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238B1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238B1
KR100377238B1 KR10-2000-0072975A KR20000072975A KR100377238B1 KR 100377238 B1 KR100377238 B1 KR 100377238B1 KR 20000072975 A KR20000072975 A KR 20000072975A KR 100377238 B1 KR100377238 B1 KR 10037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gprs
qos information
traffic
ds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837A (ko
Inventor
김대영
김현곤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충남대학교 산학연교육연구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충남대학교 산학연교육연구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충남대학교 산학연교육연구재단
Priority to KR10-2000-007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2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럽의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GPRS에 인터넷의 차등화 서비스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GPRS의 서비스 품질(QoS) 정보를 참조하여 IP 트래픽을 분류하고 마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에 탑재된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GPRS망의 게이트웨이가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GPRS QoS 정보를 차등화 서비스의 QoS 정보로 매핑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 구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측정기, 표시기, 샤퍼/드롭퍼(Sharper/Dropper) 기능을 그대로 GPRS 게이트웨이에 적용하고, 향상된 기능의 분류기를 설계하여 GPRS 게이트웨이에 적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GPRS 게이트웨이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차등화 서비스 클래스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GPRS의 QoS 정보를 사용하여 분류하기 때문에 GPRS 망내에서 사용하는 QoS 클래스를 외부의 인터넷 망까지 승계(inherit)하여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 및 그 시스템 {A Differentiated Service Adapting Method and System for UMTS/GPRS}
본 발명은 유럽의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패킷(Packet) 기반망인 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에 인터넷의 차등화 서비스(Differentiated Service)를 적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GPRS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정보를 참조하여 IP 트래픽을 분류하고 마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인터넷에 사용하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을 GPRS 게이트웨이에 그대로 적용한 하나의 예이다.
도 1에서 이동 단말(10)은 노트북 또는 PDA와 같은 터미널 장비(TE; Terminal Equipment)와 GPRS 단말(MT; Mobile Terminal)을 통합한 기능을 수행한다.
GPRS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12)는 인터넷과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 역할이란 이동통신망과 일반 유선인터넷망 사이에 프로토콜 변환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더 게이트웨이(14)와 종단 호스트(16)는 차등화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착신측 망의 엔티티(entity)들이다.
상기 보더 게이트웨이(14)는 종단 호스트(16)가 속해 있는 망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며, 종단 호스트(16)는 그 망에 위치한 하나의 종단 호스트이다.
여기서 이동 단말(10)의 응용은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와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를 동시에 고려하고 GPRS 게이트웨이(12)는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간 경유망인 글로벌 인터넷(18)과 착신측의 망도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송신측은 이동 단말(10)이고 수신측은 종단 호스트(16)이다.
먼저 이동 단말(10)에서 송신 호스트(16)로 패킷이 전송되는 업링크(uplink)에 대해 기술한다.
이동 단말(10)의 응용이 IP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GPRS망에서는 베어러(bearer) 설정 절차 즉,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설정 절차를 시작한다.
CAR(Create/Active request/Response)(30) 절차를 통해 이동 단말(10)과 GPRS 게이트웨이(12) 간에 베어러가 설정된다.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면, GPRS 게이트웨이(12)는 해당 이동 단말(10)의 PDP콘텍스트(Packet Data Protocol Context)를 자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 설정된 베어러상에서 IP 트래픽(20)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동 단말(10)이 트래픽을 전송할 때,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이동 단말(10)의 응용이 IP 헤더의 DS(Differentiated Service) 필드에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를 마킹(marking)한다.
DSCP가 마킹된 IP 트래픽(20)은 GPRS 게이트웨이(12), 보더 게이트웨이(14), 그리고 종단 호스트(16)까지의 경로에 있는 모든 라우터(router)들을 거치면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그러나 이동 단말(10)의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래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최선형(best effort) 서비스만을 제공 받는다.
