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76B1 -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76B1
KR100414976B1 KR10-2003-0005352A KR20030005352A KR100414976B1 KR 100414976 B1 KR100414976 B1 KR 100414976B1 KR 20030005352 A KR20030005352 A KR 20030005352A KR 100414976 B1 KR100414976 B1 KR 10041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ust
space
mixed air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503A (ko
Inventor
정건우
송호규
손병석
김종표
하웅열
Original Assignee
(주)지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텍 filed Critical (주)지엔텍
Priority to KR10-2003-000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76B1/ko
Priority to PCT/KR2004/000126 priority patent/WO2004067183A1/en
Priority to CNB2004800028482A priority patent/CN100522377C/zh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25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ors, e.g. in parallel or in series, stacked separators, dry-wet separator comb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9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at right angles to the gas stream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내의 공간부를 여러개로 분할 구성하여 혼합공기가 상기 분할된 각 공간부 내로 나뉘어져 공급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각 공간부 내로 나뉘어져 공급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는 각 공간부 내에서 벌집형 집진극에 의해 골고루 원활하게 집진되도록 함에 따라 집진력 향상에 의한 대용량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11) 내의 공간부로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된 혼합공기가 안내되어 공급되고, 상기 하우징(11) 내의 공간부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는 집진극과 방전극의 전기적 극성에 따라 상기 집진극에 달라붙은 상태로 집진되며, 상기 하우징(11) 내의 공간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공기는 배출구(18)를 통해 안내되어 대기권으로 배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 내의 공간부에는 공간부를 복수개로 분할하도록 격판(12)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1)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 하단부와 흡입구(13)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혼합공기가 여러 경로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분할된 각 공간부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안내되어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흡입안내관(1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1)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벌집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집진극(15)이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상태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각 집진극 사이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복수개의 방전극(16)이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 상단부와 배출구(17)는 상기 분할된 각 공간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공기가 독립적으로 배출구에 안내되도록 복수개의 배출안내관(16)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각 흡입안내관(14)은 그 일단인 흡입구(13) 연결부분과 타단인 하우징(11)의 공간부 연결부분이 직각을 이루도록 꺾여있는 상태에서 그 꺾임부분이 안내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성을 위해 부드럽게 라운드지고, 상기 흡입안내관(14)의 내부중 꺾임부분에는 안내되는 혼합공기가 꺾임부분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영역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편(19)이 혼합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electric precipitation}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가 포함된 혼합공기를 하우징 내의 분리된 영역내로 각각 분산 공급시켜 상기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상기 하우징 내의 분리된 영역 내에서 각각 허니컴형상의 집진극에 의해 포집되도록 한 다음 상기 하우징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각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먼지(일반먼지, 산화아연, 목분, 석분, 원면(原綿), 곡분, 털, 연분(鉛粉) 등)를 공기와 분리하여 상기 먼지가 분리된 청정공기만을 대기권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상기 대기권이 먼지로 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시설물로서, 통상 집진방식에 따라 전기식과 필터식으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전기식 집진기는 전기의 극성을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는 방식이고, 필터식 집진기는 집진포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상기한 집진기중 종래 전기식 집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1)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하우징(1) 내의 공간부로 먼지가 포함된 혼합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 내의 공간부에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판상으로 된 복수개의 집진극(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집진극 사이에는 집진극(3)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길이를 가지면서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복수개의 방전극(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의 다른 일측인 흡입구(2) 반대쪽에는 하우징(1) 내의 공간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구조의 종래 전기 집진기를 이용하여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과정에 대해 설펴보기로 한다.
