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83B1 -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83B1
KR100414983B1 KR10-2001-0015191A KR20010015191A KR100414983B1 KR 100414983 B1 KR100414983 B1 KR 100414983B1 KR 20010015191 A KR20010015191 A KR 20010015191A KR 100414983 B1 KR100414983 B1 KR 100414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s
bar
horizonta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768A (ko
Inventor
신종춘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Priority to KR10-2001-001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8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04B1/944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covered with fire-proof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2수직바로 이루어진 수직바와, 상기 제 1,2수직바 전,후면에 용착되어 안착홈이 형성된 수직편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는 제 1,2수평바로 이루어진 수평바와, 상기 제 1,2수직바의 수직편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수직편과 상기 제 1,2수평바 및 상기 간격유지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과 상기 수평바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부재로써 체결 고정되고, 내측면에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중앙 영역에 삽입공이 형성된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 사이와 상기 수직바, 상기 수직편 및 상기 수평바 내부에 구비된 내장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2중 공간부와 보온성이 우수한 내장부재를 구비하여 실내외부의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차음(遮音) 및 흡음(吸音)이 이루어져 소음공해를 방지하고, 또한 보온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그리고 지진 등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붕괴시 차체의 하중이 줄어들게 되어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게 되었으며, 공해물질인 폐타이어를 사용하게 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ASSEMBLY APPARATUS BUILDING FRAME}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중의 공간부와 보온성이 우수한 내장부재로 벽체 및 천정 등의 건축 구조물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실내외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차음 및 흡음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소음공해를 방지하고, 보온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또한 방화벽 및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 구조물의 붕괴시 차체 하중이 줄어들게 되어 인명피해를 최소하게 되고, 공해물질인 폐타이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시공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공법으로 조립 유지되는 데, 이는 주로 철재 빔을 상호 조립하여 건축물의 주골격을 이룬 다음, 콘크리트로써 각층으로 구획하여 벽체 및 천정 등을 시공하고, 최종적으로 실내장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많은 자재들이 사용되고, 이로 인해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구조물의 해체시에는 대부분의 건축 자재들이 재활용이 되지 못하고 폐기물로 배출됨으로써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되었고, 특히 구조물에 대한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 별도의 흡음부재를 시공하게 되는 데, 이러한 흡음부재는 화재에 매우 취약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화재시에는 치명적인 인명 피해를 입게 되었으며, 구조물의 붕괴시 많은 인명이 구조물의 중량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온, 흡음 및 차음이 가능하고, 지진 내력벽의 기능, 즉 건물의 붕괴시 벽체의 중량이 가벼워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며, 자원을 재활용하게 되는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제 1,2수직바로 이루어진 수직바와, 상기 제 1,2수직바 전,후면에 용착되어 안착홈이 형성된 수직편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는 제 1,2수평바로 이루어진 수평바와, 상기 제 1,2수직바의 수직편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수직편과 상기 제 1,2수평바 및 상기 간격유지부재를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과 상기 수평바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부재로써 체결 고정되고, 내측면에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중앙 영역에 삽입공이 형성된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 사이와 상기 수직바, 상기 수직편 및 상기 수평바 내부에 구비된 내장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따른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따른 내장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수직편 20 : 수평바
40,41 : 마감패널 43 : 삽입공
44 : 안착부 40 : 체결부재
50 : 벽체 60 : 내장부재
61 : 완충부재 62 : 흡음공
63,65 : 제 1,2공간부 64,66 : 제 1,2부재
66a : 흡입공 70 : 마감재
70a : 제 3공간부 71 : 마개
72 : 삽입홈 73 : 장식물
74 : 마감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는 크게 수직바(10), 수평바(20)와 마감패널(40)(41) 및 내장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바(10)는 직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적정 길이를 유지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제 1,2수직바(1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수직바(11)(12) 전후면에는 한쌍의 수직편(15)이 각각 용착 고정된다.
상기 수직편(15)은 직사각 형상의 제 1,2수직바(11)(12) 좁은 쪽의 단면 폭만큼 제 1,2수직바(11)(12) 상하부로 돌출되어 수평바(20)가 안착되도록 안착홈(13)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수직편(15)의 상하부에는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삽입공(17)이 각각 관통된다.