다음, 상기 종단 호스트(16)에서 상기 이동 단말(10)로 패킷이 전송되는 다운링크(downlink)에 대해 기술한다.
종단 호스트(16)의 응용이 전송하고자 하는 IP 트래픽(20) 헤더의 DS 필드에 DSCP를 마킹하여 발신측인 이동 단말(10)에게 전송한다.
IP 트래픽(20)은 인터넷망을 거쳐서 GPRS 게이트웨이(12)까지 전달된다.
이때에도 IP 트래픽(20)은 경로상에 존재하는 모든 중간 라우터(16,14)들에게 DSCP를 기준으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러나, 상기 GPRS 게이트웨이(12)는 IP 트래픽(20)을 수신하면, 투명하게(transparent) 이동 단말(10)에게 전달한다.
그러나 도 1의 형태와 같은 종래의 차등화 서비스 방법은 결정적으로 GPRS 게이트웨이가 DSCP를 마킹할 때 필요한 서비스 품질(QoS)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만약 이동 단말의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IP 트래픽을 송신하면 DSCP = 0인 형태로 GPRS 게이트웨이에게 전달되고 이를 수신한 GPRS 게이트웨이는 DS 필드에 DSCP를 마킹하여야 하나, 응용 서비스의 분류, 해당 트래픽의 클래스 등 기본적인 관련된 QoS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
즉, 이동 단말이 DSCP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 첫번째 홉(hop)인 GPRS 게이트웨이의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DSCP를 마킹하여야 하나 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갖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UMTS/GPRS 망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1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탑재된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GPRS 게이트웨이가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GPRS QoS 정보를 차등화 서비스의 DSCP로 매핑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등화 서비스 클래스를 분류하데 있어서 GPRS의 QoS 정보를 사용하여 분류하기 때문에 GPRS 망내에서 사용하는 QoS 클래스를 외부의 인터넷망 까지 승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3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 구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측정기(Meter), 표시기(Marker), 샤퍼/드롭퍼(Sharper/Dropper) 기능을 그대로 GPRS 게이트웨이에 적용하고, 향상된 분류기 기능만을 추가 설계하여 GPRS 게이트웨이에 적용하므로 구현의 용이성을 제공하는데 제4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UMTS QoS 정보를 DSCP로 매핑하는 방법을 따를 경우, QoS 매핑을 쉽게 이룰 수 있게 하는데 제5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이동 단말의 응용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 GPRS 게이트웨이에 있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이를 지정한다.
둘째, DSCP를 지정하는데 있어서 GPRS의 PDP 콘텍스트 DB에 저장되어 있는 QoS 정보를 이용한다.
셋째, QoS 정보 요소를 차등화 서비스의 DSCP로 매핑한다.
넷째, 구현 구조를 고려하여 인터넷의 라우터에 구현되는 차등화 서비스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고, 분류기의 기능만을 향상시켜 적용한다.
도 1은 종래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PRS 게이트웨이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GPRS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IP 트래픽 송신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UMTS QoS 정보를 DSCP로 매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GPRS 게이트웨이 102 : 측정기
104 : 표시기 106 : 샤퍼/드롭퍼
110 : 분류기 112 :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
114 : QoS 조회기능 116 : 쿼리 인터페이스
118 : PDP 콘텍스트 DB 119 : QoS 캐쉬
130 : 이동 단말 132 : 응용
GPRS망에서는 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베어러를 설정한다.
베어러가 설정된 이후, 설정된 베어러에 대한 PDP 콘텍스트(Context)가 생성되는데 GPRS 게이트웨이는 이를 자체 데이터 베이스인 PDP 콘텍스트 DB에 저장한다.
PDP 콘텍스트 내에는 베어러에 대한 QoS 정보가 포함된다.
QoS 정보는 GPRS망 내에서만 통용되는 정보로서 해당 베어러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며, 무선과 관련된 정보도 포함된다.