산업현장에서 발생된 먼지는 공기에 포함된 상태에서 하우징(1)의 일측에 고정된 흡입구(2)를 통해 상기 하우징(1) 내의 공간부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혼합공기는 상기 하우징(1) 내의 공간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집진극(3) 사이를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각 집진극(3)과 집진극 사이에 설치된 방전극(4)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집진되고, 이에 따라 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한 공기만이 하우징(1)의 다른 일측인 흡입구(2) 반대쪽에 고정된 배출구(5)를 통해 대기권으로 배출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입구(2)를 통해 하우징(1) 내의 공간부로 흡입된 혼합공기가 계속적인 팬의 동작으로 인해 배출구(5)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1) 내의 공간부에 설치된 각 집진극(3) 사이를 지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각 집진극(3)에는 +전압이 인가되고 있음은 물론 상기 각 집진극 사이에 설치된 방전극(4)에는 -전압이 인가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각 집진극(3) 사이를 지나는 혼합공기중의 먼지입자는 각 방전극(4)의 -전압에 하전(荷電)되어 -전극을 띄게 되고, 이후 상기 -전극을 띠는 먼지입자는 +전극을 띠고 있는 각 집진극(3)에 달라 붙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먼지를 포함하고 있는 혼합공기가 흡입구(2)를 통해 하우징(1) 내의 공간부로 흡입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한 공기만이 배출구(5)를 통해 대기권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구(2)측이나 배출구(5)측 중 어느 한부분에 팬(도시는 생략함)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기 팬이 흡입구(2)측에 설치된 경우에는 흡기팬이 되고 배출구(5)측에 설치된 경우에는 배기팬이 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각 집진극(3) 사이를 지나 온 공기는 먼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청정공기이고, 이 청정공기가 배출구(5)를 통해 하우징(1) 외부인 대기권으로 빠져나감에 따라 대기권이 공기로 부터 오염되는 일이 없어 환경오염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과정이 일정시간 계속되다 보면 어느 순간 각 집진극(3)에 달라 붙어 있는 먼지의 량이 포화상태에 이르게 됨에 따라 먼지의 집진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됨은 물론 소음도 상당히 크게 발생되는데, 이 경우에는 물로서 상기 집진극(3)을 세정하여 집진된 먼지를 제거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집진극의 세정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하우징(1) 내의 공간부에 구비시켜야 하는데, 상기 집진극의 세정을 위한 장치는 도면상에 생략하였다.
한편 상기한 종래 전기 집진기에서 판상으로 된 각 집진극(3)은 +전압을 인가 받도록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방전극(4)은 -전압을 인가받도록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은 이해 가능하나 도면상에는 상기 각 집진극(3)의 연결수단 및 각 방전극(4)의 연결수단도 생략하였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전기 집진기는 각 집진극(3)을 판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한꺼번에 많은량의 혼합공기를 하우징 내로 흡입시켜 상기 혼합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대형 산업현장에서 대부분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각 집진극이 판상으로 되어 있음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도 있다.
첫째, 각 방전극(4)의 주변에 형성되는 전계영역이 원형임을 감안할 때 판상으로 된 각 집진극(3)중 상기 전계영역에 들지 못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당한 면적에 해당될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상기 전계영역에 들지 못하는 집진극(3)에는 먼지가 원활히 집진되지 못함에 따라 집진력이 저하된다.