상기 수평바(20)는 직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수직편(15)의 삽입공(17)과 대응되게 연통공(23)이 형성된 한쌍의 제 1,2수평바(2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수평바(21)(22)는 제 1,2수직바(11)(12) 상부와 수직편(15) 사이의 안착홈(13)에 수평으로 안착되어 체결 고정된다.
한편, 제 1,2수직바(11)(12)의 수직편(15) 사이 상하부에는 제 1,2수직바(11)(12)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 1,2수직바(11)(12)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간격유지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30)는 적정 지름을 갖는 봉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양단에는 수직편(15)의 삽입공(17)과 대응되게 나사공(3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마감패널(40)(41)은 수직편(15)과 수평바(20)의 내외측으로 각각 일치되고, 수직편(15)의 삽입공(17)과 제 1,2수평바(21)(22)의 연통공(23) 및 간격유지부재(30)의 나사공(31)과 대응되게 통공(42)이 형성되어 체결부재(50)로써 체결 고정된다.
즉, 마감패널(40)(41)의 통공(42), 수직편(15)의 삽입공(17), 제 1,2수평바(21)(22)의 연통공(23)을 통하여 외측으로부터 체결부재(50)를 각각 삽입시키고, 체결부재(50)를 간격유지부재(30)의 나사공(31)에 완전히 조이게 되면, 제 1,2수직바(11)(12)와 제 1,2수평바(21)(22)로 이루어진 수직바(10)와 수평바(20) 및 마감패널(40)(41)이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하여 안정되게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마감패널(40)(41)는 내측면에 내장부재(60)가 안착되는 안착부(44)되고, 안착부(44)의 정중앙 영역에는 삽입공(43)이 형성되어 내장부재(60)가 삽입된다. 또한, 마감패널(40)(41) 외측면에는 타일 등의 장식부재(48)가 부착된다.
상기 내장부재(60)는 마감패널(40)(41)의 안착부(44)에 양측면이 안착되는 완충부재(61)와, 완충부재(61) 내경에 일측 외경이 삽입 고정되고, 외경에 다수의 흡음공(62)이 형성된 제 1부재(64)와, 제 1부재(64)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 1부재(64) 타측을 차단하여 제 1부재(64) 내부에 제 1공간부(63)가 형성되도록 하고, 내경에 제 2공간부(65)가 형성되며, 마감패널(40)의 삽입공(43)에 돌출 삽입되는 제 2부재(66)와, 제 1부재(64) 일측 내경에 일측이 삽입 고정되고, 마감패널(41)의 삽입공(43)에 타측이 돌출 삽입되는 마감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부재(66)에는 제 1,2부재(64)(66)의 제 1,2공간부(63)(65)가 상호 연통되도록 다수의 흡입공(66a)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재(70)는 그 재질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 내경으로 마개(71)가 삽입되어 제 3공간부(70a)가 형성된다.
상기 마개(71)는 일측면에 삽입홈(72)이 형성되고, 삽입홈(72)에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식물(73), 예컨대 사진이나 그림 등이 내장되고, 삽입홈(72)에는 투명체인 마감판(74)을 삽입시켜 장식물(73)을 보관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61)는 폐타이어로 제작되어 재질의 특성상 보온, 흡음 및 차음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내장부재(60)는 설치되는 용도에 따라 제 2부재(66)와 마감재(70)의 방향을 바꾸어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즉, 마감재(70)의 마개(71) 내부에 보관된 장식물(73)을 구조물의 전면에서 볼 수 있도록 조립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 유지되는 수직바(10),수직편(15),수평바(20) 및 마감패널(40)(41)은 건축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하여 조립하게 된다.
