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167B1 - 기록매체포장체 - Google Patents

기록매체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167B1
KR100415167B1 KR1019960018377A KR19960018377A KR100415167B1 KR 100415167 B1 KR100415167 B1 KR 100415167B1 KR 1019960018377 A KR1019960018377 A KR 1019960018377A KR 19960018377 A KR19960018377 A KR 19960018377A KR 100415167 B1 KR100415167 B1 KR 10041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rd
portions
auxiliary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693A (ko
Inventor
세이조 세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4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8Visual features other than those contained in record tracks or represented by sprocket holes the visual signals being auxiliary signals
    • G11B23/40Identifying or analogous means applied to or incorporated in the record carrier and not intended for visual display simultaneously with the playing-back of the record carrier, e.g. label, leader, photograp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11B23/0233Containers for a single casset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16Single disc boxes for disc cartridg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정보 신호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매체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케이스를 덮도록 형성하고, 예를 들어 기록매체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제목을 표시하는 보조 인덱스카드로서 사용되는 메인카드를 동시에 포장하는 포장체이다. 포장체용으로 채택된 메인카드의 한 면에는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제목의 표시가 인쇄되고, 그 반대면에는 릴리스가능한 보조카드가 점착되어 있다. 보조카드는 점착제로 코팅되어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보조카드가 점착된 메인카드의 면은 점착제층을 가지는 보조카드가 용이하게 릴리스되도록 처리된다. 메인카드는 중량이 170∼210g/㎡의 종이재로 형성되고, 보조카드는 중량이 60∼100g/㎡의 종이재로 형성된다. 메인카드와 보조카드를 적층함으로써, 재료절감 및 포장체의 구성요소의 수를 저감할 수 있는 한편, 메인카드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매체 포장체 {PACKAGING KIT FOR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신호 기록매체로서 사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포장 장치 또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테이프 카트리지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홀드 케이스 내에 수납하고, 디스크 카트리지 또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인덱스카드를 홀드 케이스와 함께 포장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디스크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케이스로서는, 카트리지 메인부재와,이에 내장된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케이스(401)가 사용되어 왔다.
도 1에 나타낸 케이스(401)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시트 재료를 접거나 접합함으로써 이에 내장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크기에 맞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401)의 좁은 측면에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개구(404)가 있다.
시장에 공급될 때, 디스크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케이스(401)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메인카드인 보조 인덱스카드(451)와 함께 포장된다. 케이스와 인덱스카드의 포장 재료는 투명 합성수지의 필름 시트인 이른바 오버랩 필름이다.
인덱스카드(451)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케이스(401)에 부가하여 케이스(401)와 함께 포장되고, 인덱스카드(451)의 전후면에는, 케이스(40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내장된 디스크 상에 기록된 음악의 제목이나 기록에 대한 색인, 기록일시 또는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의 기입란, 및 디스크 타입, 디스크 디자인 설명 또는 디스크 기록 용량의 표시가 인쇄되어 있다. 인덱스카드(451)는 케이스(401)의 양쪽면 대부분을 덮는 크기이며, 케이스(401)와 함께 포장될 때, U자형 단면으로 굴곡되고 개구(404)를 통하여 삽입되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1)의 양쪽면 대부분을 덮게 된다. 인덱스카드(451)를 케이스(401)의 양쪽면에 겹치도록 접고, 디스크 상에 기록된 음악과 같은 기록 내용이나 제목이 표시된 부분이 외부로 향하게 한다.
인덱스카드(451)를 케이스(401)와 함께 포장하는 포장 장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점착되는 보조카드를 추가로 가지고, 여기에는 카트리지 요부 내에 내장된 디스크의 기록 내용이 기입된다.
오버랩 필름은 열수축성 필름이며, 케이스, 인덱스카드 및 보조카드를 포장한 후, 열수축되어 포장되는 구성품의 외표면에 밀착된다.
전술한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카드는 인덱스카드(451)와는 별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포장장치의 구성 요소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포장 작업이 복잡하게 된다. 인덱스카드(451)와 라벨은 별도의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이 복잡하다.
인덱스카드와 보조카드가 별도로 제작되므로, 포장되는 구성 요소의 수가 증가되어, 포장을 푼 후에 포장된 물품이 분실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소형이고 얇은 보조카드가 가장 분실되기 쉽다. 보조카드는 후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필요할 때 디스크 카트리지에 점착된다. 보조카드를 포장할 때, 점착제가 도포된 면에는 릴리스 시트를 부착한다. 따라서, 보조카드를 다 사용한 릴리스 시트는 폐기물로서 버리는 것이었다.
케이스(401)의 외주면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인덱스카드(451)는, 포장용 투명 오버랩 필름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시판용 제품을 깨끗하게 포장하기 위하여, 인덱스카드에 표시된 기록 내용의 제목 등의 디자인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인덱스카드 자체의 포장이 불량하거나 다른 흠결이 없어야 한다.
인덱스카드는 판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진열중에 부주의로 떨어뜨려 포장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뒤틀리거나 손상을 입기 쉽다. 인덱스카드가 손상되면, 포장체는 외관상 질이 떨어진다.