둘째, 흡입구(2)를 너무 크게 하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1) 내의 공간부로 흡입되는 혼합공기의 유속이 너무 느려지므로 상기 흡입구(3)의 크기를 하우징(1)에 비해 상단부분 작게 할 수 밖에 없는데, 이로 인해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하우징(1) 내로 흡입되는 혼합공기중 상기 흡입구(3)와 동일 수평선상인 가운데 부분의 혼합공기와 그 주위를 이루는 다른 부분의 혼합공기는 유속에 있어 상단부분 차이가 나게 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 내에서의 각 영역별로 집진력이 고르지 못하고 심한 차이가 생길 수 밖에 없고, 이는 집진면적의 충분한 확보를 위해 하우징(1)이 갈수록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음은 물론 혼합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그 물질이 무었이냐에 따라 비중이 서로 다름을 감안할 때 상기 하우징(1) 내에서의 각 영역별로 집진력 차이가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셋째,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집진되는 공간부인 하우징(1) 내부가 하나로 일체화된 큰 공간부이므로 사용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의 일부분이 결함이거나 아니면 하우징 내부의 구성요소중 어느 한 구성요소가 결함일 경우 이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해 부분 정비를 하더라도 기기의 동작을 중단시켜야 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상기한 평판형 집진극을 갖는 전기 집진기의 문제점의 일부를 해결해 보고자 하우징 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집진극을 평판형이 아닌 벌집형(Honeycomb)으로 하고 상기 벌집형 집진극 사이에 위치되도록 방전극을 설치한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집진극의 집진면적이 넓어짐은 물론 방전극 주변에 형성되는 전계영역 범위내에 집진극의 모든 면적이 들어오게 되므로 집진력이 향상되는 효과는 있지만 하우징 내의 공간부 면적을 필요이상 넓힐 수 없는 현실적 문제로 인해 대형 산업장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고, 일부 소형 사업장과 가정용 공기청정기 분야에 일부 적용되고 있다.
즉, 하우징이 대형일 경우에는 그 내부 공간부를 모두 채운 상태로 벌집형 집진극을 설치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상업성이 거의 없게되고, 또한 벌집형 집진극은 일반 평판형 집진극에 비해 공기의 이동에 따른 간섭력이 매우 크므로 이는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부 면적이 넓어진 상태와 더불어 혼합공기의 유속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상기 혼합공기의 유속이 필요이상 느려지면서 용량에 따른 집진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평판형 집진극을 갖는 전기 집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벌집형 집진극의 사용이 가능한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의 공간부를 여러개로 분할 구성하여 혼합공기가 상기 분할된 각 공간부 내로 나뉘어져 공급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각 공간부 내로 나뉘어져 공급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는 각 공간부 내에서 벌집형 집진극에 의해 골고루 원활하게 집진되도록 함에 따라 집진력 향상에 의한 대용량화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 집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기 집진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5는 종래 전기 집진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전기 집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전기 집진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Ⅲ-Ⅲ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전기 집진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우징 12. 격판
13. 흡입구 14. 흡입안내관
15. 집진극 16. 방전극
17. 배출안내관 18. 배출구
19. 가이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내의 공간부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혼합공기가 안내되어 공급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부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는 집진극과 방전극의 전기적 극성에 따라 상기 집진극에 달라붙은 상태로 집진되며,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안내되어 대기권으로 배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부에는 공간부를 복수개로 분할하도록 격판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 하단부와 흡입구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혼합공기가 여러 경로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분할된 각 공간부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안내되어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흡입안내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벌집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집진극이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상태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각 집진극 사이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복수개의 방전극이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 상단부와 배출구는 상기 분할된 각 공간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공기가 독립적으로 배출구에 안내되도록 복수개의 배출안내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각 흡입안내관은 그 일단인 흡입구 연결부분과 타단인 하우징의 공간부 연결부분이 직각을 이루도록 꺾여있는 상태에서 그 꺾임부분이 안내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성을 위해 부드럽게 라운드지고, 