따라서, 이 QoS 정보를 DSCP를 마킹하는데 이용할 경우, DSCP는 보다 근거를 가지고 적합하게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착안하여 GPRS QoS 정보를 DSCP를 지정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한 것으로 즉, PDP 콘텍스트 DB에 저장된 QoS 정보를 가져와서 DSCP를 마킹하는데 있어서 기준 자료로 사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에 제안한 GPRS 게이트웨이의 차등화 서비스 구조를 나타낸것이다.
차등화 서비가 가능한 GPRS 게이트웨이(100)의 구조는 크게 측정기(Meter)(102), 표시기(Marker)(104), 샤퍼/드롭퍼(Sharper/Dropper)(106), 그리고 분류기(Classifier)(110)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들의 분류는 인터넷의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이 중에서 측정기(102), 표시기(104), 샤퍼/드롭퍼(106)는 종래의 기능과 동일하고, 다만 분류기(110)는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상기 분류기(110)는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 QoS 조회기능(114), 쿼리 인터페이스(116), PDP 콘텍스트 DB(118), 그리고 QoS 캐쉬(Cash)(119)로 구성된다.
상기 PDP 콘텍스트 DB(118)는 종래 GTP(GPRS Tunneling Protocol)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그대로 활용한다.
상기 측정기(102)는 트래픽 계약서에 명시된 트래픽 프로파일에 대해 분류기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의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표시기(104)와 샤퍼/드롭퍼(106)에게 전달하여 패킷을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기(104)는 IP 트래픽의 DS 필드를 하나의 DSCP로 마킹하고, 각 패킷을 적당한 DS 어그리게이트(aggregate)에 추가한다.
샤퍼/드롭퍼(106)는 샤퍼(Sharper)와 드롭퍼(Dropper)의 기능으로 구성된다.
샤퍼는 스트림을 트래픽 프로파일에 맞추기 위해서 일부 또는 모든 패킷을 지연시킨다.
또한 샤퍼는 유한한 크기의 버퍼를 갖추고 있으며, 버퍼에 패킷을 저장할 공간이 없을 때는 패킷을 제거한다.
드롭퍼는 패킷을 버리는 임무를 수행하며, 이 과정을 폴리싱(policing)이라 한다.
샤퍼의 버퍼 사이즈가 0인 특별한 경우에 드롭퍼의 역할이 수행된다.
상기 분류기(110)는 PDP 콘텍스트 DB(118)에 저장되어 있는 QoS 정보를 추출하여 DSCP로 매핑하고, 매핑된 DSCP들을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QoS 조회기능(114)은 패킷 헤더의 일부를 참조하고 수신된 IP 트래픽의 QoS 정보를 PDP 콘텍스트 DB(18)에서 조회(retrieval)하여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으로 전달하며, 조회한 QoS 정보를 QoS 캐쉬(119)에 둔다.
상기 QoS 캐쉬(119)는 QoS 정보와 목적지 주소를 동적으로 저장한다.
따라서 동일한 목적지로 IP 트래픽이 한번 이상 전송되면 PDP 콘텍스트 DB(18)를 조회하지 않고 QoS 캐쉬(119)에 있는 QoS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쿼리 인터페이스(116)는 QoS 조회기능(114)이 PDP 콘텍스트 DB(118)에 저장된 QoS 정보를 쿼리(query)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이다.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은 패킷 헤더의 일부를 참조하고, QoS 조회기능(16)으로부터 QoS 정보를 수신받아 DSCP로 매핑하고, 매핑된 DSCP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분류된 패킷들을 측정기(102)와 표시기(104)로 전달한다.
도 3에 IP 트래픽 송신 절차를 나타내었다.
이동 단말(130)의 응용(132)이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DSCP가지정되지 않은 상태의 IP 트래픽을 종단 호스트에게 전송한다.
IP 트래픽은 GPRS망 요소들을 거쳐 GPRS 게이트웨이(100)에게 투명하게 전달된다.