즉, 수직바(10)의 제 1,2수직바(11)(12)를 한쌍의 수직편(15)으로써 수직으로 보강시키고, 이들 사이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제 1,2수평바(21)(22)로 이루어진 수평바(20)를 각각 삽입시켜 정사각 형상이 유지된 2개의 동일한 제품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2개의 제품 사이에 간격유지부재(30)로써 간격을 유지시키고, 내외측으로 마감패널(40)(41)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부재(50)의 체결력으로써 조립하게 된다. 이때, 조립되는 장소에 따라 마감패널(40)(41)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도 1참조) 마감패널(40)(41) 사이에 수직바(10)와 수평바(20)로써 조립된 2개의 조립품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되고, 이 내부에는 폐타이어의 완충부재(61),제 1,2부재(64)(66),마감재(70)로 이루어진 내장부재(60)가 내장되어 각종 구조물의벽 및 천정이나 방음벽 또는 차단벽 등의 용도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조립되는 수직바(10),수평바(20) 및 마감패널(40)(41)의 좌우측면을 용착시키면, 높이 및 넓이로 수직바(10), 수평바(20) 및 마감패널(40)(41)이 조립됨으로써 건축 구조물의 벽 또는 천정 등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부재(60)의 마감재(70) 일측 내경에 삽입 고정된 마개(71)에 의해 형성되는 제 3공간부(70a) 내부에 물 또는 모래 및 흙 등의 방화재(70b)를 채워 사용할 수 있어 방화벽 기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단면과 적정 길이로 이루어지고, 제 1,2수직바(11)(12)로 이루어진 수직바(10) 전후면에 한쌍의 수직편(15)을 각각 용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수직바(11)(12) 전후면에 한쌍의 수직편(15)이 동일 높이와 폭을 유지하여 용착 고정된다. 이때, 한쌍의 수직편(15)은 제 1,2수직바(11)(12)의 좁은 쪽 단면 폭만큼 상하부로 돌출되게 용착되어 수평바(20)가 안착되는 안착홈(13)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수직편(15)과 제 1,2수직바(11)(12) 상하부 사이의 안착홈(13)에 직사각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제 1,2수평바(21)(22)로 이루어진 수평바(20)를 수평으로 각각 안착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직편(15)과 제 1,2수직바(11)(12) 하부의 안착홈(13)에 제 1,2수평바(21)(22)가 수평으로 삽입 안착되어 정사각 형상을 유지한 2개의 동일 제품이조립된다. 이때, 수직편(15)의 삽입공(17)과 제 1,2수평바(21)(22)의 연통공(23)이 상호 일치된다.
그 다음으로 제 1,2수직바(11)(12)의 수직편(15) 외측으로는 마감패널(41)을 일치시키고, 내측으로는 간격유지부재(30) 일단을 일치시킨 다음, 마감패널(41)의 통공(42)과 수직편(15)의 삽입공(17) 및 제 1,2수평바(21)(22)의 연통공(23)을 통하여 외측으로부터 체결부재(50)를 각각 삽입시켜 간격유지부재(30)의 나사공(31)에 체결부재(50)를 조이게 되면, 외측의 마감패널(41)과 수직바(10) 및 수평바(20)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품이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완충부재(61), 제 1,2부재(64)(66), 마감재(70)로 이루어진 내장부재(60)의 완충부재(61) 일면을 마감패널(41) 내측면의 안착부(44)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원형을 유지하고 폐타이어로 이루어진 완충부재(61)의 일면이 마감패널(41)의 안착부(44)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제 1부재(64) 일측에 삽입 고정된 마감재(70)의 타측이 마감패널(41)의 삽입공(43)에 돌출되게 삽입된다.
그 다음으로 제 1,2수직바(11)(12)의 수직편(15) 내측으로 체결된 간격유지부재(30)의 타단에 수직바(10)와 수직편(11) 및 수평바(20)로써 조립 유지된 다른 제품을 일치시키고, 제 1,2수직바(11)(12)의 수직편(15) 외측으로 마감패널(40)을 일치시킨 다음, 마감패널(40)의 통공(42), 수직편(15), 삽입공(17) 및 제 1,2수직바(21)(22)의 연통공(23)을 통하여 외측으로부터 체결부재(50)를 각각 삽입시키고, 간격유지부재(30)의 나사공(31)에 체결부재(50)를 완전히 조이게 된다.