또한, 케이스(401)는 손가락 지지용 및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405)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절결부(402,403)가 있으므로, 개구(404) 영역에는 케이스(401)의 두께 d에 상응하는 단차가 생기게 된다. 디스크 카트리지(405)를 확실하게 보호되도록 수납하기 위하여, 케이스(401)를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405)보다 약간 크게 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405)가 수납될 때, 케이스(401)의 개구(404) 영역에는 도 4에 나타낸 폭 S를 가지는 볼록부가 반드시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401)를 피복하도록 놓여진 인덱스카드(451)의 일부분이 케이스(401)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는다. 낙하 등에 의하여 예측하지 못한 외력이 포장 장치에 가해지면, 케이스를 피복하는 인덱스카드가 오버랩 필름과 함께 용이하게 변형하여 보기가 나빠지는 것은 물론, 오버랩 필름이 파손되어 상품가치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으로도 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 카트리지 또는 테이프 카트리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부수되는 구성요소의 수를 저감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카드를 부가하고, 기록매체와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 제품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장기간동안 확실하게 보호되도록 최적의 포장 상태를 유지하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호한 외관의 포장이 가능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인덱스카드를 케이스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케이스의 개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케이스의 개구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케이스 및 이 케이스에 수납될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케이스의 평면도.
도 7은 케이스의 후면도.
도 8은 케이스의 저면도.
도 9는 케이스의 전면도.
도 10은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케이스의 상반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케이스의 하반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메인 카드와 보조카드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의 한쪽 표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적층 시트의 반대쪽 표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15는 메인카드와 보조카드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메인카드와 보조카드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메인카드로부터 보조카드용 시트를 릴리스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케이스를 오버랩 필름으로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9는 케이스를 포장한 오버랩 필름이 수축을 일으키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0은 케이스를 오버랩 필름으로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메인 카드와 보조카드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는 디스크 카트리지 또는 테이프 카트리지와 같은 정보 신호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를 덮도록 배치되고, 기록매체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예를 들어 제목과 같은 표시를 가지는 보조 인덱스카드로서 사용되는 메인카드를 동시에 포장한다. 포장체에 사용된 메인카드는 그 한쪽면에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제목의 표시를 인쇄하고, 그 반대쪽 면에는 뗄 수 있는 보조카드가 부착되어 있다. 보조카드는 점착제로 도포되어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보조카드가 부착된 메인카드의 반대쪽 면은 점착제층을 가지는 보조카드를 용이하게 릴리스하도록 처리한다. 메인카드는 기본 중량이 170∼210 g/㎡인 종이재로 형성되고, 보조카드는 기본 중량이 60∼100 g/㎡인 종이재로 제작한다.
부단한 연구결과, 본 발명자는 특히 메인카드는 중량이 170∼210 g/㎡인 종이재, 보조카드는 중량이 60∼100 g/㎡인 종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게 되었다.
중량이 170∼210 g/㎡인 종이재를 메인카드에 사용하는 이유는 메인카드가 이 중량에 상응하는 두께보다 얇으면, 케이스에 수납된 기록매체가 충분하게 보호될 수 없는 반면, 메인카드가 이 중량에 상응하는 두께보다 두꺼우면, 오버랩 필름으로 포장된 포장 제품의 외관이 나쁘기 때문이다. 특히, 점착제층이 형성된 보조카드는 메인카드에 부착하여 이에 적층되며, 메인카드와 보조카드로 구성된 적층 조립부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카드는 전술한 종이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량이 60∼100 g/㎡인 종이재를 보조카드에 사용하는데, 이것은 사인펜 또는 볼펜과 같은 필기도구로 기입하는 것이 향상될 수 있으며, 메인카드와 보조카드로 구성된 적층 조립부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케이스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광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내장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케이스와, 투명 합성수지의 필름 시트인 오버랩 필름을 포장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케이스(51)와 메인카드(501)를 열수축성을 가지는 투명합성수지의 필름 시트인 오버랩 필름으로 포장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51)는 정보 신호를 기록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서의 광디스크(117)와, 광디스크(117)를 내장하는 카트리지 메인부재(102)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수납한다. 메인카드(501)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내장된 광디스크(117) 상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인덱스카드로서 사용되고, 케이스(51) 내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부가된다.
[1] 케이스 및 디스크 카트리지
첫째, 본 실시예의 포장체로 포장된 케이스(51) 및 이 케이스(51)내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51) 내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에는 광디스크(117)가 내장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접하여 결합된 상· 하반부(103,104)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메인부재 내에서 회전한다. 광디스크(117)는 광투과 합성수지로 형성된 디스크 기판과, 이 디스크 기판 대부분의 표면에 형성된 신호 기록층으로 이루어진다. 광디스크(117)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의 스핀들샤프트로 결합된 센터 처킹 개구와, 이 센터 처킹 개구를 에워싸도록 디스크 회전 구동부의 디스크 테이블에 의하여 지지된 장착 기준부를 가진다. 장착 기준부를 가지는 표면에 대한 광디스크(117)의 반대쪽 표면에는, 처킹 개구를 닫는 금속재의 처킹 플레이트(115)가 장착되어 있다.