IP 트래픽을 수신한 QoS 조회기능(114)은 해당 트래픽에 대한 QoS 정보가 QoS 캐쉬(119)에 있는지 먼저 조회한다.
만약 QoS 캐쉬(119)에 있으며 IP 트래픽과 QoS 정보를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5)으로 전달한다.
만약 QoS 캐쉬(119)에 없으면 쿼리 인터페이스(116)를 이용해 PDP 콘텍스트 DB(18)를 조회하여 해당 트래픽에 대한 QoS 정보를 가져온다.
이후 IP 트래픽과 QoS 정보를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으로 전달하고, QoS 정보를 QoS 캐쉬(119)에 저장한다.
이를 수신한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112)은 QoS 정보를 DSCP로 매핑하고 동일한 DSCP 별로 집합(aggregate)시킨다.
그리고 IP 트래픽을 측정기(102)와 표시기(104)로 전달한다.
이후에는 상기 측정기(102), 표시기(104), 샤퍼/드롭퍼(106)를 거쳐 DSCP가 마킹된 IP 트래픽을 출력된다.
도 4에 GPRS QoS 정보를 DSCP로 매핑하는 방법(레지듀얼 BER의 경우)을 나타내었다.
GPRS QoS 정보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에 대한 QoS 정보도 가지고 있지만 파라미터들이 일부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과 관련된 QoS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GPRS QoS 정보에 포함된 모든 파라미터들이 각각 DSCP로 매핑되어야 한다.
아래에 GPRS의 QoS 정보(QoS Profile Negotiated)에 포함된 파라미터 17개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모든 파라미터들이 DSCP로 각각 매핑되어야 한다.
Delay Class, Reliability Class, Peak Throughput, Precedence Class, Mean Throughput, Traffic Class, Delivery Order, Delivery of Erroneous SDU, Maximum SDU Size, Maximum Bit Rate for Uplink, Maximum Bit Rate for Downlink, Residual BER, SDU Error Ratio, Transfer Delay, Traffic Handling Priority, Guaranteed Bit Rate for Uplink, Guaranteed Bit Rate for Downlink.
도 4에는 이 중 하나의 파라미터인 레지듀얼 BER(Residual Bit Error Rate) 파라미터를 차등화 서비스의 DSCP로 매핑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도 4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지듀얼 BER의 범위는 6 x 10-8부터 5 x 10-2까지이다.
6 x 10-8이 QoS(서비스 품질)가 제일 높고 5 x 10-2이 QoS가 제일 낮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품질을 차등화 서비스에서 정의한 서비스 클래스로 매핑하였다.
원칙은 QoS가 제일 높은 값을 차등화 서비스의 신속형 포워딩(Expedited Forwarding) PHB(Per Hop Behavior)로 분류하고, QoS가 제일 낮은 값을 차등화 서비스의 디폴트 PHB로 분류한다.
여기에서 레지듀얼 BER과 DSCP간 매핑하는 룰과 밀집도(granularity)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결정된다.
도 4는 이러한 매핑 방법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중간에 화살표는 매핑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UMTS/GPRS 망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이동 단말에 탑재된 응용이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GPRS 게이트웨이가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GPRS QoS 정보를 차등화 서비스의 DSCP로 매핑하여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차등화 서비스 클래스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GPRS의 QoS 정보를 사용하여 분류하기 때문에 GPRS망내에서 사용하는 QoS 클래스를 외부의 인터넷망까지 승계(inherit)하여 적용할 수 있다.
넷째, 인터넷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 구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측정기, 표시기, 샤퍼/드롭퍼 기능을 그대로 GPRS 게이트웨이에 적용하고, 향상된 기능의 분류기만을 추가 설계하여 GPRS 게이트웨이에 적용하므로 구현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서 제안한 UMTS QoS 정보를 DSCP로 매핑하는 방법을 따를 경우, QoS 매핑을 쉽게 이룰 수 있다.