그러면, 내부에 내장부재(60)가 내장된 마감패널(40)(41)이 조립된다. 이때,완충부재(61) 타면이 마감패널(40) 내측면의 안착부(44)에 안착되고, 이와 동시에 제 2부재(66)가 마감패널(41)의 삽입공(43)에 돌출되게 삽입 고정된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 유지되는 수직바(10),수직편(15),수평바(20) 및 마감패널(40)(41)은 건축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하여 조립하게 된다.
즉, 수직바(10)의 제 1,2수직바(11)(12)를 한쌍의 수직편(15)으로써 수직으로 보강시키고, 이들 사이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제 1,2수평바(21)(22)로 이루어진 수평바(20)를 각각 삽입시켜 정사각 형상이 유지된 2개의 동일한 제품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2개의 제품 사이에 간격유지부재(30)로써 간격을 유지시키고, 내외측으로 마감패널(40)(41)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부재(50)의 체결력으로써 조립하게 된다.
이때, 조립되는 장소에 따라 마감패널(40)(41)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도 1참조) 이 마감패널(40)(41) 사이에 수직바(10)와 수평바(20)로써 조립된 2개의 조립품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되고, 이 내부에는 폐타이어의 완충부재(61), 내부부재(68), 마감재(70)로 이루어진 내장부재(60)가 내장되어 각종 구조물의 벽 및 천정이나 방음벽 또는 차단벽 등의 용도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조립되는 수직바(10),수평바(20) 및 마감패널(40)(41)의 좌우측면을 용착시키면, 높이 및 넓이로 수직바(10), 수평바(20) 및 마감패널(40)(41)이 조립됨으로써 건축 구조물의 벽 또는 천정 등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립 배치되는 내장부재(60)의 제 2부재(66)에 형성된 제2공간부(65)를 통하여 실내의 소음 및 진동이 유입되어 흡음되고, 흡음되지 않은 나머지 소음 및 진동이 제 2부재(66)의 흡입공(66a)을 통하여 제 1부재(64)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흡음되며, 흡음되지 않은 나머지가 제 1부재(64)의 흡음공(62)을 통하여 폐타이어로 이루어진 완충부재(61) 내부로 유입되어 완전히 흡음된다.
따라서, 실내외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음 및 차음하게 되고, 완충부재(61)가 폐타이어로 이루어져 보온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주로 도로변의 방음벽, 차단벽이나 주택,공장,스튜디오 및 극장 등의 구조물로써 적당한 것이다.
그리고, 내장부재(60)는 설치되는 용도에 따라 제 2부재(66)와 마감재(70)의 방향을 바꾸어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즉, 마감재(70)의 마개(71)에 형성된 삽입홈(72) 내부에 마감판(74)로써 안정되게 보관된 장식물(73)을 구조물의 전면에서 볼 수 있도록 조립하게 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내장부재(60)의 마감재(70)에 삽입 고정되는 마개(71)에 의해 형성된 제 3공간부(70a)에는 물 또는 모래 및 흙 등의 방화재(70b)를 채워 사용할 수 있어 방화벽 기능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2중 공간부와 보온성이 우수한 내장부재를 구비하여 벽체 및 천정 등의 구조물을 구성하게 됨으로써 실내 및 외부의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차음(遮音) 및 흡음(吸音)이 이루어져 소음공해를 방지하고, 보온성이 우수하게 되며, 내부에 모래 또는 흙 및 물 등의 방화재가 채워짐으로써 방화벽, 방음벽 및 차단벽 등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고, 극장 및 스튜디오 유흥점 등의 구조물로써 사용하게 되었으며, 또한 지진 등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붕괴시 차체의 하중이 줄어들게 되어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게 되며, 공해물질인 폐타이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제 1,2수직바로 이루어진 수직바와, 상기 제 1,2수직바의 전,후면에 용착되어 안착홈이 형성된 수직편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는 제 1,2수평바와, 상기 제 1,2수직바의 수직편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수직편과 상기 제 1,2수평바 및 상기 간격유지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15)과 상기 수평바(20)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부재(50)로써 체결 고정되고, 내측면에 안착부(44)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44)의 중앙 영역에 삽입공(43)이 형성된 마감패널(40)(41)과,
    상기 마감패널(40)(41) 사이와 상기 수직바(10), 상기 수직편(10) 및 상기 수평바(20) 내부에 구비된 내장부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부재(60)는
    상기 마감패널(40)(41)의 안착부(44)에 양측면이 안착되는 완충부재(61);
    상기 완충부재(61) 내경에 일측 외경이 삽입 고정되고, 외경에 다수의 흡음공(62)이 형성된 제 1부재(64);