카트리지 메인부재(102)는 내장된 광디스크(117)의 직경에 대략 상응하는 변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카트리지 메인부재(102)의 상면 및 하면의 횡방향의 중간부에는, 사각 형상의 1쌍의 기록/재생용 개구(106)가 형성된다. 하반부(104)에 형성된 기록/재생용 개구는 광디스크(117)의 한쪽의 주면부의 일부를 내외주에 걸쳐 외부에 노출시킨다. 상반부(103)에 형성된 기록/재생용 개구는 광디스크(117)의 다른 쪽의 주면부의 일부를, 내외주에 걸쳐 외측에 노출시킨다. 이러한 기록/재생용 개구(106)는, 카트리지 메인부재(10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셔터 부재(105)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셔터 부재(105)는 얇은금속판로 형성되고, U자의 단면 형상인 연결편에 의하여 단부가 연결된 1쌍의 셔터부로 구성되어, 이 셔터부가 서로 대향하게 된다. 셔터 부재(105)는 카트리지 메인부재(102)의 측면으로부터 꼭 맞게 장착되어 개구(106)의 개폐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개구(106)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부재(105)의 이동방향은 기록/재생용 장치에 대하여 디스크 카트리지를 로드 및 언로드하는 방향과 동일하다.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기록/재생용 장치에 도 5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로드되었을때, 셔터 부재(105)는 기록/재생용 장치에 설치된 셔터 개구재에 의하여 개구(106)의 폐쇄위치의 반대편인 도 5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로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록/재생용 개구(106)를 개방한다.
카트리지 메인부재(102)의 하면의 중앙 위치에 처킹 개구, 처킹 기준면부 및 광디스크(117)의 처킹 플레이트(115)가 외부로 노출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된다. 셔터 부재(105)를 슬라이드하는 면과 평행인 카트리지 메인부재(102)의 양쪽 측면에는, 기록/재생용 장치에 디스크 카트리지를 로드하는 로드수단에 맞물리는 요부(110)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메인부재(102)의 하면에는, 내장된 광디스크(117)의 타입을 나타내는 식별공과, 디스크 카트리지를 기록/재생용 장치에 로드할 때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로드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결정핀에 맞물리는 위치 결정공이 천공된다.
전술한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내장하는 케이스(51)는 도 5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하여 결합된 합성수지의 상반부(1)와 하반부(2)로 이루어진다.
케이스(51)의 상반부(1)는 케이스(51)내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평면에 대략 일치되는 크기의 사각형의 상판부(1a)로 이루어진다. 상판부(1a)의 내면의 양면은 하반부(2)에 접하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51)의 측면을 한정하는 한쌍의 내측 측벽부(11,12)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 측벽부(11,12)는 상판부(1a)의 측에지부에 서로 평행으로 형성된다. 상반부(1)의 내면의 후면에는, 상판부(1a)의 후에지부에 평행으로 연장된 내측 후벽부(15)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측벽부(11,12)와 내측 후벽부(15)는 상판부(1a)와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어서, 조립을 하게 되면 전면이 개방된 대략 U자형으로 된다. 이러한 내측 측벽부(11,12)와 내측 후벽부(15)는 케이스(51)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측벽부(11,12)와 내측 후벽부(15)는 상판부(1a)의 측에지부 및 후에지부보다, 이 각 벽부(11,12,15)의 두께에 상당하는 정도만큼 내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 측벽부(11,12)의 외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측방 맞물림부(13,14)가 형성된다. 이 맞물림부(13,14)는 내측 측벽부(11,12)의 선단 근방으로부터 후단으로 상판부(1a)의 양쪽 측에지부와 평행으로 형성된다. 이 측방 맞물림부(13,14)는 내측 측벽부(11,12)의 하단의 약간 위, 즉 상판부(1a)를 향하여 형성된다. 내측 후벽부(15)의 외면에는 후방 맞물림부(16)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후방 맞물림부(16)는 내측 후벽부(15)의 길이에 따라서 상판부(1a)의 후에지부와 평행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후방 맞물림부(16)는 내측 후벽부(15)의 하단의 약간 위, 즉 상판부(1a)를 향하여 형성된다.
내측 측벽부(11,12)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돌기(24)는 내측 측벽부(11,12)의 전방측이고, 각 맞물림부(13,14)의 상면측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돌기(24)는 측방 맞물림부(13,14)의 돌출길이보다는 약간 작다. 지지돌기(24)는 전단면이 내측 측벽부(11,12)와 직각이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가 후면으로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내측 측벽부(11,12) 외측면의 후부에는 세로홈부(40)가 형성된다. 이 수직으로 연장된 홈부(40)는 내측 측벽부(11,12)의 가까운쪽으로부터 먼쪽으로, 즉 상판부(1a)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측벽부(11,12)의 먼 끝으로 향하여 연장된다.
상판부(1a)의 내면에는 양측면과 후면에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차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를 형성하는 목적은 케이스(51)에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착탈할 때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평면이 슬라이드접하여 상판부(1a)의 내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판부(1a)의 전면에는 상단 절결부(5)가 형성된다. 절결부(5)를 형성하는 목적은 케이스(51)내에 내장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후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데 있다.