상기 흡입안내관의 내부중 꺾임부분에는 안내되는 혼합공기가 꺾임부분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영역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편이 혼합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 전기 집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전기 집진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전기 집진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격판(12)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하우징(1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 전면에는 먼지가 포함된 혼합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3)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혼합공기를 상기 하우징(11) 내의 각 공간부 하부로 나누어 안내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13)의 하면부에는 복수개로 된 흡입안내관(14)의 일단이 고정됨과 함께 하우징(11)의 전면부에는 상기 흡입안내관(14)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1)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상태에서 벌집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집진극(15)이 설치되며, 상기 각 집진극 사이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상태로 방전극(16)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상부면에는 하우징 내의 각 공간부로 흡입된 공기의 외부 배출을 독립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안내관(17)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에는 각 배출안내관(17)의 타단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 배출안내관(17)에 안내되는 공기를 모아 대기권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8)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구성요소중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되는 혼합공기를 상기 하우징(11) 내의 각 공간부 하부로 나누어 안내하는 각 흡입안내관(14)은 안내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성을 위해 그 일단인 흡입구(13) 연결부분과 타단인 하우징(11)의 공간부 연결부분이 직각을 이루도록 부드럽게 라운드진 상태로 꺾여있는데, 상기 각 흡입안내관(14)의 내부중 꺾임부분에는 안내되는 혼합공기가 꺾임부분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영역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가이드편(19)이 혼합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 내의 독립된 공간부중 집진극(15) 및 방전극(16)의 하방에는 각 흡입안내관(14)을 통해 안내되어 하우징(11) 내의 공간부로 흡입되는 혼합공기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구멍(20a)이 형성된 분배판(20)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 전기 집진기를 이용하여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산업현장에서 발생된 먼지는 공기에 포함된 상태에서 하우징(11)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되고, 이 흡입된 혼합공기는 상기 흡입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의 전면 하부에 다른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흡입안내관(14)을 통해 상기 하우징(11) 내로 안내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1) 내의 공간부는 격판(12)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음에 따라 각 흡입안내관(14)을 통해 안내되는 혼합공기는 각 공간부에 독립된 상태로 안내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된 혼합공기가 각 흡입안내관(14)을 통해 안내되어 하우징(11) 내의 독립된 공간부로 들어갈 때 상기 각 흡입안내관(14)의 꺾임부분은 부드럽게 라운드져 있으므로 혼합공기가 상기 각 흡입안내관의 꺾임부분을 매우 부드럽게 지나가게 됨은 물론 상기 각 흡입안내관의 내부중 꺾임부분에는 혼합공기의 이동방향으로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편(19)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혼합공기가 상기 각 흡입안내관(14)의 꺾임부분을 지나갈 때 각 가이드편(19)으로 인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부분 영역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어 지나가게 되고, 이는 혼합공기가 상기 하우징(11) 내의 각 독립된 공간부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부터 그 분포가 전 영역에 걸쳐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상기한 본 발명에서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된 혼합공기를 하우징(11) 내의 각 공간부로 각각 안내하는 흡입안내관(14)이 그 일단인 흡입구(13) 연결부분과 타단인 하우징(11)의 공간부 연결부분이 직각을 이루도록 된 것은, 상기 흡입안내관(14)의 일단인 흡입구(13)의 연결지점 위치가 흡입안내관(14)의 타단인 하우징(11)의 공간부 연결지점 위치보다 더 높게하기 위함인데, 이는 흡입구(13)로 흡입된 혼합공기가 일단 중력방향인 직하방으로 이동경로를 가지는 과정에서 그 유속이 급속히 빨라지므로 이후 상기 혼합공기가 계속해서 흡입안내관(14)을 통해 하우징(11)의 각 공간부로 들어갈 때 그 들어감이 신속하고 원활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하여 하우징(11) 내의 독립된 공간부로 들어온 혼합공기는 계속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1) 내의 독립된 공간부중 집진극(15) 및 방전극(16)의 하방에는 복수개의 구멍(20a)이 형성된 분배판(2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방으로 이동하는 혼합공기는 일단 분배판(20)에 부딪혀 사방으로 골고루 퍼지게 됨에 따라 상기 분배판(20)을 통과한 후로 계속 상승하는 혼합공기는 하우징(11) 내의 각 독립된 공간부에서 그 분포가 전 영역에 걸쳐 일단 고르게 된 다음 상기 집진극(15)과 방전극(16)을 통과하게 될 것이다.
