤 인터페이스가 논리적 인터페이스이고 어떤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이들이 연결되는지를 유추하기 위한 벤더관련 분석법(vender specific parsing)을 수행할 수 있다.
논리적 토폴로지 맵으로부터의 정보를 논리적 어드레스 및 물리적 자원 사이의 매핑을 포함하는 사용 가능한 물리적 자원의 정보와 결합함으로써, 정확한 자원 맵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술한 발명을 사용하여, IP 네트워크의 논리적 표현뿐 아니라 정확한 물리적 표현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사용 가능한 자원의 정확한 양에 근거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명의 한 실시예가 도 3의 순서도에 도시되어 있다.
300: 시작
301: 라우팅 프로토콜은 모니터링되고 라우팅 정보는 토폴로지 맵을 생성하기 위해 얻어진다.
302: 토폴로지 맵에서 변경이 검출된 경우, 라우터 변경이 발생했는지를 조사한다.
303: 라우터 변경이 있는 경우, 자원(예를 들어, 라우터)은 변경된 라우터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해 탐사된다. 토폴로지 정보는 변경된 라우터로부터의 정보와 결합된다. 라우터 변경이 없는 경우, 301 단계가 반복된다.
304: 변경된 라우터의 IP 어드레스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 사이의 매핑이 사용 가능한 물리적 자원의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된다. 자원 맵은 토폴로지 맵으로부터의 정보 및 사용 가능한 물리적 자원에 관한 정보의 결합에 의해 재구축된다(또는 생성된다).
이 방법은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구현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IP 네트워크 내의 라우터 또는 서버의 처리수단에서 작동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직접 탑재되거나 플로피 디스크, CD,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에 사용 가능한 매체로부터 탑재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IP 네트워크 내의 라우터 또는 서버의 자원 관리자 내에서, 또는 유사한 기능성을 갖는 다른 객체 내에서 구현된다.
도 5에 따른 자원 관리자(500)는 상기 IP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맵을 논리적 어드레스의 식별자(identities) 및 논리적 어드레스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502), 및 상기 IP 네트워크 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 사이에서 매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5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대안, 변경 및 등가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설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아야 한다.

Claims (13)

  1. IP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자원의 맵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논리적 어드레스의 식별자(identities) 및 논리적 어드레스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와 상기 IP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맵을 결합하는 단계(303)를 수행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IP 네트워크 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 사이에서 매핑을 수행하는 단계(304)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가능 자원의 맵 생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맵은 토폴로지 인식 자원 관리자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가능 자원의 맵 생성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은 SNM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엘리먼트, 예를 들어 라우터로부터 정보를 수집함으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가능 자원의 맵 생성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은 자원 관리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가능 자원의 맵 생성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관리자는 라우터 또는 서버 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가능 자원의 맵 생성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는 IP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가능 자원의 맵 생성방법.
  7.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부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 내의 서버 및/또는 라우터 내로 직접 탑재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 IP 네트워크 내의 서버 및/또는 라우터 내에 처리수단이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 실행을 제어하게 하기 위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사용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9. IP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자원의 맵을 생성하기 위한 자원 관리자로서, 논리적 어드레스의 식별자(identities) 및 논리적 어드레스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와 상기 IP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맵을 결합하는 수단(502)을 포함하고, 상기 자원 관리자는:
    상기 IP 네트워크 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 사이에서 매핑을 수행하는 수단(5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관리자.
  10. 제 9항에 있어서,
    토폴로지 맵을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관리자.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관리자는 SNM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엘리먼트, 예를 들어 라우터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물리적 자원 정보를 얻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관리자.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관리자는 라우터 또는 서버 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관리자.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는 IP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관리자.
KR10-2004-7015478A 2002-04-04 2002-10-30 아이피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 자원의 맵을 생성하는 방법 KR200500048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956402P 2002-04-04 2002-04-04
US60/369,564 2002-04-04
PCT/SE2002/001968 WO2003085514A1 (en) 2002-04-04 2002-10-30 Method for creating a map of available resources within an ip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831A true KR20050004831A (ko) 2005-01-12

Family

ID=2879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478A KR20050004831A (ko) 2002-04-04 2002-10-30 아이피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 자원의 맵을 생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90755B1 (ko)
JP (1) JP4064353B2 (ko)
KR (1) KR20050004831A (ko)
AT (1) ATE418214T1 (ko)
AU (1) AU2002343306A1 (ko)
DE (1) DE60230451D1 (ko)
WO (1) WO20030855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35B1 (ko) * 2004-03-17 2011-07-20 주식회사 케이티 Ip 할당시스템에서의 ip 주소 블럭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6257C2 (sv) * 2003-12-22 2005-08-09 Operax Ab Metod för att kontrollera vidarebefordringskvaliteten i ett datanät
SE526535C2 (sv) * 2003-12-22 2005-10-04 Operax Ab Förfarande och nod för att kontrollera vidarebefordringskvaliteten i ett datanät
CA2583293A1 (en) * 2004-10-12 2006-04-20 Operax Ab A resilience solution for top tier bandwidth managers
US8526371B2 (en) 2007-08-13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erse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6643A (en) * 1996-09-17 1999-03-23 Concord Communication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network topology
US6131117A (en) * 1997-12-29 2000-10-10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 for correlating logical names with IP addresses on internetworking platfor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35B1 (ko) * 2004-03-17 2011-07-20 주식회사 케이티 Ip 할당시스템에서의 ip 주소 블럭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5514A1 (en) 2003-10-16
JP2005522130A (ja) 2005-07-21
JP4064353B2 (ja) 2008-03-19
ATE418214T1 (de) 2009-01-15
AU2002343306A1 (en) 2003-10-20
EP1490755A1 (en) 2004-12-29
EP1490755B1 (en) 2008-12-17
DE60230451D1 (de)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3945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n ip network
US7720966B2 (en) Arrangements and method for hierarchical resource management in a layered network architecture
Younis et al. Constraint-based routing in the internet: Basic principles and recent research
KR100696003B1 (ko) 네트워크 최적화 방법
JP2000312226A (ja) 通信品質を保証する方法
Brunner et al. MPLS management using policies
KR20050004831A (ko) 아이피 네트워크 내의 사용 가능 자원의 맵을 생성하는 방법
Aimoto et al. Overview of DiffServ technology: Its mechanism and implementation
US20050125517A1 (en) Method for creating a map of available resources within an ip network
Misra et al. Integrating qos support in telemip's mobility architecture
Bonaventure et al. Internet traffic engineering
Ayari et al. Towards a policy-based management for ad hoc networks
KR100794363B1 (ko) 웹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도메인 간의 서비스품질 보장형 연결설정 방법 및 시스템
Chen et al. Using policy-based MPLS management architecture to improve QoS on IP network
KR20010054846A (ko) 라우터상태 정보를 이용한 차등형 서비스제공ip망에서의연결 수락 제어방법 및 장치
Wong et al. ABB: active bandwidth broker
Kim et al. Constructing End-to-End traffic flows for managing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s
Gomes et al. A transsignaling strategy for QoS support in heterogeneous networks
Hassani et al. DMT: A new Approach of DiffServ QoS Methodology
Isoyama et al. A proposal of QoS control architecture and resource assignment scheme
Haas et al. A Service Deployment Framework for Programmable Networks
Boukhatem et al. 1 ENST, 2 ISEP, 3 LIP6, 4 LIPN
Nadia Boukhatem et al. I3-A New Intelligent Generation for Internet
Thazin et al. Quality of Service (QoS)-Based Network Resource Allocation i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Secerbegovc et al. Market based bandwidth brokering architecture in PLC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