케이스(51)를 구성하기 위해 상반부(1)에 접한 하반부(2)는 상반부(1)의 상판부(1a)와 대략 같은 사각형의 저판부(2b)로 이루어진다. 상반부(1)에 대향하는 하반부(2)의 내면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외측 측벽부(17,18)가 형성되어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51)의 측벽부를 구성하기 위해 상반부(1)의 내측 측벽부(11, 12)와 결합된다. 이 외측 측벽부(17, 18)는 저판부(2a)의 측에지부에따라서 형성된다. 하반부(2)의 내면의 후부에는 저판부(2a)의 후에지부에 따라서 연장되는 외측 후벽부(19)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 측벽부(17,18)와 외측 후벽부(19)는 저판부(2a)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하반부(2)가 전체적으로 전면이 개구된 U자형의 단면을 이룬다. 이러한 외측 측벽부(17,18)와 외측 후벽부(19)는 이에 내장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두께와 대략 높이가 같다. 또한, 이 외측 측벽부(17,18)와 외측 후벽부(19)는 저판부(2a)의 측에지부와 후에지부로부터 각각의 벽부(17,18,19)의 두께에 상응한 거리에 형성된다.
서로 대향하는 외측 측벽부(17,18)의 내측면에는 측방 맞물림홈(20,21)이 형성된다. 이 측방 맞물림홈(20,21)은 외측 측벽부(17,18)의 전단부 근방으로부터 후단측에 걸쳐, 저판부(2a)의 상면부에 평행으로 형성된다. 이 측방 맞물림홈(20,21)은 외측 측벽부(17,18)의 단부로부터 약간 상방측, 즉 저판부(2a)로부터 떨어져서 형성된다. 외측 측벽부(19)의 내측에는 후방 맞물림홈을 형성하는 플랜지(22)가 형성된다. 이 그루브(22)는 외측 측벽부(19)의 상에지부에 따라서 저판부(2a)의 내면과 평행으로 형성된다. 후방 맞물림홈은 플랜지(22)와 저판부(2a)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외측 측벽부(17,18)의 내면에는 내면으로 향하여 개방된 지지요부(25,26)가 형성된다. 이 지지요부(25,26)는 외측 측벽부(17,18)의 전면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반부(1)에 형성된 지지돌기(24)와 결합하여 측방 맞물림홈(20,21)과 각각 연통된다. 이 지지요부(25,26)는 측방 맞물림홈(20,21)보다는 깊이가 약간 얕다.
외측 측벽부(17,18) 외측면의 상에지부 측에는,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를 형성하는 요부(37,38)가 형성된다. 이 요부(37,38)는 외측 측벽부(17,18)의 상단 에지부에 따라서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요부(37,38)는 외측 측벽부(17,18)의 상단 에지부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외측 측벽부(17,18)의 후방측 위치에는, 한쌍의 절결부(41,42)가 형성되어 상반부(1)에 형성된 세로홈부(40)와 결합된다. 이 절결부(41,42)는 외측 측벽부(17,18)의 상단으로부터 측면 가까이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저판부(2a)의 전면에는, 하방측 절결부(6)가 형성된다. 이 하방측 절결부(6)를 형성하는 목적은 케이스(51)내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후단측 부분을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것이다.
저판부(2a)의 내면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과 후면에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한쌍의 측방 단차부(30,31) 및 후방 단차부(32)가 형성된다. 이 단차(30∼32)를 형성하는 목적은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케이스(51)에 착탈할 때,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대부분의 평탄한 면이 슬라이드 접촉되어 저판부(2a)의 내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후방 단차부(32)에는 오삽입 방지돌기(29)가 형성된다. 이 오삽입 방지돌기(29)는 저판부(2a)의 후방부의 중앙위치보다 약간 떨어져서 형성되어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형성된 디스크식별용 요부에 들어맞게 된다.
플랜지(22)의 양단측 위치에는, 한쌍의 리브형상의 보강부(27,28)가 플랜지(22)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보강부(27,28)는 외측 후벽부(19)의 내면과일체로 형성되어 플랜지(22)로부터 저판부(2a)로 연장된다. 측방 맞물림홈(20,21)의 하방측에는, 복수의 보강리브(43)가 측방 맞물림홈(20,21)의 측면으로부터 저판부(2a)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반부(1) 및 하반부(2)는 상반부(1)의 측방 맞물림부(14)가 하반부(2)의 측방 맞물림홈(20,21)에 맞물리고, 상반부(1)의 후방 맞물림부(16)가 하반부(2)의 플랜지(22)와 저판부(2a)의 사이, 즉 후방 맞물림홈에 맞물림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케이스(51)를 형성하게 된다. 상반부(1)와 하반부(2)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하반부(2)의 앞위치에 상반부(1)를 위치시키고, 측방 맞물림부(14)의 후단을 측방 맞물림홈(20,21)의 전면내로 도입하고, 측방 맞물림홈(20,21)내에 측방 맞물림부(14)를 슬라이드되도록 상반부(1)를 후면으로 이동해야 한다. 상반부(1)를 저판부(2a)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킬 때, 상반부(1)의 후방 맞물림부(16)가 하반부(2)의 후방 맞물림홈과 맞물리는 반면, 지지돌기(16)가 지지요부(25)와 맞물린다. 지지돌기(16)를 지지요부(25,26)와 맞물리기 위하여, 지지돌기(24)를 외측 측벽부(17,18)의 전면으로부터 외측 측벽부(17,18)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여 외측 측벽부(17,18)를 외부로 밀어내어 구부러지게 한다. 맞물림돌기(24)가 지지요부(25)의 대향위치에 이를 때, 외측 측벽부(17,18)는 원위치로 탄성적으로 리셋되어 이 지지요부(25,26)에 맞물린다.