Claims (11)

  1. 인터넷의 차등화 서비스를 이동 단말과 GPRS 게이트웨이와 보더 게이트웨이와 종단 호스트로 일부가 구성되는 UMTS/GPRS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등화 서비스 기능을 GPRS 게이트웨이에 두고,
    이동 단말의 응용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 GPRS 게이트웨이에 있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IP 트래픽의 DS 필드에 DSCP를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동화 서비스 적용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PRS 게이트웨이에 있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DSCP를 마킹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자료로서 GPRS QoS 정보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동화 서비스 적용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PRS 게이트웨이에 있는 차등화 서비스 기능이 GPRS QoS 정보를 DSCP로 매핑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동화 서비스 적용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GPRS QoS 정보는 기존의 PDP 콘텍스트 DB에 저장되어 있는 GPRS QoS 정보를 그대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동화 서비스 적용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PDP 콘텍스트 DB에 저장되어 있는 GPRS QoS 정보를,
    수신된 IP 트래픽의 QoS 정보를 PDP 콘텍스트 DB에서 조회하여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로 전달하며, 조회한 QoS 정보를 QoS 캐쉬에 두는 QoS 조회기능과,
    상기 QoS 정보와 목적지 주소를 동적으로 저장하는 QoS 캐쉬와,
    상기 QoS 조회기능이 PDP 콘텍스트 DB에 저장된 QoS 정보를 쿼리하는데 필요한 쿼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동화 서비스 적용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QoS 조회기능이 IP 트래픽의 QoS 정보를 조회하는 경우에, IP 트래픽이 한번 이상 전송되면 상기 PDP 콘텍스트 DB를 조회하지 않고 QoS 캐쉬에 저장된 QoS 정보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동화 서비스 적용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GPRS QoS 정보를, QoS가 제일 높은 값을 차등화 서비스의 신속형 포워딩 PHB로 분류하고, QoS가 제일 낮은 값을 차등화 서비스의 디폴트 PHB로 분류하여 매핑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동화 서비스 적용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GPRS QoS 정보내에 정의되어 있는 17개의 파라미터 각각을 DSCP로 매핑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
  9. 노트북 또는 PDA와 같은 터미널 장비와 GPRS 단말을 통합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과, 인터넷과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GPRS 게이트웨이와, 종단 호스트와, 상기 종단 호스트가 속해 있는 망의 게이트 역할을 수행하는 보더 게이트웨이로 일부가 구성되는 UMTS/GPRS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GPRS 게이트웨이는 트래픽 계약서에 명시된 트래픽 프로파일에 대해 선택된 스트림의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는 측정기와,
    IP 트래픽의 DS 필드를 하나의 DSCP로 마킹하고, 각 패킷을 적당한 DS 어그리게이트에 추가하는 표시기와,
    스트림을 트래픽 프로파일에 맞추기 위해서 일부 또는 모든 패킷을 지연시키는 샤퍼와 패킷을 버리는 임무를 수행하는 드롭퍼로 이루어지는 샤퍼/드롭퍼와,
    자체 저장되어 있는 QoS 정보를 추출하여 DSCP로 매핑하고, 매핑된 DSCP들을 분류하는 분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는,
    IP 트래픽의 QoS 정보와 같은 PDP 콘텍스트를 저장하는 PDP 콘텍스트 DB와,
    수신된 IP 트래픽의 QoS 정보를 PDP 콘텍스트 DB에서 조회하여 QoS 매핑 및 DSCP 분류기능으로 전달하며, 조회한 QoS 정보를 QoS 캐쉬에 두는 QoS 조회기능과,
    상기 QoS 정보와 목적지 주소를 동적으로 저장하는 QoS 캐쉬와,
    상기 QoS 조회기능이 PDP 콘텍스트 DB에 저장된 QoS 정보를 쿼리하는데 필요한 쿼리 인터페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표시기 및 샤퍼/드롭퍼는 인터넷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를 구성하는 측정기, 표시기 및 샤퍼/드롭퍼를 그대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시스템.