    상기 제 1부재(64)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부재(64) 타측을 차단하여 내부에 제 1공간부(63)가 형성되고, 내경에 제 2공간부(65)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공간부(63)(65)를 연통하는 흡입공(66a)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패널(40)의 삽입공(43)에 돌출 삽입되는 제 2부재(66); 및
    상기 제 1부재(64) 일측 내경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마감패널(41)의 삽입공(43)에 돌출 삽입되는 마감재(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70)는
    일측 내경으로 마개(71)가 삽입되어 제 3공간부(70a)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71)의 일측면에는 삽입홈(7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72)에는 장식물(73)과 마감판(74)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KR10-2001-0015191A 2001-03-23 2001-03-23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KR10041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191A KR100414983B1 (ko) 2001-03-23 2001-03-23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191A KR100414983B1 (ko) 2001-03-23 2001-03-23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060U Division KR200241320Y1 (ko) 2001-03-23 2001-03-23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68A KR20010044768A (ko) 2001-06-05
KR100414983B1 true KR100414983B1 (ko) 2004-01-16

Family

ID=1970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191A KR100414983B1 (ko) 2001-03-23 2001-03-23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9819A (en) * 1990-07-24 1994-11-01 Roland Beyler Sound and vibration damping device based on tires
KR20000023955A (ko) * 1999-12-16 2000-05-06 신종춘 방화용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JP2000352144A (ja) * 1999-06-14 2000-12-19 Toyo Tire & Rubber Co Ltd 防音天井構造
JP2000352143A (ja) * 1999-06-14 2000-12-19 Toyo Tire & Rubber Co Ltd 防音天井構造
KR20020016043A (ko) * 2000-08-24 2002-03-04 신종춘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9819A (en) * 1990-07-24 1994-11-01 Roland Beyler Sound and vibration damping device based on tires
JP2000352144A (ja) * 1999-06-14 2000-12-19 Toyo Tire & Rubber Co Ltd 防音天井構造
JP2000352143A (ja) * 1999-06-14 2000-12-19 Toyo Tire & Rubber Co Ltd 防音天井構造
KR20000023955A (ko) * 1999-12-16 2000-05-06 신종춘 방화용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KR20020016043A (ko) * 2000-08-24 2002-03-04 신종춘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68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983B1 (ko)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KR200241320Y1 (ko)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KR20040070910A (ko)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KR100693194B1 (ko)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0386363B1 (ko) 건축 구조물 조립장치
JP4429889B2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KR100628879B1 (ko) 조립식 건물의 벽체구조
KR102210488B1 (ko)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KR101936931B1 (ko) 목재로 만들어진 흡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KR100648377B1 (ko) 방음벽
KR200470642Y1 (ko) 기둥형상의 방음구조물
KR20030020733A (ko) 조립식 건축벽체
KR101722122B1 (ko) 면진기능을 구비한 수장고
KR100505844B1 (ko) 방음패널
KR20170057665A (ko) 건축물 외벽의 조립식 외장단열재 시공구조
JP2008069515A (ja) 防音フェンス
KR200328960Y1 (ko) 건축물 벽 시공장치
KR102632233B1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내장재가 구비된 커트 시스템
KR102532631B1 (ko) 설치가 편리한 내진 패널 조립체
CN211312846U (zh) 一种体育馆装配式钢结构围合建筑
KR200163845Y1 (ko) 칸막이용 골조
KR200203659Y1 (ko) 건축용 흡음패널
KR100919138B1 (ko) 조립형 방음패널
KR20050000278A (ko) 건축물 벽 시공장치
KR200252844Y1 (ko) 방음벽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