상반부(1) 및 하반부(2)는 상판부(1a) 및 저판부(2a)의 양측면과 후면이 연결되어 상판부(1a) 및 저판부(2a)가 각각 평행으로 유지되고,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착탈용 개구(52)가 전면에 형성된다. 이 개구(52)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변의 길이에 대략 상응하는 폭과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두께에 대략 상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상반부(1)와 하반부(2)가 서로 결합될 때, 내측 측벽부(11,12)와 내측 후벽부(15)의 단부는 저판부(2a)의 내면에 접하게 된다. 하반부(2)의 외측 측벽부(17,18)와 외측 후벽부(19)의 단부는 상판부(1a) 내면의 주위 에지부 근방에 접하게 된다.
하반부(2)의 외측 측벽부(17,18)의 외측면 상단과 상판부(1a)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부(37,38)에 의하여, 케이스(51)의 양측면에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홈부(7,8)가 형성된다. 즉, 외측 측벽부(17,18)의 상단이 상판부(1a)의 측에지부에 대하여 측방 홈부(7,8)의 깊이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내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판부(1a)의 내면에 접한다. 이 측방 홈부(7,8)는 개구(52)가 있는 전면으로부터 케이스(51)의 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케이스(51)를 수납하는 랙에 형성된 지지편에 맞물려서 프리셋위치에서 케이스(51)를 지지하게 된다.
측방 홈부(7,8)는 상판부(1a)의 내면에 따라서, 즉 케이스(51)의 상면으로부터 상판부(1a)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측방 홈부(7,8)는 저판부(2a)로부터 저판부(2a)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를 두고 요부(37,38) 아래의 외측 측벽부(17,18)의 부분에 형성된다. 즉, 측방 홈부(7,8)는 측벽부(17,18,11,12)로 구성된 케이스(51)의 측면의 중앙으로부터 상판부(1a)를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측벽부(7,8)의 후단으로 외측 측벽부(17,18)에 형성된 절결부(41,42)와 내측 측벽부(11, 12)에 형성된 세로홈부(40)에 의하여 구성된 저면개구가 형성된다.
케이스(51)의 내면, 즉 상반부(1)와 하반부(2)의 사이에, 케이스(51)내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로킹하는 한쌍의 로크부재(9,10)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다. 이 로크부재(9,10)는 탄성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를 사용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 로크부재(9,10)는 하반부(2)에 형성된 한쌍의 로크부재 장착부(33,34)와의 맞물림에 의해 장착된다. 이 로크부재(9,10)는 저판부(2a)의 내면측으로 팽출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로크부재(9,10)는 외측 측벽부(17,18)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내측 측벽부(11,12)의 후방측 부분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되어 상판부(1a)로부터의 거리에 있어서 중앙 부분 및 전방측 부분보다 로크부재(9,10)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짧아진다. 특히, 내측 측벽부(11,12)는 하반부(2)의 로크부재 지지부(33,34)에 지지된 로크부재(9,10)에 접하지 않고, 로크부재(9,10)가 로크부재 지지부(33,3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로크부재 장착부(33,34)의 후측, 즉 외측 측벽부(17,18)의 외측면의 후방측 위치에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하반부(2)를 제조하는 동안 함몰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은 로크부재 장착부(33,34)가 설치된 외측 측벽부(17,18)의 부분이 외측 측벽부(17,18)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이 부분이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는 상태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함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 측벽부(17,18)의 로크부재 장착부(33,34)와 정합(整合)된 요부의 오목한 부분으로 외측 측벽부(17,18)를 형성하여 함몰발생을 방지한다.
케이스(51)는 이렇게 하여 정확하게 깎인 양코너로 이루어진다.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케이스(51)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개구(52)를 통하여 상판부(1a)와 저판부(2a) 사이의 공간으로 도 5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도입된다.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케이스(51)내로 삽입될 때,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상면 및 하면의 양측면 부분만이 케이스(51)내에 형성된 단차(30,31)와 슬라이드 접하는 반면, 평면부의 중간부분은 케이스(51)에 접하지 않으므로, 삽입 및 분리를 반복함으로써 생기는 손상위험은 없다.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전방부가 후단, 즉 케이스(51)의 내단에 이를 때, 카트리지 메인부재(102)의 전방부의 양측 측면부는, 로크부재(9,10)를 가압하여, 이들 로크부재를 외측 측벽부(17,18)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카트리지 메인부재(102)는 그 전단부가 케이스(51)의 후측벽부(15)에 대략 접할 때까지 삽입될 때, 로크부재(9,10)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양측면상의 요부(110)에 대향하게 된다. 이 때, 로크부재(9,10)의 아치형의 부분은 초기상태로 리셋되어 요부(110)에 맞물린다. 이러한 방법으로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요부(110)에 맞물린 로크부재(9,10)로,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양면으로부터 로크부재(9,10)에 의하여 샌드위치되어 지지되어,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케이스(5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오삽입 방지돌기(29)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내에 형성된 디스크타입 식별 요부에 맞물린다.