상기 하우징(11) 내의 독립된 각 공간부에서 분배판(20)을 지난 혼합공기는 상승하는 어느 순간부터 상기 각 공간부에 설치된 벌집형의 각 집진극(15) 사이를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각 집진극(15)과 집진극 사이에 설치된 방전극(16)의전기적 작용에 의해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집진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각 집진극(15) 사이를 완전히 지나가고 난 공기는 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한 공기인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청정한 공기는 하우징(11)의 상부면에 일단이 고정된 복수개의 배출안내관(17)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11) 내의 독립된 공간부를 빠져나가고, 이 빠져 나간 청정공기는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에 구비되어 각 배출안내관(17)의 다른 일단과 고정된 배출구(18)에서 일단 모아진 다음 상기 배출구를 통해 대기권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벌집형상의 집진극(15)과 상기 각 집진극 사이에 설치된 방전극(16)의 전기적 작용으로 인해 상기 집진극(15)에 달라 붙어 집진됨은 종래 과정을 참고하면 충분히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생락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먼지를 포함하고 있는 혼합공기가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한 공기만이 배출구(18)를 통해 대기권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구(13)측이나 배출구(18)측 중 어느 한부분에 팬(도시는 생략함)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기 팬이 흡입구(13)측에 설치된 경우에는 흡기팬이 되고 배출구(18)측에 설치된 경우에는 배기팬이 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배출구(18)를 통해 대기권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먼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청정공기임에 따라 상기 대기권이 공기로 부터 오염되는 일이 없어 환경오염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과정이 일정시간 계속되다 보면 어느 순간 각 집진극(15)에 달라 붙어 있는 먼지의 량이 포화상태에 이르게 됨에 따라 먼지의 집진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됨은 물론 소음도 상당히 크게 발생되는데, 이 경우에는 종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로서 상기 집진극(15)을 세정하여 집진된 먼지를 제거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전기 집진기에서 벌집형상으로 된 각 집진극(15)은 +전압을 인가 받도록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 집진극(15) 사이에 설치된 각 방전극(16)은 -전압을 인가받도록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은 이해 가능하나 도면상에는 상기 각 집진극(15)의 연결수단 및 각 방전극(16)의 연결수단을 생략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 전기 집진기는 하우징(11) 내의 공간부가 각각 독립되도록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독립된 공간부로는 집진력이 우수한 벌집형상의 집진극(15) 및 상기 각 집진극과 전기적 작용이 가능한 방전극(16)의 설치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많은량의 혼합공기를 하우징(11) 내로 분산 흡입시켜 상기 혼합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원활하게 집진할 수 있으므로 인해 대형 산업현장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사용할 경우 종래의 평판형 집진극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처리용량은 동일하더라고 집진효율이 훨씬 높아져 보다 깨끗한 공기를 대기권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의 방지에도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일부분이 결함이거나 아니면 하우징 내부의 구성요소중 어느 한 구성요소가 결함일 경우 이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해 부분 정비를 하더라도 기기의 동작을 중단시키지 않아도 되어 가동율의 향상으로 인한 부수적인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독립된 공간부 내에서 방전극(16)과 함께 전기적 작용을 일으킴에 따라 실제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극(15)이 벌집형이므로 상기 집진극의 집진면적이 넓어짐은 물론 방전극(16) 주변에 형성되는 전계영역 범위내에 집진극(15)의 모든 면적이 들어오게 되므로 처리 용량에 비해 집진력이 대폭 상승되어 종래 평판형 집진극을 갖는 대형 전기 집진기에서 집진하지 못한 미세분진등의 집진도 무리 없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하우징 내의 공간부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혼합공기가 안내되어 공급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부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는 집진극과 방전극의 전기적 극성에 따라 상기 집진극에 달라붙은 상태로 집진되며,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안내되어 대기권으로 배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부에는 공간부를 복수개로 분할하도록 격판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 하단부와 흡입구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혼합공기가 여러 경로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분할된 각 