KR10-2000-0072975A 2000-12-04 2000-12-04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및 그 시스템 KR10037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975A KR100377238B1 (ko) 2000-12-04 2000-12-04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975A KR100377238B1 (ko) 2000-12-04 2000-12-04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37A KR20020043837A (ko) 2002-06-12
KR100377238B1 true KR100377238B1 (ko) 2003-03-26

Family

ID=2767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975A KR100377238B1 (ko) 2000-12-04 2000-12-04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15B1 (ko) * 2001-11-01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에서 인터넷 서비스 품질 지원을 위한 패킷스케쥴링 방법
KR100650587B1 (ko) 2005-09-13 2006-11-29 엘지노텔 주식회사 가입자별 서비스 품질 차등화 실행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망의 지지에스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528B1 (ko) * 2003-10-17 2006-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패킷망에서 디폴트 접속점명(apn)에 대한서비스 품질 결정방법
KR100657314B1 (ko) * 2005-05-04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송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3301A1 (en) * 1997-12-18 1999-07-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Resource reservation in mobile internet protocol
US5970059A (en) * 1995-01-10 1999-10-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cket radio system and methods for a protocol-independent routing of a data packet in packet radio networks
WO2000010357A1 (en) * 1998-08-10 2000-02-24 Nokia Networks Oy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059A (en) * 1995-01-10 1999-10-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cket radio system and methods for a protocol-independent routing of a data packet in packet radio networks
WO1999033301A1 (en) * 1997-12-18 1999-07-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Resource reservation in mobile internet protocol
WO2000010357A1 (en) * 1998-08-10 2000-02-24 Nokia Networks Oy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15B1 (ko) * 2001-11-01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에서 인터넷 서비스 품질 지원을 위한 패킷스케쥴링 방법
KR100650587B1 (ko) 2005-09-13 2006-11-29 엘지노텔 주식회사 가입자별 서비스 품질 차등화 실행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망의 지지에스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37A (ko)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375B2 (en) Technology agnostic QoS support in a multi-mode environment
US761657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relating to traffic control
US67659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pport for multiple QoS levels within a third generation packet data session
TW546972B (en) Channel-type switching from a common channel to a dedicated channel based on common channel load
KR100684326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ip 패킷의 서비스 품질을분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26811A1 (en) Method of identifying a radio link
US7821961B2 (en) Method for generating /changing transport connection identifier in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portable subscriber station therefor
US10602399B2 (en) Dynamic content distribu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2021036441A1 (zh) 一种统计业务流量的方法和装置
Kazantzidis et al. End-to-end versus explicit feedback measurement in 802.11 networks
EP1169838A1 (en) Packet length classification
KR20050026056A (ko) 시그널링 및 데이터 트래픽 채널을 통한 패킷 데이터유닛의 통신
CN101374100A (zh) 一种WiMAX业务数据流报文的分类方法、装置及系统
US20060262803A1 (en) End-to-end QoS inter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KR100377238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방법및 그 시스템
KR100415314B1 (ko) 홈네트워크를 위한 차등화 서비스 적용 방법 및 시스템
EP1282962A1 (en) Communicaton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ying and marking information elements to be transmitted in a network
KR100449563B1 (ko) 차별화된 서비스 구현을 위한 패킷 교환 장치
Schulzrinne et al. A Quality-of-Service resource allocation client for CASP
CN100440881C (zh) 一种实现移动ip网业务质量控制的方法
KR100686834B1 (ko) 모바일 터널 생성시 QoS 제공방법
US20240179559A1 (en) Qo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0495998C (zh) 业务质量控制方法
Koivula et al. Differentiated services and vertical handovers supporting multimedia in heterogeneous networks
Chuah et al. Providing QoS guarantee in 3G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