케이스(51)내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인출하기 위하여, 상방측 및 하방측 절결부(5, 6)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외부로 향하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를손가락끝으로 잡아서 끌어낸다. 로크부재(9,10)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양면에 의하여 눌러져서 외측 측벽부(17,18)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디스크 카트리지(101)와 요부(110)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다음에,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개구(52)를 통하여 케이스(5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케이스(51)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인출될 때, 로크부재(9,10)는 초기상태로 리셋된다.
[2] 메인카드의 구성
제목, 예를 들어, 디스크 카트리지(101)내에 내장된 광디스크(117)의 기록내용을 나타내는 인덱스카드로서 사용되고,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수납하는 케이스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랩 필름으로 포장되는 메인카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메인카드(501)는 케이스(51)의 한쪽 대부분의 표면을 덮는 제1의 카드부(501a), 다른쪽 대부분의 표면을 덮는 제2의 카드부(501b), 및 이 제1 및 제2의 카드부(501a, 501b)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501c)로 구성되고, 이것을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다. 연결부(501c)의 폭은 개구(52)를 가지는 케이스(51)의 측면을 덮기에 충분할 만큼 넓다 제1 및 제2의 카드부(501a,501b)와 연결부(501c)의 접합부는 접는 선(506,506)이 각각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메인카드(501)는 접는 선(506,506)에 따라서 U자형의 단면으로 접어 개구(52)를 가진 측면을 통하여 케이스(51)내에 끼워진다.
메인카드(501)는 변형이 되지 않을 충분한 강도를 가진 판지로 형성된다. 특히, 메인카드는 기본 중량이 대략 170∼210g/㎡인 판지로 형성된다.
메인카드(501)를 케이스(51)의 외주면과 맞물리도록 접는 선(506,506)에 따라서 U자형으로 접을 때 외부로 노출된 메인카드(501)의 한 표면상에, 케이스(51)내의 디스크 카트리지(101)내에 내장된 광디스크(117)의 기록정보로서 음부의 제목, 광디스크(117)의 디자인설명 또는 타입, 또는 취급방법을 나타내는 표기(511)가 인쇄된다. 특히, 디스크(117)상에 기록된 음부의 제목 또는 취급방법을 나타내는 표기(511)와 광디스크(117)의 디자인설명 또는 타입 또는 취급방법을 나타내는 표기(511)는 메인카드(501)의 제1의 부분(501a)과 제2의 부분(501b)에 각각 제공된다. 제목의 부분은 연결부(501c)에 표기된다.
메인카드(501)의 표기(511)가 제공된 표면의 반대면에는, 예를 들어, 괘선으로 된 컬럼(507)이 제공되어 디스크 카트리지(101)내에 내장된 광디스크(17)의 기록 내용, 기록시간 등을 필기도구를 사용하여 기록할 수 있고,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점착될 수 있는 보조라벨(515)용 시트가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된다. 보조라벨(515)용 시트는 메인카드(501)에 적층된 표면에는 점착제가 붙어 있는 점착제층(503)으로 이루어지고, 이 점착제층(503)을 통하여 메인카드(501)의 반대면에 적층된다. 보조라벨(515)용 시트가 적층된 메인카드(501)의 표면에는, 실리콘과 같은 고분자물질로 코팅된 릴리스층(509)이 형성된다. 릴리스층(509)을 형성함으로써, 보조라벨(515)용 시트는 메인카드(501)로부터, 필요하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층(503)을 남기지 않고 릴리스될 수 있다.
보조라벨(515)용 시트는 천공과 같은 재봉선(508)으로 형성되고, 시트는 이 선(508)에 의하여 잘려지게 된다. 이 선(508)으로 둘러싸이고, 이 선(508)에 따라서 잘라지는 시트(515)의 부분이 보조라벨 또는 카드(505)라고 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접합될 수 있다.
보조라벨 또는 카드(505)로 잘려진 보조라벨(515)용 시트는 중량이 60∼100g/㎡인 종이재로 형성된다. 보조라벨 또는 카드용 시트를 만드는 종이재는 메인카드(501)상에 시트(515)를 적층하여 적층 조립부(504)를 만들 때, 적층 조립부(504)의 두께가 과다하지 않게 하여, 접는 선(506,506)에 따라서 적층시트를 접는 것을 방해받지 않게 한다. 보조라벨(515)용 시트는 수성펜 또는 볼펜과 같은 필기도구로 만족스럽게 기입될 수 있는 종이재로 형성된다.
[3] 오버랩 필름으로 포장
케이스(51)내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에는, 보조라벨(515)용 시트가 적층된 메인카드(501)가 접는 선(506,506)에 따라서 U자형의 단면으로 접어져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52)를 가지는 표면으로부터 케이스(51)의 외주면에 걸쳐 위치한다.