공간부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안내되어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흡입안내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벌집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집진극이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상태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각 집진극 사이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극성을 띠도록 복수개의 방전극이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분할된 각 공간부 상단부와 배출구는 상기 분할된 각 공간부에서 먼지가 집진되고 난 청정공기가 독립적으로 배출구에 안내되도록 복수개의 배출안내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각 흡입안내관은 그 일단인 흡입구 연결부분과 타단인 하우징의 공간부 연결부분이 직각을 이루도록 꺾여있는 상태에서 그 꺾임부분이 안내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성을 위해 부드럽게 라운드지고, 상기 흡입안내관의 내부중 꺾임부분에는 안내되는 혼합공기가 꺾임부분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영역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편이 혼합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
  2. 삭제
KR10-2003-0005352A 2003-01-27 2003-01-27 전기 집진기 KR10041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52A KR100414976B1 (ko) 2003-01-27 2003-01-27 전기 집진기
PCT/KR2004/000126 WO2004067183A1 (en) 2003-01-27 2004-01-26 Electric precipitator
CNB2004800028482A CN100522377C (zh) 2003-01-27 2004-01-26 电除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52A KR100414976B1 (ko) 2003-01-27 2003-01-27 전기 집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698U Division KR200312745Y1 (ko) 2003-01-28 2003-01-28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503A KR20030019503A (ko) 2003-03-06
KR100414976B1 true KR100414976B1 (ko) 2004-01-16

Family

ID=3609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352A KR100414976B1 (ko) 2003-01-27 2003-01-27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14976B1 (ko)
CN (1) CN100522377C (ko)
WO (1) WO20040671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2950A (ja) * 2006-08-01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変換装置
EP2433712A1 (en) 2010-09-27 2012-03-28 Alstom Technology Ltd Duct transition arrangement
CN102225366B (zh) * 2011-04-14 2012-12-19 河北大学 一种立式高压静电除尘器
RU2636488C2 (ru) * 2016-02-20 2017-11-23 Николай Всеволодович Пикулик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газов от пыли и электрофильт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745Y2 (ko) * 1975-10-07 1977-12-16
US5254155A (en) * 1992-04-27 1993-10-19 Mensi Fred E Wet electrostatic ionizing element and cooperating honeycomb passage ways
US5282891A (en) * 1992-05-01 1994-02-01 Ada Technologies, Inc. Hot-side, single-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reduced back corona discharge
CN2158971Y (zh) * 1993-05-14 1994-03-16 陈文君 复合除尘器
JPH07299387A (ja) * 1994-05-09 1995-11-14 Sumitomo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
JP4077994B2 (ja) * 1999-08-02 2008-04-23 日本メッシュ工業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503A (ko) 2003-03-06
CN1741856A (zh) 2006-03-01
CN100522377C (zh) 2009-08-05
WO2004067183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00193B (zh) 一种可移动式空气净化装置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CN209438817U (zh) 高效湿式静电除尘器
CN102728469A (zh) 一种立式湿法电除尘器流场优化装置
KR100414976B1 (ko) 전기 집진기
CN105922136A (zh) 一种铜粉收集装置
CN205252736U (zh) 一种混合除尘器装置
KR20100009691U (ko) 사이크론 전기집진기
KR200312745Y1 (ko) 전기 집진기
CN203235567U (zh) 一种高效湿法静电除尘器
CN210172110U (zh) 一种除尘工作台及其除尘机和风力循环结构
CN208936354U (zh) 高效除尘静压箱
CN210613255U (zh) 一种带导流风道的混合除尘器及系统
CN211069497U (zh) 多级混合除尘装置
CN209917538U (zh) 一种工业除尘装置
CN206660863U (zh) 电气自动化除尘装置
CN218442643U (zh) 一种防尘式通风机装置
CN217357404U (zh) 吹风组件及空气处理设备
KR20150136207A (ko) 전기 집진 장치
CN205436019U (zh) 静电集尘模块
CN217288825U (zh) 一种高效湿式电除尘器
CN202621308U (zh) 一种改善电场电压波动的湿式电除尘器
CN210058622U (zh) 一种湿式电除尘器
CN114452744B (zh) 一种滑移式的环保粉尘处理装置
CN210278733U (zh) 一种空气净化用集尘及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