메인카드(501)가 외주면에 위치된 케이스(51)는 투명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시트인 오버랩 필름(201)으로 메인카드(51)와 함께 포장된다. 오버랩 필름(201)은 열수축성 필름시트이고, 가열됨으로써 수축되는 동시에 용융된다.
오버랩 필름(201)으로 포장하기 위하여, 필름의 반대측 에지가 서로 연결되어 관형 필름(201)이 형성되고, 메인카드(501)와 외주면이 싸인 케이스(51)가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진다. 관형 필름(201)의 양단부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복부(202,203)를 형성하고 나서 열이 가해져 가열기구의 한쌍의 가열 아이언부재(301,302)에 의해 서로 융합된다. 이중복부(202,203)는 케이스(51)의 측면에 형성된다.
가열 아이언부재(301,302)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다. 가열 아이언부재(301,302)는 도시하지 않은 가열기구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로 열이 가해지는 거리로 조정된다. 가열 아이언부재(301,302)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측면부에 요부(303,304)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 요부(303,304)는 케이스(51)의 측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케이스(51)의 양측 측부분이 요부(303,304)의 저부까지 삽입된다. 케이스(51)의 양측 측부분의 코너부는 둥글게 되어 있으므로, 요부(303,304)의 코너부 또한 둥글게 형성된다. 요부(303,304)는 케이스(51)의 양측면과 같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버랩 필름(201)이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어느 하나에 위치 어긋나서, 오버랩 필름(201)의 단부가 상판부(1a) 또는 저판부(2a)에까지 달했을 때에도, 가열 아이언부재(301,302)에 의하여 가열되어 열융착된다.
열이 가해져 오버랩 필름(201)이 수축됨으로써, 오버랩 필름은 케이스(51)의 외면부에 밀착되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이 완료된다. 케이스(51)의 외측면부가 메인카드(501)에 의해 평평하기 때문에, 오버랩 필름(201)은 케이스(51)를 덮고 있는 메인카드(501)를 주름부분이 생기지 않게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메인카드(501)는 소정 두께의 판지로 형성되므로, 케이스(51)를 부주의로 떨어뜨려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잘 변형되지 않는다. 특히, 보조라벨 또는 카드(515)용 시트는 메인카드(501)와 일체로 적층되어 있어서, 메인카드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잘 변형되지 않게 하여 장기간동안 만족스런 포장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메인카드(501)와 보조라벨(515)용 시트는 일체로 적층되어 있어서, 메인카드(501)상에 형성된 광디스크(117)상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제목과 같은 표시(511)와 보조라벨(515)용 시트에 제공된 엔트리컬럼(507)용 괘선은 일련의 인쇄공정으로 인쇄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보조라벨 또는 카드로서의 보조라벨(515)용 시트는 메인카드(501)와 일체로 되어 있어서, 보조카드(505)를 지지하는 릴리스시트에는 점착제층이 필요 없으므로 재료를 저감하게 된다. 사용되지 않은 보조카드는 메인카드(501)에 남게 되어서, 보조카드(505)의 관리를 촉진시키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라벨(515)용 시트 1매만이 메인카드(501)에 적층되지만, 보조라벨(515)용 시트는 수매가 메인카드(501)에 적층될 수도 있다.
보조라벨(515)용 시트에 형성된 재봉선(508)은 크기 및 형상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어서, 보조카드 또는 라벨을 원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광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내장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싸는 케이스를 포장하는데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케이스에 내장된 기록매체를 기록매체의 기록 내용을 나타내는 인덱스카드와 함께 포장하는데 적용할 때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장점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와 같은 테이프형 기록매체가 내장된 테이프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장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디스크 카트리지 또는 테이프 카트리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부수되는 구성요소의 수를 저감한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조카드를 부가하고, 기록매체와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는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장 제품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장기간동안 확실하게 보호되도록 최적의 포장 상태를 유지하는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양호한 외관의 포장이 가능한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정보 신호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장하는 포장체에 있어서,
    정보 신호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케이스,
    기본 중량이 170∼210g/㎡인 종이재로 상기 케이스를 덮도록 형성되고 제1면에 기록매체의 내용을 기록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메인카드와, 기본 중량이 60∼100g/㎡인 종이재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카드의 반대쪽 표면인 제2 면에 점착제층(粘着劑層)을 통하여 접합되는 보조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릴리스되도록 처리된 적층 조립부,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적층 조립부를 포장하며, 상기 적층 조립부가 케이스의 외주면을 덮도록 배열된 포장필름
    을 포함하는 포장체.
  2. 기록매체 포장체에 있어서,
    정보 신호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케이스, 및
    기본 중량이 170∼210g/㎡인 종이재로 상기 케이스를 덮도록 형성되며 제1면에 기록매체의 내용을 기록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메인카드와, 기본 중량이 60∼100g/㎡인 종이재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카드의 상기 제1 면의 반대쪽 표면인 제2 면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적층되는 보조라벨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릴리즈되도록 처리된 적층 조립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 조립부를 접어서 상기 케이스의 표면을 덮고, 투명필름 시트를 상기 적층 조립부와 상기 케이스를 덮도록 설치하고, 상기 필름시트를 열수축시켜 상기 적층 조립부와 상기 케이스를 밀착시키는
    포장체.
KR1019960018377A 1995-05-31 1996-05-29 기록매체포장체 KR100415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56807A JPH08324669A (ja) 1995-05-31 1995-05-31 記録媒体包装体
JP1995-156807 1995-05-31
JP95-156807 1995-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693A KR960042693A (ko) 1996-12-21
KR100415167B1 true KR100415167B1 (ko) 2004-03-26

Family

ID=1563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377A KR100415167B1 (ko) 1995-05-31 1996-05-29 기록매체포장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15935A (ko)
JP (1) JPH08324669A (ko)
KR (1) KR100415167B1 (ko)
CN (1) CN1152172A (ko)
MY (1) MY116653A (ko)
TW (1) TW40992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4198A (en) * 1997-10-28 1999-09-21 Tdk Corporation Cartridge receiving casing
TW462942B (en) * 1999-05-13 2001-11-11 Tdk Corp Label-integrated index card
US20040112789A1 (en) * 2002-12-17 2004-06-17 Robinson Ian Douglas Protective envelope package for flash memory devices
US6991101B2 (en) * 2003-04-21 2006-01-31 Bennett David W Device for labeling and storing computer discs
US20060180486A1 (en) * 2003-04-21 2006-08-17 Bennett David W Modular panel and storage system for flat items such as media discs and holders therefor
US20090109006A1 (en) * 2007-10-29 2009-04-30 Greg Helmstetter Media Case Date Indicator
US10815578B2 (en) 2017-09-08 2020-10-27 Electrode Solutions, LLC Catalyzed cushion layer in a multi-layer electrod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7834Y2 (ko) * 1976-10-22 1981-11-09
US4307806A (en) * 1980-02-14 1981-12-29 Raytheon Company Integral foldable package
US4322000A (en) * 1980-08-13 1982-03-30 Diamond International Corporation Tape cassette packages and holders therefor
GB8602043D0 (en) * 1986-01-28 1986-03-05 Amaray Int Ltd Housing
US4867310A (en) * 1987-08-11 1989-09-19 Cannon Richard K Cassette tape holder
GB2210026B (en) * 1987-09-24 1991-12-18 Kunimune Kogyosho Co Ltd Case for compact disks
US4852739A (en) * 1988-08-03 1989-08-01 Franco Manufacturing Co., Inc. Transport/display package for magnetic tape cassettes
US4998985A (en) * 1990-04-12 1991-03-12 Alpha Enterprises, Inc. Method of utilizing a videocassette identifying storage and display sleeve
US5103978A (en) * 1990-06-14 1992-04-14 Secor Nancy A Covers for videocassettes, videocassette jackets and similar like articles
AU665986B2 (en) * 1992-03-31 1996-01-25 Sony Corporation Casing for housing disc cartridge and method for packaging the casing
US5510165A (en) * 1992-06-30 1996-04-23 Sony Corporation Thin film wrapping for cassette case
US5373944A (en) * 1992-08-12 1994-12-20 Hitachi Maxell, Ltd. Recording media case
TW318817B (ko) * 1992-11-30 1997-11-01 Sony Co Ltd
JPH06345171A (ja) * 1993-06-11 1994-12-20 Ricoh Co Ltd 光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等の収納ケース
JPH0818631B2 (ja) * 1993-12-27 1996-02-28 昭和有機株式会社 扁平シェル収納用扁平ケ―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172A (zh) 1997-06-18
KR960042693A (ko) 1996-12-21
US5715935A (en) 1998-02-10
JPH08324669A (ja) 1996-12-10
TW409924U (en) 2000-10-21
MY116653A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3477A (en) Book carrier for cassette and compact disc
JPH0664680A (ja) 貯蔵パッケージ
US4760914A (en) Theft-resistant retail container
US5775489A (en) Multi-media librarial storage system
KR100415167B1 (ko) 기록매체포장체
US4287989A (en) Storage container for magnetic tape cassettes
JPH0872960A (ja) 情報担体の収納装置
US5577914A (en) Device for representing braille on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medium and disc cartridge
KR100436285B1 (ko) 컴팩트 디스크 케이스
US4619399A (en) Multi-pocket envelope for floppy discs
US20060237337A1 (en) Package for disc-like recording medium
US20010030137A1 (en) Disc housing body housing case
JPH11334783A (ja) 光ディスク包装体
JPH07206065A (ja) 情報信号記録媒体の点字表示装置
JPS5873067A (ja) 記憶密度の高いプレ−ト状情報担体のための保管カセツト
TW498314B (en) Disc tray
JP318937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ケース及び包装構造
EP1777707B1 (en) Media container with band header
JPH1035767A (ja) 記録媒体ディスク収納体
JP353407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ケース
JPH08337281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用紙製ケース
JPH079789U (ja) 記録媒体ケース収納ジャケット
JP2000043970A (ja) 光ディスク収納容器
JPH11278579A (ja) 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EP0368627A2 (en) Cassett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